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593Y1 -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 Google Patents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593Y1
KR200325593Y1 KR20-2003-0016662U KR20030016662U KR200325593Y1 KR 200325593 Y1 KR200325593 Y1 KR 200325593Y1 KR 20030016662 U KR20030016662 U KR 20030016662U KR 200325593 Y1 KR200325593 Y1 KR 200325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loor
residual moisture
dehumidifying member
vacuu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20-2003-0016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04B1/7092Temporary mechanical ventilation of damp layers, e.g. insulation of a floating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초바닥(2) 및 이의 상부로 시공된 몰타르의 평탄층(8)을 포함하는 바닥(10)에 있어 상기 기초바닥(2) 상의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건축용 탈습부재로서, 내부로 진공영역을 정의하며 외면에 상기 진공영역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관통홀(52)이 투공되어 상기 기초바닥(2)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체(50)와; 상기 각 블록체(50)의 진공영역을 연결하며 말단(60a)이 외부로 노출된 진공튜브(60)를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52)과 진공영역 및 상기 진공튜브(60)를 통해서 상기 기초바닥(2) 상의 잔류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Moisture remove unit for floor}
본 고안은 바닥의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기초바닥 및 그 상부로 시공된 평탄층을 포함하는 바닥에 있어서 상기 평탄층을 수분이 함유된 몰타르(mortar)로 시공함에 따라 기초바닥 상에 잔류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축용 탈습부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에 힘입어 사회가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인구 밀집된 도시사회가 곳곳에서 출연하고 있으며, 도시 과밀화와 토지가격 상승에 의해 건물의 토지이용도가 한계에 달하고 있다. 이에 보다 효율적인 주거환경으로서 아파트 등의 고층화된 공동주택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벽체(4) 및 바닥(10)에 대한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골격구조의 기초바닥(2) 및 벽체(4)가 콘트리트로 시공되어 있고, 기초바닥(2) 상부로 기포콘크리트 또는 스티로폼 재질의 방음 및 단열층(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로는 평탄층(8)이 시공되어 바닥(10)을 이룬다.
그리고 방음 및 단열층(6)과 평탄층(8) 사이로는 온수 등의 난방수가 순환되는 난방관(12)이 매설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목적에 따라 기초바닥(2)과 평탄층(8) 사이로 방수층 등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탄층(8)은 수평 조절에 용이하고 호스 등의 관을 사용하여 고층까지 손쉽게 운반 가능하도록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몰타르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방음 및 단열층(8) 상부로 수분을 함유한 몰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경화한다.
이 경우 몰타르의 평탄층(8)은 노출된 외면으로부터 경화되므로 수분의 대부분은 기초바닥(2)과 평탄층(8) 사이, 특히 기초바닥(2) 상에 모여 잔류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취약부분인 모서리를 통해서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벽면에 얼룩 등의 흔적을 남겨 미관을 해칠 수 있고, 더욱이 잔류수분이 온도변화에 따라 얼고 녹음을 거듭하면서 부피가 변화되어 바닥(10) 및 벽체(4)의 취약한 부분을 파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바닥 내의 잔류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건축용 탈습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닥 및 벽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가 시공된 바닥 및 벽체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방음 및 단열재의 저면과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탈습부재 50 : 블록체
52 : 관통홀 60 : 진공튜브
60a : 진공튜브 말단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바닥 및 이의 상부로 시공된 몰타르의 평탄층을 포함하는 바닥에 있어 상기 기초바닥 상의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건축용 탈습부재로서, 내부로 진공영역을 정의하며 외면에 상기 진공영역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투공되어 상기 기초바닥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블록체와; 상기 각 블록체의 진공영역을 연결하며 말단이 외부로 노출된 진공튜브를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과 진공영역 및 상기 진공튜브를 통해서 상기 기초바닥 상의 잔류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초바닥을 향해 분기된 다수의 돌출단을 가지고 상기 기초바닥 상에 방음 및 단열재가 개재될 경우 상기 블록체와 상기 진공튜브는 상기 다수의 돌출단 사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튜브 말단에 연결되어 흡기하는 진공펌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초바닥에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체(5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진공튜브(60)를 포함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각각의 블록체(50)는 내부로 소정의 진공영역(미도시)을 정의하면서 외면으로 상기 진공영역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홀(52)이 투공되는데, 특히 이들 다수의 관통홀(52)은 기초바닥에 접하는 블록체(50) 저면으로 밀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록체(50)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가급적 높이가 낮고 면적이 커 납작한 형태인 것이 바닥의 편평도를 해치지 않아 유리하며, 그 재질 또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이 수분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부식되지 않는 것이라면 종류를 불문한다.
또한 진공튜브(60)는 이들 다수의 블록체(50) 내부 진공영역을 연결하며 말단(60a)이 바닥 외부로 노출되는 것으로, 이 역시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폐색(閉塞)되지 않고 습기에 강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진공펌프(P) 등의 흡기수단을 사용하여 진공튜브(60)의 말단(60a)을 흡기함으로서 기초바닥 상의 잔류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바, 상기 잔류수분은 각 블록체(50)에 투공된 관통홀(52)을 통해서 내부 진공영역으로 유입된 후 진공튜브(60) 말단(60a)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기초바닥의 잔류수분은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그 양이 많지 않다면 별도의 흡기수단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증발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블록체(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가 하나의 진공튜브(60)에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블록체(5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진공튜브(60)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는 한꺼번에 다수가 기초바닥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가 설치된 벽체(4) 및 바닥(10)에 대한 단면도로서, 층간을 구분하는 골격구조의 기초바닥(2)과 벽체(4)가 콘트리트로 시공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바닥(2) 상부로는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가 안착되어 있으며, 그 상부로는 기포콘크리트 또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방음 및 단열층(6)과 평탄층(8)이 차례로 시공되어 바닥(10)을 구성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에 포함된 진공튜브(60) 말단(60a)은 바닥(10)과 벽체(4) 사이를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평탄층(8)은 일반적인 경우와 동일하게 방음 및 단열층(6) 상부로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몰타르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시공할 수 있는 바, 몰타르 내부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은 기초바닥(2) 상으로 모여 잔류된다. 따라서 바닥(10) 외부로 노출된 진공튜브(60) 말단(60a)을 흡기함으로서 잔류수분을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 및 단열층(6)과 평탄층(8) 사이로는 온수가 순환되는 난방관(12)이 매설될 수 있으며,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목적에 따라 별도의 방수층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첨부된 도 4는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 방음 및 단열층(6)을 구성하는 방음 및 단열재(6a)의 저면과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때 방음 및 단열재(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으로부터 기초바닥을 향해 분기된 다수의 돌출단(7)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공기를 가두어 보다 뛰어난 방음 및 단열효과를 꾀함과 동시에 바닥 수평을 용이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음 및 단열재(6a)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형태이다.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는 방음 및 단열재(6a)의 돌출단(7) 사이로 완전히 수용되는 것이 바닥의 평편도 유지를 위해 바람직한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열십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돌출단(7)을 감싸는 원형의 링 형상 또는 직선의 바(bab)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관통홀(52)은 탈습부재(50) 저면으로 밀집하여 투공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고, 이를 통해 기초바닥 상의 잔류수분을 효과적으로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탈습부재(40)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한 그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음은 수 차례 강조한 바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 및 이에 대한 서술내용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이하의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바닥의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는 외부로 노출된 진공튜브 말단을 흡기함으로서 간단하게 바닥내의 잔류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잔류수분의 양이 많지 않다면 별도의 흡기수단을 동원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증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잔류수분에 의한 벽면의 얼룩 또는 상기 잔류수분이 얼고 녹음에 따라 부피변화를 일으켜 건물에 구조적 영향을 미치는 종래의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체의 형태와 개수 그리고 배열방법은 기초바닥의 상태에 따라 얼마든지 자유로울 수 있는 바, 잔류수분 제거에 높은 신뢰성을 기하며 보다 견고하고 안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블록체는 높이가 낮고 면적이 큰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특히 방음 및 단열재의 형태에 따라 그 내부로 완전히 수용될 수 있으므로 편평도를 해치지 않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기초바닥(2) 및 이의 상부로 시공된 몰타르의 평탄층(8)을 포함하는 바닥(10)에 있어 상기 기초바닥(2) 상의 잔류수분 제거를 위한 건축용 탈습부재로서,
    내부로 진공영역을 정의하며 외면에 상기 진공영역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관통홀(52)이 투공되어 상기 기초바닥(2)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블록체(50)와;
    상기 각 블록체(50)의 진공영역을 연결하며 말단(60a)이 외부로 노출된 진공튜브(60)를 포함하여, 상기 관통홀(52)과 진공영역 및 상기 진공튜브(60)를 통해서 상기 기초바닥(2) 상의 잔류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바닥(2)을 향해 분기된 다수의 돌출단(7)을 가지고 상기 기초바닥 상에 방음 및 단열재(6a)가 개재될 경우, 상기 블록체(50)와 상기 진공튜브(60)는 상기 다수의 돌출단(7) 사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튜브(60) 말단(60a)에 연결되어 흡기하는 진공펌프(P)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20-2003-0016662U 2003-05-28 2003-05-28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200325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62U KR200325593Y1 (ko) 2003-05-28 2003-05-28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662U KR200325593Y1 (ko) 2003-05-28 2003-05-28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593Y1 true KR200325593Y1 (ko) 2003-09-06

Family

ID=4941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662U KR200325593Y1 (ko) 2003-05-28 2003-05-28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5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24B1 (ko) * 2008-01-18 2010-08-0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101117482B1 (ko) 2009-10-07 2012-02-29 오두영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24B1 (ko) * 2008-01-18 2010-08-0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층 부풀음 방지를 위한 탈기장치
KR101117482B1 (ko) 2009-10-07 2012-02-29 오두영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860B1 (ko) 방습 및 냉해방지를 위한 냉동 저온창고
KR100311601B1 (ko) 저장고 내부 제습 방법 및 그 제습 시스템
JP2018525972A (ja) 多機能トレイ
KR200325593Y1 (ko)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101895924B1 (ko)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이격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8870276U (zh) 一种建筑施工用保温隔音复合墙板
US20070180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drainage conduit
KR200321379Y1 (ko) 바닥의 잔류 수분 제거를 위한 탈습부재
KR200179066Y1 (ko) 건축 내장용 황토 패널
KR200398366Y1 (ko) 건축용 단열재
JP2012092555A (ja) 断熱構造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20039731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유니트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102258337B1 (ko) 다목적 조립식 블록 및 그 다목적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KR101619986B1 (ko) 결로수 배출구조를 갖는 단열재
JPS628248Y2 (ko)
CN207846701U (zh) 地下室墙面防潮结构
KR200298623Y1 (ko) 건축물 벽체용 배수통기구
CN206337704U (zh) 一种多功能蒸压加气混凝土砌块
KR100884931B1 (ko) 건축물의 조립식 내부 벽체구조
KR101003069B1 (ko) 슬래브 건조용 통풍패널
JPH1183102A (ja) 換気口ユニット
KR200316765Y1 (ko) 방음용 진공파이프 및 진공패드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