KR101254870B1 -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870B1
KR101254870B1 KR1020110021270A KR20110021270A KR101254870B1 KR 101254870 B1 KR101254870 B1 KR 101254870B1 KR 1020110021270 A KR1020110021270 A KR 1020110021270A KR 20110021270 A KR20110021270 A KR 20110021270A KR 101254870 B1 KR101254870 B1 KR 10125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le
slab
wall
degassing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3168A (ko
Inventor
박진상
이지원
김범진
Original Assignee
박진상
김범진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상, 김범진, 이지원 filed Critical 박진상
Priority to KR102011002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87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부 일측에 담수된 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수단을 더 구성하여, 담수상황이 발생하여도 탈기장치의 상단부를 통해 담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탈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한계성을 극복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본 발명은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통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는 벽체형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탈기장치는 슬래브(S) 측에 마련되고 내측에 하단통기공(413)이 형성된 하단부(412)와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통기공(413)과 연통되는 상단통기공(415)이 내측에 마련되고 상부 및 측면이 막혀있으며 일측 하단에 상기 상단통기공(415)과 연통되어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416)이 형성된 탈기관(410)과;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을 단속하여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배출되도록 하고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Air vent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of rainwater from a roof}
본 발명은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부 일측에 담수된 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수단을 더 구성하여, 담수상황이 발생하여도 탈기장치의 상단부를 통해 담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탈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한계성을 극복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세월의 경과 및 기후변화에 의한 균열이나 건물 자체의 균열 또는 거동 등에 의한 방수층의 파손에 있다.
전자의 경우, 방수의 시공 후 오랜 시간경과로 보호 콘크리트의 표면이 벗겨지거나 부식되어 그 파손된 틈으로 물이 스며들고 보호콘크리트에 스며든 물은 기후에 따라 수축팽창작용으로 콘크리트 및 방수층까지 2차 균열을 발생시켜 슬래브 옥상의 균열을 악화시키게 된다.
후자의 경우, 구조상 지반이 일정하지 못해서 균형상태와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균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은 통상 간격이 0.2(mm)를 초과할 경우에 보수의 대상이 되며 이러한 균열이 반복됨에 따라 초기 간격보다 더 벌어지거나 또는 새로운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균열을 통해 슬래브 또는 벽체로 물이 스며들고, 이를 통해 건물 콘크리트에 포함된 철근골조를 부식시킴으로 건물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 등에 의해, 건물의 신축 때뿐만 아니라 방수시공 후 일정시간 경과 대략 4 ~ 5(년)정도 후에는 방수시공을 재시공하게 되고, 방수할 부분의 재질이나, 용도 등에 따라 아스팔트방수법, 시멘트 액체방수법, 방수시트법, 또는 이들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복합방수법 등이 있다.
한편, 이렇게 시공되는 슬래브(또는 '바탕면'이라고도 함)와 방수층 사이에서는 외기온도와 건물 실내온도의 차이 또는 건물에 함유된 수분 등이 직사광선 등에 의해 기체가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기체를 배출시키지 못할 경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를 들뜨게 함에 따라 방수층의 사용연도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래브에는 다수의 탈기장치(또는 '탈기관', 탈기반'이라고도 함)를 설치하여,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켰다.
또한, 이러한 탈기장치는 평탄한 슬래브에 설치되는 슬래브형 탈기장치, 및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퉁이(또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벽체형 탈기장치로 구분된다.
이 중 벽체형 탈기장치의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424206호(명칭: 벽체형 탈기관)이며, 도 1은 종래 탈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탈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벽체형 탈기관은 건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벽체 부착부(10), 및 양 끝단이 벽체와 바닥부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를 통해 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통기부(20)는 양 끝단의 결합부(21)가 상기 벽체 부착부(10)에 부착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벽체 부착부(10)로부터 이격된 통기구가 형성된 벽체 통기부(22), 및 상기 벽체 통기부(22)로부터 상기 바닥부 쪽으로 수직으로 일체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어 통기구를 형성하는 바닥 통기부(2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벽체 통기부(22)와 바닥 통기부(23)의 중앙에 형성된 통기구들은 서로 연통되며, 바닥의 방수층에서 형성된 습기 등의 기체가 바닥 통기부(23)의 입구에 형성된 통기입구(24)를 통해 유입되어 벽체 통기부(22)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통기출구(25)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벽체형 탈기관은 상기 벽체 통기부(22)의 상기 통기출구(25)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벽체 부착부(10)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캡부(1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에서 벽체 부착부(10)는 결합구멍(30)을 통해 앵커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결합구멍(30) 없이 우레탄 실링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한국 등록특허 제761939호(명칭: 방수 시공용 다공섬유시트가 구비된 탈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이며, 도 3은 종래 탈기장치의 다른 일례를 보인 탈기구조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탈기관의 전체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시공 대상면(g)과 벽면(W)이 이루는 모서리를 따라 접착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구(122)가, 상부측에는 복수개의 배출구(132)가 각각 구비되어 내부 유로를 형성하는 탈기반(100); 상기 탈기반(100)의 출구에 돌출 장착되는 탈기관(200); 및 상기 시공 대상면을 포함하여 단부가 상기 탈기반의 유입구를 덮도록 접착 고정되고 방수제 및 마감제가 도포되는 것으로, 시공 대상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상기 탈기반 및 탈기관으로 유도하는 다공섬유시트(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탈기관(200)은, 상부측이 절곡된 단부면에 관통 형성한 복수개의 출구공(212)이 시공 대상면을 지향하고, 하부측이 절개되어 입구(214)를 형성하며 상기 탈기공(130)에 삽입되어 상기 탈기반(100) 상부측에 돌출 장착되는 몸체(210); 및 상기 출구공에 각각 장착되는 탈기노즐(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탈기노즐(220)은, 일측이 상기 출구공(212)에 장착되며, 상기 다공섬유시트(300)와 시공 대상면(g)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간극(222)이 타측에 구비된다.
이렇듯, 종래의 벽체형 탈기장치는 슬래브와 벽체의 모퉁이에 설치가능한 구조로, 하단은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 마련되고, 상단은 벽체에 고정되면서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가 상단의 통기공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형 탈기장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는 외부와 통기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마철 및 집중호우나, 또는 슬래브에 마련된 배수구가 막혀 슬래브에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담수상황일 경우에, 상기 탈기장치의 상단 통기공을 통해 담수된 물이 역류하여 결국,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 물이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역류한 물이 슬래브로 스며들고 시간경과로 인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 발생한 기체가 압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방수층을 들뜨게 하는 등의 열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부 일측에 담수된 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수단을 더 구성하여, 담수상황이 발생하여도 탈기장치의 상단부를 통해 담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탈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한계성을 극복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는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통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하는 벽체형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 탈기장치는 슬래브 측에 마련되고 내측에 하단통기공이 형성된 하단부와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단통기공과 연통되는 상단통기공이 내측에 마련되고 상부 및 측면이 막혀있으며 일측 하단에 상기 상단통기공과 연통되어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공이 형성된 탈기관과; 상기 탈기관의 배기공을 단속하여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배출되도록 하고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기공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역류방지수단은 탈기관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탈기관의 배기공을 개폐하는 회동편;으로 구성되고, 회동편은 상기 배기공을 개방하도록 상기 탈기관의 상단부에서 일정각 벌어진 벌림각도를 유지하여; 담수상황이 발생하면 차오르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회동편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배기공을 밀폐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관과 회동편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회동편이 배기공을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편을 밀어내면서 기체가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기공은 일정크기를 가지고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로 구성되고;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배기공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깔때기형상으로 끝단이 좁아지며 그 하단에 기체의 외부 배기가 가능하고 외부에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역류방지캡;으로 구성되고, 또는 역류방지캡은 관체 형상이면서 일단이 상기 배기공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이 벌림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어느 일측에 단속띠;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기관의 상단부 캐노피의 아래쪽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배기공이 형성되어 억류방지캡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돌출관;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상단부 일측에 담수된 물이 역류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수단을 더 구성하여, 담수상황이 발생하여도 탈기장치의 상단부를 통해 담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탈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한계성을 극복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탈기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탈기장치의 다른 일례를 보인 탈기구조의 개념도.
도 4는 도 3의 탈기관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설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수상황에서의 벽체형 탈기장치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설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 캡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일부확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일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벽체형 탈기장치는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퉁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탈기관, 및 상기 탈기관의 일측에 마련되어 담수상황 또는 기타 이물질이 상기 탈기관을 통해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로 역류함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류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제1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담수상황에서의 벽체형 탈기장치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벽체형 탈기장치는 탈기관(410), 및 상기 탈기관(4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역류방지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기관(410)은 슬래브(S)에 마련되고 내측에 하단통기공(413)이 형성된 하단부(412), 및 상기 하단부(412)에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하단통기공(413)과 연통되는 상단통기공(415)이 형성된 상단부(414)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단부(4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S)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수평으로 돌출된 형상이거나 또는 종래의 설명 중 한국 특허 제761939호(방수 시공용 다공섬유시트가 구비된 탈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와 같이, 탈기반(100)에 형성된 탈기공(130)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단부(412)는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를 상단부(414)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단부(4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개방된 형상이거나, 또는 파이프 형태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414)는 벽체(W)에 밀착되고 상기 하단부(412)에서 연장되어, 방수층(50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내측에는 상기 하단부(412)의 하단통기공(413)과 연통되는 상단통기공(41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단부(414)의 상단에는 캐노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노피는 위쪽 및 측면이 막혀있고, 아래쪽의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아래쪽 개방된 부분은 상기 상단통기공(415)과 연통되어 기체가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공(416)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더불어, 상단부(414)는 상기 하단부(412)와 같이 벽체(W)가 밀착되는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와 같이 함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부(412) 또는 상단부(414)의 외주 일측에는 벽체(W)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편(418)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편(418)은 생략 가능한 것으로, 하단 및 상단부(412)(414)와 슬래브(S) 및 벽체(W)에 접착제 또는 실리콘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시공현장에 따라 고정방식을 선택하거나 또는 이들을 병행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상단부(414)의 배기공(416)을 통해 이물질, 즉 담수상황일 경우 담수된 물이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단부(414) 일측에 마련되는 회동축(422)과, 상기 회동축(42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은 상기 상단부(414)의 배기공(416)을 단속하도록 마련되는 회동편(424)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축(422)은 탈기관(41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424)은 일단이 회동축(422)에 지지되고 타단은 배기공(416)에서 일정각도 벌어진 각을 이루어진 벌림각도(α)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벌림각도(α)는 30 내지 60(°)를 가지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임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회동편(424)의 벌림각도(α)를 가지는 것은 담수상황일 때 차오르는 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회동편(424)의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령, 상기 회동편(424)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접촉면적이 벌림각도(α)로 누워진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부력에 의해 회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편(424)은 부력에 의해 상기 회동편(424)이 회동축(4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수위가 상단부(414)의 배기공(416)보다 높은 위치를 가질 때 상기 회동편(424)이 상기 배기공(416)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배기공(416)으로 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편(424)은 부력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물의 비중보다 낮은 수치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가령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금속재라 하더라도 내측에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테두리에 물 비중보다 낮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더 결합하여 부력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기공(416)과 회동편(424) 사이에는 부력에 의해 회동된 회동편(424)과 배기공(416) 사이를 밀폐시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수단을 더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평상시 즉, 담수상황이 아닐 경우, 상기 회동편(424)의 벌림각도(α)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축(422)과 회동편(424) 사이에 멈춤돌기 또는 유지수단을 더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회동편(424)의 벌림각도(α)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기장치는 슬래브(S)와 벽체(W)가 만나는 모퉁이(또는, '모서리', '코너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이들의 설치방법은 탈기관(410)에 마련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편(418)을 이용하거나 또는 접착제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아울러, 고정된 탈기관(410)에는 배기공(416)을 단속할 수 있는 역류방지수단인 회동편(424)이 구성된다.
상기 회동편(424)은 평상시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에서 벌림각도(α) 만큼 벌어져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슬래브(S)와 방수층(500)에서 발생하는 기체가 배기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우기때나 집중호우, 또는 배수구의 막힘으로 슬래브(S)와 벽체(W) 사이에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차오르는 물의 부력으로 회동편(424)은 회동축(422)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이 경우, 수위가 탈기관(410)의 높이를 초과할 경우 부력을 받은 회동편(424)은 배기공(416)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담수상황이 발생하여도, 상기 회동편(424)이 배기공(416)을 완전 밀폐시킴으로 종래와 같이 개방된 배기공(416)을 통해 담수된 물 또는 우수가 역류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우수나 기타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은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의 접착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화를 최소화하여, 사용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동반하게 된다.
(제2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설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기장치는 탈기관(410), 및 회동축(422)과 회동편(424)으로 구성된 역류방지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회동편(424)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30)가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상기 회동편(424)이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을 밀폐시키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의 밀폐공간에서 일정시간 경과로 인해 누적됨에 따라 일정 기체압을 형성하면, 상기 탈기관(410)의 하단 및 상단통기공(413)(415)을 거쳐 배기공(416)을 밀폐시킨 회동판(424)을 밀어내어 배기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탄성부재(430)에 의해 회동편(424)이 배기공(416)을 항상 밀폐시키고 있으므로,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동편(424)에 부력이 작용함에 따라 더욱 견고하게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을 밀폐시킴에 따라 물이나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 예의 탈기장치는 제1실시 예의 탈기장치의 역류방지수단인 회동편이 물의 비중보다 낮은 재질이거나 또는 회동편에 공기층 또는 테두리에 부력을 받을 수 있는 별도의 재질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사용의 한계성을 극복하는효과를 가진다.
즉, 제2실시 예의 회동편은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 탈기관(410)의 역류를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고무나 합성수지외에도 금속재 등 사용목적이나 시공조건에 따라 선택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제3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기장치는 탈기관(410), 및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a)을 통해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역류방지캡(440)이다.
상기 배기공(416a)은, 탈기관(410)의 상단부(414)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역류방지캡(44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하나 또는 간격을 가지도록 둘 이상의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캡(440)은, 상기 배기공(416a)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어, 상기 배기공(416a)을 통해 배기되는 기체의 진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외부에서 상기 배기공(416a)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캡(440)은 상단부분이 상기 배기공(416a)에 삽입 고정되고, 하방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형상이며, 하단 어느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절개부(4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캡(440)은 일정높이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상단이 마련되고 그 하단에는 깔때기형상이며, 그 하단은 내측과 외부가 상호 연통되는 절개부(4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캡(440)은 배기공(416a)을 통해 시간경과에 따라 누적된 압력을 가진 기체가 하단의 절개부(442)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담수상황일 경우에는 차오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캡(440)의 하단 절개부(442)가 상호 미는 작용이 일어남에 따라 상기 절개부(442)가 견고히 밀폐됨에 따라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제4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 캡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내지 제3실시 예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기장치는 탈기관(410), 및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a)을 통해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역류방지캡(440a)이다.
상기 역류방지캡(440a)은 관 형상으로 상단이 상기 배기공(416a)에 삽입 고정되고, 하단에는 기체의 배출 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444)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44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캡(440a)의 하단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제1실시 예의 회동편(424)과 회동축(422)의 결합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개폐판(444)에는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역류방지캡(440a)의 하단과 개폐판(444) 사이에 벌림각도(α)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판(444)의 자유낙하를 단속하는 단속띠(446)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단속띠(446)의 단속으로 역류방지캡(440a)의 하단과 개폐판(444) 사이에 벌림각도(α)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체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담수상황일 경우에는 물의 부력에 의해 개폐판(444)이 상승하면서 역류방지캡(440a)의 하단을 밀폐시켜 역류방지효과를 가진다.
(제5실시 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벽체형 탈기장치의 일부확대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며, 제1 내지 제4실시 예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기장치는 탈기관(410), 및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b)을 통해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역류방지캡(440)이다.
아울러, 상기 배기공(416b)의 주변, 즉 탈기관(410)의 상단부(414)의 하단에 하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돌출관(416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관(416c)에 역류방지캡(440)의 상단부분을 삽입시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 내지 제5실시 예의 역류방지캡(440)(440a)은 합성수지나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이면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410: 탈기관 412: 하단부
413: 하단통기공 414: 상단부
415: 상단통기공 416, 416a, 416b: 배기공
418: 고정편 422: 회동축
424: 회동편 430: 탄성부재
440, 440a: 역류방지캡 442:절개부
444: 개폐판 446: 단속띠
500: 방수층 S: 슬래브
W: 벽체

Claims (7)

  1.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통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가진 기체가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탈기관이 구성된 벽체형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에는,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탈기관(4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동축(422)과;
    상기 회동축(422)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을 개폐하는 회동편(424); 및
    상기 탈기관(410)과 회동편(424)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편(424)이 배기공(416)을 밀폐상태를 유지시키며,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편(424)을 밀어내면서 기체가 배기공(41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통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가진 기체가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탈기관이 구성된 벽체형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a)에는,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416a)은 일정크기를 가지고 간격을 유지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배기공(416a)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타단은 깔때기형상으로 끝단이 좁아지며, 하단에 기체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고 외부에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개부(442)가 형성된 역류방지캡(4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6. 슬래브와 벽체 사이의 모통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래브와 방수층 사이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을 가진 기체가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탈기관이 구성된 벽체형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관(410)의 배기공(416a)에는, 슬래브(S)와 방수층(500) 사이에서 발생한 기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배기공(416)을 통해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공(416a)은 일정크기를 가지고 간격을 유지하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관체 형상이면서 일단이 상기 배기공(416a)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에 일측이 일체로 연결되어 부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하단을 개폐하는 개폐판(444)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판(444)이 벌림각도(α)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속띠(446)가 구비되는 역류방지캡(440a);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탈기관(410)은, 내측에 배기공(416b)이 형성되고 역류방지캡(440)(440a)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일정높이 돌출되는 돌출관(416c);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KR1020110021270A 2011-03-10 2011-03-10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KR10125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70A KR101254870B1 (ko) 2011-03-10 2011-03-10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270A KR101254870B1 (ko) 2011-03-10 2011-03-10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68A KR20120103168A (ko) 2012-09-19
KR101254870B1 true KR101254870B1 (ko) 2013-04-23

Family

ID=4711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270A KR101254870B1 (ko) 2011-03-10 2011-03-10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702B1 (ko) 2017-08-22 2018-03-07 주식회사 더아키벤 벽면설치 통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69B1 (ko) * 2006-08-02 2007-02-01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100761939B1 (ko) * 2006-11-24 2007-10-01 케이 이 티 주식회사 방수 시공용 다공섬유시트가 구비된 탈기 구조 및 이를이용한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69B1 (ko) * 2006-08-02 2007-02-01 주식회사 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 사무소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100761939B1 (ko) * 2006-11-24 2007-10-01 케이 이 티 주식회사 방수 시공용 다공섬유시트가 구비된 탈기 구조 및 이를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702B1 (ko) 2017-08-22 2018-03-07 주식회사 더아키벤 벽면설치 통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168A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151B1 (ko)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US8413389B2 (en) Openable covering construction for pergolas, verandas and the like
US7334421B1 (en) Air conditioner pad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JP4727756B1 (ja) 床下浸水防止構造
KR100629782B1 (ko)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US20080276364A1 (en) Manufactured Shower Pan
AU2010314174A1 (en) Closable throughflow member
CN109653383B (zh) 一种装配式建筑外挂墙板排水结构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US20190249439A1 (en) Vent and flashing system
KR100759762B1 (ko)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1254870B1 (ko)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JP2016132869A (ja) 土台水切り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06634B1 (ko) 폴리에스테르 강화 pvc 방수 시트와 단부 실링재의열화방지 캡을 이용한 옥상의 방수 구조
KR1012185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방수층 보호용 탈기장치
KR100661018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JP5821144B2 (ja) 地下構造物の圧力開放装置
KR200459511Y1 (ko)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CN210195063U (zh) 一种基于现有建筑的屋面防水结构
CN213626337U (zh) 一种便于排水的防腐蚀金属屋面
KR102425155B1 (ko) 칼라강판시트 방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