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824B1 -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824B1
KR100973824B1 KR1020080005869A KR20080005869A KR100973824B1 KR 100973824 B1 KR100973824 B1 KR 100973824B1 KR 1020080005869 A KR1020080005869 A KR 1020080005869A KR 20080005869 A KR20080005869 A KR 20080005869A KR 100973824 B1 KR100973824 B1 KR 10097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layer
transfer pipe
concrete surface
moistur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706A (ko
Inventor
고진수
윤종구
한경희
이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08000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8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에 노출되는 건축물의 옥상, 발코니, 베란다 또는 개방 복도 등을 방수시공함에 있어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방수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한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는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덮여진 방수층의 사이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방수층을 관통해 외부로 연장된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이송관, 습기제거부, 케이블, 방수층, 콘크리트

Description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Exhaustio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Layer Protection}
본 발명은 방수층 보호도막의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과 같이 외부에 노출된 공간의 방수도막은 직사일광을 받을 경우 표면온도가 최대 60∼80℃까지 상승하고, 이때 방수층 내부의 콘크리트에 포한된 공기와 습기가 팽창하여 방수도막을 부풀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팽창 시에는 압력을 유출하고 수축 시에는 공기를 유입시켜 방수도막의 부풀음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과 같이 노출공간에 시공되는 방수층은 합성고분자계시트를 접착제 또는 열융착으로 부착하는 시트방식과 액상의 폴리우레탄계 방수제를 현장에서 혼합 도포하는 도막방식이 있다.
특히, 현장에서 2성분의 용액을 조합 및 교반하는 도막방수는 시트방수에서 시트간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 일체형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콘크리트 바닥면과 완전히 밀착되는 특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방수도막이 외부에 노출되어 직사일광을 받으면 표면온도가 약 60 내지 80℃까지 높아져 방수층 내부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의 분자운동 및 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 공기층이 형성되고, 부피가 팽창하면서 방수층의 아래에 양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양압은 접착력이 취약한 부위에 집중되어 방수층을 부풀어 들뜸 현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기층을 탈기하기 위해, 콘크리트 바닥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들뜬 공기층에서 공기를 탈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도 1은 콘크리트 바닥에 도포된 방수층 일부가 박리되는 과정 중 공기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3) 표면이 햇빛을 받으면 표면온도가 약 60 내지 80℃까지 높아져 방수층(3) 내부의 콘크리트(1)에 포함된 공기와 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 공기층이 형성되고 부피가 팽창하며 공기압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압은 방수층(3)의 접착력이 취약한 부위에 집중되어 방수층(3)을 부풀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의 일교차는 평균 4 내지 8℃이며, 일년 중 일교차가 큰 지역은 약 20℃까지 차이가 난다. 여름철 한낮의 옥상방수층 표면온도는 60℃까지 상승하며, 이때 도막 내부와 콘크리트 사이는 약 40℃에 근접한 온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교차의 반복과 방수층과 콘크리트 계면의 온도차로 인하여 방수 층과 콘크리트의 계면에서는 하루 약 0.1kgf/cm2미만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압력은 방수층이 들뜨거나 접착력이 약한 부위에 집중되어 고무풍선처럼 도막을 부풀게 한다. 대부분의 도막방수재료는 접착강도를 약 8 내지 15 kgf/cm2이상으로 하고, 콘크리트 바닥과 방수층 사이에서는 약 0.1kgf/cm2미만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방수층이 품질기준에 적합하게 시공된 경우 부풀음은 발생하지 않으나, 계면이 밀실하게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서 부풀음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종래의 탈기장치는 방수층이 도포된 콘크리트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공간활용에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바닥과 방수층 사이에 발생하는 양압의 공기를 원활하게 탈기시킬 수 있으며 공간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게 구성한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는 양압 또는 음압 상태여야만 공기가 이송되기 때문에 역으로 외부에서 공기 또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는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덮여진 방수층의 사이에 일단이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방수층을 관통해 외부로 연장된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일단은 상기 콘크리트 표면 중 평편한 바닥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표면 중 수직하게 위치하는 측벽에 덮여진 방수층을 관통해 외부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은 절연케이블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길이 중간에는 습기제거부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기제거부는, 양측에 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채워진 실리카겔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의 길이 중간이 절단된 상태로 절단된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 구멍에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는 부직포가 위치하여 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통기층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는 버팀목이 돌출되고, 상기 방수층은 상기 버팀목에 받쳐져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 통기층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는 다공체 시트가 위치하여 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통기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일단은 습기제거부가 장착되며, 상기 습기제거부는 실리카겔 등과 같이 습기를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습기흡수재를 통기성 부재로 감싼 구조로서, 상기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통기성 부재를 관통해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 부재는 통기성 필름 또는 부직포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또한 건축물의 측벽에 장착되기 때문에 공간활용도가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는 이송관 내부에 전도체가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가 이송관을 통해 탈기 또는 유입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압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이송관을 통과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의 압력 때문에, 통상 대기압 상태에서 외부 공기뿐만 아니라 빗물이 이송관을 따라 역유입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이송관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전원케이블로서, 본 발명의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의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탈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이송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습기제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100)는, 일단이 콘크리트 바닥(10B)과 방수층(20)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방수층(20)을 관통해 외부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는 다수 가닥의 선재(113)가 채워져 양 단부의 압력상태가 양압 또는 음압이여야 공기가 이동하는 이송관(110)과, 상기 이송관(110)의 길이 중간에 설치된 습기제거부(12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10)은 옥외용 비닐절연케이블로서, 절연체인 비닐튜브(111)의 내부에 다수 가닥의 구리 선재(113)가 꼬인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이송관(110)의 내부로 공기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이송관(110) 단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최소 대기압 보다 높은 양압 상태 또는 음압 상태여야만 이송관(110)을 통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110)은 그 일단이 콘크리트 바닥(10B)과 도포된 방수층(2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송관(110)은 콘크리트 바닥(10B)과 콘크리트 측벽(10V)을 따라 연장된 후 콘크리트 측벽(10V)에 도포된 방수층(20)을 관통한다. 따라서 외부 온도에 의해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 및 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 방수층(20)과 콘크리트 바닥(10B) 사이에 압력이 높아지면 그 압력에 의해 공기와 습기가 이송관(110)으로 유입되어 이동한 후 배기된다.
한편, 이송관(110)의 길이 중간에는 습기제거부(120)가 형성된다.
습기제거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1) 양측에 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구멍에 이송관(110)이 끼워지며, 본체(121) 내부에는 실리카겔(123)이 수용된다. 한편 이송관(110)은 길이 중간이 절단된 상태로, 절단된 양단이 상기 본체(121)의 양측 구멍에 끼워진다. 또한, 습기제거부(120)는 벽면에 밀착될 수 있게 납작하고 탄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관(110)의 길이 중간에 습기제거부(120)가 위치함으로써, 이송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은 실리카겔(123)에 의해 제거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수층(20)과 콘크리트 바닥(10B) 사이에 양압이 발생하면 공기는 이송관(110)의 일단으로 유입된 후 이동하여 습기제거부(120)를 거친 다음, 이송관(110) 타단으로 배기된다. 상기 이송관(110)의 타단은 콘크리트 측벽(10V)에 도포된 방수층(20)을 관통해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10B)에서 발생한 공기는 방수층(20) 외부로 배기된다.
반면에, 낮 동안에 상승한 열이 식는 오후 늦은 시점이나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아질 경우에는 역으로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가 수축하게 되어 방수층(20)과 콘크리트 바닥(10B) 사이에 음압이 발생하며, 방수층(20) 외부의 공기가 이송관(110)을 통해 방수층(20)과 콘크리트 바닥(10B) 사이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습기제거부(120)를 거친 후에 유입되기 때문에 수분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된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110)의 일단이 위치하는 콘크리트 바닥(10B)과 방수층(20) 사이에 통기층(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통기층(30)을 형성함으로써, 통기층(30)에서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통기층(30)에 관한 기술은 건축 및 방수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이다.
대표적인 통기층(30)의 구성으로서는, 부직포(31)와 같은 부재를 콘크리트 바닥(10B)에 깔고 부직포(31)의 상면에 방수층(20)을 도포함으로써, 부직포(31)를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통기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이송관의 일단이 부직포에 접하여 위치함으로써, 부직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한 후 이송관을 통해 배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통기층을 형성하는 하나의 일 예이며, 부직포를 대신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다공체 시트 등을 부직포 대신하여 위치하여 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시트(23)를 방수층(20)으로 형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방수시트(23)를 콘크리트 바닥(10B)에 깔아 둠에 있어서, 방수시트(23)와 콘크리트 바닥(10B)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하여 통기층(30)을 형성한다. 이때 방수시트(23)는 콘크리트 바닥(10B)에 돌출된 버팀목(33)에 받쳐진 상태로, 아래에 통기층(3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이송관(110)의 일단은 상기 통기층(30)에 위치한다.
[제2 실시예]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a)와 (b)는 도 6에 도시된 탈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200)는, 실리카겔 등과 같이 습기를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습기흡수재(223)가 수용되며 통기공이 형성된 통기성 필름(221)으로 감싸인 습기제거부(220)와, 상기 습기제거부(220)에서 연장되어 이송관(21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탈기장치(200)는 습기제거부(220)가 콘크리트 표면과 방수층(20) 사이의 통기층(30)에 위치하며, 습기제거부(220)에서 연장된 이송관(210)은 콘크리트 측벽(10V)에 덮여진 방수층(20)을 관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탈기장치(200)의 설치에 있어서, 도 7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기제거부(220)가 콘크리트 바닥(10B)에 놓이거나 또는 콘크리트 측벽(10V)에 밀착되게 설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습기제거부(220)가 콘크리트 측벽(10V)에 밀착되어 설치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탈기장치(200)의 통기성 필름(221)이란, 공기와 같은 기체는 통과하지만 물과 같은 액체는 통과하지 못하는 얇은 필름으로서, 공기가 잘 통과하여 쾌적함을 주는 직물의 성질과 물을 막는 비닐봉투의 성질을 동시에 지닌 기능성 재료이다. 통기성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습기제거부의 두께가 얇아 방수층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에 위치하더라도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 은폐효과가 좋다.
상기 통기성 필름(221)은 바람직한 한 구성예이고, 통기성 필름(221)을 대신하여 부직포를 사용하더라도 방수층 부풀음 방지의 목적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바닥에 도포된 방수층 일부가 박리되는 과정 중 공기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탈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이송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습기제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의 (a)와 (b)는 도 6에 도시된 탈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B : 콘크리트 바닥 10V : 콘크리트 측벽
20 : 방수층 23 : 방수시트
30 : 통기층 31 : 부직포
33 : 버팀목 100, 200 :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110, 210 : 이송관 111 : 비닐튜브
113 : 선재 120, 220 : 습기제거부
121 : 본체 221 : 통기성 필름

Claims (10)

  1.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덮여진 방수층(20)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통기층(30)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통기층(30)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표면 중 수직하게 위치하는 측벽(10V)에 덮여진 방수층(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이송관(11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110)은, 튜브(111)의 내부에 다수 가닥의 선재(113)가 꼬인 상태로 채워져서, 이송관의 양 단부의 압력상태가 양압 또는 음압이어야 공기가 상기 이송관(110)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절연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관(110)의 중간에는 습기제거부(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습기제거부(120)는 내부에 습기흡수제가 수용되어 있는 본체(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21)의 양측에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송관(110)의 길이 중간이 절단되어 절단된 이송관(110)의 양단이 상기 본체(121)의 양측 구멍에 끼워져서, 습기제거부(120)가 이송관(110)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 및 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서 방수층(20)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압력이 상승하여 양압이 형성되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발생한 공기와 습기가 이송관(110)으로 유입되어 이동한 후 습기는 상기 습기제거부(120)에 의해 제거되어 방수층(20)의 외부로 배기되고, 방수층(20)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압력이 감소하여 음압이 형성되면 외부의 공기가 습기제거부(120)를 거치면서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이송관(110)을 통해 유입되어 방수층의 부풀음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는 부직포(31)가 위치하여 통기층(30)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통기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는 버팀목(33)이 돌출되고, 상기 방수층(20)은 상기 버팀목에 받쳐져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 통기층(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사이에는 다공체 시트가 위치하여 통기층(30)을 형성하고, 상기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통기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9. 콘크리트 표면과 상기 콘크리트 표면에 덮여진 방수층(20)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통기층(30)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상기 통기층(30)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콘크리트 표면 중 수직하게 위치하는 측벽(10V)에 덮여진 방수층(2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이송관(11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관(110)은, 튜브(111)의 내부에 다수 가닥의 선재(113)가 꼬인 상태로 채워져서, 이송관의 양 단부의 압력상태가 양압 또는 음압이어야 공기가 상기 이송관(110)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절연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표면의 평편한 바닥(10B)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관(110)의 일단에는,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 통기성 필름(221)으로 감싸지고 상기 통기성 필름(221)의 내부에는 습기흡수재(223)가 채워져 있으며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하게 되는 습기제거부(2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콘크리트에 포함된 공기 및 습기의 분자운동이 활발해져서 방수층(20)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압력이 상승하여 양압이 형성되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발생한 공기와 습기는 상기 습기제거부(220)로 유입되어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이송관(110)을 통해 이동하여 방수층(20)의 외부로 배기되고, 방수층(20)과 콘크리트 표면 사이의 압력이 감소하여 음압이 형성되면 외부의 공기가 이송관(110)과 상기 습기제거부(220)를 거치면서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유입됨으로써 방수층의 부풀음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10. 삭제
KR1020080005869A 2008-01-18 2008-01-18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10097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69A KR100973824B1 (ko) 2008-01-18 2008-01-18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869A KR100973824B1 (ko) 2008-01-18 2008-01-18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06A KR20090079706A (ko) 2009-07-22
KR100973824B1 true KR100973824B1 (ko) 2010-08-04

Family

ID=4129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869A KR100973824B1 (ko) 2008-01-18 2008-01-18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8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2B1 (ko) * 2018-10-31 2019-07-01 (주)진성케미텍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132B1 (ko) * 2018-01-03 2018-07-27 이승우 방수시트를 활용한 측벽 방수 구조체
KR101885608B1 (ko) * 2018-02-08 2018-09-06 주식회사 홍서이엔씨 구조물 균열 보수용 상온 경화형 균열 주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균열 보수 공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593A (ko) * 2001-09-21 2003-03-29 주식회사 부동산닷컴 부동산 간접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105879A (ja) * 2001-09-28 2003-04-09 Panahome Corp 換気調湿装置
KR200325593Y1 (ko) * 2003-05-28 2003-09-06 김성모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100593460B1 (ko) * 2006-03-03 2006-07-03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100769929B1 (ko) * 2007-03-08 2007-10-24 (주)월드플러스씨앤씨 통기라인이 형성된 옥상 방수층의 통기장치 및 통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593A (ko) * 2001-09-21 2003-03-29 주식회사 부동산닷컴 부동산 간접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3105879A (ja) * 2001-09-28 2003-04-09 Panahome Corp 換気調湿装置
KR200325593Y1 (ko) * 2003-05-28 2003-09-06 김성모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100593460B1 (ko) * 2006-03-03 2006-07-03 주식회사 테크닉스디앤씨 수계도료 및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및 방식 공법
KR100769929B1 (ko) * 2007-03-08 2007-10-24 (주)월드플러스씨앤씨 통기라인이 형성된 옥상 방수층의 통기장치 및 통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2B1 (ko) * 2018-10-31 2019-07-01 (주)진성케미텍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706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824B1 (ko)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101336807B1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US9447506B2 (en) Cathodic protection of a concrete structure
KR101966036B1 (ko)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2410842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 외부용 방수시트
KR101281533B1 (ko) 복합 시트를 이용한 옥상 구조물의 단열-방수 시공 방법
JP4673591B2 (ja) 屋上断熱防水構造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650374B1 (ko)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100765125B1 (ko) 코너보강용 완충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코너 수직부방수구조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CN212386107U (zh) 一种自粘改性沥青防水卷材结构
JP4642425B2 (ja) 水切りあご付きパラペットを有する屋上改修防水構造及びその工法
CN211917892U (zh) 一种屋面防水卷材
WO2015184225A1 (en) Sheet and system for curing concrete, concrete cur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structure
JP2001182237A (ja) 脱気性防水シート及びシート防水施工における脱気方法
JP2007146630A (ja) 棟施工用シート及び棟施工方法並びに棟施工装置
CN210195063U (zh) 一种基于现有建筑的屋面防水结构
KR101799332B1 (ko) 건물바닥 수분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바닥 수분 제거 방법
KR100800927B1 (ko) 콘크리트 슬라브의 방수층 배기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1205913B1 (ko) 연질형 부틸 합성고무를 포함하는 열반사 단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열 및 방수 시공방법
JP5161687B2 (ja) 屋上断熱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