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860B1 -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860B1
KR101595860B1 KR1020130082364A KR20130082364A KR101595860B1 KR 101595860 B1 KR101595860 B1 KR 101595860B1 KR 1020130082364 A KR1020130082364 A KR 1020130082364A KR 20130082364 A KR20130082364 A KR 20130082364A KR 101595860 B1 KR101595860 B1 KR 10159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uction hole
drainage
bod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828A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정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호 filed Critical 정재호
Priority to KR102013008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8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92Temporary mechanical ventilation of damp layers, e.g. insulation of a floating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07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using electricity, e.g. electro-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내부방수층과 고무시트, 단열재, 누름콘크리트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상측으로 외부방수층을 갖되, 상기 외부방수층의 외측에 위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배수공을 갖는 옥상 바닥의 외부방수층과 누름콘크리트 및 단열재까지 통공되어 저면이 상기 고무시트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는 다수의 흡입공 및 상기 각 흡입공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옥상 바닥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건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옥상 바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비용절감은 물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Inside the floor rooftop}
본 발명은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상 바닥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옥상 바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은 콘크리트 등으로 베이스콘크리트 공사를 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 방수액을 바르고 그 위에 시트로 적층하여 방수처리를 한 후, 단열재로 단열시공한 후, 그 위에 누름 콘크리트 공사를 한다.
건물 옥상의 경우 단열재는 주로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단열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포성 단열재는 발포성 수지의 일종으로서 수분을 함유하는 흡습성이 있다.
건물 옥상이나 지붕의 경우,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생긴 물들이 전부 배수되어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옥상 바닥 내부의 콘크리트와 단열재로 스며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며든 물의 양이 증가하게 되면 옥상 바닥에 균열이나 부식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겨울철이 되면 내부 잔수가 결빙되어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동파 또는 균열을 촉진시키게 된다.
건물의 옥상이나 지붕에서 이러한 균열을 방치할 경우, 옥상 바닥에 물이 스며드는 단계를 지나 누수현상을 유발하게 되고, 건물의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
이러한 건물 옥상 바닥의 균열 및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 보수공사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 보수공사로는 일반적으로 우레탄 공사와 같이 바닥을 노출방수 시스템으로 보수 방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보수 및 방수구조는 종래 공개특허 제10-2011-0037144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옥상 바닥을 완전히 건조시킨 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그 상측으로 라마 시트를 열풍으로 접착하며,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방수층의 상면에 실리콘 칩과 규사를 혼합하여 표면층을 형성함에 따라 표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구조는 옥상 바닥에 대한 방수는 가능하나 사용 시, 표면층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발생됨에 따라 빗물 등이 내부로 유입되며, 이 빗물은 옥상 바닥 내부까지 흡수된다.
이러한 흡수된 물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냉각과 팽창을 반복함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어 바닥의 외부 방수층과 표면층이 들뜨게 되는 현상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방수층을 제거한 후, 옥상 바닥 내부의 물기를 제거한 후, 다시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을 하고 있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없어 내부에 물기가 있는 상태로 방수층을 형성함에 따라 물의 부피팽창에 의한 방수층과 표면층이 들뜨게 되는 현상이 여전하였다.
이에 따라, 옥상 바닥 내부에 유입된 물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옥상 바닥의 외부방수층과 누름콘크리트 및 단열재까지 통공되어 저면이 고무시트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는 다수의 흡입공 및 각 흡입공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닛이 구비되어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변형을 방지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내부방수층과 고무시트, 단열재, 누름콘크리트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상측으로 외부방수층을 갖되, 상기 외부방수층의 외측에 위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배수공을 갖는 옥상 바닥의 외부방수층과 누름콘크리트 및 단열재까지 통공되어 저면이 상기 고무시트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는 다수의 흡입공 및 상기 각 흡입공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무시트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된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무시트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된 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부,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옥상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타이머이며,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수위센서이며, 상기 흡입공의 저면부의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타이머와 수위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 시,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가 작동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타이머가 세팅되어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는, 펌프몸체, 상기 흡입공에 고인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파이프, 및 상기 펌프몸체에 의해 상기 흡입파이프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수부 하측에 위치된 상기 고무시트에 배수고임홈이 더 함몰형성되어 잔류하는 물기가 고이게 되고, 상기 흡입파이프의 하단부가 배수고임홈의 저면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배수고임홈에 고인 물기를 흡입하여 배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덮개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를 덮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를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는 가림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가림지지부의 각 사이 공간부는 상기 설치공간부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몸체하우징은, 상기 흡입공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설치공간부의 하단부가 흡입공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흡입공 저면으로 수분이 이동되는 집수공간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은 상기 각 배수공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형성되고, 각 흡입공에 수분제거유닛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에 의하면, 옥상 바닥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건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옥상 바닥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비용절감은 물론,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배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10)는 옥상 바닥(20)에 다수 개 구비되어 옥상 바닥(20) 내부에 유입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먼저, 옥상 바닥(20)을 살펴보면, 베이스콘크리트층(21)의 상측으로 내부방수층(22)과 고무시트(23), 단열재(24), 누름콘크리트(2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누름콘크리트(25)의 상측으로 외부방수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방수층(26)의 외측에 위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배수공(27)이 형성된다.
여기서,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10)는 흡입공(100)과 수분제거유닛(200)으로 구성된다.
흡입공(100)은 다수 개 구비되는 것으로, 옥상 바닥(20)의 외부방수층(26)과 누름콘크리트(25) 및 단열재(24)까지 통공되어 저면이 고무시트(23)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된다.
또한 수분제거유닛(200)은 각 흡입공(100)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옥상 바닥 내부에 흡수된 물은 고무시트(23)와 단열재(24) 사이에 고이되, 수분제거유닛(200)이 제거할 수 있는 배수량은 흡입공(100)에 고여진 정도이며, 일정 시간 경과 후, 흡입공(100)에 다수 물이 고인 후, 다시 배수를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흡입공(1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배수공(27)을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에 형성되고, 각 흡입공(100)에 수분제거유닛(200)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흡입공(100)은 배수공(27)을 기준으로 반경 1m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배수공(27)으로 옥상의 물이 배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옥상 바닥(20) 내부의 물이 더욱 잘 모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분제거유닛(2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하우징(210)과 덮개(220), 건조부(230) 및 전원부(24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212)가 상하로 통공된다.
그리고 덮개(220)는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설치공간부(2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건조부(230)는 몸체하우징(210)에 구비되어 흡입공(1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고무시트(23)와 단열재(24) 사이에 위치된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건조부(230)는 팬(232)을 갖고, 흡입공(100)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습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구동모터(234)에 의해 팬(232)이 회전되어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전원부(240)는 건조부(230)로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수분제거유닛(200)은 전원부(24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건조부(230)가 작동되어 흡입공(100) 내의 습한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이며, 건조부(230)는 팬과 모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부(300)가 더 구비되어 설치공간부(212)의 하단부가 흡입공(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흡입공(100) 저면으로 수분이 이동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은 몸체하우징(210')과 덮개(220'), 배수부(230') 및 전원부(24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212')가 상하로 통공된다.
그리고 덮개(220')는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설치공간부(2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배수부(230')는 몸체하우징(210')에 구비되어 흡입공(100)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전원부(240')는 배수부(230')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배수부(230')는 펌프로, 흡입공(100) 내부에 고인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파이프와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부(300')가 더 구비되어 설치공간부(212')의 하단부가 흡입공(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흡입공(100) 저면으로 수분이 이동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은 몸체하우징(210")과 덮개(220"), 건조부(230"), 배수부(250"), 전원부(240") 및 제어수단(260")으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212")가 상하로 통공된다.
그리고 덮개(220")는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설치공간부(2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흡입공(100) 내부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건조부(230")는 몸체하우징(210")에 구비되어 흡입공(1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고무시트(23)와 단열재(24) 사이에 위치된 습기를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배수부(250")는 몸체하우징(210")에 구비되어 흡입공(100)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건조부(230")는 팬을 갖고, 흡입공(100) 내부를 건조시키도록 습기를 제거하고, 배수부(250")는 펌프로, 흡입공(100)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다.
전원부(240")는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어수단(260")은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옥상(20)의 물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하우징(210")은 흡입공(100)의 저면과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간격부(300")가 더 구비되어 설치공간부(212")의 하단부가 흡입공(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흡입공(100) 저면으로 수분이 이동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건조부(230, 230")와 배수부(230', 250")를 살펴보면,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으며, 건조부와 배수부는 또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의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230")는 팬(232")과 구동모터(234")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부(230")는 전원부(24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234")가 구동함에 따라 팬(232")이 회전되어 흡입공(100)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부(250")는 펌프몸체(252")와 흡입파이프(254") 및 배수파이프(256")로 구성된다.
펌프몸체(252")는 전원부(24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펌핑되고, 흡입파이프(254")는 흡입공(100)에 고인 물을 흡입하기 위해 구비되며, 배수파이프(256")는 펌프몸체(252")에 의해 흡입파이프(254")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배수부(250") 하측에 위치된 고무시트(23)에 배수고임홈(258")이 더 함몰형성되어 배수 후, 잔류하는 물기가 고이게 된다.
이러한 배수고임홈(258")의 저면과 인접하도록 배수부(250")의 흡입파이프(254")의 하단부가 위치되어 배수고임홈(258")에 고인 물기를 흡입하여 완전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배수고임홈(258")은 흡입파이프(254")의 하측에 위치된 저면부로 물기가 고이도록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수단(260")은 일 실시 예로, 타이머이며, 일정 시간간격으로 건조부(230")와 배수부(25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제어수단(260")은 수위센서이며, 흡입공(1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의 제어수단(26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머(262")와 수위센서(26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수단(26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타이머(262")에 의해 일정 시간간격으로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되, 수위센서(264")의 수위 측정 시,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수위센서(264")에 의해 건조부(230")와 배수부(250")가 작동된 시간을 기준으로, 타이머(262")가 세팅되어 일정 시간간격으로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작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타이머(262")가 먼저, 작동이 되나, 강우량에 따라 옥상(20) 바닥 내부로 유입되는 량이 많을 경우, 수위센서(264")에 의해 물을 배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타이머(262")는 수위센서(264")에 의해 건조부(230")와 배수부(250")가 작동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세팅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건조부(230")와 배수부(250")를 제어하게 된다.
이는, 수위센서(264")에 의해 물이 배수된 상태에서, 타이머(262")에 의해 다시 습기를 배출시키게 되면,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결과가 됨에 따라 건조효율과 전기소모량을 절감시키기 위함이다.
특히, 타이머(262")는 수위센서(264")에 의해 건조부(230")와 배수부(250")의 작동이 끝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세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덮개(220)는 가림부(222)와 가림지지부(22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덮개(220)는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 200', 200")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일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으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림부(222)는 중앙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를 덮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가림지지부(224)는 가림부(222)를 몸체하우징(210)의 상단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다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다수의 가림지지부(224)의 각 사이 공간부는 설치공간부(212)와 연통됨에 따라, 사이 공간부로 물기가 설치공간부(2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입공(100)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 200', 200")은 상호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이러한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 200', 200")을 각 흡입공(100)에 각각 설치한 후, 옥상 바닥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 또 다른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에 구비된 제어수단(260")에 의해 각 실시 예의 수분제거유닛(200, 200', 200")은 동시에 작동된다.
여기서, 제어수단(260")은 타이머(262")와 수위센서(26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일정 시간간격 또는 흡입공(100)에 고인 물의 량에 따라 각 수분제거유닛(200, 200', 200")을 작동시켜 습기제거 및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건조장치 20 : 옥상 바닥
100 : 흡입공 200, 200', 200" : 수분제거유닛
210, 210', 210" : 몸체하우징 220, 220', 220" : 덮개
230, 230" : 건조부 240, 240', 240" : 전원부
250', 250" : 배수부 260" : 제어수단
262" : 타이머 264" : 수위센서
300, 300', 300" : 간격부

Claims (13)

  1. 베이스콘크리트층의 상측으로 내부방수층과 고무시트, 단열재, 누름콘크리트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콘크리트의 상측으로 외부방수층을 갖되, 상기 외부방수층의 외측에 위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다수 개의 배수공을 갖는 옥상 바닥의 외부방수층과 누름콘크리트 및 단열재까지 통공되어 저면이 상기 고무시트의 상면과 동일하게 위치되는 다수의 흡입공; 및
    상기 각 흡입공을 밀폐시키도록 설치되어 상기 옥상 바닥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무시트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된 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부;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옥상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타이머와 수위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이 타이머일 경우,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수위센서일 경우, 상기 흡입공의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타이머와 수위센서로 구성될 경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수위센서의 수위 측정 시,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가 작동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타이머가 세팅되어 일정 시간간격으로 상기 건조부와 배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무시트와 단열재 사이에 위치된 물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유닛은,
    상기 흡입공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설치공간부가 상하로 통공된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설치공간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방향으로 개방시키는 덮개;
    상기 몸체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공의 저면에 모아진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로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펌프몸체;
    상기 흡입공에 고인 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파이프; 및
    상기 펌프몸체에 의해 상기 흡입파이프로 흡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 하측에 위치된 상기 고무시트에 배수고임홈이 더 함몰형성되어 잔류하는 물기가 고이게 되고,
    상기 흡입파이프의 하단부가 배수고임홈의 저면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배수고임홈에 고인 물기를 흡입하여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바닥 내부의 건조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082364A 2013-07-12 2013-07-12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KR10159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64A KR101595860B1 (ko) 2013-07-12 2013-07-12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64A KR101595860B1 (ko) 2013-07-12 2013-07-12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28A KR20150007828A (ko) 2015-01-21
KR101595860B1 true KR101595860B1 (ko) 2016-02-19

Family

ID=52570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364A KR101595860B1 (ko) 2013-07-12 2013-07-12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8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892A (ko) * 2017-01-20 2018-07-30 이필선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KR102234743B1 (ko) * 2020-06-24 2021-04-01 강남이앤알(주) 드레인 근접 설치 방식의 옥상 방수 공법
KR102430783B1 (ko) 2021-10-26 2022-08-09 강남이앤알(주)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86B1 (ko) * 2018-12-27 2020-03-26 (주)동아방수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N116837907B (zh) * 2023-06-21 2024-02-09 金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室防水结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783Y1 (ko) * 2003-04-25 2003-07-31 박종헌 건축물 탈기장치
KR200385812Y1 (ko) * 2005-03-22 2005-06-02 문길로 건축물 옥상 습기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279B1 (ko) * 2004-06-26 2006-04-28 삼창엔지니어링(주)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783Y1 (ko) * 2003-04-25 2003-07-31 박종헌 건축물 탈기장치
KR200385812Y1 (ko) * 2005-03-22 2005-06-02 문길로 건축물 옥상 습기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892A (ko) * 2017-01-20 2018-07-30 이필선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KR101885983B1 (ko) * 2017-01-20 2018-08-06 이필선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KR102234743B1 (ko) * 2020-06-24 2021-04-01 강남이앤알(주) 드레인 근접 설치 방식의 옥상 방수 공법
KR102430783B1 (ko) 2021-10-26 2022-08-09 강남이앤알(주)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28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860B1 (ko)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US7181888B1 (en) Interconnected double hull construction for basements
KR100887020B1 (ko)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6739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US3426487A (en) Basement drainage system
RU2007106943A (ru) Снегоу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US8550110B2 (en) Temporary waterproofing systems and methods
KR101243270B1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02476B1 (ko)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539500B1 (ko) 옥상 바닥 내부 건조방법
KR101606867B1 (ko) 습기유도로를 적용한 옥상 방수층 보수공법
KR101943415B1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1135U (ko) 건물 옥상 바닥의 수분 제거장치
KR100575279B1 (ko) 건물 옥상 바닥 내부의 수분 건조 방법
KR101578394B1 (ko) 건축구조물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 구조
KR200321783Y1 (ko) 건축물 탈기장치
JP4601046B2 (ja) トンネル内排水処理システム
KR102430783B1 (ko)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RU2158809C1 (ru) Водосточная систем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одогревом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1077657B1 (ko)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10061127A (ko) 빗물 재활용 기능을 갖는 옥상 방수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