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892A -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892A
KR20180085892A KR1020170009528A KR20170009528A KR20180085892A KR 20180085892 A KR20180085892 A KR 20180085892A KR 1020170009528 A KR1020170009528 A KR 1020170009528A KR 20170009528 A KR20170009528 A KR 20170009528A KR 20180085892 A KR20180085892 A KR 20180085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water
vent structure
porous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983B1 (ko
Inventor
이필선
Original Assignee
이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선 filed Critical 이필선
Priority to KR102017000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98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제거가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그 구조물은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벤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하고,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본 발명은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하, 옥상 등의 콘크리트 바닥에서 방출되는 물, 수증기와 같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옥상 등의 콘크리트 바닥은 주차장, 창고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바닥은 물과 같은 수분으로 철판이나 철근이 부식되거나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수층으로 처리된다. 이때, 콘크리트 바닥의 방수는 물의 유동특성, 방수재료의 특성, 콘크리트 상태, 외부환경요건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바닥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은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방수처리 후의 온도변화나 충격 등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바닥과 방수층 사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생기거나 방수층에 핀홀(pin hole)이 생기고, 방수층이 찢기거나 파단이 야기될 수 있다. 바닥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의 손상 및 누수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0927호는 내부에 배출통기수단에 다수개의 연결통기수단을 연결시키고, 배출통기수단의 상면에 발수층을 도포하는 통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차량의 출입이 잦은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는 설치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국내공개특허 제2009-0022359호는 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탈기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장치는 앞의 특허에서 도출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037764호는 모세관 탈기구를 활용하여 수분 등을 방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모세관 탈기구는 직경이 작아, 외부의 이물질등에 의해 막혀, 수분 등의 방출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제거가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은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상기 벤트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상기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다.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에는 기둥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있는 실린더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공체는 상기 중공에 그루브가 형성된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의 조합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체 및 상기 벤트 몸체는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과 함께 흡수용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벤트 몸체의 외연에는 다공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에 의하면, 벤트 구조물에 복수개의 유입홀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고,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8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벤트 구조물은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벤트 구조물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벤트 구조물에 유입홀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고, 수분의 배출이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벤트 구조물의 구조를 상세하게 알아보고, 벤트 구조물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은 콘크리트층에 방수층이 덮인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여기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춘다는 것은 콘크리트층의 함수율을 낮춘다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벤트 구조물(20)은 콘크리트 바닥(10)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다. 벤트 구조물(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벤트 구조물(20)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바닥(10)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1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층(11) 및 방수층(12)을 포함한다. 방수층(12)은 도막방수, 시트방수 및 이들이 복합된 방수공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막방수는 건식법 및 습식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습식법이 부각되고 있으며, 습식법은 주로 수용성 에폭시, 수용성 우레탄, 고무계 에멀젼, 시멘트 액체방수, 몰탈방수와 같은 도막방수 등이 있다. 콘크리트층(11)은 자체의 함수율을 가지며,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12)은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예컨대 방수처리 후의 온도변화나 충격 등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콘크리트층(11)과 방수층(12) 사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생기거나 방수층(12)에 핀홀(pin hole)이 생기고, 방수층(12)이 찢기거나 파단이 야기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12)의 손상이 더욱 증가한다. 콘크리트층(11)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수증기 형태로 수분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이 많으면 함수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방수층(12)의 손상이 일어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은 방수층(12)을 통하여,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수분이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에 방출되면, 콘크리트 바닥(10)이 미끄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고 각종 미생물이 번식하는 등과 같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20)은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을 낮추어, 콘크리트 바닥(10)으로 수분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벤트 구조물(20)은 벤트 몸체(21) 및 벤트 날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23)이 제공된다. 여기서, 증발용 수분(W)은 벤트 구조물(20)에 모이는 수분으로 여타의 다른 수분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벤트 날개(22)는 벤트 몸체(2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콘크리트 바닥(10)을 덮는다. 벤트 날개(22)는 벤트 구조물(20)이 콘크리트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벤트 구조물(2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벤트 날개(22)의 외연은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하여, 걸림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이 생기면, 차량,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고,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벤트 홀(23)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으로, 도면에서는 원형의 벤트 홀(23)을 사례로 들었다. 벤트 홀(23)의 직경(D)은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이다. 만일, 벤트 홀(23)의 직경(D)이 지나치게 작으면, 증발용 수분(W)은 제대로 증발되지 않고, 콘크리트 바닥(10)으로 넘쳐흐르게 된다. 벤트 홀(23)의 직경(D)이 지나치게 크면, 증발용 수분(W)의 부피가 너무 커져 증발속도가 감소한다.
벤트 몸체(21)에는 두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25)을 가진다. 여기서, 두께방향이란 벤트 홀(23)로부터 콘크리트층(11) 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유입홀(25)은 벤트 몸체(21)의 둘레를 따라서 존재한다. 유입홀(25)은 두께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관통하거나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관통될 수 있다. 유입홀(25)에서, 콘크리트층(11)과 접하는 부분은 확장되어서, 콘크리트층(11)으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양을 늘릴 수 있다. 유입홀(25)의 개수 및 배치는 본 발명의 벤트 몸체(21)의 내구성 및 수분의 유입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유입홀(25)의 개수, 위치, 형태는 본 발명의 번트 구조물(20)의 크기, 주변 환경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벤트 구조물(20)은 수분에 대한 부식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충격의 흡수가 잘 일어나는 고분자 재질, 예컨대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적용될 수 있고, 차량 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금속,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이 채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벤트 구조물(20)과 콘크리트층(11) 사이에는 벤트 구조물(20)이 안정되게 삽입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1 변형예는 벤트 홀(23)에 제1 다공체(30)를 삽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벤트 구조물(2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기둥 형태의 제1 다공체(30)를 삽입한 것이다. 제1 다공체(30)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1 다공체(30)는 원통형의 기둥이다. 제1 다공체(30)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로써, 폴리올레핀과 같은 고분자 또는 규산질 다공체와 같은 세라믹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이 층을 이루는 복합층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 등의 기능성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제1 다공체(30)는 벤트 홀(23)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11)을 향하는 제1 저면(30a) 및 벤트 홀(23)에 삽입된 상태로 보아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상면(30b)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을 활용함으로써, 증발용 수분(W)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증발용 수분(W)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여,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를 높인다. 이렇게 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유입홀(25)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벤트 홀(23)에 침적되지 않고, 제1 다공체(30)에 바로 흡수되어 외부로 증발되므로, 콘크리트층(11)의 수분 제거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2 변형예는 제2 다공체(32)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1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실린더형태의 제2 다공체(32)를 삽입한 것이다. 제2 다공체(32)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2 다공체(32)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2 다공체(32)는 중공인 제1 실린더 홀(33)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다공체(30)와 마찬가지로 제2 저면(32a) 및 제2 상면(32b)이 존재한다.
제1 실린더 홀(33)은 제2 다공체(32)의 내부를 관통하며, 제2 다공체(32)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제1 실린더 홀(33)은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1 실린더 홀(33)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제1 실린더 홀(33)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1 실린더 홀(33)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2 다공체(32)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제2 다공체(32)는 제1 다공체(30)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3 변형예는 제3 다공체(34)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2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실린더형태의 제3 다공체(34)를 삽입한 것이다. 다만, 제3 다공체(34)는 그루브(groove, 35a)를 구비한 점이 제2 다공체(32)와 차이가 있다. 제3 다공체(34)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3 다공체(34)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3 다공체(34)는 제2 실린더 홀(35)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 다공체(32)와 마찬가지로 제3 저면(34a) 및 제3 상면(34b)이 존재한다.
제2 실린더 홀(35)은 제3 다공체(34)의 내부를 관통하며, 그루브(35a)가 있어서 제3 다공체(34)의 표면적이 제2 다공체(32)에 비해 넓어진다. 제2 실린더 홀(35)은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2 실린더 홀(35)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제2 실린더 홀(35)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2 실린더 홀(35)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3 다공체(34)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한편, 제3 다공체(34)는 그루브(35a)의 존재로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하는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표면적이 제2 다공체(32)에 비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표면적이 늘어나면, 제3 다공체(34)는 제2 다공체(32)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가 높아진다. 그루브(35a)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것 또는 원형 및 다각형과 같이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은 그루브(35a)가 제3 저면(34a)으로부터 제3 상면(34b)까지 연장된 것이다. 그루브(35a)의 폭 및 깊이는 제3 다공체(34)의 크기,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4 변형예는 벤트 홀(23)에 제4 다공체(50)를 삽입하는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기둥 형태의 제4 다공체(50)를 삽입한 것이다. 제4 다공체(50)는 도 3의 제1 다공체(30)과 동일하다. 즉, 제4 다공체(50)는 벤트 홀(43)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11)을 향하는 제4 저면(50a) 및 벤트 홀(43)에 삽입된 상태로 보아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4 상면(50b)을 구성한다. 한편, 제4 다공체(50)을 벤트 홀(43)에 삽입하면, 제4 저면(50a) 근처에는 경사면(44)에 의해 흡수용 공간(b)을 형성한다. 흡수용 공간(b)에서 증발용 수분(W)이 충진된다. 증발용 수분(W)은 제4 저면(50a) 및 흡수용 공간(b)으로부터 제4 다공체(50)로 흡수되어, 제4 상면(50b)을 통하여 외부로 증발한다. 흡수용 공간(b)은 증발용 수분(W)이 제4 다공체(50)로 흡수되는 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을 활용함으로써, 증발용 수분(W)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증발용 수분(W)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여,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를 높인다. 이렇게 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용 공간(b)을 둠으로써, 증발용 수분(W)이 제4 다공체(50)에 접하는 면적을 늘려서,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유입홀(45)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벤트 홀(43)에 침적되지 않고, 제4 다공체(50)에 바로 흡수되어 외부로 증발되므로, 콘크리트층(11)의 수분 제거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5 변형예는 벤트 홀(43)에 제5 다공체(52)를 삽입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5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실린더형태의 제5 다공체(52)를 삽입한 것이다. 제5 다공체(52)의 형상은 벤트 홀(4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4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5 다공체(52)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5 다공체(52)는 중공인 제3 실린더 홀(53)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다공체(30)와 마찬가지로 제5 저면(52a) 및 제5 상면(52b)이 존재한다. 이때, 제5 다공체(52)와 벤트 홀(43) 사이의 흡수용 공간(b)은 제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3 실린더 홀(53)은 제5 다공체(52)의 내부를 관통하며, 제5 다공체(52)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제3 실린더 홀(53)은 흡수용 공간(b)와 더불어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3 실린더 홀(53)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흡수용 공간(b) 및 제3 실린더 홀(53)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3 실린더 홀(53)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5 다공체(52)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제5 다공체(52)는 제1 다공체(30)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6 변형예는 벤트 홀(43)에 제6 다공체(54)를 삽입하는 것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6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실린더형태의 제6 다공체(54)를 삽입한 것이다. 다만, 제6 다공체(54)는 그루브(groove, 55a)를 구비한 점이 제5 다공체(52)와 차이가 있다. 제6 다공체(54)의 형상은 벤트 홀(4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4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6 다공체(54)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6 다공체(54)는 제4 실린더 홀(55)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5 다공체(52)와 마찬가지로 제6 저면(54a) 및 제6 상면(54b)이 존재한다. 이때, 제6 다공체(54)와 벤트 홀(43) 사이의 흡수용 공간(b)은 제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4 실린더 홀(55)은 제6 다공체(54)의 내부를 관통하며, 그루브(55a)가 있어서 제6 다공체(54)의 표면적이 제5 다공체(52)에 비해 넓어진다. 제4 실린더 홀(55)은 흡수용 공간(b)와 더불어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4 실린더 홀(55)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흡수용 공간(b) 및 제4 실린더 홀(55)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4 실린더 홀(55)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6 다공체(54)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한편, 제6 다공체(54)는 그루브(55a)의 존재로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하는 공간 및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표면적이 제5 다공체(52)에 비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 및 표면적이 늘어나면, 제6 다공체(54)는 제5 다공체(52)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가 높아진다. 그루브(55a)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것 또는 원형 및 다각형과 같이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은 그루브(55a)가 제6 저면(54a)으로부터 제6 상면(54b)까지 연장된 것이다. 그루브(55a)의 폭 및 깊이는 제6 다공체(54)의 크기,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벤트 구조물(20)의 외연에 제7 다공체(60)를 배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6 다공체(30, 32, 34, 50, 52, 54)도 제7 변형예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9에 의하면, 제7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외연에 제7 다공체(60)가 결합된다. 제7 다공체(60)는 제1 다공체(30)와 같이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로써, 폴리올레핀과 같은 고분자 또는 규산질 다공체와 같은 세라믹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이 층을 이루는 복합층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 등의 기능성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제7 다공체(60)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콘크리트층(11)으로부터의 수분을 추출하는 데 보다 유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벤트 구조물(70)의 구조를 제외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에 의하면, 벤트 구조물(70)은 벤트 몸체(71) 및 벤트 날개(72)로 이루어지며, 벤트 날개(72)는 벤트 구조물(70)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벤트 날개(72) 아래의 콘크리트(11)에는 벤트 홀(73)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출홈(7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70)의 형상이 변경되었지만, 벤트 몸체(71)에 유입홀(25)를 가지는 특성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콘크리트 바닥 11; 콘크리트층
12; 방수층
20, 40, 70; 벤트 구조물
21, 41, 71 ; 벤트 몸체
22, 42, 72; 벤트 날개
23, 43, 73; 벤트 홀
44; 경사면
30, 32, 34, 50, 52, 54, 60; 제1 내지 제7 다공체
33, 35, 53, 55; 제1 내지 제4 실린더 홀

Claims (10)

  1.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상기 벤트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상기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에는 기둥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있는 실린더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체는 상기 중공에 그루브가 형성된 실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의 조합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체 및 상기 벤트 몸체는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과 함께 흡수용 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몸체의 외연에는 다공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KR1020170009528A 2017-01-20 2017-01-20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KR10188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ko) 2017-01-20 2017-01-20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ko) 2017-01-20 2017-01-20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892A true KR20180085892A (ko) 2018-07-30
KR101885983B1 KR101885983B1 (ko) 2018-08-06

Family

ID=6304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ko) 2017-01-20 2017-01-20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9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293A (zh) * 2021-02-03 2021-05-18 广州宏成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陶瓷太阳能墙面锁扣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30A (ko) * 2000-05-12 2001-11-24 고경찬 발한 흡습 속건성 섬유
JP2002021288A (ja) * 2000-07-12 2002-01-23 Ohbayashi Corp 脱気プラ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脱気方法
KR200313164Y1 (ko) * 2003-02-04 2003-05-16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20110037764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상희특수개발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101595860B1 (ko) * 2013-07-12 2016-02-19 정재호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30A (ko) * 2000-05-12 2001-11-24 고경찬 발한 흡습 속건성 섬유
JP2002021288A (ja) * 2000-07-12 2002-01-23 Ohbayashi Corp 脱気プラ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脱気方法
KR200313164Y1 (ko) * 2003-02-04 2003-05-16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지하구조물용 양압력 감쇄처리 구조체
KR20110037764A (ko) * 2009-10-07 2011-04-13 주식회사 상희특수개발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101595860B1 (ko) * 2013-07-12 2016-02-19 정재호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293A (zh) * 2021-02-03 2021-05-18 广州宏成科技信息有限公司 一种陶瓷太阳能墙面锁扣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983B1 (ko)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983B1 (ko)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US20060283113A1 (en) Condensation inhibition system for structural waterproofing
US5660008A (en) Triangular shaped pipe for use in crawl spaces
RU2433915C2 (ru) Композитная плита и способ осуш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й плиты
GB2461754A (en) Air vent for use as an air brick with a float valve and insect mesh
WO2013084487A1 (ja) 貯水構造
US3937399A (en) Jet action chemical feeding method
KR101703553B1 (ko) 지하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US7017309B2 (en) Waterproof sealing system for a building foundation
KR101117482B1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102368680B1 (ko) 건축용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0309510B1 (ko) 지하층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처리용 패널 및 시공 방법
JP2022130705A (ja) 脱気装置、防水構造および駐車場
DE102008028463B4 (de) Vorrichtung zum Entwässern und Entfeuchten von Mauern
US1320256A (en) Drainage system foe
KR20100000340U (ko) 방수작업용 탈기구
EP0874094B1 (en) Wall drying insert
KR200321783Y1 (ko) 건축물 탈기장치
US20070251171A1 (en) Systems and devices for collecting falling mortar
KR200382820Y1 (ko)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ES2245333T3 (es) Elemento de construccion de hormigon protegido contra la accion del fuego.
KR20200144533A (ko) 통풍성을 개선한 지하 벽체 구조물 및 시공 방법
DE809482C (de) Entfeucht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Waende, Mauern o. dgl.
Sandin Masonry water repellents
JP2005224680A (ja) 消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