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68Y1 -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68Y1
KR200442268Y1 KR2020070016182U KR20070016182U KR200442268Y1 KR 200442268 Y1 KR200442268 Y1 KR 200442268Y1 KR 2020070016182 U KR2020070016182 U KR 2020070016182U KR 20070016182 U KR20070016182 U KR 20070016182U KR 200442268 Y1 KR200442268 Y1 KR 200442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support bar
vertical
central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126U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6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68Y1/ko
Publication of KR20070001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1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5/00Compounds of magnesium
    • C01F5/02Magnesia
    • C01F5/04Magnesia by oxidation of metallic magnesiu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25Adhesives, i.e. glu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직 철골로 형성된 경량 지지바를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설 고정시키고, 그 전면에 불연소재인 마그네슘 보드를 결합부재로 인해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결로 방지 및 곰팡이 서식방지, 습도 조절 기능을 가지며,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 교체 가능하게 된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지하 이중벽을 끼움 방식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시 어느 한 마그네슘 패널이 손상된 경우라도 상부 결합부재, 하부 결합부재, 세로결합부재 또는 중앙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만 고정 스크류를 해제하여도 신속하게 손상된 마그네슘 패널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벽체에 대한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로방지, 곰팡이 서식 방지 효과가 있으며, 실내 습도 조절 기능이 탁월하고, 신속한 설치 및 해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마그네슘 보드, 이중벽, 하부 결합부재, 중앙 결합부재, 상부 결합부재, 몰딩, 억지끼움식 몰딩.

Description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CONSTRUCTING STRUCTURE OF DOUBLE PARTITION WALL AT UNDERGROUND}
본 고안은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수직 철골로 형성된 경량 지지바를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설 고정시키고, 그 전면에 불연소재인 마그네슘 보드를 결합부재로 인해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결로 방지 및 곰팡이 서식방지, 습도 조절 기능을 가지며,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 교체 가능하게 된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하실은 압력이 작용되므로 단순히 방수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고,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하실의 방수방법에는 외방수와 내방수의 2가지 방법이 있다. 지하실이 깊으면 깊을수록 수압이 커지므로 아스팔트 방수층 시공으로, 얕을 때에는 내방수가 좋고 깊을 때에는 외방수가 좋으나 이것은 시공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지하벽의 방수는 내방수를 한다.
그런데, 지하층 방수벽은 습도와 온도차에 의해 항상 표면결로가 발생되며, 방수벽의 표면이 거칠어지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벽을 설치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대부분 속빈 시멘트블럭을 쌓기만 하였으나, 최근에는 그러한 시멘트 블록의 전면에 다양한 제품으로 이중벽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공되고 있는 이중벽도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PVC소재를 이용한 제품은 화재 시 유독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시공시 내방수층을 손상 시킨다.
셋째, 단열성능이 미약해 항상 표면결로가 발생한다.
넷째, 발수기능이 미약하고 흡수율이 높아 곰팡이가 서식하는 요인이 된다.
다섯 번째, 다기능 패널들의 조립성이 취약하여 패널의 부착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일부 훼손시 패널을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 철골로 형성된 경량 지지바를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설 고정시키고, 그 전면에 불연소재인 마그네슘 보드를 결합부재로 인해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결로 방지 및 곰팡이 서식방지, 습도 조절 기능을 가지며,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 교체 가능하게 된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 이중벽의 복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방수턱(8)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볼팅되어 설치된 바닥 지지바(10)와; 보(6)의 하면에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마주보게 볼팅되어 설치된 보 지지바(12)와;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사이에 양단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볼팅되는 세로 지지바(18)와; 상기 바닥 지지바(10)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보 지지바(12)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상부 결합부재(22)와;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중앙 소정부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중앙 결합부재(24)와; 어느 한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볼팅되어 마그네슘 보드(32)와 이웃하는 마그네슘 보드(32)를 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세로 결합부재(23)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중앙 결합부재(24) 또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22)와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에 그 테두리면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마그네슘 보드(32)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에 볼팅된 고정 스크류(28)가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 결합되는 몰딩부재(38)가 더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딩부재(38)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부(39)와; 상기 삽입부(39)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3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는 상기 몰딩부재(38)의 결합돌기(38a)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결합홈(26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는 지하 이중벽을 끼움 방식으로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시 어느 한 마그네슘 패널이 손상된 경우라도 상부 결합부재, 하부 결합부재, 세로결합부재 또는 중앙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만 고정 스크류를 해제하여도 신속하게 손상된 마그네슘 패널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벽체에 대한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로방지, 곰팡이 서식 방지 효과가 있으며, 실내 습도 조절 기능이 탁월하고, 신속한 설치 및 해제,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는 수직 철골로 형성된 경량 지지바를 내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입설 고정시키고, 그 전면에 불연소재인 마그네슘 보드를 결합부재로 인해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결로 방지 및 곰팡이 서식방지, 습도 조절 기능을 가지며, 신속하게 조립 및 해체, 교체 가능하게 된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1)는 지하 이중벽의 복합 패널을 설치하기 위해, 벽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2)에 일정높이 돌출되며 그 내부에 배수공(미도시)이 형성된 방수턱(8)이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방수턱(8)의 상면에는 방습지(미도시)를 매개하여 바닥 지지바(10)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방수턱(8)과 마주보는 보(6)의 소정부에 동일한 보 지지바(12)가 설치되어져 있다.
즉, 상기 방수턱(8)의 상면과 보(6)의 소정부에 각각 마주보게 결합된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내부에는 그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를 연결하기 위한 세로 지지바(18)가 결합되는 바,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내부에 요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와 수직으로 상기 세로 지지바(18)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세로 지지바(18)는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세로 지지바(18)는 바람직하게 그 단면이“ㄷ”자 형상의 철골재로 구 성된다.
또한, 상기 세로 지지바(18)는 그 개구부가 상기 벽체(4) 방향을 바라보게 설치되는 바, 그 세로 지지바(18)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벽체(4)와 세로 지지바(18)를 연결하는 고정바(16)가 결합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바(16)의 일단은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내부에 결합되어 볼팅되며, 그 고정바(16)의 타단은 상기 벽체(4)와 밀착되는 바, 그 벽체(4)와 고정바(16)의 타단 사이에는 에폭시 수지(14)가 더 개재되어 고정바(16)를 벽체(4)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에는 일정간격으로 볼팅되며, 그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전방에 마그네슘 보드(32)을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결합부재(20) 및 상부 결합부재(22)가 구비되는 바, 그 하부 결합부재(20) 및 상부 결합부재(22)는 그 일단이 각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그 중앙이 수직으로 절곡 돌출되어져 있고, 다시 그 타단이 절곡되어 상기 마그네슘 보드(32)의 상하면을 상기 바닥 지지바(10) 또는 보 지지바(12)에 각각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볼팅되어 결합되되, 그 상하단이 각각 상기 마그네슘 보드(32)를 고정시키기 위한 중앙 결합부재(24)가 구성되는 바, 그 중앙 결합부재(24)는 그 중앙부가 절곡된 삽입부(26)가 구비되어져 삽입부(26)의 전단면이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밀착되어 볼팅됨으로써 상기 삽입부(26)의 상하면에 각각 상기 마그네슘 보드(32)의 하면 및 상면을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삽입부(26)의 후단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져 있다.
한편, 상기 마그네슘 보드(32)는 경량 고강도의 마그네슘 재질로 이루어진 보드인 바, 그 배면에는 단열성이 우수한 단열시트(미도시)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져 있으므로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단열 성능이 매우 우수한 마그네슘 보드(32)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보드(32)는 상하방향으로는 2개씩 결합시키고, 수평으로 다수개를 연이어서 결합시킴으로써 벽체를 형상하게 되는 바, 하부에 장착되는 마그네슘 보드(32)라면, 각각 상기 중앙 결합부재(24)의 하면과, 하부 결합부재(20)의 상면에 의해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고정되게 된다.
또, 상부에 장착되는 마그네슘 보드(32)라면, 각각 상기 상부 결합부재(22)의 하면과, 상기 중앙 결합부재(24)의 상면에 의해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수평으로 조립된 마그네슘 보드(32)들을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고정시키기 위해, 어느 한 마그네슘 보드(32)와 수평으로 이웃한 마그네슘 보드(32)를 각각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고정시키기 위한 세로 결합부재(23)가 구비되는 바, 그 세로 결합부재(23)는 어느 한 마그네슘 보드(32)와 수평으로 이웃한 마그네슘 보드(32)의 연결된 위치의 세로 지지바(18)에 고정 스크류(28)를 통해 볼팅되어 수평의 이웃한 마그네슘 보드(32)를 세로 지지바(18)에 고정시킨다.
한편, 다수개의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및 하부 결합부재(20), 중앙 결합부재(24)에 볼팅된 고정 스크류(28)가 습기나 물기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및 하부 결합부재(20),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단에 각각 결합되는 몰딩부재(30,38,40)가 구비되는 바, 그 몰딩부재(30,38,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또는 하부 결합부재(20), 또는 중앙 결합부재(24) 또는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단 내부에 결합되며, 각 결합부재(20,22,23,24)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예컨대, 26a)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38a)가 몰딩부재(40)의 삽입부(39)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는 벽체(4)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바닥면(2)에 돌출되게 형성된 방수턱(8)의 상면과, 그 방수턱(8)과 마주보는 위치의 보(6)에 각각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를 고정 스크류(28)를 통해 고정시킨다.
그 상태에서,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내부에 각각 세로 지지바(18)의 양단을 삽입하고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외부에서 고정 스크류(28)를 통해 내부에 삽입된 상기 세로 지지바(18)를 볼팅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배면으로부터 그 내부로 고정바(16)의 일단을 삽입하고, 그 고정바(16)의 타단은 에폭시 수지(14)를 통해 벽체(4)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 지지바(10)에 일정간격으로 하부 결합부재(20)를 밀착시키고 고정 스크류(28)를 통해 볼팅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그 하부 결합부재(10)의 상면에 상기 마그네슘 보드(32)의 하부면을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 보드(32)의 상부면을 중앙 결합부재(24)의 하면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그 중앙 결합부재(24)의 내부 중앙면을 세로 지지바(18)에 밀착시키고 고정 스크류(28)를 볼팅하여 결합시킨다.
하부의 마그네슘 보드(3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결합부재(24)의 상면에 상부의 마그네슘 보드(32) 하단을 끼워넣고, 그 상단을 상기 상부 결합부재(22)의 하단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그 상부 결합부재(22)를 상기 보 지지바(12)에 볼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수평으로 각각 이웃하는 마그네슘 보드(32)의 양단틈에 각각 세로 결합부재(23)를 삽입하고, 그 세로 결합부재(23)의 내부 중앙을 상기 세로 지지바(18)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접촉면에 고정 스크류(28)를 볼팅하고 그 전면에 몰딩부재(40)를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1)는 신속하게 지하 이중벽을 끼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사용시 어느 한 마그네슘 보드(32)가 손상된 경우라도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또는 하부 결합부재(20), 중앙결합부재(24) 또는 세로 결합부재(23)중 어느 하나만 고정 스크류(28)를 해제하여도 신속하게 손상된 마그네슘 보드(32)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방수턱, 10:바닥 지지바,
12:보 지지바, 14:에폭시 수지,
16:고정바, 18:세로 지지바,
20:하부 결합부재, 22:상부 결합부재,
23:세로 결합부재, 24:중앙 결합부재,
28:고정 스크류, 32:마그네슘 보드,
38:몰딩부재.

Claims (4)

  1. 지하 이중벽의 복합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패널 설치구조에 있어서,
    방수턱(8)의 상면에 가로방향으로 볼팅되어 설치된 바닥 지지바(10)와;
    보(6)의 하면에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마주보게 볼팅되어 설치된 보 지지바(12)와;
    상기 바닥 지지바(10)와 보 지지바(12)의 사이에 양단이 수직으로 삽입되고 볼팅되는 세로 지지바(18)와;
    상기 바닥 지지바(10)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보 지지바(12)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상부 결합부재(22)와;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중앙 소정부에 일정간격으로 볼팅된 중앙 결합부재(24)와;
    어느 한 상기 세로 지지바(18)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볼팅되어 마그네슘 보드(32)와 이웃하는 마그네슘 보드(32)를 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세로 결합부재(23)와;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중앙 결합부재(24) 또는 상기 상부 결합부재(22)와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에 그 테두리면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마그네슘 보드(32)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에 볼팅된 고정 스크류(28)가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 결합되는 몰딩부재(38)가 더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재(38)는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9)와; 상기 삽입부(39)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3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4. 제 2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부재(20)와 상기 상부 결합부재(22), 중앙 결합부재(24), 세로 결합부재(23)의 전면 내부에는 상기 몰딩부재(38)의 결합돌기(38a)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결합홈(26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KR2020070016182U 2007-10-04 2007-10-04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KR200442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82U KR200442268Y1 (ko) 2007-10-04 2007-10-04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82U KR200442268Y1 (ko) 2007-10-04 2007-10-04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26U KR20070001126U (ko) 2007-10-24
KR200442268Y1 true KR200442268Y1 (ko) 2008-10-28

Family

ID=4164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182U KR200442268Y1 (ko) 2007-10-04 2007-10-04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1012A (zh) * 2018-06-01 2018-09-25 海门市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管廊施工缝集成安装模具施工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1012A (zh) * 2018-06-01 2018-09-25 海门市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管廊施工缝集成安装模具施工工艺
CN108571012B (zh) * 2018-06-01 2019-11-08 海门市帕源路桥建设有限公司 管廊施工缝集成安装模具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126U (ko) 200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335B2 (ja) 外装構造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CN111705969A (zh) 一种装配式墙体顶部封装结构及其安装方法
RU2144113C1 (ru) Элементы стены для деревянных зданий,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деревянных зданий с такими элементами стены
KR100939637B1 (ko) 친환경 건축용 이중벽 패널조립체 및 설치방법
KR200442268Y1 (ko)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JP5329174B2 (ja) 外断熱構造
KR102039324B1 (ko) 내화 칸막이 보강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84774B1 (ko) 세라믹 복합패널을 이용한 설치구조
KR20090003014U (ko) 지하 이중벽의 패널 조립구조
SK8724Y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KR100700442B1 (ko) 건축물 기초의 조립식 외단열 패널
KR101783849B1 (ko) 공동주택용 차음벽
JP7016132B2 (ja) 連結式建設用ブロック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KR100945680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지하 이중벽의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873361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벽체구조
KR20050103166A (ko) 조립식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101824198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KR101949393B1 (ko) 서포트 일체형 빔 구조 지하 차수벽
JP6604773B2 (ja) 建物の建具枠取付構造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CN219586993U (zh) 一种带格构式龙骨的复合保温内墙板
GB2282395A (en) Building system
JP6611975B1 (ja) 胴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