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285A -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285A
KR20180028285A KR1020160115785A KR20160115785A KR20180028285A KR 20180028285 A KR20180028285 A KR 20180028285A KR 1020160115785 A KR1020160115785 A KR 1020160115785A KR 20160115785 A KR20160115785 A KR 20160115785A KR 20180028285 A KR20180028285 A KR 20180028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frame
opening
corrido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생희
Original Assignee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285A/ko
Publication of KR20180028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62Tightening or covering joints between the border of openings and the frame or between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을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제작할 때 건축물의 개구부와 접하는 면에 홈을 형성하여 상부 건축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 등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이 홈을 통해 이웃한 두 개의 프레임을 연결할 때 그 사이에 연결 프레임을 끼워서 고정하며, 게다가 하부 프레임에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차단 판을 구성하므로, 복도 창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서의 모든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MOUNTING STRUCTURE FOR PASSAGE WINDOW FRAME OF APARTMENT HOUSING FOR LEAKAGE PROTECTION}
본 발명은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을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파일을 제작할 때 건축물의 개구부와 접하는 면에 홈을 형성하여 상부 건축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 등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고, 또한 이 홈을 통해 이웃한 두 개의 프레임을 연결할 때 그 사이에 연결 프레임을 끼워서 고정하며, 게다가 하부 프레임에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차단 판을 구성하므로, 복도 창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서의 모든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도 방식 아파트는 거주자가 드나드는 복도를 개방하기도 하지만,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빗물이나 이물이 복도로 들어오거나 바람 등이 불어닥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복도 창(W)을 장착한다. 이때, 이러한 복도 창(W)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을 차단하거나 통풍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381432호
우천시 내리는 빗물을 이용하여 아파트나 빌딩 등의 복도 등에 설치되는 열려진 상태의 미닫이창을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여 빗물로 인한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복도 미닫이창의 자동 닫힘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0669235호
복도식 아파트의 창틀 구조에 있어서, 특히 복도식 아파트의 창문을 가로로 이분할하고, 그 아래쪽에는 일체형 간유리 또는 미닫이형 창문을 설치하고, 윗쪽에는 미닫이형 창문을 설계하여 집안의 통풍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사생활 침해의 문제도 해결하며 또한 외부 침입으로 인한 방범 문제도 원활하게 해결코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도식 아파트의 창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 창틀은 사각형태의 매인 창틀에 가로방향으로 지지용 창틀을 설치하여 창틀 전체를 가로 방향으로 두 개로 분할하며, 그 아래에는 반투명 재질의 유리가 설계되고, 그 윗쪽에는 미닫이형 창틀이 설계되며, 미닫이형 창틀에는 투명창을 설치하여 채광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고; 본 고안은 복도식 아파트의 보도쪽 창문을 가로방향으로 이분할하여 사생활 보호문제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방범 기능이 강화되며 새집 증후군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고 쾌적한 분위기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복도 창은, [도 1]과 같이, 복도 길이만큼 개방한 부분에 대해 여러 개의 복도 창(10)을 연결하여 마치 하나로 이루어진 것처럼 시공하여 사용하는 데, 이처럼 시공한 복도 창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통상 복도 창(10)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건축물의 개구부(O)에 장착하는 데, 이때 개구부(O)의 상부에 밀착하게 장착하는 상부 프레임(11)은 상층(C)과 밀착하게 장착한다. 이때, 상층(C)과 상부 프레임(11) 사이에는 누수의 위험이 있으므로 그 사이에 실란트(S)를 도포하여 누수가 생기지 않게 구성한다. 하지만, 실란트(S)는 외부에 노출되어 뜨거운 햇살과 추운 주변 환경 변화에 오랫동안 노출되면 벗겨지는 등 그 기능을 상실하여 누수의 위험이 있다.
(2)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상층(C) 바닥에는 이런 누수를 방지하려고 물 끊기 홈(H)을 형성하여 어느 정도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하나, 근래 복도 창의 기능 등을 고려하여 복도 창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상부 프레임(11)이 이 물 끊기 홈(H)을 가리게 시공할 때가 많고, 이에 물 끊기 홈(H)이 원래 기능을 하지 못해 누수 방지를 하지 못한다.
(3) 그리고, [도 2]와 같이, 이러한 실란트(S) 문제는 상부 프레임(11) 뿐만 아니라 개구부(O)의 바닥과 밀착하게 장착하는 하부 프레임(12)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4) 한편, 복도 창(1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측면 프레임(13)에서도 누수가 발생한다. 즉, 복도 창(10)은, [도 3]과 같이,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10)의 각 측면 프레임(13)이 서로 밀착하게 장착하여 시공한다. 이때, 두 개의 측면 프레임(13)은 서로 같은 폭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밀착하는 면 사이에 실리콘(S')과 같은 밀봉 부재를 매개로 밀착 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실리콘(S')도 실란트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와 박리 등으로 빗물 등이 실내로 새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실용 제0381432호 (등록일 : 2005.04.02) 한국등록특허 제0669235호 (등록일 : 2007.01.09) 한국등록실용 제0456203호 (등록일 : 2011.10.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복도 창을 시공하는 건축물의 개구부와 마주하는 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모인 빗물 등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에 형성한 이 홈이 실란트 등의 기능을 상실하더라도 물 끊기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기존 상층에 형성한 물 끊기 홈과 더불어 실외에서 실내로 빗물 등이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부의 바닥면에 장착하는 하부 프레임 바닥에 이 하부 프레임의 폭보다 넓게 제작한 차단 판을 갖추고, 이 차단 판이 하부 프레임을 타고 내려온 빗물 등을 벽체에서 소정의 공간만큼 떨어져서 흘러내리게 구성하므로, 빗물이 복도 창과 개구부 사이로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을 맞댐에 따라 마주하는 면에 형성한 두 개의 홈이 이루는 공간에 연결 프레임을 삽입한 다음 실링 처리한 뒤 비스로 고정하므로, 측면 프레임 사이로 빗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는, 미리 정한 폭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100)을 미리 정한 길이로 잘라서 그 끝을 연결하여 제작한 다음, 복도에 연속해서 설치하는 복도 창 프레임에서, 상기 프로파일(100)은 건축물의 개구부(O)와 마주하는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홈(110)을 형성하고, 개구부(O)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100a)은 이 홈(110)이 개구부(O)에 형성한 물 끊기 홈(H)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게 시공하고, 개구부(O)의 하부에 설치하는 하부 프레임(100b)은 이 하부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밀착 고정하며 하부 프레임(100b)의 폭 방향을 따라 실외로 연장하게 형성한 차단 판(120)을 갖추며, 이웃한 두 개의 창틀 프레임이 접하는 측면 프레임(100c)은 서로 접함에 따라 이들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에 형성한 두 개의 홈(110)이 이루는 공간과 같은 형상으로 연결 프레임(130)을 삽입한 다음 실링 처리한 뒤에 비스(131)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홈(110)은, 개구부(O)의 상부 구조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H)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홈(110)은, 상부 구조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H)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이 홈(110)의 폭 안에 놓이게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 판(120)은, 미리 정한 폭을 가진 길이 부재로서 한쪽 면에는 폭의 한쪽에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홈(110)과 밀착하게 돌출 부분(121)을 형성하여 하부 프레임(100b)과 함께 고정하게 하고, 폭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출 부분(121)과 반대 방향으로 꺾인 유도 부분(1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도 부분(122)은, 상기 차단 판(120)과 둔각을 이루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개구부에서 상층 바닥과 밀착하게 시공하는 상부 프레임에 형성한 홈이 상층과 상부 프레임 사이로 들어온 빗물 등을 모아서 실외로 배출하므로 복도 창의 상부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빗물이나 이물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2) 특히, 복도 창을 시공할 때 상층 바닥에 물 끊기 홈을 형성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홈이 이 물 끊기 홈과 중첩하게 설치하므로, 실란트의 박락으로 외부에서 들어온 빗물 등이 이 물 끊기 홈까지 들어오더라도 다시 본 발명에 따른 홈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또한, 개구부의 바닥과 밀착하는 하부 프레임에는 차단 판을 장착하여 하부 프레임을 타고 내리거나 하부 프레임에서 배출하는 빗물 등을 벽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으로 배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복도 창 하부를 통한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이때, 차단 판은 하부 프레임에 형성한 홈 안으로 돌출하게 돌출 부분을 형성하므로, 이 돌출 부분을 통해 차단 판을 하부 프레임에 쉽고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 판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이 이 돌출 부분을 타고 넘지 못하게 하여 실내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누수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5) 또한, 상기 차단 판에는 소정의 각도로 꺾인 유도 부분을 형성하므로, 차단 판 위에서 유동하는 빗물 등이 실외로 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유도하여 신속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누수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6) 한편, 통상 서로 마주하여 밀착하게 설치하는 측면 프레임에는 각 측면 프레임에 형성한 두 개의 홈이 이루는 공간에 연결 프레임을 삽입하여 공간을 채우면서 실링 처리를 한 다음 비스로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을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측면 프레임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복도 창을 시공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복도 창을 연속해서 시공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을 구성하는 측면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 프레임용 프로파일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복도 창 프레임을 시공한 예로서,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 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로 제작한 복도 창 프레임을 시공한 예로서,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을 구성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프로파일의 구성)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프로파일(100)을 이용하여 사각형 격자나 삼각형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태로 제작하는 복도 창 프레임을 제작하는 데 이용한다. 특히, 상기 프로파일(100)은 이처럼 복도 창을 제작하는 데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한 구성, 예를 들어서, 한쪽 면에 창짝 프레임을 끼워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게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돌출 성형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폭 단면에서 구조적 강성을 얻기 위해 내부 단면에 격자와 같은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보강 부재를 삽입한 구조로 제작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은, [도 4]와 같이, 어느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홈(110)을 형성한다. 이때, 홈(110)은 개구부(O)와 마주하는 면, 즉 창짝 프레임 등을 장착하기 위해 가이드를 형성한 면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한다. 여기서, 개구부(O)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창문이나 문 등을 시공하기 위해 뚫린 형태로 형성한 부분을 말하며, 상기 홈(10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100)로 복도 창 프레임을 제작할 때 이 개구부(O)를 형성하는 면에 밀착하게 시공할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100)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홈(110)에 빗물 등이 고이면 이를 창 프레임의 외부, 바람직하게는 실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 구멍(140)을 형성한다.
이때, 배출 구멍(140)은 프로파일(100)의 단면 형상, 예를 들어서 격자 구조의 개수나 각 격자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 개수와 형성 위치가 달라진다. 하지만, 이 배출 구멍(140)은 상술한 홈(110)에서 이웃한 격자 등을 통해 실외 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여러 개를 형성하고, 특히 중력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이웃한 격자 구조 등으로 유동할 수 있게 형성할 수 있음을 해당 업계 종사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복도 창 프레임은 통상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거나 다각형 형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가장 많은 형태로 제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처럼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복도 창 프레임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개구부(O) 위와 아래에 각각 밀착하게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100a)과 하부 프레임(100b), 그리고 이들 상부 프레임(100a)과 하부 프레임(100b)의 끝을 연결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이들 각 프레임(100a, 100b, 100c)은 각각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 프레임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그 형상과 모양은 상술한 프로파일(100)과 같은 구성이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100a)은, [도 5]와 같이, 개구부(O)에 장착할 때 상술한 홈(110)이 물 끊기 홈(H)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물 끊기 홈(H)은 본 발명에 따른 복도 창을 시공할 층의 위층(C) 바닥에 형성하여 이 위층(C)의 외벽을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더는 실내로 들어오지 않고 아래로 떨어질 수 있게 안내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홈을 말한다.
특히, 상기 홈(110)의 폭(W)은, [도 5]와 같이, 물 끊기 홈(H)의 폭(W')보다 넓게 형성하여, 항상 이 물 끊기 홈(H)이 본 발명에 따른 홈(110) 위에 놓이게 시공함에 따라 물 끊기 홈(H)까지 따라 내려온 빗물 등이 본 발명에 따른 홈(110)에 모여서 배출 구멍(140)을 통해 실외로 배출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홈(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물 끊기 홈(H) 전체가 중첩되게 하는 넓이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물 끊기 홈(H)의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홈(110) 안에 놓이게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 상층(C)의 벽면을 타고 내린 빗물은 그 바닥을 통해 실내로 스며들게 되나, 이 물 끊기 홈(H)의 바깥쪽 가장자리 이상 안으로 들어올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홈(110)이 이 가장자리에 중첩되게 시공함으로써, 바깥쪽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빗물 등을 모아서 배출 구멍(140)을 통해 실외로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00a)은, [도 5]와 같이, 칼 블록(B)을 이용하여 개구부(O)에 고정하거나, 개구부(O)와 상부 프레임(100a) 사이에 실링(S) 처리하여 방수 기능을 보강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임을 해당 업계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알고 있는 기술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100b)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개구부(O)의 바닥과의 사이에 차단 판(120)을 갖춰서 하부 프레임(100b) 등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차단 판(1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부 프레임(100b)의 폭보다 바깥으로 더 돌출하여 벽체와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지게 시공하여 하부 프레임(100b)의 실외 측에서 흘러내리는 빗물 등이 이 차단 판(120)을 타고 벽체에서 떨어져서 흘러내리게 하여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차단 판(1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한쪽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 부분(121)을 돌출 성형한다. 돌출 부분(121)은 하부 프레임(100b)에 형성한 홈(110) 안에 끼워져서 칼 블록(B) 등으로 하부 프레임(100b)을 개구부(O)에 고정할 때 함께 고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하부 프레임(100b)과 차단 판(120) 사이로 빗물 등이 들어오더라도 이 돌출 부분(121)이 더는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 판(1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돌출 부분(121)과 마주하는 다른 한쪽에는 유도 부분(122)을 전체 가장자리에 걸쳐 꺾어서 형성한다. 이는, 차단 판(120)에 떨어진 빗물 등이 이 차단 판(120)을 따라 흐를 때 지면을 향해 떨어질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상기 유도 부분(122)은 차단 판(120) 과 둔각을 이루게 구성하므로, 빗물 등이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잘 흐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0b)은, [도 5]와 같이, 칼 블록(B)을 이용하여 개구부(O)에 고정하거나, 개구부(O)와 하부 프레임(100b) 사이에 실링(S) 처리하여 방수 기능을 보강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임을 해당 업계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알고 있는 기술이라고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프레임(100c)은, [도 7]과 같이, 이웃한 두 개의 복도 창을 연결하여 시공할 때, 이들 두 개의 복도 창을 구성하는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을 연결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이들 이웃한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이 서로 마주하게 장착함에 따라 각 홈(110)도 서로 마주하여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두 개의 홈(110)으로 만들어진 공간에 연결 프레임(130)을 삽입하여 공간을 없애면서 실링 처리한 다음, 비스(131)로 고정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웃한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 사이로 물이 스며들 우려가 적고, 스며들더라도 그 안에 공간이 없으므로 스며든 물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로파일에 형성한 홈을 이용하여 물 끊기 홈을 통해 실내로 들어올 수 있는 빗물 등을 차단하고, 또한 차단 판을 통해 하부 프레임을 통해 생길 수 있는 누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연결 프레임으로 이웃한 두 개의 측면 프레임 사이에서 생길 수 있는 누수를 차단하므로, 복도 창 프레임에서 생길 수 있는 모든 누수를 차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0 : 프로파일
100a : 상부 프레임
100b : 하부 프레임
100c : 측면 프레임
110 : 홈
120 : 차단 판
121 : 돌출 부분
130 : 연결 프레임
140 : 배출 구멍

Claims (5)

  1. 미리 정한 폭 단면을 가진 프로파일(100)을 미리 정한 길이로 잘라서 그 끝을 연결하여 제작한 다음, 복도에 연속해서 설치하는 복도 창 프레임에서,
    상기 프로파일(100)은 건축물의 개구부(O)와 마주하는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홈(110)을 형성하고,
    개구부(O)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부 프레임(100a)은 이 홈(110)이 개구부(O)에 형성한 물 끊기 홈(H)에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게 시공하고,
    개구부(O)의 하부에 설치하는 하부 프레임(100b)은 이 하부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밀착 고정하며 하부 프레임(100b)의 폭 방향을 따라 실외로 연장하게 형성한 차단 판(120)을 갖추며,
    이웃한 두 개의 창틀 프레임이 접하는 측면 프레임(100c)은 서로 접함에 따라 이들 두 개의 측면 프레임(100c)에 형성한 두 개의 홈(110)이 이루는 공간과 같은 형상으로 연결 프레임(130)을 삽입한 다음 실링 처리한 뒤에 비스(131)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2. 제1 항에서,
    상기 홈(110)은,
    개구부(O)의 상부 구조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H)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3. 제2 항에서,
    상기 홈(110)은,
    상부 구조물에 형성한 물 끊기 홈(H)의 바깥쪽 가장자리가 이 홈(110)의 폭 안에 놓이게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4. 제1 항에서,
    상기 차단 판(120)은,
    미리 정한 폭을 가진 길이 부재로서 한쪽 면에는 폭의 한쪽에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홈(110)과 밀착하게 돌출 부분(121)을 형성하여 하부 프레임(100b)과 함께 고정하게 하고,
    폭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출 부분(121)과 반대 방향으로 꺾인 유도 부분(12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5. 제4 항에서,
    상기 유도 부분(122)은,
    상기 차단 판(120)과 둔각을 이루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KR1020160115785A 2016-09-08 2016-09-08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KR201800282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85A KR20180028285A (ko) 2016-09-08 2016-09-08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85A KR20180028285A (ko) 2016-09-08 2016-09-08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85A true KR20180028285A (ko) 2018-03-16

Family

ID=6191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85A KR20180028285A (ko) 2016-09-08 2016-09-08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2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362A (ko) * 2020-05-12 2021-11-19 (주)엘엑스하우시스 누수 방지용 차수판을 포함하는 창호의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75B1 (ko) * 1986-02-17 1988-12-20 허상철 장식용 연속회전장치
JPH08170469A (ja) * 1994-12-20 1996-07-02 Toyoda Gosei Co Ltd 建物の窓廻りシール装置
JP4811856B2 (ja) * 2006-02-20 2011-11-09 Ykk Ap株式会社 連段窓
KR20140002874U (ko) * 2012-11-05 2014-05-15 장각중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KR101592152B1 (ko) * 2015-10-21 2016-02-04 박민식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2675B1 (ko) * 1986-02-17 1988-12-20 허상철 장식용 연속회전장치
JPH08170469A (ja) * 1994-12-20 1996-07-02 Toyoda Gosei Co Ltd 建物の窓廻りシール装置
JP4811856B2 (ja) * 2006-02-20 2011-11-09 Ykk Ap株式会社 連段窓
KR20140002874U (ko) * 2012-11-05 2014-05-15 장각중 외벽 창틀의 상변부재
KR101592152B1 (ko) * 2015-10-21 2016-02-04 박민식 구조보강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발코니 개보수 창호와 그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362A (ko) * 2020-05-12 2021-11-19 (주)엘엑스하우시스 누수 방지용 차수판을 포함하는 창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709B1 (ko) 조립성 및 차수력이 개선된 커튼월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200460496Y1 (ko) 창호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1467319B1 (ko) 빗물유입방지 미서기 창호
KR20180028285A (ko) 누수 방지용 복도 창 프레임 장착 구조
KR20110006802A (ko) 방수성을 구비한 방충망
JP2013151838A (ja) 洗面所の採光構造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2012225005A (ja) 住宅用防雨パネル
KR101678346B1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구조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101948734B1 (ko) 창호용 누수방지 부재
TWM559345U (zh) 通風屋頂之改良構造
JP6233665B2 (ja) 手摺付き床構造
KR101129964B1 (ko) 조립식 통풍 창호
KR102089623B1 (ko) 창문형 빗물 차단부재
KR100328412B1 (ko) 격자식 이중창호용 후레임
JP2021116604A (ja) 屋内空間構造及び住宅
KR200444575Y1 (ko) 갤러리 창호
KR20140091796A (ko) 배수구조를 갖는 창틀프레임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KR20150004303U (ko) 이중 방충망 프레임
KR101603047B1 (ko) 공동주택의 외부 난간을 이용한 레일식 차양 덧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