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762B1 -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762B1
KR100759762B1 KR1020060129118A KR20060129118A KR100759762B1 KR 100759762 B1 KR100759762 B1 KR 100759762B1 KR 1020060129118 A KR1020060129118 A KR 1020060129118A KR 20060129118 A KR20060129118 A KR 20060129118A KR 100759762 B1 KR100759762 B1 KR 10075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upport plate
hollow body
pack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상
Original Assignee
오상근
곽규성
최성민
박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근, 곽규성, 최성민, 박진상 filed Critical 오상근
Priority to KR102006012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탈기시킬 수 있고 또한 빗물에 의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팩킹이 수용되는 요홈(1a)이 형성된 ∩자형의 캡(1)과; 일단부는 상기 캡(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상기 캡(1)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캡측에는 상기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배기용 중공체(2)와; 상기 캡(1)의 요홈(1a)에 수용되는 돌부(3a)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캡(1)의 요홈(1a)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부력)에 의해서 상기 캡(1)의 요홈(1a)과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해 상기 중공체(2)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제1팩킹(3)과; 상기 제1팩킹(3)을 상기 중공체(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5)과; 상기 중공체(2)의 타단부와 나사 계합되어 상기 중공체(2)및 캡(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6a)와,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탈기로와 연동되도록 고정 가능한 받침판(6); 및 상기 중공체(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중공체(2)에 대한 상기 지지구(6a)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4)를 포함한다.
옥상방수용 탈기장치, 팩킹, 캡, 탈기로, 습기배출, 중공체, 물역류, 받침판실링부재, 지지구파손방지, 요홈, 도막방수재

Description

역류방지용 탈기장치{Air vent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of rainwater from a ro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가 옥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의 평상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역류방지용 탈기장치가 물에 잠겼을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방수용 탈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의 Ⅹ-Ⅹ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의 ⅩⅠ-ⅩⅠ선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받침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가 옥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 한 사시도;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의 평상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8에 도시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가 물에 잠겼을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옥상방수용 탈기장치의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캡 2: 중공체
2a: 배기공 3: 제1팩킹
4: 실링부재 5: 고정링
6,106: 받침판 7: 제2팩킹
본 발명은 건축물의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그 상부의 단열층, 방수층 등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각 층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탈기시킬 수 있고 또한 빗물에 의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몰탈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접하되 이질재료로 설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는 슬라브 구조에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자 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바닥면과 표면층 간의 접착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박리현상을 일으켜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 공기층(Air Porket)을 형성시킨다.
특히,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사에서는 방수층이 바닥면의 거동에 따른 영향을 피하기 위해 즉, 콘크리트 바닥면의 균열시에도 균열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방수층의 파단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면과 방수층 사이에 절연시키는 방법(절연 공법)을 채택하기도 한다.
콘크리트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는 단열층이 형성되기 마련이며 단열층은 충분한 건조상태를 유지하여야 건축물의 사용상?위생상 및 내구상 하자가 없게 된다.
그러나, 단열층에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하여 습기가 쉽게 존재하게 되며,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제거되지 않으면 습기는 표면층의 들뜸현상 또는 결로현상을 일으켜 표면층의 본래 기능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건축물의 구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는 외기의 온도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옥상, 지붕 또는 외벽체에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는바, 종래의 탈기장치로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도 17을 참조하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상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바닥면(70)을 형성하게 되고, 그 상부로는 단열층(71), 몰탈층(72)을 포함하여 슬라브를 구성하게 되고, ∩형상의 통기용 파이프(51)와, 이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 판(52)을 일체로 하여 탈기장치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일자형의 통기용 파이프(61)의 하단에는 받침판(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통기용파이프(62)의 상단에는 통기용파이프(61)가 패쇄되지 않도록 캡(63)을 씌워 놓았다.
따라서, 이들 탈기장치는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통기용파이프를 단열층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단열층에 생성된 습기가 상기 통기용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법으로 탈기과정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단열층의 습기가 파이프(51,61)를 따라 상부로 수직하게 유동된 후 파이프(51,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형성하였으나, 폭우 또는 폭설시 건축물의 옥상으로부터 물이 미처 배수되지 않아 물이 파이프(51,61)의 출구보다 높게 고여 있을 경우 파이프(51,61)를 통해 물이 역류되어 탈기장치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탈기 장치 바닥판 위로 형성된 방수층은 외부환경에 의한 신축팽창(열팽창계수) 따라 바닥판과 방수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학교에서는 옥상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체육활동에 필요한 각종 운동을 위해 인조잔디를 시공하거나 옥상 정원(옥상 녹화)을 만들고 있으며, 미술관이나 전시관등에서도 야외 전시를 위해 옥상을 활용하고 있는바, 도 17과 도 18에 도시한 종래의 탈기장치는 옥상바닥면으로부터 너무 많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보행에 지장을 주게되며, 심한 경우에는 파이프에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랐다.
특히 학교의 옥상일 경우 학생들이 발로 걷어차는 경향이 많아 옥상표면과 탈기장치 또는 바닥판과 파이프 경계점에서(51,61) 파손되므로 무용지물(파손 부위로 빗물 유입)이 되거나, 어떤 경우에는 운동시설을 위한 고정용 고리 또는 텐트등의 고정팩으로도 사용하기도 하는바, 이 경우 상기 파이프(51,61)가 파손되거나 탈기장치 자체가 바닥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효율적인 탈기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슬라브의 각 층 사이에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뿐 만 아니라 폭우나 폭설시 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슬라브의 단열층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옥상으로부터 매우 낮게 돌출되어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옥상방수용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기 장치 바닥판과 방수층과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팽창(열팽창계수)에 적절히 대응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로 걷어차도 파손되지 않아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유지보수비용이 거의 없도록 한 옥상방수용 탈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수분 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팩킹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자형의 캡과; 일단부는 상기 캡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상기 캡 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캡 측에는 상기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배기용 중공체와; 상기 캡의 요홈에 수용되는 돌부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캡의 요홈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공들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캡의 요홈과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들을 통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제1팩킹과; 상기 제1팩킹을 상기 중공체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와;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와 나사 계합되어 상기 중공체및 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와,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탈기로와 연동되도록 고정 가능한 받침판; 및 상기 중공체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중공체에 대한 상기 지지구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르면,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팩킹이 수용되는 요홈이 형성된 ∩자형의 캡과; 일단부는 상기 캡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상기 캡 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캡측에는 상기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 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배기용 중공체와; 상기 캡의 요홈에 수용되는 돌부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캡의 요홈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공들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캡의 요홈과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들을 통해 상기 중공체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제1팩킹과; 상기 캡의 요홈에 장착되어 상기 제1팩킹과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팩킹과; 상기 제1팩킹을 상기 중공체에 고정하기 위한 너트와; 상기 중공체의 타단부와 나사 계합되어 상기 중공체 및 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와,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탈기로와 연동되도록 고정 가능한 받침판; 및 상기 중공체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중공체에 대한 상기 지지구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판의 지지구 외부에는 상기 지지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를 더 삽입하여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서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받침판에는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어 도막방수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요홈들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고, 받침판에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도막방수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탈기장치(10)가 도시되어 있는바, 탈기장치(10)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제1팩킹(3)이 수용되는 요홈(1a)이 형성된 ∩자형의 캡(1)을 포함하고, 이 캡(1)의 내부에는 배기용 중공체(2)의 일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한 나사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체(2)의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캡(1)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캡(1)이 결합되는 측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도면 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탈기장치(10)는 도 2와 같이 조립되어 옥상에 설치되는바, 캡(1)의 내부에는 도 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팩킹(3)이 구비되어 있다. 제1팩킹(3)은 캡(1)의 요홈(1a)에 수용되는 돌부(3a)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자중에 의해 캡(1)의 요홈(1a)과 이격되어 배기공들(2a)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캡(1)의 요홈(1a)과 밀착되어 배기공들(2a)을 통해 중공체(2)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제1팩킹(3)은 ㄱ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팩킹(3)은 고정링(5)에 의해서 중공체(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중공체(2)의 타단부에는 받침판(6)의 지지구(6a)가 나삽되는바, 도 4에 도시된 지지구(6a)는 적당한 방법(예컨대 용접)에 의해 받침판(6)에 고정되며, 도 1에 도시 한 바와 같이 중공체(2)의 외주연에는 실링부재(4)가 장착되어 중공체(2)에 대한 지지구(6a)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기장치(10)는 조립시 도 2와 같이 조립되어 옥상등의 방수공사시 도 5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앵커볼트(20)를 이용하여 슬라브등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평상시 제1팩킹(3)은 캡(1)의 요홈(1a)에 수용되는 돌부(3a)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캡(1)의 요홈(1a)과 이격되어 배기공들(2a)을 통과한 습기가 화살표를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폭우나, 폭설로 인해 물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장치(10)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에는 물이 배기공들(2a)을 통해 역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의 역류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특장점이 있다.
다시말하면 도 7과 같이 옥상등에 물이 고일 경우, 물의 압력(부력)에 의해서 제1팩킹(3)의 내측면이 화살표 방향으로 밀려나게되므로 제1팩킹(3)의 돌부(3a)가 캡(1)의 요홈(1a)과 밀착됨과 동시에 되어 제1팩킹(3)의 하측 외주연은 캡(1)의 하측 내측부와 밀착되므로 물이 중공체(2)의 배기공(2a)안으로 전혀 역류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종래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은 옥상등에 물이 많이 고이면 고일수록 수압(부압)에 의해 캡(1)에 대한 제1팩킹(3)의 팽창력이 증가되므로 결과적으로는 물의 역류현상은 더욱더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는 제2팩 킹(7)이 구비되고 받침판(106)에 요홈(106b)이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캡(1)의 요홈(1a)에는 제1팩킹(3)과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팩킹(7)이 더 구비되어 있는바, 이 제2팩킹(7) 역시 고무재로서 제작되어 제1팩킹(3)과의 밀봉력을 최대화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도 8 과 도9에서와 같이 받침판(106)의 지지구(6a) 외부에는 지지구(6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106a)를 더 삽입하여 받침판의 하측(106)에서 용접하였다. 따라서, 학교 옥상 등에 설치될 경우 지지구(6a)는 거의 파손되지 않아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106)에는 다수의 요홈(106b)이 형성되어 도막방수재(22)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 요홈은 원형이 바람직하지만 도 12에서와 같이 사각형상의 요홈(116b)이 형성된 받침판(116)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13에서와 같이 요홈 대신에 다수의 돌기(126b)가 형성된 받침판(126)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및 작동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브의 각 층 사이에 생성되는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폭우나 폭설시 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슬라브의 단열층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역류방지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옥상으로부터 매우 낮게 돌출되어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지지구를 이중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적은 발로 걷어차도 파손되지 않아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며 유지보수비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받침판의 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받침판에 형성된 요홈이나 돌기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팩킹이 수용되는 요홈(1a)이 형성된 ∩자형의 캡(1)과;
    일단부는 상기 캡(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상기 캡(1)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캡측에는 상기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배기용 중공체(2)와;
    상기 캡(1)의 요홈(1a)에 수용되는 돌부(3a)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캡(1)의 요홈(1a)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캡(1)의 요홈(1a)과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해 상기 중공체(2)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제1팩킹(3)과;
    상기 제1팩킹(3)을 상기 중공체(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5)과;
    상기 중공체(2)의 타단부와 나사 계합되어 상기 중공체(2)및 캡(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6a)와,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탈기로와 연동되도록 고정 가능한 받침판(6); 및
    상기 중공체(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중공체(2)에 대한 상기 지지 구(6a)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의 요홈(1a)에는 상기 제1팩킹(3)과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팩킹(7)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의 지지구(6a) 외부에는 상기 지지구(6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106a)를 더 삽입하여 상기 받침판의 하측(106)에서 용접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4. 콘크리트 또는 몰탈 처리된 바닥면 상부로 단열층, 몰탈층을 포함하는 슬라브에 설치되어 수분과 외기 온도차에 의해 층 사이에 형성되는 습기를 강제로 배출시키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제1팩킹이 수용되는 요홈(1a)이 형성된 ∩자형의 캡(1)과;
    일단부는 상기 캡(1)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부는 단열층으로부터 상기 캡(1)측으로 습기를 배출하기 위해 슬라브의 탈기로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캡측에는 상기 습기를 단열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배기공들(2a)이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배기용 중공체(2)와;
    상기 캡(1)의 요홈(1a)에 수용되는 돌부(3a)를 구비하되,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캡(1)의 요홈(1a)과 이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과한 습기가 외부 로 방출되도록 하고, 물의 역류시에는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캡(1)의 요홈(1a)과 밀착되어 상기 배기공들(2a)을 통해 상기 중공체(2)의 내부로 물이 역류되어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제1팩킹(3)과;
    상기 캡(1)의 요홈(1a)에 장착되어 상기 제1팩킹(3)과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팩킹(7)과;
    상기 제1팩킹(3)을 상기 중공체(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링(5)과;
    상기 중공체(2)의 타단부와 나사 계합되어 상기 중공체(2)및 캡(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6a)와,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탈기로와 연동되도록 고정 가능한 받침판(6); 및
    상기 중공체(2)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상기 중공체(2)에 대한 상기 지지구(6a)와의 밀봉기능을 수행하는 실링부재(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의 지지구(6a) 외부에는 상기 지지구(6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106a)를 더 삽입하여 상기 받침판의 하측(106)에서 용접하여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에는 다수의 요홈(106b)이 형성되어 도막방수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106b)은 원형 또는 사각형상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26)에는 다수의 돌기들(126b)이 형성되어 도막방수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20060129118A 2006-12-18 2006-12-18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75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18A KR100759762B1 (ko) 2006-12-18 2006-12-18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118A KR100759762B1 (ko) 2006-12-18 2006-12-18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762B1 true KR100759762B1 (ko) 2007-09-20

Family

ID=3873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118A KR100759762B1 (ko) 2006-12-18 2006-12-18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76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8B1 (ko) * 2008-12-08 2009-08-21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077657B1 (ko) * 2010-02-26 2011-10-27 (유)대광건설산업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459511Y1 (ko) * 2009-06-03 2012-03-28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KR101176850B1 (ko) 2010-12-07 2012-08-24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2561191B1 (ko) * 2023-05-08 2023-07-31 엔에스사인기획 주식회사 노면시트
KR102639406B1 (ko) 2023-04-14 2024-02-22 차희남 방수시공용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06Y1 (ko) 2002-11-14 2003-03-04 안중필 방수공사용 공기 및 수분 배출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106Y1 (ko) 2002-11-14 2003-03-04 안중필 방수공사용 공기 및 수분 배출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08B1 (ko) * 2008-12-08 2009-08-21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200459511Y1 (ko) * 2009-06-03 2012-03-28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077657B1 (ko) * 2010-02-26 2011-10-27 (유)대광건설산업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176850B1 (ko) 2010-12-07 2012-08-24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2639406B1 (ko) 2023-04-14 2024-02-22 차희남 방수시공용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102561191B1 (ko) * 2023-05-08 2023-07-31 엔에스사인기획 주식회사 노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762B1 (ko)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ES2707584T3 (es) Adaptador de montaje no invasivo para techo y método de instalación del mismo
US5608922A (en) Toilet stabilizing and sealing gasket
CN207582698U (zh) 建筑伸缩缝防水结构
KR20090022359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6497533B2 (en) Drainage system with membrane cover and method for covering wastewater reservoir
KR20170099093A (ko) 옥상방수시스템
KR200459511Y1 (ko)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KR200424206Y1 (ko) 벽체형 탈기관
US20030021630A1 (en) Underground water retention apparatus
KR101616500B1 (ko) 옥상 슬라브용 조립식 방수 단열 구조체
EP0103576A1 (en) Spacing element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0720731B1 (ko) 건축용 배수관
JP3818996B2 (ja) 無落雪屋根のすが漏れ防止兼、床下換気構造
KR101306629B1 (ko)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KR101077657B1 (ko) 탈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680299B1 (ko) 결로방지 텐트
KR200321783Y1 (ko) 건축물 탈기장치
KR101212773B1 (ko)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KR102430783B1 (ko)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CN216644036U (zh) 一种景观桥梁照明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