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540B1 -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 Google Patents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540B1
KR102310540B1 KR1020210102316A KR20210102316A KR102310540B1 KR 102310540 B1 KR102310540 B1 KR 102310540B1 KR 1020210102316 A KR1020210102316 A KR 1020210102316A KR 20210102316 A KR20210102316 A KR 20210102316A KR 102310540 B1 KR102310540 B1 KR 102310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nel
connection
vibration
connec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10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540B1/ko
Priority to PCT/KR2021/012221 priority patent/WO202217708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는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 홀을 갖는 제1 연결 패널; 상기 제1 삽입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진동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브라켓, 상기 제1 연결 패널 및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패널과 상기 제1 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제1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A panel assembly for absorb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의 내구성 및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지진의 발생빈도가증가하는 상황이어서 기존의 일반 건축물 또는 교량이나 터널 또는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주요 콘크리트 시설물등 내진 보수 보강 공법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우리나라는 2005년 내진 관련 규정을 현실화함과 아울러 강화된 내진 설계규정을 도입하여 신축 건축물이나 주요 신축 콘크리트 시설물 등에 대해 강제 적용토록 하고 있다. 콘크리트 건축물에 대한 내진 기술 개발은 진행되고 있으나,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패널들에 대한 내진 기술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지진 등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패널들이 지진 등의 진동으로 건축물에서 떨어져 사람이 다치거나 물건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최근에는 콘크리트 건축물 뿐만아니라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는 패널도 우수한 내진 성능을 가지도록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2460호(2016.03.10. 공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패널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의 내구성 및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제안한다.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는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 홀을 갖는 제1 연결 패널; 상기 제1 삽입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진동 흡수 부재; 및 상기 제1 브라켓, 상기 제1 연결 패널 및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패널을 상기 제1 브라켓에 체결시키는 제1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는 패널에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전방위에서 가해지는 진동을 동시에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진, 태풍 등의 자연 재해 등에 의한 우수한 패널의 내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은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에서 진동 흡수 부재가 연결 패널에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지지 부재가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 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는 지지 부재(100), 제1 브라켓(200), 제1 패널부(P1), 제1 진동 흡수 부재(400), 및 제1 채결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는 제2 브라켓(250), 제3 브라켓(300), 제2 패널부(P2), 제2 진동 흡수 부재(450), 제2 채결 부재(550), 완충 부재(600) 및 제3 체결 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부(P1) 및 제2 패널부(P2) 각각은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되는 패널일 수 있다. 제1 패널부(P1) 및 제2 패널은 용도에 따라 단열용, 디자인용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패널부(P1)는 제1 연결 패널(P11)과 제1 외부 패널(P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패널(P11)은 제1 브라켓(200) 상에서 제1 브라켓(20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널(P11)은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 홀(H1)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패널(P11)은 복수의 제1 삽입 홀들(H1)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 홀들(H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패널(P11)은 벽면(W)과 대략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2)은 제1 연결 패널(P1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2)은 벽면(W) 또는 지지 부재(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2)은 벽면(W)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패널(P12)은 벽면(W)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외부 패널(P12)은 제1 연결 패널(P11)과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외부 패널(P12)은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외부 패널(P12)은 제1 연결 패널(P11)과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패널부(P2)는 제2 연결 패널(P21)과 제2 외부 패널(P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P21)은 제2 브라켓(25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P21)은 제2 브라켓(250)과 제1 연결 패널(P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P21)은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 홀(H2)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패널(P21)은 복수의 제2 삽입 홀들(H2)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 홀들(H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2)은 제2 연결 패널(P21)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2)은 벽면(W) 또는 지지 부재(1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2)은 벽면(W)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외부 패널(P22)은 제1 외부 패널(P12)과 함께 벽면(W)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외부 패널(P22)은 제2 연결 패널(P21)과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외부 패널(P22)은 제2 연결 패널(P21)과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0)는 벽면(W)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0)는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0)는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0)는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의 지지를 통해 제1 패널부(P1)와 제2 패널 부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00)는 제1 지지 프레임(110), 제2 지지 프레임(120)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은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10) 및 제2 지지 프레임(12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지지 프레임(120)은 제1 지지 프레임(110)으로부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은 제1 및 제2 방향들(D1, D2)과 수직한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들(110, 120) 각각은 벽면(W)과 접하는 제1 플레이트(110a, 120a), 및 제1 플레이트(110a, 120a)로부터 제1 내지 제3 브라켓(300)을 향해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110b,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110a, 120a)는 벽면(W)과 평행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10b, 120b)는 제1 플레이트(110a, 120a)와 수직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제1 플레이트(110a, 120a)는 벽면(W)과 볼트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 아니며, 벽면(W)과 결합되는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플레이트(110a, 120a)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및 제2 프레임들과 같이 벽면(W)에 접한 상태로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110, 120)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110, 120)과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및 제2 지지 프레임(110, 120) 각각의 제2 플레이트(110b, 120b)와 볼트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250)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몸체부(131), 끼움부(131) 및 플랜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1)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된 튜브 형태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131)는 사각 튜브 형태일 수 있으나, 몸체부(13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131)는 제1 브라켓(200) 내지 제3 브라켓(300)과 인접한 일측에 그를 관통하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은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131)는 몸체부(131)의 슬릿의 경계로부터 벽면(W)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끼움부(131)는 슬릿의 일측으로부터 벽면(W)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끼움 , 슬릿의 타측으로부터 벽면(W)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끼움 돌출부(1322), 및 제1 끼움 돌출부(1321)와 제2 끼움 돌출부(1322)를 연결하는 끼움 연결부(1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 돌출부(1321)는 벽면(W)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끼움 홈(1321a)을 가질 수 있다. 제1 끼움 홈(1321a)에는 제1 브라켓(20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끼움 돌출부(1322)는 제1 끼움 돌출부(1321)와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끼움 돌출부(1322)는 제1 끼움 돌출부(132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끼움 돌출부(1322)는 벽면(W)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2 끼움 홈(1322a)을 가질 수 있다. 제2 끼움 홈(1322a)에는 제2 브라켓(25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는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끼움 돌출부들(1321, 1322)을 연결할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몸체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부(133)는 제1 지지 프레임(110)과 제2 지지 프레임(12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제1 브라켓(200)은 지지 부재(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 제1 연결 플레이트(220) 및 제1 삽입 플레이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지지 부재(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몸체부(13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210)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일측으로부터 제3 방향(D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연결 플레이는 제1 채결 부재(50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결 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홀(221)은 제1 삽입 홀(H1)과 제2 방향(D2)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홀(221)의 폭은 제1 삽입 홀(H1)의 폭보다 잘을 수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연결 홀(221)과 제1 삽입 홀(H1)을 관통하는 제1 채결 부재(500)에 의해 제1 연결 플레이트(22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복수의 제1 연결 홀들(22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연결 홀들(22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삽입 플레이트(230)는 제1 베이스 플레이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삽입 플레이트(230)는 제1 연결 플레이트(220)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삽입 플레이트(230)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 플레이트(230)의 일단은 제3 지지 프레임(130)의 제1 끼움 홈(132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200)은 제3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은 지지 부재(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은 제1 연결 패널(P11)을 사이에 두고 제1 브라켓(20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25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200)과 제2 브라켓(250) 사이 공간에는 제3 브라켓(300), 제1 연결 패널(P11), 제2 연결 패널(P21), 완충 부재(600)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 제2 연결 플레이트(270) 및 제2 삽입 플레이트(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는 지지 부재(1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는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몸체부(13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연결 플레이트(27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플레이트(27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의 일측으로부터 제3 방향(D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플레이트(270)는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된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연결 플레이는 제2 채결 부재(550)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연결 홀(2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홀(271)은 제2 삽입 홀(H2)과 제2 방향(D2)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홀(271)의 폭은 제2 삽입 홀(H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연결 플레이트(270)는 제2 연결 홀(271)과 제2 삽입 홀(H2)을 관통하는 제2 채결 부재(550)에 의해 제2 연결 플레이트(270)와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플레이트(270)는 복수의 제2 연결 홀들(27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연결 홀들(271)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삽입 플레이트(280)는 제2 베이스 플레이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삽입 플레이트(280)는 제2 연결 플레이트(270)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삽입 플레이트(280)는 제2 방향(D2)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 플레이트(280)의 일단은 제3 지지 프레임(130)의 제2 끼움 홈(132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라켓(250)은 제3 지지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제1 패널부(P1)와 제2 패널부(P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브라켓(300)은 제1 연결 패널(P11)과 제2 연결 패널(P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브라켓(300)은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25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제1 연결 패널(P11)과 제2 연결 패널(P21)이 제1 브라켓(200) 및 제2 브라켓(250)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제1 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제1 연결 패널(P11)과 마주보는 일측부에 제1 채결 부재(500)가 관통하는 제1 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제2 연결 패널(P21)과 마주보는 타측부에 제2 채결 부재(550)가 관통하는 제2 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브라켓(300)은 복수의 제1 홀들(311)과 복수의 제2 홀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들(311)과 제2 홀들(312)은 제1 방향(D1)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홀(311)은 제1 연결 홀(221) 및 제1 삽입 홀(H1)과 제2 방향(D2)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홀(312)은 제2 연결 홀(271) 및 제2 삽입 홀(H2)과 제2 방향(D2)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홀(311)은 제1 채결 부재(5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홀(31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312)은 제2 채결 부재(5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홀(3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지지 부재(100)와 마주보는 바닥부에 지지 부재(100)를 향해 돌출된 중간 돌출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330)의 일단은 제3 지지 프레임(130)의 슬릿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30)의 일단은 제1 삽입 플레이트(230)와 제2 삽입 플레이트(28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330)의 일단은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끼움 연결부(1323)와 접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브라켓(300)은 제3 지지 프레임(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중간 돌출부(320)는 제3 브라켓(300)의 바닥부의 중간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중간 돌출부(320)는 제1 방향(D1)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브라켓(300)은 바닥부와 마주보는 천정부에 바닥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330)와 제2 돌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30)는 제1 연결 패널(P11)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40)는 제2 연결 패널(P21)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돌출부들(330, 340) 각각은 제1 및 제2 연결 패널들(P11, P21)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돌출부들(330, 340) 각각은 제1 및 제2 연결 패널들(P11, P21)이 제1 및 제2 브라켓들(200, 250)의 사이 공간으로 휘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연결 패널(P11)의 제1 삽입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브라켓(200)을 통해 제1 연결 패널(P11)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진동 흡수 부재들(400)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400)가 벽면(W)과 대략 수직한 제1 연결 패널(P12) 상에 위치됨으로써,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벽면(W)과 대략 수직한 평면 상의 진동 및/또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제2 연결 패널(P21)의 제2 삽입홀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제2 브라켓(250)을 통해 제2 연결 패널(P21)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진동 흡수 부재(450)가 벽면(W)과 대략 수직한 제2 연결 패널(P22) 상에 위치됨으로써,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벽면(W)과 대략 수직한 평면 상의 진동 및/또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와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와 제2 진동 흡수 부재(45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채결 부재(500)는 제1 브라켓(200), 제1 연결 패널(P11) 및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를 관통하여 제1 연결 패널(P11)과 제1 브라켓(200)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제2 채결 부재(550)는 제2 브라켓(250), 제2 연결 패널(P21) 및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를 관통하여 제2 연결 패널(P21)과 제2 브라켓(250)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제1 채결 부재(500)와 제2 채결 부재(55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완충 부재(600)는 제1 연결 패널(P11)과 제2 연결 패널(P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제1 브라켓(200)의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제2 브라켓(250)의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들(210, 260)과 제3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들(210, 260)을 통해 제3 브라켓(300)으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스펀지, 스티로폼,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600)는 제3 프레임의 중간 돌출부(320)가 관통하는 통과 홀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과 홀은 완충 부재(600)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700)는 제3 브라켓(300), 완충 부재(600), 및 지지 부재(100)를 관통하여, 제3 브라켓(300)을 지지 부재(10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70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700)는 제3 브라켓(300), 완충 부재(600), 및 지지 부재(100)를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체결 부재(700)는 볼트일 수 있다. 제3 체결 부재(700)는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끼움부(131)를 관통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은 도 2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진동 흡수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에서 진동 흡수 부재가 연결 패널에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내관부(420), 제1 외관부(410) 및 제1 탄성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관부(420)는 제1 채결 부재(500)가 삽입되는 제1 체결 홀(421)을 가질 수 있다. 제1 체결 홀(421)은 제1 홀(311) 및 제1 연결 홀(221)과 제2 방향(D2)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홀(421), 제1 홀(311), 및 제1 연결 홀(221) 각각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체결 홀(421)은 제1 삽입 홀(H1)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내관부(420)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내관부(420)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홀(421)은 제1 내관부(420)의 중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는 제1 내관부(420)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외관부(410)는 내부에 중공(411)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외관부(410)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의 중공(411)은 평면적 관점에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내관부(420)는 제1 외관부(410)의 중공(4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는 제1 내관부(4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와 제1 내관부(4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관부(420)는 제1 외관부(410)의 중공(411)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의 둘레면은 제1 삽입 홀(H1)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30)는 제1 내관부(420)와 제2 외관부(4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30)는 제1 내관부(420)와 제2 외관부(4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탄성부는 제1 브라켓(200)을 통해 제1 연결 패널(P11)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흡수 부재들(400, 450)이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에서, 제1 탄성 부재(430)는 복수의 스프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프링들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스프링들은 제1 내관부(42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4개의 스프링이 일정 간격으로 제1 내관부(42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으나, 스프링의 갯수는 더 많거나 작을 수 있다. 스프링들 각각은 일단이 제1 내관부(420)의 둘레면과 접할 수 있고, 타단이 제2 내관부(47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제2 내관부(470), 제2 외관부(460) 및 제2 탄성 부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관부(470)는 제1 내관부(42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제2 외관부(460)는 제1 내관부(42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480)는 제1 탄성 부재(43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관부(470), 제2 외관부(460) 및 제2 탄성 부재(48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채결 부재(500)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채결 부재(500)의 볼트는 제1 홀(311), 제1 연결 홀(221) 및 제1 체결 홀(421)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채결 부재(500)는 제1 브라켓(200), 제3 브라켓(300) 및 제1 연결 패널(P11)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제2 채결 부재(550)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채결 부재(550)의 볼트는 제2 홀(312), 제2 연결 홀(271) 및 제2 체결 홀(471)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채결 부재(550)는 제2 브라켓(250), 제3 브라켓(300) 및 제2 연결 패널(P21)을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진동 흡수 부재(400)와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내관부(420), 제1 외관부(410) 및 제1 탄성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도 5의 제1 진동 흡수 부재(400)와 비교하여 제1 외관부(410)가 상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관부(410)는 내부에 중공(411)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관부(410)의 중공(411)은 평면적 관점에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관부(410) 중공(411)에 위치된 제1 내관부(420)는 중공(411)의 장축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200)이 장축 방향의 진동을 더 크게 받더라도 제1 내관부(420)가 장축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할 수 있기에,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브라켓(200)을 통해 전달되는 더 큰 진동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내관부(420), 제1 외관부(410) 및 제1 탄성 부재(4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도 5의 제1 진동 흡수 부재(400)와 비교하여 제1 탄성 부재(431)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31)는 제1 내관부(420)와 제1 외관부(410) 사이 공간(411)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431)는 고무 소재,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탄성 부재(431)는 제1 내관부(410)의 둘레 전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B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a)는 지지 부재(100), 제1 브라켓(200), 제1 패널부(P1a), 제1 진동 흡수 부재(400), 및 제1 채결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a)는 제2 브라켓(250), 제2 패널부(P2a), 제2 진동 흡수 부재(450), 및 제2 채결 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부(P1a)와 제2 패널부(P2a)는 도 1에서 설명한 제1 패널부(P1)와 제2 패널부(P2)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널부(P1a)는 제1 연결 패널(P12), 제1 중간 패널(P13) 및 제1 외부 패널(P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패널(P12)은 제1 브라켓(200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패널(P12)은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패널(P12)은 그를 관통하는 제1 삽입 홀(H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1)은 제1 연결 패널(P12)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1)은 제1 연결 패널(P12)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부 패널(P11)은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중간 패널(P13)은 제1 연결 패널(P12)과 제1 외부 패널 사이(P11)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중간 패널(P13)은 제1 연결 패널(P12)과 제1 외부 패널(P11)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중간 패널(P13)은 제1 연결 패널(P12)의 일단과 제1 외부 패널(P11)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중간 패널(P13)은 제1 연결 패널(P12)과 대략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중간 패널(P13)은 제1 연결 패널(P12)과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패널부(P2a)는 제2 연결 패널(P22), 제2 중간 패널(P23) 및 제2 외부 패널(P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P22)은 제2 브라켓(250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패널(P22)은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패널(P22)은 그를 관통하는 제2 삽입 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1)은 제2 연결 패널(P22)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1)은 제1 연결 패널(P22)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외부 패널(P21)은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중간 패널(P23)은 제2 연결 패널(P22)과 제2 외부 패널(P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중간 패널(P23)은 제2 연결 패널(P22)과 제2 외부 패널(P21)을 연결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0)는 제1 브라켓(200a)과 제2 브라켓(250a)을 지지함으로써, 제1 패널부(P1a)와 제2 패널부(P2a)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00)는 제1 내지 제3 지지 프레임들(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제1 브라켓(200a)과 제2 브라켓(250a)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 프레임(130)은 도 1의 제3 지지 프레임(130, 도 1 참조)과 달리, 끼움부(132, 도 1 참조)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지지 프레임(130)은 몸체부(131)와 플랜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몸체부(131)는 제1 브라켓(200a) 및 제2 브라켓(250a)과 접하는 일측에 그를 관통하는 제3 체결 홀(미부호)과 제4 체결 홀(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 홀과 제4 체결 홀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체결 홀과 제4 체결 홀에는 제1 체결 부재(500)와 제2 체결 부재(550)가 삽입되어 체결 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a)은 지지 부재(1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브라켓(200a)은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몸체부(131)와 플랜지부(13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a)은 도 1의 제1 브라켓(200)과 달리, 제1 삽입 플레이트(23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브라켓(200a)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 및 제1 연결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200a)은 그를 관통하는 제1 연결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홀(211)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중간 패널(P13)과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 플레이트(220)는 제1 중간 패널(P13)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a)은 제1 브라켓(200a)과 함께 제3 지지 프레임(130)의 몸체부(131)와 플랜지부(13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a)은 도 1의 제2 브라켓(250)과 달리, 제2 삽입 플레이트(280)가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브라켓(250a)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 및 제2 연결 플레이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250a)은 그를 관통하는 제2 연결 홀(26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홀(261)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6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플레이트(260)는 제2 중간 패널(P23)과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 플레이트(260)는 제2 중간 패널(P23)이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연결 패널(P12)의 제1 삽입 홀(H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연결 패널(P12)이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벽면(W)과 대략 평행한 평면 상의 진동 및/또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진동 흡수 부재(400)는 제1 내관부(410), 제1 외관부(420) 및 제1 탄성 부재(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제2 연결 패널(P22)의 제2 삽입 홀(H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연결 패널(P22)이 벽면(W)과 대략 평행하게 위치됨으로써,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벽면(W)과 대략 평행한 평면 상의 진동 및/또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진동 흡수 부재(450)는 제2 내관부(460), 제2 외관부(470) 및 제2 탄성 부재(4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a)는 도 1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와 달리, 벽면(W)과 대략 평행 평면 상의 진동 및/또는 외력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500)는 제1 브라켓(200a), 제1 연결 패널(P12), 제1 진동 흡수 부재(400)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제1 연결 패널(P12), 제1 브라켓(200a)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을 서로 연결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부재(500)는 제1 체결 홀(411), 제1 연결 홀(211) 및 제3 체결 홀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체결 부재(500)는 용접 볼트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체결 부재(500)는 제1 체결 홀(411), 제1 연결 홀(211) 및 제3 체결 홀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된 후에 제1 브라켓(200)에 용접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550)는 제2 브라켓(250a), 제2 연결 패널(P22), 제2 진동 흡수 부재(450)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을 관통하여 제2 연결 패널(P22), 제2 브라켓(250a) 및 제3 지지 프레임(130)을 서로 연결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부재(550)는 제2 체결 홀(421), 제2 연결 홀(261) 및 제4 체결 홀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체결 부재(550)는 용접 볼트 일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550)는 제2 체결 홀(421), 제2 연결 홀(261) 및 제4 체결 홀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된 후에 제2 브라켓(250)에 용접될 수 있다.
이하,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10)가 외부의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가 진동을 흡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 및 도 14은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가 상하로 진동할 때의 패널들이 움직이지 않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지진 등으로 인해 건물의 벽면(W)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건물의 벽면(W)의 진동은 벽면(W)에 고정된 지지 부재(1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00)는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100)가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할 경우, 지지 부재(100) 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도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이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하게 되면,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과 체결된 제1 및 제2 채결 부재들(500, 550)도 함께 진동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채결 부재들(500, 550)이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에 의해 진동할 때, 제1 및 제2 채결 부재들(500, 550)과 체결된 제1 및 제2 내관부들(420, 470)도 진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내관부들(420, 470)이 제1 및 제2 채결 부재들(500, 550)에 의해 진동하면, 제1 및 제2 외관부들(410, 46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탄성 부재들(430, 480)은 제1 및 제2 내관부들(420, 47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브라켓들(200, 250, 300)로부터 전달된 진동은 제1 연결 패널(P11)과 제2 연결 패널(P21)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부재(100), 제1 내지 제3 브라켓(300) 등은 지진 등으로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할 수 있으나, 제1 패널부(P1) 및 제2 패널부(P2)는 진동하지 않거나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100: 지지 부재
200: 제1 브라켓 250: 제2 브라켓
300: 제3 브라켓 400:제1 진동 흡수 부재
450: 제2 진동 흡수 부재 500: 제1 체결 부재
550: 제2 체결 부재 600: 완충 부재
700: 제3 체결 부재 P11: 제1 연결 패널
P21: 제2 연결 패널

Claims (1)

  1.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삽입 홀을 갖는 제1 연결 패널;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 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이격된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과 상기 제1 연결 패널 사이에 위치되고, 그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삽입 홀을 갖는 제2 연결 패널;
    상기 제1 삽입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진동 흡수 부재;
    상기 제2 삽입 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 진동 흡수 부재;
    상기 제1 연결 패널과 상기 제2 연결 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제3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 및 상기 제3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연결 패널, 상기 제1 브라켓 및 상기 제3 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제1 체결 부재; 및
    상기 제2 브라켓, 상기 제2 진동 흡수 부재 및 상기 제3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연결 패널, 상기 제2 브라켓 및 상기 제3 브라켓을 서로 체결시키는 제2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 흡수 부재는,
    상기 제1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1 체결 홀을 갖는 제1 내관부;
    상기 제1 내관부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1 내관부와 이격되는 제1 외관부; 및
    상기 제1 내관부와 상기 제1 외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1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진동 흡수 부재는,
    상기 제2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체결 홀을 갖는 제2 내관부;
    상기 제2 내관부의 둘레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내관부와 이격되는 제2 외관부; 및
    상기 제2 내관부와 상기 제2 외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제2 연결 패널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삽입 홀의 폭은, 상기 제1 체결 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삽입 홀의 폭은 상기 제2 체결 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과 인접한 일측에 그를 관통하는 슬릿을 갖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슬릿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벽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벽면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1 끼움 홈을 갖는 제1 끼움 돌출부;
    상기 몸체부의 슬릿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벽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벽면을 향해 함몰 형성된 제2 끼움 홈을 갖는 제2 끼움 돌출부; 및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끼움 돌출부와 상기 제2 끼움 돌출부를 연결하는 끼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위치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패널과 결합되는 제1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연결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끼움 홈에 삽입되는 제1 삽입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지지 부재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된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2 연결 패널과 결합되는 제2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연결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끼움 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브라켓은, 상기 제1 연결 패널과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제1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1 홀과 상기 제2 연결 패널과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제2 체결 부재가 관통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상기 제3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들을 통해 상기 제3 브라켓로 가해지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브라켓, 상기 완충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3 브라켓을 상기 지지 부재에 체결시키는 제3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진동 흡수용 조립체.
KR1020210102316A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31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316A KR102310540B1 (ko)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PCT/KR2021/012221 WO2022177087A1 (ko) 2021-02-18 2021-09-08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67A KR102303709B1 (ko) 2021-02-18 2021-02-18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0210102316A KR102310540B1 (ko)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67A Division KR102303709B1 (ko) 2021-02-18 2021-02-18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540B1 true KR102310540B1 (ko) 2021-10-08

Family

ID=7792398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67A KR102303709B1 (ko) 2021-02-18 2021-02-18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0210102316A KR102310540B1 (ko)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1020210102313A KR102310538B1 (ko)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67A KR102303709B1 (ko) 2021-02-18 2021-02-18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313A KR102310538B1 (ko) 2021-02-18 2021-08-04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303709B1 (ko)
WO (1) WO202217708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049A (ko) * 2005-05-30 2005-06-21 홍성산업 주식회사 건물외벽의 금속판재 사이를 마무리하는 방법
KR20090011493U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얼라이언스 스프링 구조체
KR101047308B1 (ko) * 2010-10-20 2011-07-07 썬파크 주식회사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602460B1 (ko) 2015-12-02 2016-03-10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흡수용 내진패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716A (ja) * 1994-11-30 1996-06-11 Fujisash Co カーテンウォール
JP4055502B2 (ja) * 2002-07-19 2008-03-05 ヤマハ株式会社 防振支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049A (ko) * 2005-05-30 2005-06-21 홍성산업 주식회사 건물외벽의 금속판재 사이를 마무리하는 방법
KR20090011493U (ko) * 2008-05-06 2009-11-11 주식회사 에스피케이 얼라이언스 스프링 구조체
KR101047308B1 (ko) * 2010-10-20 2011-07-07 썬파크 주식회사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1602460B1 (ko) 2015-12-02 2016-03-10 덕인금속 주식회사 진동흡수용 내진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709B1 (ko) 2021-09-17
WO2022177087A1 (ko) 2022-08-25
KR102310538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369B1 (ko) 건축물의 진동 완화용 복합형 댐퍼
KR20180113790A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245237B1 (ko) 내진단열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체
KR20180065144A (ko) 탄성계수를 갖는 구조물 제진보강용 가새장치
KR102310540B1 (ko) 진동 흡수용 패널 조립체
KR20110087748A (ko) 제어반의 내진장치
KR101403125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US62867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s of a structure particularly a helicopter
KR101749589B1 (ko) 내진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JP2007239416A (ja) 建築物に内蔵させる制震部材
JP3792395B2 (ja) 建築物の制震装置
JP5917182B2 (ja) 防振吊り減震構造体
JP3898528B2 (ja) 遮音床構造
JP5507314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KR102290530B1 (ko) 내진 구조를 갖는 외장 판넬 구조물
JP2001234972A (ja) 制振ユニット及び制振装置
KR20040091067A (ko) 탄성 브레이스
KR102461081B1 (ko) 영상장비 또는 음향장비 거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영상장비 또는 음향장비 시공방법
JP5824445B2 (ja) 床構造
KR101992693B1 (ko) 무정전 전원장치
KR101888879B1 (ko) 내진 및 제진성능이 향상된 강재댐퍼
JP2010203145A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JP4695650B2 (ja) 免震・制震装置
KR20220126085A (ko) 송풍덕트의 방진 및 소음 방지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