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192B1 -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 Google Patents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192B1
KR101994192B1 KR1020180131656A KR20180131656A KR101994192B1 KR 101994192 B1 KR101994192 B1 KR 101994192B1 KR 1020180131656 A KR1020180131656 A KR 1020180131656A KR 20180131656 A KR20180131656 A KR 20180131656A KR 101994192 B1 KR101994192 B1 KR 10199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crete
sheet
waterproof shee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병준
류형걸
Original Assignee
(주)진성케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케미텍 filed Critical (주)진성케미텍
Priority to KR102018013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공하는 타공단계, 타공된 부분에 에어밴트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의 재질을 방수시트의 재질과 동일한 PVC 재질 또는 TPO 성분을 갖는 열가소성 및 경화성 수지로 구성하여, 방수시트와의 동일 재질끼리의 열융착으로 인한 접착력 향상을 통해 영구히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면을 통하여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WATERPROOF METHOD FOR PREVENTING OF DEW PHENOMENON}
본 발명은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공하는 타공단계, 타공된 부분에 에어밴트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의 재질을 방수시트의 재질과 동일한 PVC 재질 또는 TPO 성분을 갖는 열가소성 및 경화성 수지로 구성하여, 방수시트와의 동일 재질끼리의 열융착으로 인한 접착력 향상을 통해 영구히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면을 통하여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건물 옥상에는 별도의 방수공법이 시공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건물이 콘크리트로 지어지기 때문으로, 콘크리트로 물이 스며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콘크리트의 내부로 스며든 물은 콘크리트의 균열의 원인이 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스며든 물이 빠져나가며 누수현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건물의 옥상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바닥면은 방수공법을 진행하게 된다. 방수공법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한국등록특허 10-1385829호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복합방수 코팅 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복합 방수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탕층으로부터 방수층을 전반적으로 띄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탕층의 균열이나 상태에 크게 관계없이 복합방수층을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방수공법을 시공할 경우에는, 바닥면에 일정 거리마다 탈기구(에어밴트)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에서 발생하여 상측으로 배출되는 습윤성 공기를 제거해주고 있으며, 이러한 탈기구가 설치되지 않으면, 방수층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해 방수효율이 저감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676326호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이용한 방수층 제작방법 및 벽면에 시공된 탈기구를 포함하는 방수층"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벽면(2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30)를 제외한 부분과 바닥면(10)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제1방수층(100)을 형성하는 제1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제1방수층(100)의 표면에 시트(40)를 부착하여 제2방수층(200)을 형성하는 제2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공기배출부(30)를 덮도록 상기 제2방수층(200)의 표면에 탈기구(50)를 부착하는 탈기구 부착단계, 상기 제2방수층(200)의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여 제3방수층(300)을 형성하는 제3방수층 형성단계 및 상기 제3방수층(300)의 표면에 코팅 마감제를 도포하여 제4방수층(400)을 형성하는 제4방수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탈기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340호 "방수작업용 탈기구"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옥상의 바닥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플랜지를 가지고 절두원뿔 형상으로 구비하는 탈기바디와, 상기 고정플랜지에 바닥면과 고정수단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공과, 상기 탈기바디의 상부 벽면에 바닥면에서 발생한 수분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배출공과, 상기 탈기바디의 외부에 구비하여 배출공을 통하여 외부의 수분과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포함하는 탈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과 같이, 종래의 탈기구는 금속성, 특히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알루미늄으로 생산된 제품은 우레탄 코팅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PVC 또는 올레핀 방수시트 작업시에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과 방수시트간의 접착문제가 발생이 되는데, 이는 상기 탈기구는 접착제를 통하여 방수시트에 접착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접착면이 떨어져 물기가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누수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공단계, 에어밴트 설치단계, 방수시트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를 상기 방수시트와 동일한 재질인 PVC 또는 TPO 성분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져 에어밴트와 방수시트간의 접착력을 높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옥상방수공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에어밴트를 이동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바닥에 있는 물이나 습기, 기포 등을 밖으로 배출하고, 덮개에 의해 빗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옥상방수공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콘크리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부직포를 더 시공하는 부직포 시공단계를 통하여 보온기능을 더 기대할 수 있는 옥상방수공법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은
콘크리트 타공단계;
콘크리트의 타공된 부분에 에어밴트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에어밴트가 설치된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는 상기 방수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 또는 TPO(Thermoplastic polyolefins) 성분을 갖는 열가소성 및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은
옥상 콘크리트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부분에 에어밴트를 설치하는 단계, 에어밴트가 설치된 콘크리트에 방수시트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를 상기 방수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이종재질에 따른 접착력 약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여, 장기간 사용 하는 경우에도 접착력 약화에 따른 크랙발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밴트는 PVC 재질 또는 올레핀의 경질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됨에 따라 방수시트와 열융착으로 접착이 가능하여 영구히 사용이 가능하고, 접착면이 떨어져 물이 안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밴트로 인하여 바닥공사후 바닥에 갇힌 수분이나 습기가 에어밴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내부 습기만 에어밴트, 구체적으로는 에어밴트에 형성되는 이동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덮개를 더 구비하여 빗물이나 외부 물이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부직포 시공단계를 더 추가함에 따라 바닥의 보온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부직포가 내부 습기를 빨아들여 에어밴트를 통하여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습기로 인한 누수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에어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에어밴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에어밴트의 실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시트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에 부가되는 태양광 패널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M)은 방수시트(S)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한 에어밴트(B)를 통하여 바닥내의 습기 또는 물기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 후 표면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밴트(B)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공하는 타공단계(M1), 타공괸 부분에 에어밴트(B)를 설치하는 설치단계(M2), 에어밴트(B)가 설치된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S)를 도포하는 도포단계(M3)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부직포 시공단계(M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등에 방수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공하여 에어밴트(B)를 고정하고, 에어밴트(B)가 고정된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방수시트(S)를 도포하되, 상기 방수시트(S)와 에어밴트(B)의 재질을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이종 재질에 따른 접착력 약화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상기 방수시트(S)에 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방수시트(S)는 상부시트층, 상기 상부시트층의 저면에 합지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 저면에 합지되는 하부시트층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시트층은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 소재, 가소제, 탄산칼슘, 안정제, UV흡수제, 향균제 및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층은 폴리에스터 직물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시트층(100)과 하부 시트층(300)에 의해 방수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높이고, 보강층(200)에 의해 인장강도, 수밀성을 높이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층(200)의 수밀성과 접착성을 높여, 방수성을 한층 강화하는 것은 물론, 시트의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상부 및 하부 시트층(100)(300)은 모두 PVC 소재 또는 올레핀의 경질소재 시트로 구성되는바, 방수 및 차수의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시트층(100)(300)의 가소화 효율을 높여 시트의 연질 유연성을 개선함으로써, 시공성 및 저온 굴곡성이 우수하고,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에도 쉽게 시공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 시트층(100)과 하부 시트층(300)은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 가소제, 탄산칼슘, 안정제, UV 흡수제, 항균제 및 난연제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 100중량부, 가소제 50~70중량부, 탄산칼슘 10~100중량부, 안정제 3~5중량부, UV 흡수제 0.3~2중량부, 항균제 0.1~2중량부 및 난연제 1~20중량부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는 상, 하부 시트층(100)(300)의 베이스 수지로서, 방수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성이 우수하여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옥상 등과 같이 열에 노출되는 위치에 시공되더라도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하, 상, 하부 시트층(100)(300)을 설명함에 있어서의 '중량부'는 상기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는 상기 상, 하부 시트층(100)(300)의 가소화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DOP(Dioct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OA(Dioctyl Adipate), DBP(Dibutyl Phthalate) 및 CITROCIZER-A(Citric Acid Ester)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50~7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50중량부 미만이면 유연성이 떨어지고, 70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탄산칼슘은 필러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10~10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이는 상기 탄산칼슘이 10중량부 미만이면 강성이 좋지 못하고, 100중량부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탄산칼슘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필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안정제는 열 안정제, UV 안정제 및 2종 모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바, 내후성, 내광성을 개량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 역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용 가능한데, 예시적으로 UV 안정제로는 하이드록시 벤조페논(Hydroxy Benzophenone),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s) 중 1종 이상을, 열 안정제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제는 3~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UV 흡수제는 상, 하부 시트층(100)(300)의 장기 내후성의 개선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벤조페논(Benzophenone), 옥틸메톡시 시너메이트(octylmethoxy cinnamate)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UV 흡수제는 0.3~2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0.3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오히려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상기 항균제는 시트의 항균성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숯, 활성탄, 이산화티탄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0.1~2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난연제는 방염성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사용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1~2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시트의 물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 및 하부 시트층(100)(300)은 내한성 가소제 10~50중량부 및 산화 방지제 1~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한성 가소제는 시트층(100)(300)의 겨울철 깨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DBS(Dibutyl decanedio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내한성 가소제는 10~5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이면 내한성의 개선이 어렵고, 5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상, 하부 시트층(100)(300)의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산화 방지제는 내광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UV 흡수제와 함께 사용시 내광성이 현저히 개선되어 옥외 장기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 및 인계를 혼합한 페놀,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 시판되는 BB 02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화 방지제는 1~3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 하부 시트층(100)(300)은 안료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안료를 통해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 가소제, 탄산칼슘, 안정제, UV 흡수제, 항균제 및 난연제 등을 포함하는 상, 하부 시트층(100)(300)은 우수한 방수 및 차수성, 내구성, 내마모성, 내광성, 항균성, 방염성 등을 갖는 것은 물론, 저온 굴곡성이 우수하여 평탄하지 않은 바닥면에도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시트층(100)과 하부 시트층(300) 사이에는 상기 보강층(200)이 개재된다. 즉, 상기 상부 시트층(100)의 저면에 보강층(200)이 합지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층(200)은 복합 방수 시트의 수축 및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바, 고강성의 폴리에스터 직물을 포함한다. 즉, 상기 PVC 재질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의 상부 시트층(100)과 하부 시트층(300)만으로 방수 시트를 구성할 경우, 시트의 수축 및 팽창으로 인해 방수성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고, 인장강도가 좋지 못해 쉽게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는바, 상기 보강층(200)을 통해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일반적인 건축물은 콘크리트의 경화과정에서 수축 및 팽창이 발생하여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축 및 팽창 과정에서 복합 방수 시트의 수축율 및 신장력이 낮으면 복합 방수 시트가 겹치거나 파손되어 방수 및 차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복합방수 시트는 건축물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유동적인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보강층(200)을 통해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층(200)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 페이스트수지가 함침된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폴리에스터 직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시 폴리에스터 직물은 수밀성이 좋지 못해 외부로부터 발생한 수분이나 물이 혼입될 수 있고, 상기 상, 하부 시트층(100)(300)과의 접착성이 좋지 못해 층간 박리가 일어날 우려가 있는 것이나, 상기 페이스트수지가 함침된 폴리에스터 직물을 사용하면, 이러한 폴리에스터 직물의 단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수시트(S)는 상기 보강층(200)은 폴리에스터 직물에 의해 인장강도가 개선되며, 페이스트수지의 함침에 의해 수밀성 및 접착성이 개선된다.
여기서, 상기 페이스트수지(Paste Resin)는, PVC 수지, 가소제, 안정제,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PVC 수지는 졸의 베이스 수지로서, 상, 하부 시트층(100)(300)과 동일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하, 페이스트수지를 설명함에 있어서 '중량부'는 상기 페이스트수지에 사용된 PVC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소제는 앞서 상, 하부 시트층(100)(300)과 동일하게 DOP(Dioctyl Phthalate), DINP(Diisononyl Phthalate), DOA(Dioctyl Adipate), DBP(Dibutyl Phthalate) 및 CITROCIZER-A(Citric Acid Ester)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 가능하며, 60~9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안정제 역시 앞서 상, 하부 시트층(100)(300)과 동일한 열 안정제, UV 안정제 또는 2종 모두를 사용하며, 3~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경화제는 아민 타입 경화제(amine type hardener) 및 산무수물 타입 경화제(Anhydride type hardener)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4,4'-diaminodiphenlysulf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3~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PVC 수지, 가소제, 안정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수지는 점도가 1,500~2,000cps인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한 점도를 벗어나면 충분한 함침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이스트수지의 함침 중량은 300~500gr/㎡임이 바람직한 바, 함침 중량이 너무 적으면 수밀성 및 접착력의 확보가 어렵고, 과량이 되면 보강층(200)의 두께 및 무게가 필요 이상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방수시트(S)의 상기 상부 시트층(100)의 두께는 0.7~1mm이고, 상기 하부 시트층(300)의 두께는 0.8~1.2mm이며, 상기 보강층(200)의 두께는 0.01~0.5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상부 시트층(100), 보강층(200), 하부 시트층(300)의 두께를 제한함으로써, 내구성, 내마모성을 높이면서도 필요 이상으로 방수층이 시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시공면과 복합 방수 시트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얇으면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두께로 제한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시트층(100)(300)과 보강층(200)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열합지되는 것으로, 상, 하부 시트층(100)(300)과 보강층(200)이 모두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소재를 베이스로 하고 있으므로, 상호 간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S)는 토치나 별도의 용제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 아닌, 열풍 융착 건식고정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공기가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부 시트층(100)과 하부 시트층(300), 보강층(200) 간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손쉽게 융착되므로 조인트 부위의 수밀성이 보장된다는 장점도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보강층(200)과 하부 시트층(300) 사이에 중앙 시트층(400)과 보강층(200')이 추가로 더 합지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중앙 시트층(400)과 보강층(200')을 더 포함하면 더욱 우수한 내구성,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추가로 합지되는 보강층(200')과 중앙 시트층(400)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보강층(200) 및 하부 시트층(300)의 구성과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닥 내부의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밴트(B)를 구비하되, 이 에어밴트(B)를 상기 방수시트(S)의 소재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에 따라 접착력을 강화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밴트(B)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 또는 TPO(Thermoplastic polyolefins) 성분을 갖는 열가소성 및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밴트(B)는
이동로(111)가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 하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2)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플랜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중앙꼭지부(21)와, 상기 중앙꼭지부(2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2), 상기 경사부(22)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랜지(13) 외각을 감싸는 테두리부(23)를 포함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플랜지에는 복수개의 통공(1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본체(10)는 원통형의 몸체(1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몸체(11)가 상하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습기 또는 물기 등이 통과할 수 있는 이동로(111)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몸체(11)의 하부에는 플랜지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12)에는 복수개의 볼트공(12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타공단계(M1)에 의해 타공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이동로(111)가 이 타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에어밴트(B) 설치단계(M2)를 통해 에어밴트(B)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몸체(11)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13)가 더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상부플랜지(13)는 상기 덮개(20)를 고정함과 동시에, 아래로부터 상승된 습기 또는 물이 상기 상부플랜지(13)를 통과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플랜지(13)에는 복수개의 통공(13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통공(131)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몸체(11) 상부에는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물기, 빗물 등이 상기 이동로(1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2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덮개(20)는 원뿔(삿갓)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꼭지부(21)와, 상기 중앙꼭지부(2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 및 상기 경사부(22)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테두리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경사부(22)에 의해 외부 물기는 경사부(22) 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아래로 낙하될 수 있으며, 이 덮개(20)가 상기 몸체(11)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이동로(111)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물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2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이동로(111)의 상단과, 상기 중앙꼭지부(21) 사이에는 이격된 이격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이격부(25)로 물기가 올라오면, 상기 경사부(22)의 내측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물기가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테두리부(23)는 상기 몸체(11)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플랜지(13)의 외각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플랜지(13)의 외각이 상기 테두리부(23)의 내측에 억지끼움 되면서, 상기 테두리부(23)와 경사부(22)의 경계면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덮개(20)를 본체(1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23)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23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돌출둘기가 상기 상부플랜지(13)의 하부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덮개(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에어밴트(B)가 콘크리트에 설치되면, 상기 에어밴트(B)가 설치된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S)를 도포하게 되며, 이 방수시트(S)가 에어밴트(B)의 플랜지부(12)를 덮도록 시공됨에 따라 플랜지부(12)가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를 더 추가하는 부직포 시공단계(M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부직포 시공단계(M4)는 에어밴트(B) 설치단계(M2) 전에 구비되는 것으로, 콘크리트와 방수시트(S) 사이에 구비되어 보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 부직포에 에어밴트(B)가 설치되어 부직포에서 흡수한 물기 등을 에어밴트(B)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에어밴트(B)는 50㎡~100㎡ 간격에 1개씩 에어벤트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안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방수공법(M)의 에어밴트(B)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덮개(20), 보다 정확하게는 경사부(22)에는 태양광 패널(P)이 더 구비되도록 하여, 옥상에 시공 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며, 도면에서는 태양광 패널(P)만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른 전기배선 등은 도시하지 않았다.
다시, 상기 태양광 패널(P)은 유지보수를 위하여 탈부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탈부착을 위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P)의 단부와, 상기 덮개(20)에는 별도의 록킹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 패널(P)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우선, 상기 록킹유닛(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패널(P)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록킹부재(31)와, 상기 덮개(20) 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경사부(22)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2 록킹부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록킹부재(31)에는 가변휠유닛(40)이 더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록킹부재(31)는 제1 함체(311)와, 상기 제1 함체(311)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 함체(312)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제1 함체(311)의 상부 양측(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을 말한다.)에 슬라이딩돌기(311a)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함체(312)의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돌기(311a)에 결합되는 대응돌기(312a)로 이루어져 제1 함체(311) 상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록킹부재(32)는 상기 경사부(22)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바(321)와, 상기 수직바(32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바(322), 상기 수평바(322)로부터 하향 절곡형성된 걸림바(323)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바(323)는 상기 제2 함체(312)의 후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직바(321)는 제2 함체(312)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제1 함체(311)로부터 제2 함체(312)가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는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즉, 이렇게 결합되면, 상기 제2 록킹부재(32)는 힌지운동이 불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수직바(321) 단가 상기 경사부(22)의 끝단에 힌지부(H)를 통해 힌지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바(323)의 단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점으로 호 운동을 하며, 이 가상의 이동선에 제2 함체(312)가 위치하여 상기 제2 록킹부재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제2 록킹부재의 개방을 위해, 상기 제2 함체(312)가 제1 함체(311)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가상의 이동선에 제2 함체(312)가 있지 않아, 걸림바(323)의 호 운동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서, 쉽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상기 태양광 패널(P)이 측방향, 즉 상기 제2 함체(312)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부(22)에는 경사부(22)를 따라 상기 태양광 패널(P)이 안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하도록 구비되는 안착홈이 더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함체(312)가 제1 함체(311)로부터 보다 손쉽게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변휠유닛(40)을 더 구비하여 이를 극복하고 있다.
도 7은 앞서 언급한 가변휠유닛(40)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가변휠유닛(40)은 상기 제2 함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구형의 금속성볼(41)과, 상기 금속성볼(41)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마그넷결합부(431)와 상기 마그넷결합부(431) 하단에 구비되는 휠(433)로 이루어지는 바퀴부재(43)와, 상기 제1 함체(3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재(43)가 보관되는 보관홀(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 함체(312)의 하단에는 인입홈(312b)이 형성되고, 이 인입홈(312b)에 금속성볼을 내삽하는 볼하우징(411)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볼하우징(41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볼하우징(411)은 금속성볼이 공회전 가능하게 잡아주되, 상기 인입홈(312b)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볼하우징(411)은 상기 금속성볼(41)의 절반 이상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후술하는 마그넷결합부(431)와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하기 위하여 상기 볼하우징(411)의 일측, 즉 후술하는 마감부재(312c) 방향에는 반대방향보다 더 돌출된 정위치돌기(411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성볼(41)은 구형의 볼베어링과 유사한 것으로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체(311)의 상부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제2 함체(31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때 상기 제2 함체(312)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413)가 압착되어, 상기 볼하우징(411)이 내측으로 들어감으로서 금속성볼(41)의 일부가 제2 함체(312)의 바닥에 노출되어 제1 함체(311)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A]는 상기 제2 함체(312)를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 함체(312)의 바닥은 제1 함체(311)의 두께 만큼 이격됨에 따라 별도의 바퀴부재(43)가 상기 금속성볼(41)에 결합되어 이 이격거리를 메워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퀴부재(43)는 상기 금속성볼(41)의 형상 일부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금속성볼(41)이 안착되는 안착홈(431a)과, 이 안착홈(431a)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정위치돌기(411a)가 안착되는 돌기안착부(431b), 상기 돌기안착부(431b) 일측에 구비되어 정위치돌기(411a)를 지지하는 지지돌기(431c)를 포함하는 마그넷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금속성볼(41)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마그넷결합부(431)는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상기 금속성볼(41)과 볼하우징(411)에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서, 제2 함체(312)를 이동시켜도 안정적으로 바퀴부재(43)가 금속성볼(4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정위치돌기(411a) 및 지지돌기(431c)에 의하여 바퀴부재(43)가 금속성볼(41)의 표면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금속성볼(41)의 표면이 구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력에 의해 붙는다 하더라도 움직임이 고정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바퀴부재(43)는 상기 제2 함체(312)를 제1 함체(311) 방향으로 밀어 넣는 경우, 보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함체(311)의 일측에는 상기 바퀴부재(43)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홀(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관홀(45)의 하단에는 상기 바퀴부재(43)가 보관될 때, 바퀴부재(43)의 저면에 밀착되는 받침부(45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받침부(451)의 일단에는 경사진 진입안내부(451a)가 형성되어 바퀴부재(43)가 상기 받침부(451) 위로 손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바퀴부재(43)를 금속성볼(41)로부터 분리 또는 부착시키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2 함체(312)를 제1 함체(311)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바퀴부재(43)가 받침부(451) 위로 올라타 보관홀(45)에 위치하고, 이 때 마그넷결합부(431)의 단부가 제1 함체(311)의 일측에 밀착되어 더 이상 바퀴부재(43)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제2 함체(312)를 계속 밀면,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413)가 압착되면서 금속성볼(41)이 마그넷결합부(431)로부터 이탈되어 제1 함체(311)의 상부면에 올라타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항 상기 제1 함체(311)에는 별도의 곡면부(453a)를 더 구비하여 금속성볼(41)이 보다 손쉽게 올라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제2 함체(312)를 밀게 되면, 바퀴부재(43)와 금속성볼(41)이 분리되고, 이 때 바퀴부재(43)가 보관홀(45)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함체(311)의 단부에는 고정금속(453)이 더 구비되어, 상기 마그넷결합부(431)가 고정금속(453)과 자력에 의해 붙어있어 바퀴부재(43)의 이탈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2 함체(312)에는 하향 돌출된 마감부재(312c)가 더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제2 함체(312)를 끝까지 밀어넣으면, 상기 마감부재(312c)가 보관홀(45)을 막아 바퀴부재(43)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상기 제2 함체(31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제1 함체(311)로부터 돌출시키면, 상기 금속성볼(41)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금속성볼(41)과 마그넷결합부(431)가 인접하면 상호간에 자성이 형성되고, 안착홈(431a)에 금속성볼이 정확하게 안착되면, 상호간에 자력을 형성하는 표면적이 가장 넓어 가장 센 자력을 형성함에 따라 마그넷결합부(431)와 고정금속(453)을 서로 분리시켜 바퀴부재(43)가 금속성볼(41)을 따라 보관홀(45)로부터 이탈되어 바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가변휠유닛(40)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손쉽게 제2 함체(312)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제2 함체(312)를 보다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옥상방수공법 M1 : 타공단계
M2 : 설치단계 M3 : 도포단계
M4 : 시공단계 S : 방수시트
B : 에어밴트 P : 태양광패널
100 : 상부 시트층 200 : 보강층
300 : 하부 시트층
10 : 본체 11 : 몸체
111 : 이동로
12 : 플랜지부 121 : 볼트공
13 : 상부플랜지 131 : 통공
20 : 덮개 21 : 중앙꼭지부
22 : 경사부 23 : 테두리부
231 : 돌출돌기 25 : 이격부

Claims (4)

  1. 콘크리트 타공단계(M1);
    콘크리트의 타공된 부분에 에어밴트(B)를 설치하는 설치단계(M2);
    상기 에어밴트(B)가 설치된 콘크리트 상부면에 방수시트(S)를 도포하는 도포단계(M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B)는 상기 방수시트(S)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밴트(B)는
    이동로(111)가 형성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 하부에 구비되는 플랜지부(12)와 상기 몸체(11) 상부에 구비되며, 복수의 통공(131)이 형성된 상부플랜지(13)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에 억지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중앙꼭지부(21)와, 상기 중앙꼭지부(21)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2),상기 경사부(22)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플랜지(13) 외각을 감싸는 테두리부(23)를 포함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테두리부(23)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231)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20)가 본체(10)에 억지끼움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13)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덮개(20)와 본체(10)를 고정하고,

    상기 방수시트(S)는
    상부시트층(100)과, 상기 상부시트층(100) 저면에 합지되는 보강층(200), 상기 보강층(200) 저면에 합지되는 하부시트층(3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시트층(100)과 하부시트층(300)은 모두
    PVC 수지 또는 올레핀 경질 소재, 가소제, 탄산칼슘, 안정제, UV흡수제, 향균제 및 난연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층(200)은 폴리에스터 직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밴트(B)는
    PVC(Polyvinyl chloride) 재질 또는 TPO(Thermoplastic polyolefins) 성분을 갖는 열가소성 및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밴트 설치단계 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와 방수시트 사이에 부직포를 시공하는 부직포 시공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2)의 상면에는 태양광 패널(P)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태양광패널(P) 단부에 구비되는 제1 록킹부재(31)와, 상기 경사부(22)의 끝단에 구비되는 제2 록킹부재(32)로 이루어지는 록킹유닛(30)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1 록킹부재(31)는
    제1 함체(311)와, 상기 제1 함체(311)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함체(3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록킹부재(32)는 수직바(321)와, 상기 수직바(32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바(322), 상기 수평바(322)로부터 절곡 형성된 걸림바(323)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함체(312)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함체(312)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 록킹부재(32)가 상기 제2 함체(312)를 감싸면 상호간에 결합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P)이 상기 경사부(22)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KR1020180131656A 2018-10-31 2018-10-31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KR101994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56A KR101994192B1 (ko) 2018-10-31 2018-10-31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56A KR101994192B1 (ko) 2018-10-31 2018-10-31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192B1 true KR101994192B1 (ko) 2019-07-01

Family

ID=6725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656A KR101994192B1 (ko) 2018-10-31 2018-10-31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1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2488883B1 (ko) 2022-09-06 2023-01-13 조성철 방수시공용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359A (ko) * 2007-08-30 2009-03-04 김성겸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73824B1 (ko) * 2008-01-18 2010-08-0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20120063209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칠만공사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173410B1 (ko) * 2011-09-26 2012-08-20 이동훈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1179227B1 (ko) * 2011-12-02 2012-09-03 이홍열 무용제아스팔트도막재와 티피오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 복합방수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359A (ko) * 2007-08-30 2009-03-04 김성겸 콘크리트 슬래브용 탈기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73824B1 (ko) * 2008-01-18 2010-08-0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20120063209A (ko) * 2010-12-07 2012-06-15 주식회사 칠만공사 균일한 도막층 형성을 유도하며 방수층 상부에 설치 가능한 플레이트구조를 가지는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173410B1 (ko) * 2011-09-26 2012-08-20 이동훈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1179227B1 (ko) * 2011-12-02 2012-09-03 이홍열 무용제아스팔트도막재와 티피오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 복합방수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484A (ko)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20230125161A (ko) 2021-06-08 2023-08-29 왕미정 옥상 방수공법
KR102488883B1 (ko) 2022-09-06 2023-01-13 조성철 방수시공용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192B1 (ko)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ES2439190T5 (es) Perfiles para fijar placas rígidas
US9115536B2 (en)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and a window comprising such a pane module
US20120085063A1 (en) Flashing tape
KR20120079097A (ko) 고분자 맴브레인에 물체를 장착하는 시스템
US9228352B2 (en) Insulated skylight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4031640A (ja) 軒天換気構造体
EP3467229B1 (en) Eave with sealing strip
KR200442772Y1 (ko) 태양광 전기판 일체형 시트
JP6539857B2 (ja) 止水面材の連結方法
KR101832830B1 (ko) 복합 방수 시트
CN104314246B (zh) 一种一体化防渗漏节能降噪屋面系统
KR101946423B1 (ko) 옥상코너를 포함한 옥상의 누수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1858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방수층 보호용 탈기장치
KR100806634B1 (ko) 폴리에스테르 강화 pvc 방수 시트와 단부 실링재의열화방지 캡을 이용한 옥상의 방수 구조
JP6938077B2 (ja) シート防水構造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742702B1 (ko) 막구조물 하이테크 클램핑 시스템
JP4566328B2 (ja) 防水シート及び施工方法
JP7095829B2 (ja) 固定部材および防水構造
CN204225374U (zh) 一种一体化防渗漏节能降噪屋面系统
JP6915220B1 (ja) 自在ドレインおよび補修ドレインセット
JP5686337B2 (ja) 防火・防水外装構造の施工方法
JP6711491B2 (ja) 固定具およびシート防水構造
JP7318849B2 (ja) シート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