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137B1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137B1 KR102222137B1 KR1020200007148A KR20200007148A KR102222137B1 KR 102222137 B1 KR102222137 B1 KR 102222137B1 KR 1020200007148 A KR1020200007148 A KR 1020200007148A KR 20200007148 A KR20200007148 A KR 20200007148A KR 102222137 B1 KR102222137 B1 KR 102222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gassing device
- fastening
- panel
- waterproof
-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철근 슬라브 옥상 등 건출물 바닥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수패널을 탈기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물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패널의 하단의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방수패널을 적층시킬 때 높이차가 나지 않도록 하고, 방수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의 형태를 변형하여 실리콘과 함께 맞물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리콘의 손실 없이 커버를 교체하는 등 보수 공사시 전체를 보수하는게 아니라 일부분만 쉽게 보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수구부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여 공기 등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수패널을 탈기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물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패널의 하단의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방수패널을 적층시킬 때 높이차가 나지 않도록 하고, 방수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의 형태를 변형하여 실리콘과 함께 맞물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리콘의 손실 없이 커버를 교체하는 등 보수 공사시 전체를 보수하는게 아니라 일부분만 쉽게 보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수구부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여 공기 등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철근 슬라브 옥상 등 건출물 바닥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바닥은 요철이 많아 높낮이에 기복이 있다. 이러한 옥상바닥에 방수 처리를 위해 다수의 완충재를 나열하고 그 위에 다수의 스틸 시트를 덮어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을 하는 경우, 단순히 볼트를 여러 군데 체결하여 스틸 시트와 바닥을 고정시킨다.
좀 더 개선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08123호는 건물 옥상부분의 방수처리를 위해 옥상 바닥면에 간편하게 조립설치되면서 장기안정성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방수패널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판형상으로 건물 옥상의 바닥면에 전후좌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배치되면서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외측면 둘레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방수패널과, 상측 절반이 절단되어 상부가 개구된 크로스형의 관형상으로 바닥방수 패널들의 모서리부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크로스형조인트와 상측 절반이 절단되어 상부가 개구된 직선형의 관 형상으로 바닥방수패널들의 측면부분 사이에 각각 삽입되는 선형조인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크로스형조인트와 선형조인트는 탄성있는 투명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고 크로스형조인트의 각 끝단에는 선형조인트가 고정부착되며 선형조인트의 상단부 양측에는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결편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바닥방수패널의 돌출턱 상면부에 각 연결편이 안착되어 고정연결되는 탄성조인트부재와, 상기 탄성조인트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단열 및 물고임방지를 위한 백업재와, 상기 선형조인트의 양측 연결편 상면부에 각각 올려진 상태로 고정설치되면서 백업재의 상부 양측을 파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옥상용 조립식 방수 패널구조물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를 비롯한 종래기술은 방수구조물 시공 후 사람이 다니면서 하중이 가해질 때 요철이 있는 지면 위에서 사람의 하중을 견뎌야 하는 특성상 스틸시트가 뒤틀리거나 스틸시트 간의 결합력이 약해 연결부위가 벌어져 틈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한 구조의 부자재를 많이 요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패널을 탈기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물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방수패널의 하단의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방수패널을 적층할 때 높이차가 나지 않도록 하고, 방수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의 형태를 변형하여 실리콘과 함께 맞물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리콘의 손실 없이 커버를 교체하는 등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배수구부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여 공기 등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탈기장치(300)의 일부면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탈기장치안착구(110)가 형성되되 지면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제1완충제(100);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와 대응되도록 일측에 탈기장치체결구(211)가 형성되고 제1완충제(1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 제1완충제(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제1방수패널(200);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가 위치하는 부분과 제1방수패널(200)의 탈기장치체결구(211)가 위치하는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탈기장치(300); 이웃하는 제1방수패널(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제1사이드커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탈기장치(300)는 소정 크기의 관통로(311)를 가진 몸통이 형성되되 제1완충제(100)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받침부(312)가 하단에 형성되는 탈기장치몸체부(310);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에 탈착되기 위해 탈기장치몸체부(310)의 관통로(311)와 대응되도록 제2체결몸통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324)을 포함하는 덮개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는 상기 관통로(31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덮개부(320)의 제2탈기장치체결부(325)와 체결되도록 일측이 돌출된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돌기(313a)를 포함하는 제1탈기장치체결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20)는 상부 일측에 옥상 바닥의 이물질이 빠져나기 위한 배출구(321b)가 형성되는 제2체결몸통부(321);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연에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부(322);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322)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걸림부(323); 상기 제1탈기장치체결부(313)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어 체결되기 위해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제2체결몸통부(32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탈기장치체결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와,,
위의 시스템에서 지면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제2완충제(500); 상기 제2완충제(5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각의 제2완충제(5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제2방수패널(600);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이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안착되어 형성되는 중앙커버(700);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2사이드커버(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와,
위의 시스템에서 상기 제2방수패널(600)은 각 모서리가 단턱지도록 제2패널단턱부(611)가 형성되는 제2패널몸체부(610);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패널플랜지부(620);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플랜지부(6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패널체결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와,
위의 시스템들에서 옥상바닥면(5)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배출통로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배수구(910); 상기 제1배수구(910)의 배출통로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제1배수구(910)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구(9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배수구(920)는 옥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배출홀(9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수패널을 탈기장치와 함께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크리트로부터 발생하는 가스, 물 등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수패널의 하단의 높낮이를 달리함으로써 방수패널을 적층시킬 때 높이차가 나지 않도록 하고, 방수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커버의 형태를 변형하여 실리콘과 함께 맞물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리콘의 손실 없이 커버를 교체하는 등 보수 공사시 전체를 보수하는게 아니라 일부분만 쉽게 보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수구부를 이중 구조로 설치하여 공기 등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방수패널(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탈기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탈기장치(300)와 제1방수패널(20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방수패널(200)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8은 제2방수패널(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방수패널(600)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10은 중앙커버(700)와 제2사이드커버(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방수패널(600)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배수구부(9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1방수패널(200)과 제2방수패널(600)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방수패널(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탈기장치(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는 탈기장치(300)와 제1방수패널(20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1방수패널(200)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8은 제2방수패널(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방수패널(600)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10은 중앙커버(700)와 제2사이드커버(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방수패널(600)이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배수구부(9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제1방수패널(200)과 제2방수패널(600)의 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1000)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하단의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된 방수패널을 설치하여 상부면의 높낮이차가 나지 않도록 하고, 방수패널 시공시 분리형 탈기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옥상 바닥에 생기는 물,가스 등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추가로 배수구부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공기 등이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시킴으로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1000)에 관한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의 구성요소는 제1완충제(100), 제1방수패널(200), 탈기장치(300), 제1사이드커버(400), 제2완충제(500), 제2방수패널(600), 중앙커버(700), 제2사이드커버(800), 배수구부(900)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크게 탈기장치(300)가 설치되는 부분과, 제2방수패널(600)이 설치되는 부분, 그리고 배수구부(900)로 나뉘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통하여 탈기장치(300)가 설치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며 4개의 제1방수패널(200) 사이에 탈기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방수패널(200)의 안쪽에 제1완충제(100)가 삽입된 상태이다.
도 3은 제1완충제(100)와 제1방수패널(200)의 분해도이다.
제1완충제(100)는 탈기장치(300)의 일부면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탈기장치안착구(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완충제(100)는 탈기장치안착구(110)가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두 개 이상이 지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제1완충제(100)가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탈기장치안착구(110)가 위치한 부분에 탈기장치(300)가 안착되도록 한다.
제1방수패널(200)은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와 대응되도록 일측에 오목한 형태의 탈기장치체결구(211)가 형성되고 제1완충제(1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 제1완충제(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탈기장치체결구(211)는 도 7과 같이 탈기장치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며 도 3의 제1방수패널(200)을 기준으로 하기에 설명한다.
상기 제1방수패널(200)은 제1패널몸체부(210), 제1패널플랜지부(220), 제1패널체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패널몸체부(210)는 내부에 제1완충제(10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1패널몸체부(210) 측면의 테두리 부분이 단턱지도록 제1패널단턱부(212)가 형성된다.
제1패널플랜지부(220)는 상기 제1패널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되, 꼭지점이 만나는 두 개의 모서리 하부에 형성되는 제1,4플랜지(221,224)의 위치가 나머지 두 개의 모서리 하부에 형성되는 제2,3플랜지(222,223)의 위치보다 바닥면을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플랜지들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 13을 참고하면, 제2,3플랜지(222,223)의 위치가 S1라고 할 때, 제1,4플랜지(221,224)는 제2,3플랜지(222,223)의 두께(h)만큼 내려간 위치에 제1,4플랜지(221,224)가 형성되어(S2 참고) 계단식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각 플랜지들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패널체결부(230)는 상기 제1패널몸체부(210)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구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패널플랜지부(2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1패널체결부(230)는 플랜지들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탈기장치체결구(211)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하고 총 3개의 제1패널체결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패널체결부(230)는 제1체결부(231), 제2체결부(232), 제3체결부(233), 제4체결부(234)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체결부는 탈기장치체결구(211)의 위치에 따라 유무가 결정된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탈기장치체결구(211)의 위치에 따라 하나의 제1방수패널(200)에 상기 체결부들 중 3개만 선택되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각각의 체결부의 위치를 설명하면 제1체결부(231)는 제1플랜지(221)와 제2플랜지(222) 사이에 위치하고, 제2체결부(232)는 제2플랜지(222)와 제3플랜지(223) 사이에 위치하며, 제3체결부(233)는 제3플랜지(223)와 제4플랜지(224) 사이에 위치하며, 제4체결부(234)는 제4플랜지(224)와 제1플랜지(221) 사이에 위치한다.
도 7을 참고하여 제1방수패널(200)이 탈기장치(300)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제1방수패널(200)의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은 겹쳐지는 4개의 제1방수패널(200) 중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A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은 제1체결부(231), 제2체결부(232), 제3체결부(233)가 형성되며, 제4체결부(234)가 위치하는 자리에 제1탈기장치체결구(211-1)가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적층되는 제1방수패널(200)은 B로 표시된 것으로, 제1체결부(231), 제2체결부(232), 제4체결부(234)가 형성되고, 제3체결부(233)가 위치하는 자리에 제2탈기장치체결구(211-2)가 형성된다.
C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은 B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 다음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제2체결부(232), 제3체결부(233), 제4체결부(234)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231)가 위치하는 자리에 제3탈기장치체결구(211-3)가 형성된다.
D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은 C로 표시된 제1방수패널(200) 다음으로 적층되는 것으로, 제1체결부(231), 제3체결부(233), 제4체결부(234)가 형성되고, 제2체결부(232)가 위치하는 자리에 제4탈기장치체결구(21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2,3,4패널체결부(231, 232, 233, 234)는 단차가 형성되며 도 13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 제1패널플랜지부(220)와 제1패널체결부(230)는 똑같은 두께(h)를 가졌다는 전제하에 설명한다. 또한 (S4)는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S3),(S2),(S1)가 순차적으로 계단형식으로 올라가며 이는 각각의 패널체결부들이 지면에서의 높이를 설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제1체결부(231)는 제1플랜지(221)와 제2플랜지(2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2플랜지(222)보다 한단 아래에 위치하여 제1플랜지(221)와 일직선을 이룬다. 즉, 제2플랜지(222)는 지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 13의 (S1)의 위치에 해당되고, 제2플랜지(222)와 제1체결부(231)는 (S1)와 계단 아래방향으로 바로 연결된 (S2)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2체결부(232)는 제2플랜지(222)와 제3플랜지(223)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2플랜지(222) 및 제3플랜지(223)와 일직선을 이룬다. 즉, 제2체결부(232)는 지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 13의 (S1)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3체결부(233)는 제3플랜지(223)와 제4플랜지(224)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3플랜지(223)보다 2계단 아래 즉 제1체결부(231)보다 1계단 아래에 위치한다. 즉, 제3체결부(233)는 도 13에서 (S3)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4체결부(234)는 제4플랜지(224)와 제1플랜지(221)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체결부(231) 및 제1플랜지(221)보다 2계단 아래에 위치한다. 즉, 제4체결부(234)는 도 13의 (S4)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제1,2,3,4체결부(234)가 단차를 가지는 이유는 도 13와 같이 방수패널들을 체결할 때 서로 겹쳐지는 부분으로 인해 상부면이 높낮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를 통해 다수의 제1방수패널(200)이 체결된 모습을 참고하면, 제1,2,3,4체결부(231, 232,233, 234)가 겹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겹처진 부분에 의해 생긴 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방수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어느 하나의 방수패널이 잘못 시공되어 빼낼 때는 도 14(b)와 같이 잘못 시공된 방수패널을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어 빼냄으로 볼트결합된 체결부 부위를 이탈시키어 빼낼 수 있어 다른 방수패널을 들어내지 않아도 잘못 시공된 방수패널만 빼냄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탈기장치(300)에 관한 도면으로, 탈기장치(300)는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가 위치하는 부분과 제1방수패널(200)의 탈기장치체결구(211)가 위치하는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되, 탈기장치몸체부(310), 덮개부(3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탈기장치몸체부(310)는 소정 크기의 관통로(311)를 가진 몸통이 형성되되 제1완충제(100)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받침부(312)가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312)는 바닥면에 안착되되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체결구(312a)가 형성된다.
또한 탈기장치몸체부(310)는 제1탈기장치체결부(313)가 더 형성되며, 제1탈기장치체결부(313)는 상기 관통로(31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덮개부(320)의 제2탈기장치체결부(325)와 체결되도록 일측이 돌출된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돌기(313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13a)는 나사결합이 용이하도록 나사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덮개부(320)는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에 탈착되기 위해 탈기장치몸체부(310)의 관통로(311)와 대응되도록 제2체결몸통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324)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320)는 제2체결몸통부(321), 지지부(322), 걸림부(323), 하우징(324), 제2탈기장치체결부(325), 패킹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제2체결몸통부(321)는 이물질이 통과되기 위한 관통로가 형성되되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의 상부와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하부 일측은 단턱진 형태로 형성되되 패킹부(326)가 위치하기 위한 패킹부수용단턱부(321a)가 형성되며 제2체결몸통부(321)의 개방된 하부로 탈기장치몸체부(310)의 관통로(311)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상부 일측은 옥상 바닥의 이물질이 빠져나기 위한 배출구(321b)가 더 형성된다.
지지부(322)는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연에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체결몸통부(32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방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2)는 제1방수패널(200)의 상부면에 안착되되, 제1방수패널(200)과 탈기장치(300) 사이를 고정시키도록 탈기장치(300)의 탈기장치몸체부(310) 주위에 둘러싸여 덧발라진 제2실리콘부(20)를 덮도록 형성된다.
걸림부(323)는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322)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체결몸통부(321)와 대응되는 경사도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1완충제(100)와 제2방수패널(200) 사이에 탈기장치(300)의 탈기장치몸체부(310)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5과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덮개부(320)를 체결시키며 이때 도 6과 같이 덮개부(320)의 지지부(322)가 제2실리콘부(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320)가 체결되는 과정에서 지지부(322)가 제1방수패널(200)의 상부면에 눌러져 제1방수패널(200)이 고정되며 이때 지지부(322)가 살짝 들려올라가게 된다. 상기 지지부(322)가 더이상 위로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걸림부(32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323)는 지지부(322)가 더 이상 들려올라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324)은 탈기장치몸체부(310)의 배출구(321b) 부분이 완전히 가려지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배출구(321b)로부터 빠져나오는 이물질이 배출될 때 도 7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2탈기장치체결부(325)는 상기 제1탈기장치체결부(313)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어 체결되기 위해 일측에 체결홈(325a)이 형성되며 제2체결몸통부(32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패킹부(326)는 제2체결몸통부(321)의 패킹부수용단턱부(321a)에 위치하되 탈기장치몸체부(310)의 관통로(311)와 덮개부(320)의 제2체결몸통부(321)가 체결될 때 관통로(311)와 제2체결몸통부(321) 사이로 생기는 공간을 완전히 막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나사(330)는 상기 받침부(312)의 나사체결구(312a)를 관통하여 도 5,6과 같이 지면에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 탈기장치(300)의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사이드커버(400)는 이웃하는 제1방수패널(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제1사이드커버(400)는 이웃하는 제1방수패널(200)의 플랜지부분에 생기는 빈 공간에 제1실리콘부(10)가 형성된 다음 그 위에 제1사이드커버(400)를 덮어 씌운다. 상기 제1사이드커버(400)의 양끝단의 하단부는 제2패널단턱부(611)의 높이와 대응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제1완충제(100), 제1방수패널(200), 탈기장치(300)를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옥상 바닥면(5)에 2개 이상의 제1완충제(100)를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안착시킨다. 그 다음 탈기장치(300)의 탈기장치몸체부(310)를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가 형성된 위치에 안착시킨다.
상기 탈기장치(30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나사(330)를 지면에 삽입되도록 체결시킨 후, 탈기장치(300)와 제1방수패널(200) 사이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탈기장치몸체부(310)의 받침부(312)의 상부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제2실리콘부(20)를 형성시킨다.
이후 제1방수패널(200)의 탈기장치체결구(211)가 탈기장치(300)의 몸통을 둘러싸고 탈기장치몸체부(310)의 받침부(312)를 덮도록 제1방수패널(200)을 탈기장치(300)의 받침부(312)의 상부면에 안착시킨다.
제1방수패널(200)과 탈기장치(300)가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 탈기장치몸체부(310)와 제1방수패널(200)이 접하는 부분에 제2실리콘부(20)를 형성시킨다.
그 후 제2실리콘부(20)가 완전히 덮히도록 탈기장치(300)의 덮개부(320)를 탈기장치몸체부(310)와 결합시키어 탈기장치(300)가 옥상 바닥면에 설치된다.
다음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제2방수패널(600)이 설치되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제2완충제(500)와 제2방수패널(600)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완충제(50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둘 이상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완충제(500)는 소정의 각이진 형태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방수패널(600)은 상기 제2완충제(5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각의 제2완충제(5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것이다.
상기 제2방수패널(600)은 제2패널몸체부(610), 제2패널플랜지부(620), 제2패널체결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패널몸체부(610)는 각 모서리가 단턱지도록 제2패널단턱부(611)가 형성된다.
제2패널플랜지부(620)는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패널플랜지부(620)는 제5,6,7,8플랜지(621,622,623,624)로 나뉘어 구성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5플랜지(621)와, 상기 제5플랜지(621)의 일측과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6플랜지(622)와, 상기 제6플랜지(622)의 일측과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7플랜지(623)와, 상기 제7플랜지(623)의 일측과 이웃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8플랜지(62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5,8플랜지(621,624)의 위치는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되 제6,7플랜지(622,623)의 위치보다 바닥면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6,7,8플랜지(621,622,623,624)의 두께는 동일한 두께(h)를 가지며, 도 13을 참고하여 지면(바닥면)과 플랜지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설명한다.
제6,7플랜지(622,623)은 바닥면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도 13의 (S1)에 해당된다. 제5,8플랜지(621,624)는 바닥면과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6,7플랜지(622,623)보다 바닥면과 가깝도록 형성되되, (S1)의 1계단 아래인 (S2)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들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는 이유는 도 8,9과 같이 제2방수패널(600)을 체결시켰을때 상부면이 단차지지 않고 평평한 면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패널체결부(630)는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플랜지부(6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제5,6,7,8체결부(631,632,633,634)로 나뉘어 형성된다.
상기 제5,6,7,8체결부(631,632,633,634)는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도 11 및 도 13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한다. 제2패널플랜지부(620)와 제2패널체결부(632)는 똑같은 두께(h)를 가졌다는 전제하에 설명한다. 또한 (S4)는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S3),(S2),(S1)가 순차적으로 계단형식으로 올라가며 이는 각각의 패널체결부들이 지면에서의 높이를 설명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제5체결부(631)는 제5플랜지(621)와 제6플랜지(6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6플랜지(622)보다 한단 아래에 위치하여 제5플랜지(621)와 일직선을 이룬다. 즉, 제6플랜지(622)는 지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 13의 (S1)의 위치에 해당되고, 제5플랜지(621)와 제5체결부(631)는 (S1)와 계단 아래방향으로 바로 연결된 (S2)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6체결부(632)는 제6플랜지(622)와 제7플랜지(623)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6플랜지(622) 및 제7플랜지(623)와 일직선을 이룬다. 즉, 제6체결부(632)는 지면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 13의 (S1)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7체결부(633)는 제7플랜지(623)와 제8플랜지(624)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7플랜지(623)보다 2계단 아래 즉 제5체결부(631)보다 1계단 아래에 위치한다. 즉, 제7체결부(633)는 도 13에서 (S3)의 위치에 해당된다.
제8체결부(634)는 제8플랜지(624)와 제5플랜지(621)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5체결부(631)와 제5플랜지(621)보다 2계단 아래에 위치한다. 즉, 제8체결부(634)는 도 13의 (S4)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제5,6,7,8,체결부(631,632,633,634)가 단차를 가지는 이유는 도 11과 같이 방수패널들을 체결될 때 서로 겹쳐지는 부분(M,N 참고)으로 인해 상부면이 높낮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를 참고하면 4개의 제2방수패널(600)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A)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을 제일 아래에 위치시킨 다음 (B),(C),(D)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을 순차적으로 안착시키어 도 11과 같이 형성시킨다.
이때 가운데 부분은 체결부들이 겹쳐져서 형성되며, (A)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의 제8체결부(634)이 제일 아래에 위치하고, (B)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의 제7체결부(633)가 (A)의 제8체결부(634)의 위에 적층되며, (C)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의 제5체결부(631)가 (B)의 제7체결부(633) 위에 적층되고 마지막으로 (D)로 표시된 제2방수패널(600)의 제6체결부(632)가 (C)의 제5체결부(631)의 위에 적층되도록 한다(도 11의 M 참고).
도 10을 참고하면 중앙커버(700)는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이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안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단에 날개부(710)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800)는 제2사이드커버(800)의 빈 공간에 끼움결합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2사이드커버(800)는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2사이드커버(800)는 양끝단의 하단부가 제2패널단턱부(611)의 높이와 대응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의 플랜지부분에 생기는 빈 공간에 제4실리콘부(40)를 형성시킨 다음, 각 방수패널이 이웃하는 공간 사이에 제2사이드커버(800)를 각각 체결시킨 후 4개의 제2사이드커버(800)가 만나는 지점에 중앙커버(700)를 안착시킴으로써 제2방수패널(600)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12는 배수구부(900)에 관한 도면으로, 배수구부(900)가 이중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배수구부(900)는 제1배수구(910), 제2배수구(920)로 나뉘어 진다.
제1배수구(910)는 옥상바닥면(5)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배출통로를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배수구(910)는 일측에 제1체결돌기(911)가 형성되어 제2배수구(920)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배수구(920)는 상기 제1배수구(910)의 배출통로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제1배수구(910)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배수구(920)는 옥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배출홀(921)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제1배수구(910)와 체결되도록 제1배수구(910)의 제1체결돌기(9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체결돌기(9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5 옥상 바닥면
10 제1실리콘부
20 제2실리콘부
30 제3실리콘부
40 제4실리콘부
100 제1완충제
110 탈기장치안착구
200 제1방수패널
210 제1패널몸체부
211 탈기장치체결구
212 제1패널단턱부
220 제1패널플랜지부
221 제1플랜지
222 제2플랜지
223 제3플랜지
224 제4플랜지
230 제1패널체결부
231 제1체결부
232 제2체결부
233 제3체결부
234 제4체결부
300 탈기장치
310 탈기장치몸체부
311 관통로
312 받침부
312a 나사체결구
313 제1탈기장치체결부
313a 체결돌기
320 덮개부
321 제2체결몸통부
321a 패킹부수용단턱부
321b 배출구
322 지지부
323 걸림부
324 하우징
325 제2탈기장치체결부
325a 체결홈
330 고정나사
400 제1사이드커버
500 제2완충제
600 제2방수패널
610 제2패널몸체부
611 제2패널단턱부
620 제2패널플랜지부
621 제5플랜지
622 제6플랜지
623 제7플랜지
624 제8플랜지
630 제2패널체결부
631 제5체결부
632 제6체결부
633 제7체결부
634 제8체결부
700 중앙커버
800 제2사이드커버
900 배수구부
910 제1배수구
911 제1체결돌기
920 제2배수구
921 배출홀
922 제2체결돌기
10 제1실리콘부
20 제2실리콘부
30 제3실리콘부
40 제4실리콘부
100 제1완충제
110 탈기장치안착구
200 제1방수패널
210 제1패널몸체부
211 탈기장치체결구
212 제1패널단턱부
220 제1패널플랜지부
221 제1플랜지
222 제2플랜지
223 제3플랜지
224 제4플랜지
230 제1패널체결부
231 제1체결부
232 제2체결부
233 제3체결부
234 제4체결부
300 탈기장치
310 탈기장치몸체부
311 관통로
312 받침부
312a 나사체결구
313 제1탈기장치체결부
313a 체결돌기
320 덮개부
321 제2체결몸통부
321a 패킹부수용단턱부
321b 배출구
322 지지부
323 걸림부
324 하우징
325 제2탈기장치체결부
325a 체결홈
330 고정나사
400 제1사이드커버
500 제2완충제
600 제2방수패널
610 제2패널몸체부
611 제2패널단턱부
620 제2패널플랜지부
621 제5플랜지
622 제6플랜지
623 제7플랜지
624 제8플랜지
630 제2패널체결부
631 제5체결부
632 제6체결부
633 제7체결부
634 제8체결부
700 중앙커버
800 제2사이드커버
900 배수구부
910 제1배수구
911 제1체결돌기
920 제2배수구
921 배출홀
922 제2체결돌기
Claims (4)
- 탈기장치(300)의 일부면이 수용되도록 일측에 탈기장치안착구(110)가 형성되되 지면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제1완충제(100);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와 대응되도록 일측에 탈기장치체결구(211)가 형성되고 제1완충제(1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 제1완충제(1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제1방수패널(200);
상기 제1완충제(100)의 탈기장치안착구(110)가 위치하는 부분과 제1방수패널(200)의 탈기장치체결구(211)가 위치하는 부분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탈기장치(300);
이웃하는 제1방수패널(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제1사이드커버(400);를 포함하되,
상기 탈기장치(300)는
소정 크기의 관통로(311)를 가진 몸통이 형성되되 제1완충제(100)의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한 받침부(312)가 하단에 형성되는 탈기장치몸체부(310);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에 탈착되기 위해 탈기장치몸체부(310)의 관통로(311)와 대응되도록 제2체결몸통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상단에 형성되는 하우징(324)을 포함하는 덮개부(320);를 포함하되
상기 탈기장치몸체부(310)는
상기 관통로(31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되 덮개부(320)의 제2탈기장치체결부(325)와 체결되도록 일측이 돌출된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체결돌기(313a)를 포함하는 제1탈기장치체결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20)는
상부 일측에 옥상 바닥의 이물질이 빠져나기 위한 배출구(321b)가 형성되는 제2체결몸통부(321);
상기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연에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부(322);
제2체결몸통부(321)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322)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걸림부(323);
상기 제1탈기장치체결부(313)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어 체결되기 위해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제2체결몸통부(321)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2탈기장치체결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둘 이상의 제2완충제(500);
상기 제2완충제(500)와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로 각각의 제2완충제(500)의 상면과 측면을 덮는 제2방수패널(600);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이 서로 마주보는 끝단 사이에 안착되어 형성되는 중앙커버(700);
이웃하는 제2방수패널(600)이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사이에 끼움결합되는 제2사이드커버(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패널(600)은
각 모서리가 단턱지도록 제2패널단턱부(611)가 형성되는 제2패널몸체부(610);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패널플랜지부(620);
상기 제2패널몸체부(610)의 꼭지점이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패널플랜지부(620)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패널체결부(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옥상바닥면(5)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홀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소정의 배출통로를 가지고 형성되는 제1배수구(910);
상기 제1배수구(910)의 배출통로에 끼움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제1배수구(910)보다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는 제2배수구(9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배수구(920)는 옥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일측에 배출홀(9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148A KR102222137B1 (ko) | 2020-01-20 | 2020-01-20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7148A KR102222137B1 (ko) | 2020-01-20 | 2020-01-20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137B1 true KR102222137B1 (ko) | 2021-03-02 |
Family
ID=75169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7148A KR102222137B1 (ko) | 2020-01-20 | 2020-01-20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1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6483B1 (ko) * | 2021-07-22 | 2022-09-28 | 주식회사 연합스틸 | 방수 패널 시공방법 및 방수 패널 구조체 |
KR20230036636A (ko) * | 2021-09-07 | 2023-03-15 | 심민섭 |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186U (ko) * | 2009-06-03 | 2010-12-13 |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JP5558850B2 (ja) * | 2010-01-25 | 2014-07-23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防水層の膨れ防止工法及び膨れ防止構造 |
KR101508123B1 (ko) | 2014-11-10 | 2015-04-07 | 전환고 | 건물옥상용 조립식 방수패널구조물 |
KR101630151B1 (ko) | 2015-12-30 | 2016-06-24 | 주식회사 코이스틸 |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
KR20170017955A (ko) * | 2017-01-26 | 2017-02-15 | 유지씨 주식회사 |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
KR20180018205A (ko) * | 2016-08-12 | 2018-02-21 | 여환욱 | 옥상바닥 방수 시스템 및 방법 |
-
2020
- 2020-01-20 KR KR1020200007148A patent/KR1022221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12186U (ko) * | 2009-06-03 | 2010-12-13 | 아하아이엔디 주식회사 | 건축물의 옥상 탈기장치 |
JP5558850B2 (ja) * | 2010-01-25 | 2014-07-23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防水層の膨れ防止工法及び膨れ防止構造 |
KR101508123B1 (ko) | 2014-11-10 | 2015-04-07 | 전환고 | 건물옥상용 조립식 방수패널구조물 |
KR101630151B1 (ko) | 2015-12-30 | 2016-06-24 | 주식회사 코이스틸 |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
KR20180018205A (ko) * | 2016-08-12 | 2018-02-21 | 여환욱 | 옥상바닥 방수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017955A (ko) * | 2017-01-26 | 2017-02-15 | 유지씨 주식회사 |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6483B1 (ko) * | 2021-07-22 | 2022-09-28 | 주식회사 연합스틸 | 방수 패널 시공방법 및 방수 패널 구조체 |
KR20230036636A (ko) * | 2021-09-07 | 2023-03-15 | 심민섭 |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
KR102618299B1 (ko) * | 2021-09-07 | 2023-12-28 | 심민섭 |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39734B2 (en) | Roof truss compatible for solar panels | |
KR102222137B1 (ko) |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 |
US20150252574A1 (en) | Field paver connector and restraining system | |
US20210062495A1 (en) | Self-sealing building module with a self-aligning connector | |
US4703596A (en) | Grid skylight system | |
US7540123B1 (en) | Base for rooftop air conditioning units | |
US20100126797A1 (en) | Panel Assembly For Traffic Noise Barrier Wall | |
US4698941A (en) | Framework for dome-shaped roofs | |
KR102074752B1 (ko) | 옥상 스틸 방수 시스템 | |
KR101082973B1 (ko) | 조립식 부스 | |
US20150218825A1 (en) |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20210110492A (ko) |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 |
KR200425116Y1 (ko) | 조립식 컨테이너 교실 | |
US11639600B2 (en) | Storm water retention or detention system and module therefore | |
KR101468718B1 (ko) | 물탱크 조립체 | |
AU2012202995A1 (en) | A swimming pool | |
WO1998017872A1 (en) | Multi-walled, sectional swimming pool fabricated of preformed plastic or resin | |
US20180093822A1 (en) | Modular Storage Tank | |
TWM568880U (zh) | Waterproof connection structure | |
JP2818928B2 (ja) | 屋根構造 | |
KR100625119B1 (ko) | 조립식 원형 물탱크 | |
JP3144233U (ja) | 組み立てハウス | |
JP2024118616A (ja) | エレベータ乗場用止水板 | |
JP2818927B2 (ja) | ユニット屋根パネルおよび屋根構造 | |
KR870000095Y1 (ko) | 조 립 식 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