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50B1 -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50B1
KR101176850B1 KR1020100124288A KR20100124288A KR101176850B1 KR 101176850 B1 KR101176850 B1 KR 101176850B1 KR 1020100124288 A KR1020100124288 A KR 1020100124288A KR 20100124288 A KR20100124288 A KR 20100124288A KR 101176850 B1 KR101176850 B1 KR 10117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body
layer
degassing apparatus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209A (ko
Inventor
강재철
오덕균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칠만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칠만공사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12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8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기장치의 본체에서 하우징이 일정간격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도막 방수공법이나 복합방수공법 등에서 사용되는 액상의 도막재의 도막층 두께를 별도의 측정없이 균일한 도막층 두께를 확보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균일한 방수층 두께를 유도하며 원활한 탈기가 될 수 있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받침판(112)의 중앙에 일정높이 세워진 지지구(114)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114)에 복수의 삽입공(118)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지지구(114)가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122)과 상기 내통(122)과 일정간격이 떨어진 외통(124)과 상기 내통(122)과 외통(124)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내벽(125)이 마련되고 상기 내통(122)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로 복수의 단속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125)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공(126)과 상기 걸림공(126)의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127)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124)의 하단에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홈(128)이 형성된 하우징(120); 상기 본체(110)와 하우징(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10)에 하우징(120)의 설치높이를 변경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속부(130); 및 담수상황일 경우 상기 하우징(120)의 배기공(127)을 통해 담수된 물이 탈기장치(100)의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체크밸브(140);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하여 탈기를 원활하도록 하는 지지구(117)와 간격유지부재(119)를 가지는 받침판(11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Air vent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ward flow of rainwater from a roof}
본 발명은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며 역류방지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기장치의 본체에서 하우징이 일정간격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도막 방수공법이나 복합방수공법 등에서 사용되는 액상의 도막재의 도막층 두께를 별도의 측정없이 균일한 도막층 두께를 확보하도록 하여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며, 플레이트 하부에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여 복합방수공법에서 탈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며 역류방지 탈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슬라브, 지붕, 건축물의 지하실 또는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방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스며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열화현상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통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누수 되면 건축물의 기능이 상실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도막식 방수공법이 있고,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제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며, 도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 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을 대처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과 외기 또는 내기 온도차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수분의 증발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을 가지는 수증기에 의해 바닥면과 표면층인 방수층 간의 접착성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는 곧 박리현상을 일으켜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 국부적으로 공기층(Air Pocket)을 형성시킨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공기층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방수층이 형성되는 바탕면에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탈기장치(또는 '탈기관', '탈기구', '탈기반' 등의 명칭으로 사용된다)를 구성하여, 수증기의 원활한 배출로 인해 방수층에 공기층의 형성을 예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복합방수공법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912923호(명칭: 방수시트의 맞물림 이음구조가 적용된 통기성 단열 방수구조)를 참조한다.
종래의 복합방수공법에 의한 방수구조는 바탕면(210); 방수재료에 의해 형성된 시트방수층; 시트방수층의 상부 표면에 부착된 부직포; 시트방수층의 하부 표면에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열반사막;으로 구성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시트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이음되면서 상기 바탕면(210) 위로 설치되는 방수시트(100); 상기 방수시트(100) 아래에 방수시트(100)의 이음선을 따라 불연속하게 도포되어 방수시트(100)를 바탕면(210)에 부착시키는 하부불연속접착층(220); 상기 방수시트(100) 위에 방수시트(100)의 이음선을 따라 연속하게 도포되어 방수시트(100) 상호 간을 연결시키는 상부연속접착층(230); 상기 방수시트(100)와 상부연속접착층(230) 위에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방수층(240); 도막방수층(240) 위에 도포되어 형성된 탑코팅층(250); 및 상기 바탕면(210) 위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방수시트(100)와 도막방수층(240) 및 탑코팅층(25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바탕면(210)과 방수시트(100) 사이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탈기반(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시트(100)는, 제1시트방수층, 제1부직포 및 제1열반사막으로 구성되어 제1시트방수층의 이음단부가 맞물림홈과 맞물림돌기에 의한 요철단부로 형성된 제1방수시트;와, 제2시트방수층, 제2부직포 및 제2열반사막으로 구성되어 제2시트방수층의 이음단부가 상기 제1방수시트의 제1시트방수층에 역전(逆轉)하는 형태로 역전맞물림돌기와 역전맞물림홈에 의한 요철단부로 형성된 제2방수시트;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제1,2시트방수층의 맞물림이음에 의해 이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복합방수구조를 보면, 바탕면(210)에 불연속접착층(220)과, 방수시트(100), 도막방수층(240), 및 탑코팅층(2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불연속접착층(220)은 도포두께가 미미하고, 방수시트(100)는 정형화된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바탕면(210)의 평탄도에 구애됨이 없이 방수층의 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도막방수공법 또는 위와 같은 복합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도막재를 이용한 도막층 또는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도막재가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탕면의 평탄도에 따라 구간별 도막층의 시공두께가 제각각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시공자의 숙련도에 따라 도막층의 시공두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면적에 도막재의 량이 시공할 때마다 다르므로, 시공견적의 산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액상의 도막재를 이용하여 도막층 또는 탑코팅층을 시공할 때에는 도포하는 중간에 작업자가 도막층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표시침을 들고다니면서 시공면을 국소부위를 일일이 측정하여 도막층(또는 탑코팅층)을 측정하는 시공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방수시트공법이나 복합방수공법에 의한 방수구조를 보면, 바탕면(또는 슬라브)에 프라이머를 칠한 후 방수시트를 접착고정시키고, 그 위에 도막재(복합방수공법)를 도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의 방수구조에 탈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탕면과 접착고정된 방수시트 사이에 탈기장치의 본체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바탕면과 접착 고정된 방수시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습기를 탈기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 접착제에 의해 바탕면과 방수시트가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바탕면과 방수시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습기가 기설치된 탈기장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탈기장치에 의해 탈기되기 전 외부환경 즉, 온도차이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증발하는 압력에 의해 방수층의 부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바탕면으로 침투, 재생성을 반복하는 등의 탈기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기장치의 본체에서 하우징이 일정간격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도막 방수공법이나 복합방수공법 등에서 사용되는 액상의 도막재의 도막층 두께를 별도의 측정없이 균일한 도막층 두께를 확보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며 플레이트의 하부에 간격유지부재를 설치하여 복합방수공법에서 탈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 탈기장치는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는 받침판의 중앙에 일정높이 세워진 지지구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에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지지구가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과 상기 내통과 일정간격이 떨어진 외통과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내벽이 마련되고 상기 내통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로 복수의 단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공과 상기 걸림공의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의 하단에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본체와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에 하우징의 설치높이를 변경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속부; 및 담수상황일 경우 상기 하우징의 배기공을 통해 담수된 물이 탈기장치의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속부는 상기 본체의 복수의 삽입공 각각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속부재; 및 상기 단속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삽입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속부재가 단속홈에 걸림됨에 따라 본체에서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크밸브는 상기 하우징의 걸림공 삽입 고정되는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져 있다가 담수상황일 경우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상기 하우징의 배기공을 덮어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역류방지 탈기장치는 바탕면의 가장자리에 일정폭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접착되는 방수시트를 상기 바탕면 전체에 포설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방수층에는 탈기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간에 일정크기를 오려내어 흡기공을 형성하고 상기 흡기공이 형성된 방수층의 상면에 상기 탈기장치의 본체 받침판을 안착 고정시킨 후 상기 본체에 하우징을 결합시키고; 상기 본체에 결합된 하우징을 형성하고자 하는 도막층의 두께에 맞춰 간격을 조절한 후 상기 간격이 조절된 하우징을 기준으로 도막층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받침판의 하단에는 복수의 간격유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에는 받침판과 간격유지부재를 관통하여 피스가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간격유지부재 사이로 탈기가 원활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탈기장치의 본체에서 하우징이 일정간격 승강되도록 구성하여, 도막 방수공법이나 복합방수공법 등에서 사용되는 액상의 도막재의 도막층 두께를 별도의 측정없이 균일한 도막층 두께를 확보하도록 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바탕면에 접착 고정되지 않은 방수시트의 상면에 탈기장치를 구성하여, 탈기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탈기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바탕면에 박혀있는 고정피스에 의해 방수층의 결함을 찾는데 사용되는 핀홀탐지기의 접지역할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층의 상부에 설치 가능하도록 역류방지 탈기장치의 본체 플레이트 구조를 가짐으로써, 마감재의 균일도포의 한계성과 기존 탈기장치의 탈기효과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방수공법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탈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본체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탈기장치의 작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수층과 탈기장치의 본체의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탈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 따른 탈기장치의 작용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역류방지 탈기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서 일정높이를 유지하고 경우에 따라서 승강높이를 달리하여 도막층을 형성할 때 도막층의 기준높이를 설정해주도록 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본체(110)와 하우징(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20)의 승강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단속부(130), 및 상기 하우징(120)의 일측에 마련되어 내측의 습기나 수증기의 배기는 가능하나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4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바탕면(1)과 방수층(2) 사이에 마련되고 하단에 일정깊이의 탈기홈(113)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형성된 받침판(112)과, 상기 받침판(112)의 상단 중앙에 세워지고 내측에 상기 탈기홈(113)과 연통되는 탈기공(116)이 형성된 지지구(114)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구(114)의 상부 일측에는 단속부(130)가 위치되는 복수의 삽입공(11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속부(130)는 상기 복수의 삽입공(118) 각각에 일단이 삽입되는 단속부재(132), 및 상기 단속부재(13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단속부재(132)의 일부가 상기 삽입공(118)에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1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속부재(132)는 삽입공(118)에 돌출된 부위가 반원형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복수의 단속홈(123)에 걸림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20)은 중앙에 상기 본체(110)의 지지구(114)가 내측에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내통(122)과, 상기 내통(122)과 일정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외통(124)과, 상기 내통(122)과 외통(124)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상기 지지구(114)의 탈기공(116)과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내벽(125)과, 상기 내벽(125)의 어느 일측에 체크밸브(140)가 설치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공(126)과, 상기 걸림공(126)의 주변에 상기 내벽(125)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기공(127), 및 상기 외통(124) 하단에서 일정높이로 절개된 복수의 연통홈(128)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내통(122)에는 단속부(130)의 단속부재(132)가 걸림되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단속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속홈(123)은 상기 내통(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에 복수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복수의 단속홈(123)의 띄움 간격은 도막층의 설정두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 경우, 0.5~2mm의 간격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통홈(128)은 하우징(120)의 하단이 도막층의 형성높이를 설정해주는 기준선이 되므로, 상기 배기공(127)을 통해 배기되는 습기 또는 수증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외통(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직사각이나 유선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탈기장치(100)의 사용목적 및 사용위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크밸브(140)는 하우징(120)의 걸림공(126)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대(142), 및 상기 걸림대(142)의 하단에 마련되고 상기 배기공(127)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차폐판(144)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체크밸브(140)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합성수지나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체크밸브(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공(126)에 삽입 고정된 걸림대(142)의 하단에 마련된 차폐판(144)은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배기공(127)이 개방되어 바탕면(1)과 방수층(2) 사이에서 발생한 습기 또는 수증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탈기되고, 빗물이 차오르는 등의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쳐진 차폐판(144)이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배기공(127)을 덮개됨에 따라 빗물 등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탈기장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바탕면(1)에 본체(11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된 본체(110)의 지지구(114)가 하우징(120)의 내통(122)에 삽입되도록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구(114)의 삽입공(118)에 일단이 돌출되게 마련된 단속부(130)의 단속부재(132)가 상기 내통(122)의 단속홈(123)에 걸림됨으로써, 본체(110)와 하우징(120)이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방수층 즉, 도포하고자 하는 도막층 두께에 맞춰 본체(110)와 하우징(120)의 높이를 변경한다.
즉, 본체(110)의 지지구(114)로 하우징(120)의 내통(122)을 밀어넣으면, 단속부(130)의 단속부재(132)는 상기 내통(122)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구(114)의 삽입공(118)에서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때, 밀려진 단속부재(132)는 탄성부재(134)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공(118)의 외측으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하우징(120)을 계속해서 밀어넣어, 단속부재(132)가 위치된 지점에 내통(122)의 단속홈(123)이 위치되면 탄성부재(134)에 복귀력을 제공받는 단속부재(132)는 삽입공(118)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단속홈(123)에 삽입됨에 따라 본체(110)에서 하우징(12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기의 작용으로, 본체(110)에서 하우징(120)의 설정높이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복합방수공법을 일례로 탈기장치의 사용법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복합방수공법의 경우, 바탕면의 위쪽으로 1mm의 방수시트, 2mm의 도막층, 2mm의 탑코팅층을 형성하고자 한다면, 바탕면과 도막층까지의 시공두께는 1mm(방수시트)+2mm(도막층)=3mm의 두께를 가지므로, 탈기장치(100)는 본체(110)의 하단면을 기준으로 3mm의 띄움간격에 하우징(120)의 하단면이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10)와 하우징(120)의 높이를 설정한다.
이렇게 본체(110)와 하우징(120)의 설정위치가 완료되면, 바탕면의 윗쪽에 시공된 방수시트에 도막재를 도포하고, 이 경우 하우징(120)의 하단면까지 도막층을 형성하면, 도막재를 도포하면서 중간 중간에 도막 두께를 별도로 점검하지 않고도 2mm의 두께를 가지는 도막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0)을 2mm 상승시킨 후 도막층의 위쪽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면 별도의 점검없이 2mm 두께를 가지는 탑코팅층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각도 경사진 방수층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쪽의 하우징(120)은 3mm로 설정하고 대응하는 다른 쪽의 하우징(120)은 2mm로 설정높이를 달리 설정하면, 시공자는 설정된 하우징(120)의 하단면까지 도막층(또는 탑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일정각도 경사진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사진 방수층은 빗물이 기울어진 쪽으로 집수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빗물의 원활한 배수를 유도하게 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시공자의 감각에만 의존하여 시공함에 따라 경사진 방수층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한편, 탈기장치(100)를 이용하여 바탕면(1)에 방수층(2)의 시공이 완료되면, 외부환경 또는 내부환경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바탕면(1)과 방수층(2)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수증기가 본체(110)의 받침판(112) 탈기홈(113)을 통해 지지구(114)의 탈기공(116)을 걸쳐 내벽(125)의 배기공(127)을 통하여 외부로 탈기된다.
그리고, 탈기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 빗물 등에 의해 담수상황이 발생할 경우 차오르는 빗물의 부력에 의해 체크밸브(140)의 차폐판(144)은 상승하면서 내벽(125)의 배기공(127)을 덮게 됨에 따라 빗물이 상기 배기공(127)을 통해 탈기장치(100)의 내측으로 역류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방수시공 완료 또는 개보수를 위해 방수층의 누수결함을 찾고자 핀홀감지기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핀홀감지기의 접지를 상기 설치된 탈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사용의 용이성이 있다.
(제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수층과 탈기장치의 본체의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고, 위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탕면(1)에 방수층(2)이 형성되되, 상기 방수층(2)이 방수시트층(3)과 도막층(4)으로 이루어진 복합방수구조에서 상기 방수시트층(3)과 도막층(4) 사이에 탈기장치(100)가 구성된다.
상기 복합방수구조는 바탕면(1)에 포설되는 방수시트층(3)은 종래와 같이 상기 방수시트층(3)의 전체가 접착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바탕면(1)의 가장자리부분에 일정폭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 바탕면(1)의 가장자리에 도포된 접착층에 상기 방수시트층(3)이 접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시트층(3)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에 바탕면(1)과 별개로 구성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탈기장치(100)는 본체(110)의 받침판(112)이 방수시트층(3)과 도막층(4)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방수구조에서 탈기장치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탕면(1)의 가장자리에 일정폭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도포된 접착층에 의해 방수시트층(3)의 가장자리만 접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탈기장치(100)를 설치할 구간에 일정크기의 흡기공(5)이 형성되도록 방수시트층(3)을 오려낸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층(3)은 바탕면(1)에 접착상태가 아니므로, 일정크기의 흡기공(5)을 오려내는 작업이 수월하며, 이러한 작용은 종래의 바탕면(1) 전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구조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흡기공(5)이 형성된 방수시트층(3)에는 탈기장치(100)를 설치한다.
즉, 상기 탈기장치(100)의 본체(110) 받침판(112)을 상기 방수시트층(3)에 위치시키며, 이때 상기 받침판(112)의 탈기공(116)은 상기 흡기공(5)의 내측으로 마련되도록 하여, 상기 흡기공(5)을 통해 배기되는 수증기 또는 습기가 상기 탈기공(116)을 통해 외부로 탈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10)의 받침판(112) 저면에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간격유지부재(119)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10)의 받침판(112)의 저면은 무 모양이거나 또는 제1실시 예와 같이 탈기홈(113)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간격유지부재(119)의 높이는 상기 방수시트층(3)의 두께와 동일 또는 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방수시트층(3)에 탈기장치(100)의 본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피스를 박을 때 상기 박음력에 의해 상기 방수시트층(3)이 눌리면서 바탕면(1)과 완전 밀착이 이루어져 수증기 또는 습기의 탈기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간격유지부재(119)의 높이만큼 간격을 유지하는 효과로 인해 바탕면(1)과 방수층(3) 사이로 수증기 또는 습기의 탈기가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119)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이격된 구간으로 바탕면(1)과 방수시트층(3) 사이에서 발생한 수증기 또는 습기가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간격유지부재(119)에는 상기 받침판(112)과 간격유지부재(119)를 관통하여 피스가 바탕면에 박힘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11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되는 방향에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상호 대칭방향에 의해 균일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방수층(3)에 탈기장치(100)의 본체(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110)에 하우징(120)을 착탈 고정시키고, 도포하고자 하는 도막층(4)의 두께만큼 상기 하우징(120)을 본체(110)를 따라 승강시켜줌에 따라 상기 도막층(4)의 원하는 두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상부에 설치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며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는 역류방지 탈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탈기장치 110: 본체
112: 받침판 113: 탈기홈
114: 지지구 116: 탈기공
118: 삽입공 120: 하우징
122: 내통 124: 외통
125: 내벽 126: 걸림공
127: 배기공 128: 연통홈
130: 단속부 132: 단속부재
134: 탄성부재 140: 체크밸브
142: 걸림대 144: 차폐판

Claims (4)

  1.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탈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100)는
    받침판(112)의 중앙에 일정높이 세워진 지지구(114)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구(114)에 복수의 삽입공(118)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지지구(114)가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122)과 상기 내통(122)과 일정간격이 떨어진 외통(124)과 상기 내통(122)과 외통(124)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내벽(125)이 마련되고 상기 내통(122)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깊이로 복수의 단속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125)의 어느 일측에는 걸림공(126)과 상기 걸림공(126)의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배기공(127)이 형성되며 상기 외통(124)의 하단에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홈(128)이 형성된 하우징(120);
    상기 본체(110)와 하우징(1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10)에 하우징(120)의 설치높이를 변경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속부(130); 및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담수상황일 경우 상기 하우징(120)의 배기공(127)을 통해 담수된 물이 탈기장치(100)의 내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체크밸브(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복수의 삽입공(118) 각각에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삽입공(118)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속부재(132); 및
    상기 단속부재(132)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삽입공(118)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속부재(132)가 단속홈(123)에 걸림됨에 따라 본체(110)에서 하우징(120)이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3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걸림공(126)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대(142); 및
    상기 걸림대(142)의 하단에 마련되어 자체 하중에 의해 아래로 쳐져 있다가 담수상황일 경우 부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하우징(120)의 배기공(127)을 덮어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판(14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100)는
    바탕면(1)의 가장자리에 일정폭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에 접착되는 방수시트를 상기 바탕면(1) 전체에 포설하여 방수시트층(3)을 형성하며;
    상기 방수시트층(3)에는 탈기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간에 일정크기를 오려내어 흡기공(5)을 형성하고 상기 흡기공(5)이 형성된 방수시트층(3)의 상면에 상기 탈기장치(100)의 본체(110)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하여 탈기를 원활하도록 지지구(114)와 간격유지부재(119)를 가지는 받침판(112)을 안착 고정시킨 후 상기 본체(110)에 하우징(120)을 결합시키고;
    상기 본체(110)에 결합된 하우징(120)을 형성하고자 하는 도막층(4)의 두께에 맞춰 간격을 조절한 후 상기 간격이 조절된 하우징(120)을 기준으로 도막층(4)이 형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20100124288A 2010-12-07 2010-12-07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17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88A KR101176850B1 (ko) 2010-12-07 2010-12-07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288A KR101176850B1 (ko) 2010-12-07 2010-12-07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09A KR20120063209A (ko) 2012-06-15
KR101176850B1 true KR101176850B1 (ko) 2012-08-24

Family

ID=4668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288A KR101176850B1 (ko) 2010-12-07 2010-12-07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3B1 (ko) * 2015-06-29 2016-07-25 주식회사 아키포럼건축사사무소 드레인 시공방법
KR20210077411A (ko) 2019-12-17 2021-06-25 최원환 수분증발 기능을 갖는 방수 및 보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2B1 (ko) * 2018-10-31 2019-07-01 (주)진성케미텍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KR102223020B1 (ko) * 2019-07-26 2021-03-05 (주)동아방수 태양전지를 구비한 탈기반을 이용한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KR102615181B1 (ko) * 2021-04-14 2023-12-19 디자인창조(주) 콘크리트 옥상 방수층 자율형 배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62B1 (ko) 2006-12-18 2007-09-20 오상근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62B1 (ko) 2006-12-18 2007-09-20 오상근 역류방지용 탈기장치
KR100963486B1 (ko)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463B1 (ko) * 2015-06-29 2016-07-25 주식회사 아키포럼건축사사무소 드레인 시공방법
KR20210077411A (ko) 2019-12-17 2021-06-25 최원환 수분증발 기능을 갖는 방수 및 보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09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50B1 (ko)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CN109577569B (zh) 开放式防水系统
US7698858B2 (en) Membrane for the protection of buildings
CA2636064A1 (en) Drainage system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WO2017016296A1 (zh) 高强度防风防滑防水垫层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JP2010043496A (ja) 建築用遮熱性透湿防水シート
CN108560836B (zh) 石板瓦安装机构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CN100410468C (zh) 节能坡屋面构造及其防水方法
KR101614443B1 (ko) 지하구조물의 벽체 외벽면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구조 및 시공방법
KR200439881Y1 (ko) 석고보드 이음새 메움용 타공 접착 테이프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20090099126A (ko) 방수시공용 시트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102136395B1 (ko) 단열성을 구비한 이중방수구조
KR101654781B1 (ko)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CN214785653U (zh) 一种卫生间地面防渗漏结构
CN217536868U (zh)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防渗水装置
CN216766636U (zh) 一种建筑工程地下室用防渗漏结构
CN211597535U (zh) 一种建筑地面自留防水装置
JP4054108B2 (ja) 地下構造物の防水工法
CN217053658U (zh) 建筑
US20230366198A1 (en) Drainage device
CN211730515U (zh) 一种用于高防水用双面粘结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