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874U -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 Google Patents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874U
KR20140002874U KR2020120010074U KR20120010074U KR20140002874U KR 20140002874 U KR20140002874 U KR 20140002874U KR 2020120010074 U KR2020120010074 U KR 2020120010074U KR 20120010074 U KR20120010074 U KR 20120010074U KR 20140002874 U KR20140002874 U KR 201400028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ndow frame
inclined surface
leak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각중
Original Assignee
장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각중 filed Critical 장각중
Priority to KR20201200100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874U/ko
Publication of KR201400028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8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8Protection against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창틀 새시 구조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콘크리트 벽체의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의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며, 콘크리트 벽체(C)의 개구로 설치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를 구성하는 새시본체(4)에서, 실외(O)로 면하는 변의 높이를 실내(I)로 면하는 변의 높이보다 낮은 경사면(6)으로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C)의 공극을 통해 스며드는 누수를 상기 경사면(6)이 실외(O)로 유도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면(6)의 하측에는 배수공(8)을 갖춘 차단벽(10)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6)을 타고 흘러내리는 누수가 차단벽(10)을 따라 집수 되어서 배수공(8)으로 흘러나가게 한 구성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upper member for window frame on outer wall}
본 고안은 창틀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발코니와 같이 외벽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설치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벽체로 이루어지는 건물의 창틀은 벽체 타설 시에 미리 창틀이 끼워질 수 있는 면적의 개구를 형성하여 두고, 양생 후에 그 개구 칫수에 맞춰 제작한 창틀을 끼우고 둘레의 틈새를 폼 접착제로 메우고 코오킹하여 미장 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설치방식에 있어서, 창틀이 실내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누수에 대비할 피료가 없으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의 경우는 창틀 틈새를 통한 누수에 각별히 대비해야 한다.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외벽에서 누수현상은 창틀의 틈새를 통한 빗물의 침입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지만 이것은 창틀 틈새의 차수 시공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로 보지 않는다.
다른 원인으로 콘크리트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는 그 발생부위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공지된 다음 특허문헌 1에서는 창틀의 상부 공간을 별도의 커버에 부여된 단열재와 패드로 차폐하여 외부 습기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건물의 실내외 사이의 습도 및 온도 차에 의한 습기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의 대비책이라 볼 수는 없는 것이다.
다음 특허문헌 2는 수팽창 작용으로 틈새 방수하는 실내 방수부재와, 창틀 프레임을 지지하면서 또한 실내 방수부재의 수팽창을 억제하는 실외 방수부재를 포함한 창호용 지수재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것 역시도 빗물이 창틀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일 뿐, 콘크리트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다음 특허문헌 3에 있어서도, 창틀 상부로 덧대어져 창틀 상부와 벽체 사이의 틈새를 통한 우수 침투를 방지하는 물 끊기 바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것도 틈새를 통한 빗물 침투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고 콘크리트 공극 및 균열부위를 타고 침투하는 빗물의 누수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6-0055931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08-0000865호 한국 등록특허 제1129783호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창틀 새시 구조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콘크리트 벽체의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누수가 실내로 스미지 않고 실외로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외벽체의 개구로 설치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에서, 실외로 면하는 변의 높이를 실내 측 변의 높이보다 낮게 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경사면의 상단 측에 콘크리트 벽체의 개구 면과 접하는 평면이 형성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경사면과 평면 사이에 단턱이 배치된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시공 후, 콘크리트 벽체의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해 침투하는 빗물이 경사면을 타고 흘러 내려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로 빗물이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게다가, 경사면의 상단 측에 평면이 부여된 구성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벽체의 개구 면과 접하는 면이 존재함에 따라 외벽 창틀은 비교적 견고하게 설치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경사면과 평면 사이에 단턱이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는 경사면의 상단 측이 단턱으로 차단된 구조로 되기 때문에 침투하는 빗물의 양이 많아 경사면을 거슬러 넘칠 정도라도, 단턱에 의해 차단되므로 누수 방지 효과가 탁월하게 나타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관련된 상변부재의 시공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상변부재의 시공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상변부재의 시공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시공된 예의 부분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외벽 창틀은 상변부재를 제외한 측변부재나 하변부재 등은 종래의 일반적인 새시 창틀과 동일한 구조로 된다.
본 고안에 관련된 상변부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방으로 스커트(2)가 연장되어 통상의 창문(W)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새시본체(4)의 상면이 외측(O)이 낮고 내측(I)이 높아지는 경사면(6)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경사면(6)의 하단 측에는 배수공(8)이 형성된 차단벽(10)으로 가로막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측부재가 사용된 외벽 창틀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벽체(C)에 미리 형성된 개구로 끼워져 설치된다.
또, 설치된 후에는 상변부재의 상면 공간으로 폼 충전재가 주입될 수 있고, 벽체의 실내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실란트(12)(14)로 마감처리된다.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에서, 빗물의 실내 유입은 실란트(12)(14)와의 틈새로 들어올 수 있으나, 이 부분에서의 누수문제는 실란트(12)(14)의 시공을 완벽하게 하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콘크리트 벽체(C)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 및 균열부위를 타고 흘러내리는 누수는 본 고안에 관련된 상변부재의 경우에는, 도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6)으로 떨어져 실외(O)를 향해 유도되면서 집수되어 배기공(8)을 통해 배수되므로 빗물이 실내로 누수 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2에 도시한 상변부재는 경사면(6)의 상단 측 일부가 평면(60)으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평면(6)은 상변부재가 콘크리트 벽체(C)의 개구에 설치될 때, 면 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도 콘크리트 벽체(C)의 공극 및 균열부위를 통한 빗물의 누수 문제는 경사면(6)에 의한 배수 작용으로 해소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한 상변부재는 경사면(6)과 그 상단측 평면(60) 사이에 단턱(62)이 개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상기 평면(60)은 도 2의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견고하고 안정된 설치를 보장하여 주고, 단턱(62)은 경사면(6)의 범위를 명확하게 구획하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집중 호우와 같은 큰 비에 의해 누수 되는 빗물의 양이 대단히 많아져 경사면(6)의 상단 측으로 범람하게 되어도 단턱(62)에 의해 범람이 차단되어 버리므로 콘크리트 벽체(C)의 공극 및 균열부위를 타고 스며드는 누수가 급격히 증가하여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누수 방지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관련된 상변부재에 있어서, 배수공(8)은 외관을 해치지 dkg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도 4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의 구멍으로 형성하면 잘 눈에 띄지 않아 외벽 창틀 전체의 미관을 해소하지 않게 된다.
2: 스커트 4: 새시 본체
6: 경사면 8: 배수공
10: 차단벽 12, 14: 실란트

Claims (3)

  1. 콘크리트 외벽체의 개구로 설치되는 외벽 창틀에 있어서, 하방 양측으로 창문(W)을 지지하기 위한 스커트(2)가 형성된 새시본체(4)의 상면이 실외(O)로 면하는 변의 높이가 실내(I)로 면하는 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경사면(6)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6)의 하측에는 배수공(8)을 갖춘 차단벽(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은 상단 측 일부가 콘크리트 벽체(C)의 개구 면과 접하게 되는 평면(60)으로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과 평면(60) 사이로 단턱(62)이 배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KR2020120010074U 2012-11-05 2012-11-05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KR201400028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74U KR20140002874U (ko) 2012-11-05 2012-11-05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74U KR20140002874U (ko) 2012-11-05 2012-11-05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874U true KR20140002874U (ko) 2014-05-15

Family

ID=52443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74U KR20140002874U (ko) 2012-11-05 2012-11-05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87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65B1 (ko) * 2016-03-31 2017-02-08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누수 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용 프로파일
KR20180028285A (ko) * 2016-09-08 2018-03-16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KR102229587B1 (ko) * 2021-02-17 2021-03-1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65B1 (ko) * 2016-03-31 2017-02-08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누수 방지 기능을 가진 창호용 프로파일
KR20180028285A (ko) * 2016-09-08 2018-03-16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KR102229587B1 (ko) * 2021-02-17 2021-03-1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472893U (zh) 一种女儿墙处变形缝结构
CN105089080A (zh) 在地下工程墙面底板做出可观察结构渗漏的中空层方法
KR20140002874U (ko)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JP3135365U (ja) 水切り部材
CN207794680U (zh) 一种预制混凝土板拼装式整体卫生间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CN105178778A (zh) 一种复合式门框
CN205894427U (zh) 多功能的多层复合屋面结构
CN200971695Y (zh) 防渗漏窗户
KR102029234B1 (ko) 방음터널용 기와형 지붕구조
CN204299382U (zh) 石材幕墙体系中铝合金窗的防水结构
JP5991832B2 (ja) 水切構造及び建物
KR20170125633A (ko) 배수구가 구비된 옥상의 방수 및 단열 보호재 시공공법
KR101650872B1 (ko)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자연스러운 배수구조를 갖는 창문샤시
CN205558650U (zh) 防渗水外墙窗户安装结构
CN214220310U (zh) 一种带有混凝土挑檐的屋面变形缝结构
JP2011099249A (ja) 屋根構造
JP3167272B2 (ja) 屋根の接続構造
JP3886744B2 (ja) 住宅の陸屋根
JPH025228B2 (ko)
TWM458448U (zh) 鋁門窗下軌防水結構
CN219196503U (zh) 一种具有排水隔热的平改坡屋顶
CN215716264U (zh) 一种建筑工程防水外墙结构
CN117166885B (zh) 一种铝合金门窗型材
CN212079038U (zh) 一种防止窗户渗水的建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