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8299B1 -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8299B1
KR102618299B1 KR1020210119258A KR20210119258A KR102618299B1 KR 102618299 B1 KR102618299 B1 KR 102618299B1 KR 1020210119258 A KR1020210119258 A KR 1020210119258A KR 20210119258 A KR20210119258 A KR 20210119258A KR 102618299 B1 KR102618299 B1 KR 102618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top
wall
waterproof
reinforced plastic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6636A (ko
Inventor
심민섭
Original Assignee
심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섭 filed Critical 심민섭
Priority to KR102021011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829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8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8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과 상기 옥상의 정면, 배면, 좌측, 우측 각각에 형성된 외벽에 설치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옥상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전,후,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방수판; 옥상과 외벽이 연결되는 내측면에서 정면과 배면 각각에 구비되는 물받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벽면패널; 및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유도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ROOF AND EXTERIOR WALL WATERPROOFING SYSTEM USING REINFORCED PLASTIC PLATE}
본 발명은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옥상의 방수를 위해서, 옥상 바닥면과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방수판을 설치하되, 경사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열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방수를 위해서 시공하는 방수공법은 옥상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방수공법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 및 특성을 달리하여 시공방법이 각각 달라진다.
종래의 옥상 방수공사에 이용되는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시트들은 합성고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다가구주택이나 주상복합형태의 주거형태가 많이 제공되고, 이러한 건물의 옥상에는 별도의 지붕이 형성되거나, 평평한 형태 즉 평슬라브형태의 옥상이 형성된다.
종래의 평슬라브형태의 옥상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주연부에 돌출된 벽면이 형성되어 추락을 방지하고,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평슬라브형태의 옥상은 별도의 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를 해야할 뿐만 아니라, 태양에 직접 노출되거나 추운 환경에 자주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방수재를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슬라브형태의 옥상은 옥상의 바로 하층에 형성된 주택에는 뜨거운 열기와 차가운 냉기가 곧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매우 덥거나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87020호(2009.02.25.) 등록특허공보 제10-0986204호(2010.10.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옥상의 방수를 위해서, 옥상 바닥면과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방수판을 설치하되, 경사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옥상 물고임을 차단하고, 방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옥상의 바닥면에 단열재를 설치함으로써, 열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종래 방수 구조에서 활용되는 강판 재질을 대체하여 강화 플라스틱을 활용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블록 형태의 방수판 다수개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한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은 옥상과 옥상의 정면, 배면, 좌측, 우측 각각에 형성된 외벽에 설치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옥상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전,후,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방수판; 옥상과 외벽이 연결되는 내측면에서 정면과 배면 각각에 구비되는 물받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벽면패널; 및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며, 물받이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유도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옥상의 방수를 위해서, 옥상 바닥면과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방수판을 설치하되, 경사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옥상 물고임을 차단하고, 방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의 바닥면에 단열재를 설치함으로써, 열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방수 구조에서 활용되는 강판 재질을 대체하여 강화 플라스틱을 활용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 형태의 방수판 다수개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수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물받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물받이에 방수판이 결합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유도패널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외벽덮개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중앙덮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은 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옥상의 방수를 위해서, 옥상 바닥면과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방수판을 설치하되, 경사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열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은 종래 옥상에 설치되는 강판 재질의 방수구조를 대체하게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옥상 물고임을 차단하고, 방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방수판(100), 물받이(200), 벽면패널(300), 유도패널(400), 외벽덮개(500), 단열재(600) 및 중앙덮개(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방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10)과 상기 옥상(10)의 정면, 배면, 좌측, 우측 각각에 형성된 외벽(20)에 설치되어 옥상 전체에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방수판(100)은 옥상(1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빗물 등이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옥상(10)의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방수판(1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전,후,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옥상(10) 바닥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결합날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날개(11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방수판(100)의 전,후,좌,우측 각각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블록 형태듸 방수판(100) 다수 개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방수판(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와 다른 하나의 방수판(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방수판(100) 다수 개가 전,후,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옥상(10)의 바닥면 전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날개(110)는 상,하측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관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공(111)은 한 쌍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날개(110)가 서로 겹쳐지게 되고, 각각의 결합날개(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은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방수판(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의 관통공(111)과 다른 하나의 방수판(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의 관통공(111)이 대응되도록 결합날개(110)를 겹치게 한 후, 볼트결합을 통해 한 쌍의 방수판(100)이 상호간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방수판(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가 겹쳐져 결합되는 과정에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방수판(100) 중 상측에 위치한 방수판(100)의 결합날개(110)가 하측에 위치하는 방수판(100)이 결합날개(110) 상측으로 겹쳐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흐르는 물이 상측에 위치한 방수판(100)에서 하측에 위치한 방수판(100)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관통공(111)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산은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볼트가 체결되어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다수 개의 방수판(100)은 볼트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볼트 너트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판(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볼트가 관통되면 상기 방수판(100) 상측으로 노출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날개(11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측으로 갈수록 양측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면, 경사면(112) 사이사이에 상,하측으로 연통된 중공부(112a)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중공부(112a)는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관통공(111)에 볼트를 용이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손이나 별도의 도구를 통해 볼트를 파지한 후, 중공부(112a)를 통과시켜 방수판(10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상기 볼트가 관통공(111)에 끼워지도록 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중공부(112a)를 통해 볼트가 관통되어 방수판(100)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방수판(100)의 결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공부(112a)를 통해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중공부(112a)는 실리콘으로 메워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관통공(111)에 체결된 볼트 또는 너트의 외주면에도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결합된 방수 시스템은 중공부(112a) 또는 관통공(111)이 도포된 실리콘에 의해 완전하게 메워지도록 함으로써, 물이 관통공(111) 또는 중공부(112a)를 통해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방수판(100)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강화 플라스틱(FRP :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은 플라스틱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리 섬유를 보강재로서 조합한 것으로, 유리섬유, 나일론포, 비닐론섬유 등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나 에폭시수지 등에 보강제를 가하여 경화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방수판(100)은 내충격이 우수하고 가벼워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며,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갖고 있어 옥상(10) 바닥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방수판(10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경사진 방향을 기준으로 물결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물이 물결 형태의 단면에서 하측으로 굴곡된 공간을 통해 방수판(100)의 경사진 방향으로 원활하게 흘러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판(100)이 경사진 방향의 끝단에 구비되는 물받이(200) 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방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방수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방수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방수판이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판(100)의 다른 실시예로, 블럭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방수판(100)은 상호간에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방수판(100)은 제1결합날개(120), 제2결합날개(130), 제3결합날개(140) 및 제4결합날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결합날개(120)는 방수판(100)의 배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결합날개(130)는 방수판(100)의 우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결합날개(120) 및 제2결합날개(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긴 폭을 갖는 슬라이드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홈(135)은 후술되는 끼움돌기(155)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끼움돌기(155)가 슬라이드홈(135)에 끼워져 걸림됨으로써,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홈(135)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끼움돌기(155)가 관통되는 끼움홈(135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35a)에 제1결합날개(120) 또는 제2결합날개(13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홈(135b)으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홈(135b)의 폭은 끼움홈(135a)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끼움돌기(155)는 큰 폭을 갖는 끼움홈(135a)으로 끼워진 후, 걸림홈(135b)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끼움홈(135a)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걸림홈(135b)에 걸림됨으로써, 방수판(100)이 상호간에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결합날개(140)는 방수판(100)의 정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4결합날개(150)는 방수판(100)의 좌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결합날개(140) 및 제4결합날개(15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135)을 관통하도록 끼워지는 끼움돌기(155)가 구비될 수 있다.
끼움돌기(155)는 슬라이드홈(135)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드홈(13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다수 개의 방수판(100)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끼움돌기(155)는 슬라이드홈(135)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홈(13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홈(135)의 끼움홈(135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135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155)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결합날개(140) 및 제4결합날개(150)의 하측면 각각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은 폭을 갖는 기둥(155a) 및 상기 기둥(155a)의 하측단에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걸림부재(155b)로 구성된다.
이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한 쌍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하나의 방수판(100)에 구비되는 제1결합날개(12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35)의 끼움홈(135a)에 다른 하나의 방수판(100)에 구비되는 제3결합날개(140)에 형성된 끼움돌기(155)가 끼워지도록 한 후, 다음으로, 상기 끼움돌기(155)를 걸림홈(135b)이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작은 폭을 갖는 기둥(155a)은 끼움홈(135a)으로 안내되고,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걸림부재(155b)는 끼움홈(135a), 즉 제1결합날개(120)의 하측면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방수판(1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끼움돌기(155)를 슬라이드홈(135)으로 끼운 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다수 개의 방수판(100) 결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물받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물받이에 방수판이 결합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물받이(200)는 옥상(10)과 외벽(20)이 연결되는 내측면에서 정면과 배면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 외측벽(210), 내측벽(220) 및 배수바닥(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물받이(200)는 경사진 형태의 방수판(100) 끝단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물받이(200)로 이송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물받이(200)로 이송된 물을 배수홀(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외측벽(210)은 외벽(20)에 인접하도록 직립하여 형성된다.
내측벽(220)은 외측벽(210) 외측으로 이격되어 직립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단턱(2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턱(221)은 방수판(100)과 물받이(200)가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220)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턱(221)은 방수판(100)과 볼트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통공(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받이(200)와 방수판(100)의 결합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방수판(100)의 끝단 일부분은 단턱(221)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물은 방수판(100)과 단턱(22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옥상(10)의 바닥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물받이(200)에 의해 형성되는 수로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바닥(230)은 외측벽(210)과 내측벽(220) 사이를 연결하며, 옥상(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물받이(200)로 이송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홀(2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물받이(200)는 외측벽(210), 내측벽(220) 및 배수바닥(230)에 의해 수로가 형성되며,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물받이(200) 측으로 이송되어진 물은 상기 수로로 수용된 후, 배수바닥(230)에 형성된 배수홀(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벽면패널(300)은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외벽(20)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 우수와 같은 물이 외벽(20)을 따라 옥상(10)의 바닥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옥상의 좌측에 벽면패널(300)이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벽면패널(300)은 외벽(20)의 내측면에 밀착되되, 상단에 구비되는 외벽덮개(500)와 측면에 밀착되는 방수판(100)에 의해 우수와 같은 물이 외벽(20)을 따라 옥상(10)의 바닥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유도패널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유도패널(400)은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외벽(20)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며, 물받이(200)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우수와 같은 물이 외벽(20)을 따라 옥상(10)의 바닥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준다.
이러한 유도패널(4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의 라운드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라운드부(410)의 하측단은 물받이(200)의 단턱(221) 상단에 결합되는 방수판(10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도패널(400)의 측면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는 물은 라운드부(410)에 의해 방수판(100) 상측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물은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물받이(200) 측으로 이송되어 수용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외벽덮개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외벽덮개(500)는 외벽(20)의 상단에 설치되되, 외벽(20)과 상기 벽면패널(300) 및 유도패널(400)의 상측과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우수와 같은 물이 외벽(20)을 따라 옥상(10)의 바닥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덮개(500)는 외벽(20)의 상측 일부분을 감싸도록 하측이 개구된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외벽(20)의 내측면에 설치된 벽면패널(300)도 함께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빗물이 유도패널(400)에 접촉되면 하측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벽면패널(300)의 내측면을 따라 흐르게되고, 결과적으로 벽면패널(300)의 측면에 밀착된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물받이(200) 측으로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옥상(10)의 바닥면에 단열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600)는 옥상(1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열차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서 중앙덮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중앙덮개(700)는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사진 형태로 다수 개 결합된 방수판(100) 중 상측에 위치한 방수판(100)과 결합되되, 옥상(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방수판(100)의 경사진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주(710) 및 이음날개(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710)는 옥상(10)의 중앙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방수판(100)의 경사진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음날개(720)는 지주(710)의 상단에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방수판(100)과 볼트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중앙덮개(7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구비된 이음날개(720)에 다수 개 결합된 방수판(100)이 연결되되, 상기 지주(710)를 기준으로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즉 중앙덮개(700)를 기준으로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각각 연결된 방수판(100)이 멀어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와 같은 물이 방수판(100)의 경사면을 따라 물받이(200)로 원활하게 이송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은 평슬라브로 이루어진 옥상(10)의 방수를 위해서, 옥상(10) 바닥면과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방수판(100)을 설치하되, 경사를 두어 배수를 원활하게 함으로써, 옥상(10) 물고임을 차단하고, 방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옥상(10)의 바닥면에 단열재(600)를 설치함으로써, 열차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수 구조에서 활용되는 강판 재질을 대체하여 강화 플라스틱을 활용한 지붕을 형성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 형태의 방수판(100) 다수개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 : 옥상 20 : 외벽
100 : 방수판 110 : 결합날개
111 : 관통공 112 : 경사면
112a : 중공부 120 : 제1결합날개
130 : 제2결합날개 135 : 슬라이드홈
135a : 끼움홈 135b : 걸림홈
140 : 제3결합날개 150 : 제4결합날개
155 : 끼움돌기 155a : 기둥
155b : 걸림부재
200 : 물받이 210 : 외측벽
220 : 내측벽 221 : 단턱
221a : 통공 230 : 배수바닥
231 : 배수홀
300 : 벽면패널
400 : 유도패널 410 : 라운드부
500 : 외벽덮개
600 : 단열재
700 : 중앙덮개 710 : 지주
720 : 이음날개

Claims (10)

  1. 옥상(10)과 상기 옥상(10)의 정면, 배면, 좌측, 우측 각각에 형성된 외벽(20)에 설치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옥상(1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이격되어 경사지게 설치되고,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 개가 전,후,좌,우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방수판(100);
    옥상(10)과 외벽(20)이 연결되는 내측면에서 정면과 배면 각각에 구비되는 물받이(200);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외벽(20)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벽면패널(300);
    정면과 배면에 형성된 외벽(20)의 내측면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물받이(200) 상단을 덮도록 형성되는 유도패널(400);
    상기 외벽(20)의 상단에 설치되되, 외벽(20)과 상기 벽면패널(300) 및 유도패널(400)의 상측과 측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벽덮개(500);
    상기 옥상(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단열재(600); 및
    상기 옥상(10)의 중앙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주(710), 상기 지주(710)의 상단에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의 이음날개(720)가 구비된 중앙덮개(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판(100)은
    배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1결합날개(120);
    우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2결합날개(130);
    정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3결합날개(140); 및
    좌측면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제4결합날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날개(120) 및 제2결합날개(130)는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긴 폭을 갖는 슬라이드홈(135)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날개(140) 및 제4결합날개(150)는
    상기 슬라이드홈(135)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는 끼움돌기(15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받이(200)는
    외벽(20)에 인접하도록 직립하여 형성되는 외측벽(210);
    상기 외측벽(210) 외측으로 이격되어 직립하여 형성되는 내측벽(220); 및
    상기 외측벽(210)과 내측벽(220) 사이를 연결하며, 옥상(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수바닥(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측벽(220)은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하측으로 하나 이상의 통공(221a)이 형성된 단턱(22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수바닥(230)은
    배수를 위한 배수홀(23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방수판(100)의 끝단 일부분은 상기 단턱(221)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도패널(400)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의 라운드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중앙덮개(700)는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구비된 이음날개(720)에 다수 개 결합된 방수판(100)이 연결되되, 상기 지주(710)를 기준으로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갈수록 방수판(100)이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라이드홈(135)은
    상기 끼움돌기(155)가 관통되는 끼움홈(135a)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35a)에 제1결합날개(120) 또는 제2결합날개(130)의 장축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걸림홈(135b)으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홈(135b)의 폭은 끼움홈(135a)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끼움돌기(155)는
    상기 슬라이드홈(135)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드홈(135)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구성되되, 슬라이드홈(135)의 끼움홈(135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135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결합날개(140) 및 제4결합날개(150)의 하측면 각각에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작은 폭을 갖는 기둥(155a) 및 상기 기둥(155a)의 하측단에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걸림부재(155b)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홈(135)의 끼움홈(135a)에 끼움돌기(155)가 끼워진 후, 상기 끼움돌기(155)가 걸림홈(135b)이 형성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작은 폭을 갖는 기둥(155a)은 걸림홈(135b)을 관통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걸림부재(155b)는 걸림홈(135b)의 하측면에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19258A 2021-09-07 2021-09-07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KR102618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58A KR102618299B1 (ko) 2021-09-07 2021-09-07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258A KR102618299B1 (ko) 2021-09-07 2021-09-07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36A KR20230036636A (ko) 2023-03-15
KR102618299B1 true KR102618299B1 (ko) 2023-12-28

Family

ID=8551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258A KR102618299B1 (ko) 2021-09-07 2021-09-07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82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10Y1 (ko) * 2006-08-17 2006-11-23 이동윤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1699947B1 (ko) * 2016-04-25 2017-01-25 박범식 지붕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19309B1 (ko) * 2018-11-09 2019-09-06 이소연 복합구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방수패널
KR102222137B1 (ko) * 2020-01-20 2021-03-02 여환욱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20B1 (ko) 2007-07-11 2009-03-04 이영갑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986204B1 (ko) 2010-02-19 2010-10-07 권영원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KR20150004331U (ko) * 2015-09-16 2015-12-02 심민섭 칼라강판을 이용한 지붕개량 및 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10Y1 (ko) * 2006-08-17 2006-11-23 이동윤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101699947B1 (ko) * 2016-04-25 2017-01-25 박범식 지붕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019309B1 (ko) * 2018-11-09 2019-09-06 이소연 복합구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방수패널
KR102222137B1 (ko) * 2020-01-20 2021-03-02 여환욱 분리형 탈기장치를 구비한 플랜지가 단차를 갖는 방수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36A (ko)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4414B1 (de) Komponenten für eine bodengleiche Ablaufvorrichtung und entsprechend aufgebaute Dusche
KR102112509B1 (ko) 샌드위치 패널용 태양광 구조물 지지대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20180064912A (ko) 조립식 방수패널
CN206903673U (zh) 毛细排水板、毛细排水管组合的隧道防排水系统
EP3204699B1 (en) Mounting bar, system for mounting a solar panel and method for mounting at least two solar panels
JP4612555B2 (ja) 組立屋根
US20200190747A1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2618299B1 (ko) 강화플라스틱 판재를 이용한 옥상 및 외벽 방수 시스템
US4548006A (en) Self-flashing channeled skylight
JP7171034B2 (ja) 軒先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293124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を有する建物
KR200484414Y1 (ko) 처마용 빗물받이
JPH082286Y2 (ja) 水平屋根の雨仕舞装置
KR102074403B1 (ko) 더블 인터로킹 연결구조를 갖는 다용도 조립식 지붕시스템
KR101561809B1 (ko) 온실용 홈통 구조
CN217840383U (zh) 防水装置
CN218149462U (zh) 一种多功能复合板材
JP6871033B2 (ja) 雪止部材、屋根構造および建物
KR20030013014A (ko) 2-아치형 터널내부의 누수처리 구조
JP7356132B2 (ja) 換気部材ユニット及び棟換気装置の施工方法
JP6980399B2 (ja) 建物の軒先廻り構造
KR101303056B1 (ko) 처마용 물받이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JP6863726B2 (ja) 屋根パネルの設置方法、屋根パネルおよび屋根構造
EP3754130A1 (en) Arrangement for draining water from a roof of a building and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