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308B1 -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 Google Patents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308B1
KR101047308B1 KR1020100102258A KR20100102258A KR101047308B1 KR 101047308 B1 KR101047308 B1 KR 101047308B1 KR 1020100102258 A KR1020100102258 A KR 1020100102258A KR 20100102258 A KR20100102258 A KR 20100102258A KR 101047308 B1 KR101047308 B1 KR 10104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ont panel
exterior
build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규
배준표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별도의 배수유로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고 외장마감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외벽에 고정되며, 타단은 일단의 단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외벽에 다수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양분되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로벽과, 상기 유로벽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개방된 일측을 일부 폐쇄하여 수분유입구를 형성하는 판상의 차수벽으로 구성된 배수부재; 상기 배수부재의 상기 차수벽에 각각 결합되며, 그 단부에 상기 차수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되는 걸림편이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쳐져 상기 차수벽 일면에 배치되며, 외벽을 마감하는 판상의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방지턱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상단절곡편과,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누수방지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하향 절곡된 하단절곡편이 형성된 외장마감재; 및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로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Exterior structure of building outer wall using open joint method}
본 발명은 건물 벽체의 외벽에 구비되는 외장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별도의 배수유로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외장마감재, 건물의 외벽 및 외장마감재와 외벽 사이의 주요부품을 보호하고 외장마감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의 건축은 주로 조립식 건축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있고, 이러한 시공 방법은 우선 건물의 골조를 구축한 후 건물의 각층에 해당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어진 건물의 외벽에는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단열 및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마감재 시공방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외장마감재는 격자형태를 이루면서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다.
이때, 외장마감재는 상하좌우로 인접하는 각 외장마감재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줄눈을 형성하면서 시공되는데, 이는 외부적인 환경요인에 의한 건조수축 및 열변화에 따른 변형으로 외장마감재와 외장마감재 사이에 수평, 수직의 편차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줄눈에는 건물의 외벽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란트(Sealant)를 코킹(caulking)하였다.
그러나, 실란트는 회색 또는 검정색으로 구성된 일종의 실리콘으로써, 주입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탈색 또는 변색되면서 외장마감재 내부로 염색물이 스며들어 외장마감재를 오염시키는 단점을 가지며, 외부의 온도 및 수분(비 또는 눈)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누수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빗물 또는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면 내구성이 약화되어 방수능력이 떨어지므로 1년 또는 2년 단위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시설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앞서 서술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란트를 사용하지 않고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된 줄눈을 오픈시켜 외장마감재와 외벽 사이로 공기가 순환토록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이 이용되어 있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오픈조인트형 외장마감재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외벽(B)에 고정된 앙카볼트(112)의 일단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한 쌍의 브라켓(110)사이에 체결부재(122)로서 고정되는 스틸파이프(120)와, 상기 스틸파이프(120)의 전면에 스크류부재(132)로서 설치되는 'ㄷ'단면상의 프레임브라켓(130) 및 후면 및 측면테두리에 리벳(146)으로서 장착된 패널프레임(145)이 상기 프레임브라켓(130)의 선단에 제 1,2스크류부재(141)(142)를 매개로 조립되어 건물의 외벽에 시공되는 외장마감재(1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오픈조인트형 외장마감재의 조립구조는, 수분(비 또는 눈)이 줄눈(G)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외장마감재(140)와 건물 외벽(B)사이에 구비되는 주요부품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외장마감재(14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외장마감재(140)와 건물 외벽(B)사이에 구비되는 주요부품이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의 어려움과 함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별도의 배수유로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외장마감재, 건물의 외벽 및 외장마감재와 외벽 사이의 주요부품을 보호하고 외장마감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 구조는, 건물의 외벽;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외벽에 고정되며, 타단은 일단의 단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외벽에 다수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단부로부터 양분되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로벽과, 상기 유로벽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의 개방된 일측을 일부 폐쇄하여 수분유입구를 형성하는 판상의 차수벽으로 구성된 배수부재; 상기 배수부재의 상기 차수벽에 각각 결합되며, 그 단부에 상기 차수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되는 걸림편이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쳐져 상기 차수벽 일면에 배치되며, 외벽을 마감하는 판상의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방지턱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상기 걸림편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상단절곡편과,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누수방지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하향 절곡된 하단절곡편이 형성된 외장마감재; 및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외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수부재 사이에는 상기 배수부재의 상기 유로벽 상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유로벽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유로벽의 하단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부끼움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끼움부의 하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벽의 상단이 외측으로 끼워지는 하부끼움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기 측면패널이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전면패널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출된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패널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패널에는 상기 외장마감재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걸쳐져 상기 외벽에 배치될 때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 양측 일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부재의 상기 배수유로를 유동하는 수분이 상기 전면패널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면패널의 두께방향으로부터 상기 차수벽을 향해 돌출형성된 압착편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착편과 상기 차수벽 사이에는 수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단절곡편의 수용홈에는 탄성재질의 수밀패킹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 구조에 의하면, 외장마감재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배수유로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으로의 침투가 방지되어 건물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마감재의 착탈이 용이하여 외장마감재의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이 배수유로를 통해 배수됨에 따라 외장마감재와 외벽 사이에 구성된 주요부품 및 외장마감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마감재를 거치시키는 외장마감재와 건물의 외벽 사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의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및 요부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조인트공법으로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조인트공법으로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외장마감재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횡단면도이다.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500) 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비바람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외장마감재(500)가 격자형태로 시공되고,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G)을 오픈하여 공기가 외벽(B) 사이로 통하도록 하면서 줄눈(G)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500) 구조는, 건물의 외벽(B);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외벽(B)에 고정되며, 타단은 일단의 단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기 외벽(B)에 다수개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200); 상기 지지브라켓(200)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310)과, 상기 고정편(310)의 단부로부터 양분되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배수유로(32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로벽(320)과, 상기 유로벽(320)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320a)의 개방된 일측을 일부 폐쇄하여 수분유입구(330a)를 형성하는 판상의 차수벽(330)으로 구성된 배수부재(300); 상기 배수부재(300)의 상기 차수벽(330)에 각각 결합되며, 그 단부에 상기 차수벽(3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되는 걸림편(400a)이 구비된 복수개의 고정브라켓(400); 상기 고정브라켓(400)에 걸쳐져 상기 차수벽(330) 일면에 배치되며, 외벽(B)을 마감하는 판상의 전면패널(510)과, 상기 전면패널(5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방지턱(521)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상기 걸림편(400a)이 삽입되는 홈부(523)가 형성된 상단절곡편(520)과, 상기 전면패널(5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에 상기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되는 수용홈(531)이 구비되도록 하향 절곡된 하단절곡편(530)이 형성된 외장마감재(500); 및 상기 전면패널(510)의 양측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전면패널(51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외벽(B)은 콘크리트 타설 이후 양생에 의해 형성되며 건물의 외벽(B)체를 구성하는 옹벽으로서,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지브라켓(200)은, 외장마감재(500)가 건물의 외벽(B)과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건물의 외벽(B)에 한 쌍으로 외벽(B)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고정되며, 일단은 외벽(B)과 인접되어 앙카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일단의 단부로부터 외벽(B)의 타측으로 절곡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배수부재(300)는, 외장마감재(500)가 건물의 외벽(B)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형성된 줄눈(G)의 후방에 배치되어 줄눈(G)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을 건물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으로서, 고정볼트(W)를 통해 지지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편(310)과, 유로벽(320)과, 차수벽(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부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외벽(B)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수부재(300)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배수부재(300)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알루미늄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수직편차가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수부재(300)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면 그 길이가 상당하기 때문에 건물의 외벽(B)을 따라 한번에 시공되는 경우 시공의 어려움이 있고, 설령 그대로 시공된다 하더라도 수직편차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휨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고정편(310)은 소정간격을 유지한 한 쌍의 지지브라켓(2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볼트(W)를 통해 고정되며, 건물 외벽(B)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편(310)은 고정볼트(W)를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결합방법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유로벽(320)은 고정편(310)의 단부로부터 고정편(310)의 폭방향 양측으로 양분되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측으로는 일측이 개방된 배수유로(3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배수유로(320a)는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형성된 줄눈(G)으로 유입되는 수분(눈 또는 비)이 건물 외벽(B)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분을 중력방향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건물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수유로(32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로벽(320)의 형상은 다각 또는 원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그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배수유로(320a)의 일측이 개방된 위치는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오픈 되게 형성되는 줄눈(G)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편(310)이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200)은 줄눈(G)의 중심위치에 맞도록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차수벽(330)은 판상으로 유로벽(320)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벽(320)의 각 단부와 인접된 상태로 유로벽(320)과 교차하는 방향 즉 후술하는 외장마감재(500)의 폭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차수벽(330)은 각 유로벽(320)의 단부로부터 배수유로(320a)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배수유로(320a)의 개방된 일측을 일부 폐쇄하여 수분유입구(330a)를 형성한다.
이 수분유입구(330a)의 폭은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G)과 대응하는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수벽(330)은 배수유로(320a)의 외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외장마감재(500)가 차수벽(330)에 배치될 때 상호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외장마감재(500)와 차수벽(330)과의 안정적인 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다수개로 고정된 배수부재(300) 사이에는 배수부재(300)의 유로벽(320) 상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50)가 구비된다.
연결부재(350)는 배수유로(320a)를 형성하는 유로벽(320) 상하단를 상호 연결시킴에 따라 줄눈(G)을 통해 수분유입구(330a)로 유입된 수분이 배수부재(300) 사이로 누수되어 건물의 외벽(B)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재(350)는, 유로벽(3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연통되며, 상부에는 유로벽(320)의 하단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부끼움구(35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끼움구(353)의 하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유로벽(320)의 상단이 외측으로 끼워지는 하부끼움구(355)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수유로(320a)를 유동하는 수분은 유로벽(320)의 하단이 연결부재(350)의 상부끼움구(353)의 내측으로 끼워짐에 따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로벽(320)과 상부끼움구(353)의 사이에 틈이 발생 되더라도 배수유로(320a)의 외측으로 누수 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끼움구(355)에는 유로벽(320)의 상단이 하부끼움구(355)의 외측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수분이 중력방향으로 낙하하는 것을 감안할 때 수분의 원천적인 누수가 차단된다.
다음으로 고정브라켓(400)은, 배수부재(300)의 차수벽(330) 높이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개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외장마감재(500)가 걸쳐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외장마감재(500)의 배면이 걸쳐지도록 그 단부에 차수벽(3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되는 걸림편(400a)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은 리벳 또는 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배수부재(300)의 차수벽(330)에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400)의 고정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외장마감재(500)는, 대략적인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고정브라켓(400)에 걸쳐짐으로써 차수벽(330) 일면에 배치되어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외벽(B)을 마감하는 판상의 전면패널(510)과, 전면패널(5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절곡되어 그 상면에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방지턱(521)이 형성되고 그 단부에 걸림편(400a)이 삽입되는 홈부(523)가 형성된 상단절곡편(520)과, 전면패널(51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단부에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되는 수용홈(531)이 구비되도록 하향 절곡된 하단절곡편(5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면패널(5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루미늄이 경량화, 고강성 및 비바람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내부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이고, 건물의 외벽(B)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단열 및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이다.
상단절곡편(520)은 전면패널(510)의 상단으로부터 외벽(B)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전면패널(510)의 상단을 커버하여 전면패널(510)의 배면으로 수분의 직접적인 침투를 방지한다.
누수방지턱(521)은 상단절곡편(520) 상에 전면패널(5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전면패널(510)의 높이방향으로 2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홈부(523)는 고정브라켓(400)의 걸림편(40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절곡편(520)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단절곡편(530)은 전면패널(510)의 하단으로부터 외벽(B)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는 하향 절곡되어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되는 수용홈(5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용홈(531)의 깊이는 누수방지턱(52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된 상태에서 후방마감재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할 때 누수방지턱(521)이 수용홈(531)의 상방으로 더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하단절곡편(530)의 수용홈(531)에는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된 상태에서 수용홈(531)을 통한 수분의 유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도록 탄성재질의 수밀패킹(533)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수방지턱(521)과 수용홈(531)은 외장마감재(500)가 건물의 외벽(B)에 격자형상으로 배치될 때 외장마감재(500)의 상하측에 배치되는 또 다른 외장마감재(500)의 수용홈(531)에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됨으로써, 외장마감재(500)가 상호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외장마감재(500)의 상측으로 수분의 직접적인 침투를 방지한다.
그리고, 누수방지턱(521)과 수용홈(531)의 결합은 외장마감재(500)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외장마감재(500)의 개별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할 때 그 대상이 되는 외장마감재(500) 분리만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외장마감재(5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전면패널(510) 하측의 수용홈(531)으로부터 누수방지턱(521)이 이탈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외장마감재(500)를 분리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측면패널(600)은 전면패널(510)의 양측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면패널(5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전면패널(510)의 배면에는 전면패널(51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측면패널(600)이 전면패널(510)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전면패널(510)의 폭방향으로 전면패널(5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체결부재(513)가 형성되고, 측면패널(600)에는 체결부재(513)에 끼워지는 체결돌기(60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측면패널(600)에 형성되는 체결돌기(603)의 위치는 체결부재(513)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패널(510)과 측면패널(600)의 결합이 체결부재(513)와 체결돌기(603)의 결합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측면패널(600)에는 외장마감재(500)가 고정브라켓(400)에 걸쳐져 외벽(B)에 배치될 때 전면패널(510)의 배면 양측 일부를 커버하면서 배수부재(300)의 배수유로(320a)를 유동하는 수분이 전면패널(51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패널(600)의 두께방향으로부터 차수벽(330)을 향해 돌출형성된 압착편(6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착편(610)은 차수벽(330)과의 밀착면적이 넓어지도록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400)에 의해 배치되는 전면패널(510)의 밀착력에 의해 차수벽(330)에 밀착되어 있다.
이때, 압착편(610)과 차수벽(330) 사이에는 수밀부재(6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되면 압착편(610)과 차수벽(330) 사이의 수밀력이 더 강화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외장마감재(500) 구조는, 외장마감재(500)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G)으로 유입되는 수분이 배수유로(320a)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외장마감재(500), 건물의 외벽(B) 및 외장마감재(500)와 외벽(B) 사이에 구성된 주요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마감재(500)를 거치시키는 외장마감재(500)와 건물의 외벽(B) 사이의 구성이 간소화되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장마감재(500)의 착탈이 용이하여 외장마감재(500)의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배수부재(300)의 길이 및 배수유로(320a)의 형상, 고정편(310)의 결합방법, 고정브라켓(400)의 결합방법, 누수방지턱(521) 및 수용홈(531)의 형상 및 수용방법, 전면패널(510)과 측면패널(600)의 결합방식, 측면패널(600)에 형성된 압착편(610)의 위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200 : 지지브라켓 300 : 배수부재
310 : 고정편 320 : 유로벽
320a : 배수유로 330 : 차수벽
330a : 수분유입구 350 : 연결부재
353 : 상부끼움구 355 : 하부끼움구
400 : 고정브라켓 400a : 걸림편
500 : 외장마감재 510 : 전면패널
513 : 채결부재 520 : 상단절곡편
521 : 누수방지턱 523 : 홈부
530 : 하단절곡편 531 : 수용홈
533 : 수밀패킹 600 : 측면패널
603 : 체결돌기 610 : 압착편
620 : 수밀부재 B : 외벽
G : 줄눈 S : 결합볼트

Claims (8)

  1. 건물의 외벽(B)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일단의 단부로부터 절곡연장되어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외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브라켓(200);
    마주보는 상기 지지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310)과, 상기 고정편(310)의 단부로부터 양분되어 상호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내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배수유로(320a)를 형성하는 한 쌍의 유로벽(320)과, 상기 유로벽(320)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320a)의 개방된 일측을 일부 폐쇄하여 수분유입구(330a)를 형성하는 판상의 차수벽(330)으로 구성된 배수부재(300);
    상기 배수부재(300)의 상기 차수벽(330)에 각각 결합되며, 단부에 상기 차수벽(3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된 걸림편(400a)이 구비된 고정브라켓(400);
    상기 고정브라켓(400)에 걸쳐져 상기 차수벽(330) 일면에 배치되며 외벽(B)을 마감하는 판상의 전면패널(510)과, 상기 전면패널(510)의 상단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누수방지턱(521)과, 상기 전면패널(510)의 상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400)의 상기 걸림편(400a)이 삽입되는 홈부(523)를 형성하는 상단절곡편(520)과, 상기 전면패널(510)의 하단부로부터 하향절곡됨으로써 상기 누수방지턱(521)이 수용되는 수용홈(531)을 형성하는 하단절곡편(530)이 형성된 외장마감재(500); 및
    상기 전면패널(510)의 양측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전면패널(51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패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300)는 상기 외벽(B)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외벽(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300)는 상기 배수부재(300)의 상기 유로벽(320) 상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50)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50)는,
    상기 유로벽(3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연통되며, 상부에는 상기 유로벽(320)의 하단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상부끼움구(353)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끼움구(353)의 하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유로벽(320)의 상단이 외측으로 끼워지는 하부끼움구(3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510)의 배면에는 상기 전면패널(51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기 측면패널(600)이 상기 전면패널(510)의 양측에 구비되도록 상기 전면패널(5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돌출된 체결부재(513)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패널(600)에는 상기 체결부재(513)에 끼워지는 체결돌기(6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600)에는 상기 외장마감재(500)가 상기 고정브라켓(400)에 걸쳐져 상기 외벽(B)에 배치될 때 상기 전면패널(510)의 배면 양측 일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부재(300)의 상기 배수유로(320a)를 유동하는 수분이 상기 전면패널(51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측면패널(600)의 두께방향으로부터 상기 차수벽(330)을 향해 돌출형성된 압착편(6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편(610)과 상기 차수벽(330) 사이에는 수밀부재(62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절곡편(530)의 수용홈(531)에는 탄성재질의 수밀패킹(53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20100102258A 2010-10-20 2010-10-20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04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58A KR101047308B1 (ko) 2010-10-20 2010-10-20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58A KR101047308B1 (ko) 2010-10-20 2010-10-20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308B1 true KR101047308B1 (ko) 2011-07-07

Family

ID=4492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258A KR101047308B1 (ko) 2010-10-20 2010-10-20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30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61Y1 (ko) 2011-12-23 2013-10-29 주식회사 세보메탈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패널 조립체
KR101334320B1 (ko) 2013-05-03 2013-11-27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CN104141374A (zh) * 2014-07-25 2014-11-12 杉原明成 墙面装饰板的安装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KR20150045807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삼선알미늄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20160001415A (ko) * 2014-06-27 2016-01-06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CN106193488A (zh) * 2016-08-12 2016-12-07 中国航天建设集团有限公司 墙面洁净板安装施工工艺以及墙面洁净板安装结构
KR102290530B1 (ko) * 2021-02-16 2021-08-17 주식회사 윈스틸 내진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물
KR102303709B1 (ko) * 2021-02-18 2021-09-17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716A (ja) * 1994-11-30 1996-06-11 Fujisash Co カーテンウォール
KR960023549A (ko) * 1994-12-28 1996-07-20 최훈 커튼 월(Curtain Wall)의 유니트판넬
KR20060008263A (ko) * 2005-12-28 2006-01-26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패널 시스템
KR100773273B1 (ko) 2007-04-03 2007-11-05 이용진 건물외벽 오염방지용 외벽패널 고정브라켓과 이를 이용한외벽패널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716A (ja) * 1994-11-30 1996-06-11 Fujisash Co カーテンウォール
KR960023549A (ko) * 1994-12-28 1996-07-20 최훈 커튼 월(Curtain Wall)의 유니트판넬
KR20060008263A (ko) * 2005-12-28 2006-01-26 주식회사 미앤지산업 패널 시스템
KR100773273B1 (ko) 2007-04-03 2007-11-05 이용진 건물외벽 오염방지용 외벽패널 고정브라켓과 이를 이용한외벽패널 고정구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61Y1 (ko) 2011-12-23 2013-10-29 주식회사 세보메탈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패널 조립체
KR101334320B1 (ko) 2013-05-03 2013-11-27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590093B1 (ko) * 2013-10-21 2016-01-29 주식회사 삼선알미늄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20150045807A (ko) * 2013-10-21 2015-04-29 주식회사 삼선알미늄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101664359B1 (ko) 2014-06-27 2016-10-10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KR20160001415A (ko) * 2014-06-27 2016-01-06 박수준 건축용 테라코타 타일의 고정장치
CN104141374A (zh) * 2014-07-25 2014-11-12 杉原明成 墙面装饰板的安装固定结构及其固定方法
CN106193488A (zh) * 2016-08-12 2016-12-07 中国航天建设集团有限公司 墙面洁净板安装施工工艺以及墙面洁净板安装结构
KR102290530B1 (ko) * 2021-02-16 2021-08-17 주식회사 윈스틸 내진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물
KR102303709B1 (ko) * 2021-02-18 2021-09-17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310540B1 (ko) * 2021-02-18 2021-10-08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310538B1 (ko) * 2021-02-18 2021-10-08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WO2022177087A1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638083B1 (ko) 단열 및 차수 구조를 구비한 커튼월
KR20100116924A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구조
JP6205197B2 (ja) 建物の換気構造
KR20180064912A (ko) 조립식 방수패널
KR200483553Y1 (ko) 커튼월 결합구조
JP5329174B2 (ja) 外断熱構造
KR200370381Y1 (ko) 지붕조립용 샌드위치판넬
KR20130068833A (ko) 건축용 지붕패널 조립장치
KR200467322Y1 (ko) 지붕 구조물 연결장치
KR102340186B1 (ko) 천정 상부 고정 프레임이 없는 타입의 방음터널 지붕구조
KR101087737B1 (ko) 건축물 지붕
KR200416147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102277966B1 (ko) 가스켓이 생략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KR100985990B1 (ko) 콘크리트 원형 배수로관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102386523B1 (ko) 미들조인트부재로 연결된 확장형 단위 메탈판넬
KR101047309B1 (ko) 담수부가 구비된 건물 외장마감재
KR102622371B1 (ko) 방수성이 향상된 모듈러 구조체
JP6777128B2 (ja) 手摺の防水構造
KR102277972B1 (ko) 통기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KR101840230B1 (ko) 지붕판넬용 방수마감부재
CN110291262B (zh) 用于建筑物的壁构造及制造其的方法
KR200442268Y1 (ko)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