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783Y1 - 건축물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탈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1783Y1 KR200321783Y1 KR20-2003-0012958U KR20030012958U KR200321783Y1 KR 200321783 Y1 KR200321783 Y1 KR 200321783Y1 KR 20030012958 U KR20030012958 U KR 20030012958U KR 200321783 Y1 KR200321783 Y1 KR 2003217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isture
- building
- degassing
- layer
- lower co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92—Temporary mechanical ventilation of damp layers, e.g. insulation of a floating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탈기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슬라브의 각 층사이에 생성되는 습기를 탈기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시켜줌으로써 슬라브의 최상단에 도포되는 우레탄이 습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슬라브의 단열층에 습기를 배출시켜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브의 방수 또는 단열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수단을 설치하여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은, 상기 몰탈층으로부터 상기 단열층에 연통되게 천공된 다수의 제1배기공과; 상기 제1배기공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몰탈층에 실링재에 의해 부착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2배기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제2배기공에 부착되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시키는 습기배출수단과;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하부커버를관통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수단을설치함으로써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탈기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접하되 이질재료로 설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슬라브 구조에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바닥면과 표면층 간의 접착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박리현상을 일으켜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시킨다.
특히,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사에서는 방수층이 바닥면의 거동(movement)에 따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즉, 콘크리트 바닥면의 균열시에도 균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층의 파단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면과 방수층 사이에 애초부터 단열층을 형성시키는 절연방법을 채택하기도 한다.
상기한 콘크리트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되기 마련이며 단열층은 충분한 건조상태를 유지하여야 건축물의 사용상·위생상·내구상 하자가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단열층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습기가 쉽게 존재하게 되며,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제거되지 않으면 습기는 표면층의 들뜸현상 또는 결로현상을 일으켜 표면층의 본래 기능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건축물의 구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옥상, 지붕 또는 외벽체에 현저하게 나타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형상또는 일자형상의 의 통기용 파이프를 탈기구로 적용하는 설치하는 방법을 채택해왔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형상의 통기용 파이프인 경우에는 ∩형상의 통기용 파이프(104A) 및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판(105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5와 같이 일자형상의 통기용 파이프인 경우에는 일자형상의 통기용 파이프(104B), 상기 통기용파이프 상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에 설치됨으로서 통기용파이프가 패쇄되지 않도록 씌워지는 캡(106) 및 받침판(105B)으로 구성되어 있어,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통기용 파이프를 단열층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상기 통기용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법으로 탈기과정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단열층의 습기가 상기 파이프(104A)를 따라 하부로 수직하게 유동된 후 상기 파이프(104A)의 저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습기가 상기 파이프(104A)의 저부로 유동하기가 어려워 단열층 내에 존재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표면층의 들뜸현상 및 결로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여전히 소지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파이프(104A)는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바,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바닥면이 수축 및 팽창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104A)와 슬라브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되어 빗물이 침투될 수 있어 탈기장치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목적은 슬라브의 각 층사이에 생성되는 습기를 탈기수단으로 용이하게 배출시켜줌으로써 슬라브의 최상단에 도포되는 우레탄이 습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슬라브의 단열층에 습기를 배출시켜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슬라브의 방수 또는 단열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수단을 설치하여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은, 상기 몰탈층으로부터 상기 단열층에 연통되게 천공된 다수의 제1배기공과; 상기 제1배기공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몰탈층에 실링재에 의해 부착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2배기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제2배기공에 부착되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시키는 습기배출수단과; 상기 하부커버의 상측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하부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탈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탈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탈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탈기수단 2 : 바닥면
3 : 단열층 4 : 몰탈층
5 : 방수층 10 : 제1배기공
20 : 하부커버 21 : 방수층
22 : 습기배출수단 23 : 실링재
30 : 하부커버 40 : 고정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탈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탈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상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바닥면(2)을 형성하게 되고, 그 상부로 단열층(3), 몰탈층(4)을 포함하여 슬라브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브에 설치되어 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배출시키는 본 고안의 탈기수단(1)은, 상기 몰탈층(4)으로부터 상기 단열층(3)에 연통되게 천공된 다수의 제1배기공(10)과, 상기 제1배기공(10)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몰탈층(4)에 실링재에 의해 부착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2배기공(21)이 형성된 하부커버(20)와, 상기 하부커버의 제2배기공(21)에 부착되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시키는 습기배출수단(22)과, 상기 하부커버(20)의 상측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커버(30)와, 상기 상/하부커버(20,30)를 관통하며 상기 바닥면(2)에 고정되는 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배기공(10)을 통해 상기 슬라부의 각 층 사이에 생성된 습기가 배출되며 상기 제1배기공(10)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제1배기공(10)의 상부로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커버(2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0)를 상기 몰탈층(4)에 고정하는 상기 실링재(23)는 방수 및 신축성이 우수한 우레탄수지로 구비하여 외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슬라브가 신축 및 팽창하더라도 유동력을 흡수하여 상기 하부커버(20)가 상기 몰탈층(4)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실링재(23)에 방수층(5)을 형성하여 방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커버(20)의 제2배기공(21)에 부착된 상기 습기배출수단은, 습기를방출하면서 외부의 물기를 차단하는 필름소재의 고어텍스로 구비된다.
상기 고어텍스는 1평방인치(우표 1장 크기)당 약 3억개의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얇은 필름으로서, 구멍의 크기는 몸이 배출하는 수증기보다 약 10,000배 정도 크고, 물방울 보다는 1/100 정도이기 때문에 수증기는 자유롭게 통과시키고, 외부의 물방울은 차단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커버(30)는 상기 하부커버(20)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수단(4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40)은 앵커볼트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건물의 옥상 슬라브에 습기의 생성으로 결로현상의 발생이 우려되는 부위를 선택하여 다수의 제1배기공(10)을 천공하고, 상기 제1배기공(10)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게 탈기수단(1)을 고정수단(40)으로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2)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탈기수단(1)의 하부커버(20)를 상기 몰탈층(4)에 우레탄수지의 실링재(23)로 부착하고, 상기 실링재(23) 위에 방수층(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탈기수단(1)은 외기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슬라브의 바닥면(2)과 그 상부의 단열층(3), 몰탈층(4)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외부로 강제 탈기시키게 된다.
즉, 상기 각 층 사이에 발생되는 습기는 상기 제1배기공(10)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되어 상기 하부커버(20)의 제2배기공(21)과 습기배출수단(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기공(10)은 각 층 사이의 미세한 틈과 각각 연통되도록다수개로 천공되어 각 층사이에 형성된 습기가 미세한 틈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한 후, 상기 제1배기공(10)을 통해 상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며, 이로 인해 통상적으로 상기 슬라브의 균열시 최상단에 도포되는 우레탄층이 균열된 틈을 따라 배출되는 습기에 의해 부풀어 올랐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습기배출수단(22)은 고어텍스로 구비되어 습기를 상기 하부커버(20)의 외측으로 배출하고,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이 상기 하부커버(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20)와 상기 몰탈층(4) 사이의 공간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을 내설하여 습기를 신속하게 강제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탈기수단(1)은 통상의 탈기구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탈기시스템을 구성하며, 특히 상기 탈기수단(1)에 송풍팬을 설치할 경우에는 동력공급장치와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공급을 제어하는 동력제어장치가 수반되는 바, 탈기시스템에서는 동력공급장치와 동력제어장치는 일괄관리가 가능하도록 중앙 집중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의 옥상 슬라브에 다수의 제1배기공을 천공하고 탈기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슬라브의 각 층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에 발생되는 습기가 각각 수평하게 이동된 후, 제1배기공을 경유하여 탈기수단을 통해 배출되어 단열층을 항상 충분히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슬라브 상측에 도포되는 우레탄이 습기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의 제2배기공에 부착된 코어텍스를 통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함으로써 탈기수단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탈기수단에 송풍팬을 구비하여 습기를 강제 배출시켜줌으로써, 슬라부늬 표면층을 손상시키지 않고 단열층과 표면층의 본래 기능(방수 또는 단열 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탈기수단을 설치하여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된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건축물의 탈기장치에 있어서,상기 탈기수단은, 상기 몰탈층으로부터 상기 단열층에 연통되게 천공된 다수의 제1배기공과;상기 제1배기공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몰탈층에 실링재에 의해 부착되며 표면에 다수의 제2배기공이 형성된 하부커버와;상기 하부커버의 제2배기공에 부착되어 일방향으로 습기를 배출시키는 습기배출수단과;상기 하부커버의 상측과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커버와;상기 상/하부커버를 관통하며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탈기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배출수단은,습기를 방출하면서 외부의 물기를 차단하는 필름소재의 고어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958U KR200321783Y1 (ko) | 2003-04-25 | 2003-04-25 | 건축물 탈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958U KR200321783Y1 (ko) | 2003-04-25 | 2003-04-25 | 건축물 탈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1783Y1 true KR200321783Y1 (ko) | 2003-07-31 |
Family
ID=4941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2958U KR200321783Y1 (ko) | 2003-04-25 | 2003-04-25 | 건축물 탈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1783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812B1 (ko) * | 2009-08-12 | 2010-09-16 | 남정무 |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0459511Y1 (ko) * | 2009-06-03 | 2012-03-28 |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KR20150007828A (ko) * | 2013-07-12 | 2015-01-21 | 정재호 |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
KR102430783B1 (ko) * | 2021-10-26 | 2022-08-09 | 강남이앤알(주) |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
-
2003
- 2003-04-25 KR KR20-2003-0012958U patent/KR2003217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9511Y1 (ko) * | 2009-06-03 | 2012-03-28 |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KR100982812B1 (ko) * | 2009-08-12 | 2010-09-16 | 남정무 |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007828A (ko) * | 2013-07-12 | 2015-01-21 | 정재호 |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
KR101595860B1 (ko) * | 2013-07-12 | 2016-02-19 | 정재호 |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
KR102430783B1 (ko) * | 2021-10-26 | 2022-08-09 | 강남이앤알(주) |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8620B1 (en) | Moisture control panel | |
KR200321783Y1 (ko) | 건축물 탈기장치 | |
KR101595860B1 (ko) |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 |
KR101002361B1 (ko) |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 |
KR100759762B1 (ko) |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 |
JPH1061133A (ja) | 屋根裏の換気装置 | |
KR100800927B1 (ko) | 콘크리트 슬라브의 방수층 배기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09510B1 (ko) | 지하층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처리용 패널 및 시공 방법 | |
KR200258535Y1 (ko) | 건축물의 강제 탈기장치 | |
KR100216397B1 (ko) | 건물의 방수층구조 | |
KR101578394B1 (ko) | 건축구조물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 구조 | |
KR102430783B1 (ko) |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 |
JP2677319B2 (ja) | 吸排ガラリ、これを用いた棟換気構造、小屋裏構造及び建物構造 | |
CN1177982C (zh) | 建筑物墙体总成的排水和通风系统 | |
KR200181978Y1 (ko) | 방수공사의 에어벤트 설치구조 | |
JPH07207904A (ja) | 換気・脱気具 | |
JPH01239271A (ja) | 屋根の融雪装置 | |
JP2006183436A (ja) | 陸屋根躯体表面の防水・断熱構造体及び逆流防止弁付排気管 | |
JPH0640761Y2 (ja) | タイル施工用基板 | |
JP4703902B2 (ja) | 建築用下地シート | |
JP4526678B2 (ja) | 棟換気装置 | |
JP2005016028A (ja) | 粒状綿充填による外断熱工法及び外断熱構造 | |
JP2571855Y2 (ja) | カントリーエレベーター等における鋼板製円筒サイロの天端構造 | |
JP4094130B2 (ja) | 換気棟 | |
JP4226728B2 (ja) | リフォーム用屋根葺き断熱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