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783B1 -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783B1
KR102626783B1 KR1020220136594A KR20220136594A KR102626783B1 KR 102626783 B1 KR102626783 B1 KR 102626783B1 KR 1020220136594 A KR1020220136594 A KR 1020220136594A KR 20220136594 A KR20220136594 A KR 20220136594A KR 102626783 B1 KR102626783 B1 KR 102626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waterproofing
screwed
unit
roof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Priority to KR1020220136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열 방수시공준비단계와,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방수구조를 시공하여 설치하는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와, 상기 옥상 바닥면에 시공된 상기 방수구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검수하는 방수구조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구조는, 상기 옥상의 바닥면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옥상의 측면과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틀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옥상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고정되는 단열패널들과, 상기 옥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기 단열패널들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1방수층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수패널들과, 상기 방수패널들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상부를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2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에서는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모니터링작업안내단계가 더 추가되어 단열패널과 방수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방수성은 물론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Building waterproofing structure with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func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 기술 분야 중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패널과 방수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방수성은 물론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 편의성이 우수한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건축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균열로 인한 누수, 결로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구성이약화되어 노후화가 촉진된다. 특히, 최근에는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평면형 옥상이 다수 시공되고 있는데, 평면형 옥상의 경우 구조적으로 빗물이 고이기 쉽기 때문에 누수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수 시공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수 시공방법으로는 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방법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팔트시트는 단섬유부직포, 연신필름, 미연신필름 등의 심재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APP(AtacticPolypropylene) 또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을 함침하거나 피복한 건축자재이다.
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종래의 방수 시공방법은 옥상의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액상 아스팔트를 도포하여 아스팔트층을 형성한 후, 아스팔트층의 상부에 규사가 일체로 형성된 방수시트를 다수 마련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부설하고, 방수시트와 인접한 방수시트 사이에 액상 아스팔트를 충진하여 충진층을 형성한다. 이후, 충진층의 상부면 전체와 방수시트의 일측 모서리가 덮이도록 아스팔트테이프를 부착하고, 아스팔트테이프의 상부에 방수시트의 규사층과 동일한 높이로 규사를 살포하여 규사층을 형성한 다음 규사층의 상부에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면 시공이 완료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방수 시공방법은 공정이 복잡하여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팔트의 가열시 기름 사용으로 가열 비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탄산가스나 유해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가열장비의 가동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단열기능이 없어 단열을 위해 별도로 단열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603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37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패널과 방수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방수성은 물론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 편의성이 우수한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열 방수시공준비단계와,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방수구조를 시공하여 설치하는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와, 상기 옥상 바닥면에 시공된 상기 방수구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검수하는 방수구조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구조는, 상기 옥상의 바닥면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옥상의 측면과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틀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옥상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고정되는 단열패널들과, 상기 옥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기 단열패널들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1방수층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열패널의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수패널들과, 상기 방수패널들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상부를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2방수층으로 이루어며, 상기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에서는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모니터링작업안내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로서, 상기 옥상의 바닥면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옥상의 측면과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틀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옥상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고정되는 단열패널들과, 상기 옥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기 단열패널들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1방수층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수층의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수패널들과, 상기 방수패널들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상부를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2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1기밀충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기밀충진홈에는 실링제가 더 충진되며, 상기 방수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2기밀충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기밀충진홈에는 실링제가 더 충진되고, 상기 탄성밀착틀에는 상기 외벽과 상기 탄성밀착틀 사이에 탄성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탄성형가압기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밀착틀에는 상기 외벽과 상기 탄성밀착틀 사이에 탄성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탄성형가압기밀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단열패널과 방수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함으로서, 방수성은 물론 단열성이 우수하고, 시공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방수구조라 명명함)는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100)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방수구조(10)는 탄성밀착틀(20)과 단열패널(30)들과 제1방수층(40)과 방수패널(50)들과 제2방수층(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밀착틀(20)은 상기 옥상의 바닥면(100)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옥상의 측면과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밀착틀(20)은 사각 또는 다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면이 상기 옥상의 바닥면(100)에 접착되어 고정되며, 외면이 상기 옥상의 외벽(200)의 내면을 밀착하여 상기 탄성밀착틀(20)과 상기 외벽(200) 사이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밀착틀(20)의 상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부착하거나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단열패널(30)들 및 상기 제1방수층(40)과 상기 제2방수층(60)을 형성시키기 위해 도포되는 방수액에 전달되어, 균일하고 균일한 두께로 도포되어 상기 제1방수층(40)과 상기 제2방수층(60)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패널(30)은 상기 탄성밀착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옥상의 바닥면(100)과 접착되어 고정되어,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단열패널(30)은 상기 옥상의 바닥면(100)에 접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단열패널(30)들은 상호 맞닿게 배치된다.
상기 단열패널(30)은 합성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방수층(40)은 상기 옥상의 바닥면(100)에 고정된 상기 단열패널(30)들을 덮으면서 형성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방수층(40)은 상기 탄성밀착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단열패널(30)들의 상부를 덮으면서 방수액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방수패널(50)들은 상기 탄성밀착틀(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방수층의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방수패널(50)들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패널이며 저면이 상기 제1방수층의 상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방수패널(50)들의 상면은 상기 탄성밀착틀(2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제2방수층(60)은 상기 방수패널(50)들과 상기 탄성밀착틀(20)의 상부를 덮으면서 형성되어,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2방수층(60)은 상기 탄성밀착틀(20)과 상기 방수패널(50)들의 상부를 덮으면서 방수액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패널(3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1기밀충진홈(3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기밀충진홈(31)에는 실링제(70)가 더 충진되며, 상기 방수패널(5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2기밀충진홈(5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기밀충진홈(51)에는 실링제(70)가 더 충진된다.
상기 실링제(70)는 실리콘이며 상기 제1기밀충진홈(31)과 상기 제2기밀충진홈(51)에 상기 실링제(70)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단열패널(30)들 사이의 틈이나 상기 방수패널(50)들 사이의 틈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단열패널(30)들의 제1기밀충진홈(31) 및 상기 방수패널(50)의 제2기밀충진홈(51)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호 연통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100)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10)의 시공방법은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100)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열 방수시공준비단계(S1)와,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100)에 방수구조(10)를 시공하여 설치하는 옥상 바닥면(100) 방수구조 시공단계(S2)와, 상기 옥상 바닥면(100)에 시공된 상기 방수구조(10)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검수하는 방수구조 마감단계(S3)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100)에 방수구조(10)를 시공하여 설치하는 옥상 바닥면(100) 방수구조 시공단계(S2)에서는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모니터링작업안내단계(S2-1)가 더 추가된다.
상기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90)은, 바닥면에 배치되며, 설치과정에 의해 이동하여 외벽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밀착틀(20)에는 상기 외벽(200)과 상기 탄성밀착틀(20) 사이에 탄성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탄성형가압기밀수단(80)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가압기밀수단(80)은, 상기 탄성밀착틀(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작동홈(81)과, 상기 작동홈(81)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홈(81)의 내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82)과, 상기 작동홈(81)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코일스프링(82)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83)과, 상기 가압패널(83)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압코일스프링(8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외벽(200)의 내면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밀폐패널(8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코일스프링(82)은 상기 작동홈(81)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가압패널(83)은 상기 가압코일스프링(82)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밀폐패널(84)은 상기 가압패널(83)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작동홈(81)은 도면에서와 같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벽(200)과 맞닿는 상기 탄성밀폐패널(84)의 전면부에는 상기 외벽과 상기 탄성밀폐패널(84) 사이로 유입되거나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물기가 유입되도록 유입안내홈들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밀폐패널(84)의 내부에는 열선을 더 인서트시켜 상기 외벽과 상기 탄성밀폐패널(84) 사이로 유입되거나 결로에 의해 발생되는 물기를 증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방수구조 20 : 탄성밀착틀
30 : 단열패널 31 : 제1기밀충진홈
40 : 제1방수층 50 : 방수패널
51 : 제2기밀충진홈 60 : 제2방수층
70 : 실링제 80 : 탄성형가압기밀수단
81 : 작동홈 82 : 가압코일스프링
83 : 가압패널 84 : 탄성밀폐패널
90 :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바닥면
200 : 외벽

Claims (2)

  1. 단열과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설치되는 건축물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열 방수시공준비단계;
    상기 건축물의 옥상 바닥면에 방수구조를 시공하여 설치하는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 및
    상기 옥상 바닥면에 시공된 상기 방수구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검수하는 방수구조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에서는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모니터링작업안내단계가 더 추가되는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수구조는,
    상기 옥상의 바닥면 테두리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옥상의 측면과 밀착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밀착틀;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옥상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고정되는 단열패널들;
    상기 옥상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기 단열패널들을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1방수층;
    상기 탄성밀착틀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방수층의 상부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방수패널들; 및
    상기 방수패널들과 상기 탄성밀착틀의 상부를 덮으면서 형성되는 제2방수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1기밀충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1기밀충진홈에는 실링제가 더 충진되며,
    상기 방수패널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는 제2기밀충진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기밀충진홈에는 실링제가 더 충진되고,
    상기 탄성밀착틀에는 외벽과 상기 탄성밀착틀 사이에 탄성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탄성형가압기밀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탄성형가압기밀수단은,
    상기 탄성밀착틀의 외면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홈의 내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외벽의 내면을 가압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밀폐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옥상 바닥면 방수구조 시공단계에서는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모니터링작업안내단계가 더 추가되며,
    상기 모니터링작업안내수단은,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의 시공방법.


  2. 삭제
KR1020220136594A 2022-10-21 2022-10-21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26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94A KR102626783B1 (ko) 2022-10-21 2022-10-21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594A KR102626783B1 (ko) 2022-10-21 2022-10-21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83B1 true KR102626783B1 (ko) 2024-01-18

Family

ID=8971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594A KR102626783B1 (ko) 2022-10-21 2022-10-21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7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51A (ko) * 2004-09-06 2006-03-09 이상근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106693B1 (ko) * 2011-06-20 2012-01-18 (주)에이비엠그린텍 금속 패널 지붕의 누수 방지 구조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6036B1 (ko) 2018-07-20 2019-04-04 장재훈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20220023868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390104B1 (ko) * 2021-07-05 2022-04-25 정승권 공동주택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단열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51A (ko) * 2004-09-06 2006-03-09 이상근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101106693B1 (ko) * 2011-06-20 2012-01-18 (주)에이비엠그린텍 금속 패널 지붕의 누수 방지 구조
KR20180063767A (ko) 2016-12-02 2018-06-12 설준영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6036B1 (ko) 2018-07-20 2019-04-04 장재훈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20220023868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390104B1 (ko) * 2021-07-05 2022-04-25 정승권 공동주택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단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035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A2925386C (en) Moisture barrier membrane for concrete floors
KR100929863B1 (ko)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KR101966036B1 (ko) 옥상 스틸 방수공법 및 그 방수공법에 의해 시공된 옥상 스틸 방수구조
KR102626783B1 (ko)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41695B1 (ko) 시트 및 수성 방수제 도막층의 복합 방수공법 및 그 방수구조
KR102002008B1 (ko)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1616285B1 (ko) 건축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구조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210007530A (ko) 바닥 습기 배출 탈기구 및 그 탈기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706190B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2072273B1 (ko)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2141321B1 (ko) 크랙 보수용 테이프 및 그를 이용한 옥상 우레탄 방수 보수공법
KR200426312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1056548B1 (ko) 통기완충형 복합시트부를 포함하는 건물바닥의 방수구조 및 이의 방수시공방법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20210115151A (ko) 방수 코팅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시공 방법
KR101864089B1 (ko) 실외 복합시트 방수공법
CN110158787A (zh) 一种水性非固化沥青防水涂料冷性喷涂施工方法
KR200418187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074429B1 (ko) 폴리우레아, 우레탄, 에폭시 도막방수 공법
KR20100046369A (ko)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방수구조
KR101083910B1 (ko)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