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511Y1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9511Y1 KR200459511Y1 KR2020090006952U KR20090006952U KR200459511Y1 KR 200459511 Y1 KR200459511 Y1 KR 200459511Y1 KR 2020090006952 U KR2020090006952 U KR 2020090006952U KR 20090006952 U KR20090006952 U KR 20090006952U KR 200459511 Y1 KR200459511 Y1 KR 2004595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degassing
- roof
- moisture
- degass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등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착 외부로 탈기시킬 수 있고, 빗물 등에 의한 외부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있어서,건축물의 외벽에 내부에 고정시공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상부에 결합되는 탈기부와; 상기 탈기부 내부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탈기부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탈기장치, 건축물, 옥상, 슬라이드부재, 습기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옥상등에 시공되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흡착 외부로 탈기시킬 수 있고, 빗물등에 의한 외부습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옥상 및 외벽은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접하되 이질재료로 설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슬라브 구조로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바닥면과 표면층 간의 접착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박리현상을 일으켜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 공기층(Air Porket)을 형성시킨다.
특히,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사에서는 방수층이 바닥면의 거동에 따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즉, 콘크리트 바닥면의 균열시에도 균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층의 파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면과 방수층 사이에 절연시키는 방법(절연 공법)을 채택하기도 한다.
콘크리트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되기 마련이며 단열층은 충분한 건조상태를 유지하여야 건축물의 사용상,위생상 및 내구성에 하자가 없게 된다.
그러나, 단열층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습기가 쉽게 존재하게 되며,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제거되지 않으면 습기는 표면층의 들뜸현상 또는 결로현상을 일으켜 표면층의 본래 기능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건축물의 구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옥상, 지붕 또는 외벽체에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는바, 종래의 탈기장치로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상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바닥면(70)을 형성하게 되고, 그 상부로는 단열층(71), 몰탈층(72)을 포함하여 슬라브를 구성하게 되고, ∩형상의 통기용 파이프(51)와, 이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판(52)을 일체로 하여 탈기장치(100)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일자형의 통기용 파이프(61)의 하단에는 받침판(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통기용파이프(62)의 상단에는 통기용파이프(61)가 패쇄되지 않도록 캡(63)을 씌워 놓았다.
따라서, 이들 탈기장치는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통기용파이프를 단열층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상기 통기용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법으로 탈기과정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단열층의 습기가 파이프(51,61)를 따라 상부 로 수직하게 유동된 후 파이프(5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폭우 또는 폭설시 건축물의 옥상으로부터 물이 미처 배수되지 않아 물이 파이프(51,61)의 출구보다 높게 고여 있을 경우 파이프(51,61)를 통해 물이 역류되어 탈기장치(100)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탈기 장치 바닥판 위로 형성된 방수층은 외부환경에 의한 신축팽창(열팽창계수)에 따라 바닥판과 방수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건축물의 옥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체육활동에 필요한 각종 운동을 위해 인조잔디를 시공하거나 옥상 정원(옥상 녹화)을 만들고 있으며, 미술관이나 전시관등에서도 야외 전시를 위해 옥상을 활용하고 있는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탈기장치는 옥상바닥면으로부터 너무 많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보행에 지장을 주게되며, 심한 경우에는 파이프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랐다.
특히 체육시설이 설치된 옥상일 경우 사용자들이 발로 걷어차는 경향이 많아 옥상표면과 탈기장치 또는 바닥판과 파이프 경계점에서(51,61) 파손되므로 무용지물(파손 부위로 빗물 유입)이 되거나, 어떤 경우에는 운동시설을 위한 고정용고리 또는 텐트등의 고정팩으로도 사용하기도 하는바, 이 경우 상기 파이프(51,61)가 파손되거나 탈기장치 자체가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효율적인 탈기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탈기장치는 습기를 방출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므로 다수의 탈기장치가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외벽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벽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용이하게 방출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습기를 간단하게 차단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항시 건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외벽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광범위하게 흡착 배출하여 탈기장치의 설치를 최소하기 위한 건축물의 외벽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에 내부에 고정시공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상부에 결합되는 탈기부와; 상기 탈기부 내부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탈기부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건축물의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고정판이 소정의 넓이를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 하부에 흡착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교차 연결되게 형성되며, 고정판 중앙에 연결부와 상호 결합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제1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부 내측에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공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중공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중공축과 상호 결합되어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게 외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2 중공축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는 연결부와 상호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부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부 내측에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공이 형성되며, 내부에 습기의 배출을 이루기 위한 슬라이드 부재가 안착되어 승,하강되는 공간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탈기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승,하강 되기 위한 제1 배출홈이 공간부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구비되고, 탈기부 상부 외주면 둘레에 제2 배출홈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탈기부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 안착되기 위한 슬라이드면이 외주면 둘레에 돌출형성되고,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 피스톤면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드면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제3 배출홈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하부에 고정되어 습기를 흡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흡착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는, 고정부에 의해 건출물의 옥상 벽면 내 부에 견고히 고정되고, 연결부에 의해 탈기부와 상호 연결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한 탈기장치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탈기부의 파손시 손쉽게 탈기부가의 교체가 이루어 지므로 탈기장치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필요시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높이 조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 하부에 부착된 흡착포에 의해 광범위한 습기의 흡착이 이루어져 탈기장치의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부재의 승,하강에 의한 제2 배출공의 개폐가 원활히 이루어져 내부 습기의 배출 및 외부 습기의 침입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탈기장치(100)는, 고정부(110)와, 연결부(120)와, 탈기부(130)와, 슬라이드부재(140)와, 커버(150) 및 흡착포(160)로 구성된다.
고정부(110)는, 건축물의 옥상 외벽의 타설시 내부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고정판(112)이 소정의 넓이를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12) 하부에 흡착홈(1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교차 연결되게 형성되며, 고정판(112) 중앙에 연결부(120)와 상호 결합 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제1 나사부(11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부(116) 내측에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공(116a)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20)는, 내부에 암나사(124)가 형성된 제1 중공축(122)으로 구성되어 고정부(110)의 제1 나사부(116)에 나사 결합 되게 구성된다.
탈기부(130)는, 제1 중공축(122) 상부와 상호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부(132)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부(132) 내측에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공(132b)이 형성되며, 내부에 습기의 배출을 이루기 위한 슬라이드부재(140)가 안착 되어 승,하강 되는 공간부(134)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140)가 승,하강 되기 위한 제1 배출홈(136)이 상기 공간부(134)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구비되며, 탈기부(130) 상부 외주둘레에 제2 배출홈(138)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구성된다.
슬라이드부재(140)는, 상기 탈기부(13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34)에 삽입 안착되기 위한 슬라이드면(142)이 외주면 둘레에 돌출형성되고,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 피스톤면(144)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면(142)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제3 배출홈(146)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흡착포(160)는, 상기 고정부(110)에 하부에 고정되어 습기를 흡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고정부(110)에 형성된 흡착홈(114)과 상호 대응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탈기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 되는 것으로, 고정부(110)의 제1 나사부(116)에 연결부(120)의 제1 중공축(122)이 상호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중공축(122) 상부에 탈기부(130)의 제2 나사부(132)가 나사결합되며, 탈기부(130) 내부 공간부(134)에 형성된 제1 배출홈(136)에 슬라이드부재(140)의 슬라이드면(142)이 삽입 안착되고, 커버(150)가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탈기부(130) 상부에 고정되게 된다.
미설명 부호는 외벽(132b)으로서, 탈기부(130)에 하부에 형성된 제2 나사부(132)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슬라이드부재(140)는 보편적인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배출홈(136)에 슬라이드면(142)이 삽입 안착되는 것이며, 상기 제1 배출홈(136)과 슬라이드면(142)은 상호 소정의 유동간격을 이루게 형서되어 슬라이드부재(140)의 상,하 승강이 자유롭게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140)의 실린더면(144)은 탈기부(130)의 제2 배출공(132a) 상부에 안착되어 제2 배출공(132a)이 밀폐되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배출공(132a)은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돌출단턱(미부호)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면(144)과 상호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50)의 중앙부는 습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게 위해 라운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의 고정면으로 상기 탈기부(13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배출 홈(138)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제2 배출홈(138)이 탈기부(130)의 공간부(134)와 상호 연통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고정부(110)의 고정판(112) 하부에 형성된 흡착홈(114)에 흡착포(160)가 접착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흡착포(160)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설치될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10)와, 연결부(120)와, 탈기부(130)와, 슬라이드부재(140) 및 커버(15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옥상 외벽의 시공시 고정판(112) 및 흡착포(160) 그리고 연결부(120)가 건축물 외벽에 삽입고정되게 설치되며, 탈기부(130) 및 커버(150)는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 상부에 설치된 탈기장치(100)는 평소에는 슬라이드부재(140)의 실린더면(144)이 제2 배출공(132a)을 밀착하여 밀폐한 상태에서 건축물 옥상 외벽 내에서 발생하는 습기가 흡착포(160)에 흡착되고, 외기에 의한 증발시 흡착된 습기가 제1 배출공(116a) 및 연결부(120)를 통해 제2 배출공(132b)으로 집약된다.
이때, 집약된 습기의 증발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40)의 실린더면(144)를 밀어 슬라이더부재(14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면(144)의 승강으로 인해 슬라이드면(142)이 상승하므로 탈기부(130)에 형성된 제2 배출공(132a)과 공간부(134) 및 제1 배출홈(136) 및 제2 배출홈(138)이 상호 연통 되게 되므로 습기의 배출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의 압력에 의해 슬라이드면(142)의 상부와 제1 배출홈(136)의 상호 접축시 슬라이드면(142)에 형성된 제3 배출홈(146)을 통해 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습기의 압력에 의해 승강된 슬라이드부재(140)는 습기의 증발압력감소에 따라 하강하여 제2 배출공(132b)을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의 빗물 및 습기의 역류시 탈기부(130)의 내부에 침입된 습기는 슬라이드부재(140)의 실린더면(144)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모여지게 되므로 습기의 하중에 의해 제2 배출공(132b)이 항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외부환경에 의한 습기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는 장공(118)으로 흡착홈(114)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부(110) 상부의 습기가 흡착포(160)에 용이하게 흡착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에 외부에 수나사(128)가 구비된 제2 중공축(126)을 더 구비하여 제1 중공축(122)과 상호 나사결합되어 탈기장치(100)의 시공깊이 및 외부 돌출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자가 설치 한경에 맞게 탈기장치(1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1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탈기장치 110: 고정부
112: 고정판 114: 흡착홈
116: 제1 나사부 116a: 제1 배출공
120: 연결부 122: 제1 중공축
124: 암나사 126: 제2 중공축
128: 수나사 130: 탈기부
132: 제2 나사부 132a: 제2 배출공
132b: 외벽 134: 공간부
136: 제1 배출홈 138: 제2 배출홈
140: 슬라이드부재 142: 슬라이드면
144: 피스톤면 146: 제3 배출홈
150: 커버 160: 흡착포
Claims (9)
-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있어서,건축물의 외벽에 내부에 고정시공되는 고정부(110)와;상기 고정부(110)에 결합되는 연결부(120)와;상기 연결부(120) 상부에 결합되는 탈기부(130)와;상기 탈기부(130) 내부에서 슬라이드 구동되는 슬라이드부재(140); 및상기 탈기부(130)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커버(1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110)는, 건축물의 외벽 내부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고정판(112)이 소정의 넓이를 형성하여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12) 하부에 흡착홈(1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교차 연결되게 형성되며, 고정판(112) 중앙에 연결부(120)재와 상호 결합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제1 나사부(11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나사부(116) 내측에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공(116a)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120)는, 내부에 암나사(124)가 형성된 제1 중공축(12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부(120)는, 제1 중공축(122)과 상호 결합되어 연결부(120)의 길이가 조절되게 외부에 수나사(128)가 형성된 제2 중공축(12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탈기부(130)는, 연결부(120)와 상호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부(132)가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탈기부(13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40)가 승,하강 되기 위한 제1 배출홈(136)이 공간부(134)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구비되고, 탈기부(130) 상부 외주 둘레에 제2 배출홈(138)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부재(140)는 상기 탈기부(13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134)에 삽입 안착 되기 위한 슬라이드면(142)이 외주면 둘레에 돌출형성되고, 하측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게 형성된 피스톤면(14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부재(140)에 형성된 슬라이드면(142)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제3 배출홈(146)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110)에 하부에 고정되어 습기를 흡착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흡착포(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52U KR200459511Y1 (ko) | 2009-06-03 | 2009-06-03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952U KR200459511Y1 (ko) | 2009-06-03 | 2009-06-03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86U KR20100012186U (ko) | 2010-12-13 |
KR200459511Y1 true KR200459511Y1 (ko) | 2012-03-28 |
Family
ID=4420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952U KR200459511Y1 (ko) | 2009-06-03 | 2009-06-03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511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6295B1 (ko) * | 2015-12-29 | 2016-04-28 | 송정환 |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2222137B1 (ko) * | 2020-01-20 | 2021-03-02 | 여환욱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66838U (ko) | 1979-05-19 | 1980-12-01 | ||
JP2001065118A (ja) * | 1999-08-27 | 2001-03-13 | Sun Tec:Kk | 脱気装置 |
KR200321783Y1 (ko) * | 2003-04-25 | 2003-07-31 | 박종헌 | 건축물 탈기장치 |
KR100759762B1 (ko) * | 2006-12-18 | 2007-09-20 | 오상근 |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
-
2009
- 2009-06-03 KR KR2020090006952U patent/KR2004595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166838U (ko) | 1979-05-19 | 1980-12-01 | ||
JP2001065118A (ja) * | 1999-08-27 | 2001-03-13 | Sun Tec:Kk | 脱気装置 |
KR200321783Y1 (ko) * | 2003-04-25 | 2003-07-31 | 박종헌 | 건축물 탈기장치 |
KR100759762B1 (ko) * | 2006-12-18 | 2007-09-20 | 오상근 |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2186U (ko) | 2010-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3486B1 (ko) |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 |
KR100759762B1 (ko) |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 |
CN109653383B (zh) | 一种装配式建筑外挂墙板排水结构 | |
KR100629782B1 (ko) |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 |
KR200459511Y1 (ko)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
KR20090022359A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US20100319296A1 (en) | Temporary waterproofing systems and methods | |
CN210947194U (zh) | 一种别墅地下室防水墙结构 | |
KR20170099093A (ko) | 옥상방수시스템 | |
CN211735538U (zh) | 一种防水防渗地下室结构 | |
KR100909940B1 (ko) | 빗물 활용을 위한 유입 구조 | |
CN112376778A (zh) | 一种拼装式的节能建筑楼顶板及其安装方法 | |
KR101616500B1 (ko) |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 |
CN105821950A (zh) | 浴室用排水结构 | |
KR101104069B1 (ko) | 방수 및 집수, 소음 감소기능이 강화된 건축물의 상단부 구조 | |
KR200420547Y1 (ko) |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 |
CN208830496U (zh) | 三元防水结构建筑 | |
CN110924567B (zh) | 轻钢建筑中可装配改造防渗水墙体地砖一体联防结构 | |
KR101306620B1 (ko) | 슬림형 탈기반 | |
KR20140002874U (ko) |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 |
KR100720731B1 (ko) | 건축용 배수관 | |
CN206189751U (zh) | 一种屋面伸顶通气管组件 | |
KR101254870B1 (ko) |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벽체형 탈기장치 | |
CN215367670U (zh) | 一种可调节高度的隐藏式线性地漏 | |
KR101212773B1 (ko) |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