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863B1 -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863B1
KR100929863B1 KR1020090043630A KR20090043630A KR100929863B1 KR 100929863 B1 KR100929863 B1 KR 100929863B1 KR 1020090043630 A KR1020090043630 A KR 1020090043630A KR 20090043630 A KR20090043630 A KR 20090043630A KR 100929863 B1 KR100929863 B1 KR 10092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olyurea
thickness
primer
explosion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구
Original Assignee
(주)참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우엔씨 filed Critical (주)참우엔씨
Priority to KR102009004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포물 표면을 청소하는 제1단계(S1);
함수율을 측정하여 누수를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제2단계(S2); 스프레이 또는 붓,로울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피도포물 표면에 도포하고, 방폭과 내진을 위한 탄소섬유를 부착한 후 일정시간 경화시키는 제3단계(S3); 균열 및 파손 부위를 보수하는 제4단계(S4); 붓, 롤러, 에어리스를 이용하여 우레탄 계열의 프라이머 및 바탕조정재를 도포 하고 부직포(50)를 함침하는 제5단계(S5);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8mm로 스프레이 분사 후 핀홀 검사하는 제6단계(S6);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7mm(현장의 여건에 따라 도막 두께 조정)로 스프레이 분사와 함께 규사를 살포하는 제7단계(S7);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8단계(S8);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력이 기준값(1.5N/mm2)이하이면 제6단계(S6)를 수행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비 노출시 보호재 및 보호몰탈 처리하는 제9단계(S9)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방수, 방폭, 내진, 누수확인 감지장치, 2액형 폴리우레아

Description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prevention of water, prevention of explosion , prevention of earthquak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표면에 분사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2액형 폴리우레아 탄성물질을 구성하는 제1용액(isocyanate prepolymer)과 제2용액(polyether amine)을 가열하여 혼합하고, 고온.고압분사하여 도포되는 구조물에 순간적으로 완전히 접착되면서 대단히 높은 강도를 지니며, 방수 방폭 내진, 그리고 내화학성이 뛰어나며 매우 강하고 탄력적이며 매끄러운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을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방수, 방폭, 내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물의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은 유기물, 산, 알칼리, 무기염류 등의 불순물이 포함된 누수(漏水)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고, 이들 불순물에 장기간 노출, 접촉할 경우에는 강도보강을 위해 매설된 철근까지도 부식되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근래에는 철근 콘크리트의 토목, 건축 구조물에 콘크리트가 박리, 박락, 비정상적인 크랙 등 여러 가지의 열화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철근의 인장강 도가 떨어져 철근 콘크리트의 손상과 나아가 붕괴현상 및 철조 구조물의 부식으로 인한 철조 구조물의 파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신문, TV에서도 보도되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열화인자, 열화현상의 요인은 콘크리트는 강알칼리성(PH=12.5)을 가지고 있어, 철근의 부식은 진행되지 않으나, 탄산가스, 산성물질, 염화물질(염소이온)의 침투, 알칼리골재 반응, 기상조건하의 팽창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중성화 현상이 진행되고 철근의 부식이 진행되며 녹까지 슬게 되어 녹의 팽창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금이가고 박리, 박락, 부식한 철근의 국부적인 노출현상 등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가 파손되고 구조물이 붕괴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토목 및 건축을 포함하는 시멘트콘크리트의 시설구조물들이 탄산가스의 침투에 의해 중성화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현상과 철근의 부식으로 시설구조물이 약화되는 현상은 탄산가스의 침투뿐 아니라, 시멘트콘크리트에 혼합되는 자갈 및 모래가 화산암의 경우에는 시멘트콘크리트의 중성화 현상이 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몰탈, 콘크리트 등의 토목건축물 등 콘크리트구조물, 시멘트구조물, GRC(유리섬유강화 콘크리트판)구조물의 열화 및 부식으로 손상된 손상부를 보수보강 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물 등 노출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수중콘크리트의 구조물에 보수보강시공을 할 때 몰탈, 콘크리트 또는 에폭시수지 등으로 보수보강 공사를 시공하고 있으나, 열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시공을 하여도 열화손상부와 보수보강부재가 일체화되지 못하여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보수보강부가 분리되어 보수보강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2액형 폴리우레아를 이용하여 연결 부위가 없으며, 피도포물에 밀착되어 막이 형성되므로 내충격성, 내열성, 강도가 우수하고, 카본 화이버를 이용한 복합 방수에 의해서 내균열성,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구조물의 수명 연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은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포물 표면을 청소하는 제1단계; 함수율을 측정하고 누수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제2단계; 스프레이 방식 또는 붓,로울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피도포물 표면에 도포하고, 방폭과 내진을 위한 탄소섬유를 부착한 후 일정 시간이상 경화시키는 제3단계; 결점 부위를 보수 보강하는 제4단계; 프라이머 바탕조정 부직포를 함침하는 제5단계;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8mm로 스프레이 분사 후 핀홀 검사하는 제6단계;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7mm로 스프레이 분사 후 규사를 살포하는 제7단계;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8단계: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력이 기준값(1.5N/mm2)이하이면 제6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부착력이 기준값 이상이면 보호재 및 보호몰탈 처리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2액형 폴리우레아를 이용하여 연결 부위가 없으며, 피도포물에 밀착되어 막이 형성되므로 내충격성 내열성 강도가 우수하고, 카본 화이버를 이용한 복합 방수에 의해서 보강하여 내균열성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누수방지 및 구조물의 수명 연장을 강화 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 시공방법은 분사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2액형 폴리우레아 탄성물질을 구성하는 제1용액(isocyanate prepolymer)과 제2용액(polyether amine)을 가열, 혼합한 후 고압으로 분사하여 피도포물이 표면에 순간적으로 완전히 접착되면서 대단히 높은 강도를 지니는 것으로서, 방수, 방폭, 내진은 물론, 내화학성이 뛰어난 매우 탄력적이고 매끄러운 2액형 폴리우레아(polyurea)도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단계(S1)에서는 스텐드에 역구배로 인해 물이 고이는 곳이 없도록 물 구 배가 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불량인 곳은 바로 잡는다.
그리고, 피도포물(10)이 표면에 묻은 이물질(기름, 먼지, 레이턴스나 기타 오염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때 오염 물질의 제거는 가급적이면 그라인딩이나 고압공기를 이용하나 부득이할 경우에는 고압물 세척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피도포물(10)의 갈라진 틈이나 빈 곳, 철근의 부식 등의 결점을 확인하고 필요한 부분은 보수, 보강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 후 끝 부위가 타 재료마감과 만나는 부분이나 외부복도와 만나는 부위, 걸레받이 부분 같이 방수 시공이 중간에 끝나는 부위는 반드시 컷팅기로 홈을 만들어 바탕면과의 접착력을 높여야 한다.
또한, 시공 면의 깔끔한 처리와 비 시공 면에 2액형 폴리우레아가 분사되지 안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킹 테이프로 비 시공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제2단계(S2)에서는 피도포물(10)의 표면에 'V'홈 또는 'U'홈을 형성하고 감지전선(누수감지 케이블)을 매설한 후 누수를 감지하는 것이다.
제3단계(S3)에서는 프라이머를 피도포물 표면에 도포하고, 방폭과 내진을 위한 탄소섬유를 부착한 후 일정시간 경화시키는 것이다.
이때 프라이머는 붓, 로울러, 고무주걱 또는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포하고, 도포 후 적정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후속 공정을 진행하되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프라이머는 익일 작업량에 맞추어 도포 하여야 하므로 작업 전에 공정에 대한 정확한 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제4단계(S4)에서는 피도포물(10) 표면에 균열 및 파손을 보수한다.
제5단계(S5)에서는 프라이머 도포 및 바탕조정재 도포 후 부직포 함침 한다.
제6단계(S6)에서는 2액형 폴리우레아를 도포 하고 핀홀 검사 한다.
제7단계 2차 스프레이를 진행함과 동시에 규사를 살포 한다.
다음으로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8단계(S8)를 수행한다.
이때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력이 기준값(1.5N/mm2)이하이면, 제6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비노출시 보호재 및 보호몰탈 처리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2액형 폴리우레아(polyurea)를 도포하기 직전에 바탕조정(40) 표면의 먼지가 제거 되었는지 확인 하여야 한다.
그리고, 2액형 폴리우레아의 제2용액은 사용 전에 일정한 시간(30분 이상)동안 충분히 교반 하여야 하며, 2액형 폴리우레아의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각각 65-75℃로 가열시킨 후 스프레이건에서 고압충돌 혼합방식으로 분사 도포한다.
또한,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1.5±0.3mm 두께 또는2.0mm)는 현장에 따라 조정하며, 2액형 폴리우레아(20)의 두께를 고르게 하기 위하여 +자형으로 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핀 홀을 없애기 위하여는 1차로 약1.0mm정도를 스프레이 한 후 핀 홀을 조사하여 핀 홀이 있을 경우에는 제조업자가 추천하는 퍼티로 메우고 난 후 스프레이 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다.
또한, 일일 작업량의 한계로 인한 Construction joint 처리는 반드시 다음의 방법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 연결 겹침 부위 주변 30cm 정도를 연마 하도록 한다.
나. NMP 또는 M다 : 물 = 1 : 1로 희석하여 연마부위를 세척한다.
다. 아세톤으로 닦아낸다.
라. 충분히 건조시킨다.
마. 연결부위를 스프레이 한다.
제10단계(S9)에서는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력이 기준값(1.5N/m2당)이하이면, 제6단계를 수행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보호재 및 보호몰탈 처리한다.
즉, 검사 및 시험 조항에 의한 시험, 검사에서 결함이 발견 되었을 때는 보수 또는 재시공을 하고 완전함이 입증될 때가지 계속 시험, 검사하여야 한다.
시험 및 검사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1) 결함검사
공법 층의 들뜸, 기포, 균열, 찢김 등의 결함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보수 혹은 보강도포를 하여야 한다. 특히 돌출물이 있을 때에는 상, 하, 좌, 우를 모두 면밀히 살펴야 한다.
2) 경화도 검사
시공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화가 완전히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있다. 보통 경화가 되지 않는 부분은 손으로 만지면 묻어 나오고 색상도 변한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시공 후 전수조사를 하여야 한다.
3) 두께검사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코어드릴 채취방법과 의심부위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칼로 도려내는 방법이 있다. 어떠한 방법이든 시험 편을 채취한 부분은 약품 처리를 하여 재 도포 하여야 한다. 하지만 재 도포 시 기존 층과 두께가 미세하더라도 틀려질 수 있으니 시험 편 채취부위는 감독원과 협의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잘 미치지 않는 곳을 선정하는 것이 깨끗한 마감을 만들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2액형 폴리우레아는 연결 부위가 없는 것으로서, 피도포물(10)에 밀착되어 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내충격성, 내열성 강도가 우수한 카본 화이버(carbon fiber)를 이용한 복합 방수를 이용하여 보강하여 내균열성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구조물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구조물의 수명 연장을 강화 시킨다.
그리고 천정 상층부의 2중 방수로 1차 외부 충격에 의한 도막층의 파손에 대응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편을 억제 한다.
본 발명의 인장강도(kgf/㎠)는 150~350이고, 부착강도는 2.1N/mm2 이며, 파단신장률(%)은 200~600을 가지는 물성이 있어 구조물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 분사 약 2초 후 부터 경화가 시작되고, 약 19초 후면 만질 수 있고, 1분 후면 그 위를 걸을 수 있도록 경화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된 막이 형성되어 뛰어난 방수, 방청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현장 적용 시 후속 공정을 빠른 시간 내에 진행 할 수 있다.
한편, 매우 강한 강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서, 일예로 블록으로 벽을 쌓고 본 발명을 도포한 후 그 위를 해머로 타격하면, 블록은 파손되지만 본 발명은 파손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신장율이 뛰어난 것이므로 피도포물에 균열이 발생 하여도 본 발명은 파손되지 않고 피도포물의 보강 역할을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장 강도와 신장력이 월등하여 구조물의 보강 및
구조체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파편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내화학성이 뛰어난 것이므로 폐수, 오수는 물론 염산, 황산과 같은 각종 화학물질로 부터 피도포물을 보호한다.
표면이 매끄럽고 강한 막이 형성되므로, 누수확인 부위의 보수 및 결점 부위의보수가 간단하며, 현장 적용 시 동절기 공사가 가능하고 누수 위치 확인이 가능 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주로 건축물 및 철부 기타 구조물의 내,외부면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바탕면을 고르게 정리한 다음 프라이머 및 탄소섬유 보강과 바탕조정재와 부작포를 타설 한 후 2액형 폴리우레아로 시공한다.
즉, 방폭 및 내진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강도 탄소 섬유를 이용한 보강 공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물의 유지 관리 차원에서 누수 감지장치를 설치한다. 누수 감지장치로는 통상적으로 누수감지에 이용되는 감지전선(누수감지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감지전선이란 누수감지에 이용하기 위해 복수의 가닥(예시적으로 감지와이어와 도선와이어)을 꼬아 제작한 케이블로서, 누수가 발생시 인접한 전선과의 전압차(전압강하)에 의해 누수지점을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감지전선은 통상적으로 누수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모듈과 함께 설치하는데, 이러한 검출기모듈의 구성 및 감지전선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누수감지를 위한 감지전선(누수감지 케이블)은 감지하고자 하는 구조체의 바닥면에 "S"자 형태나 병렬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시공하고, 소정의 전압이 도선와이어에 인가된다. 이때의 감지전선(누수감지케이블)은 피복이 입혀진 상태에서는 주위의 매질이 절연체이므로 다른쪽으로의 전압 유출이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누수 등으로 도선와이어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감지와이어와의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한다. 즉, 감지전선은 도선와이어와 감지와이어를 꼬아서 제작하게 되는데, 검출기모듈에서는 이러한 전압차가 발생하는 위치를 감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거리 변화에 의한 전압차를 통해 누수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압 강하의 원리에 의해 전체 저항에서 그 저항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율을 가지고 전압이 강하 되게 되고 전달하고자 했던 감지기에는 의도 했던 전압이 가해 지지 않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의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현장상황에 따라 하기와 같이 공사시행 범위가 설정된다.
1. 작업조건
(1) 바탕면
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작업면을 평활하고 이물질 제거가 완료된 후에 시행하여야 한다.
나.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바탕면이 거의 건조된 상태로 할 수 있는 함수율이 8% 이하(최대 12% 이하) 일 때 시행하여야 한다.
다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을 하였을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2) 기상조건(실외작업 시)
가. 강우, 강설 시는 시공하지 않는다.
나. 시공 중 강우, 강설이 예상될 때는 시공하지 않는다.
다. 강우, 강설 후에는 콘크리트의 함수율이 8%이하(최대 12% 이하)가 되도록 조치를 한 이후에 시공 하여야 한다.
다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을 하였을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라. 풍속 25mph이상의 바람이 강하게 불 때에는 시공하지 않는다.
2. 자 재
(1) 프라이머(Primer):공법별 용도 및 현장에 적합한 제품을 선정한다.
(2) 공법별 바탕조정재
3. 바탕조정재
(1) 2액형 폴리우레아의 빠른 경화 시간으로 인해 자체 평활성이 떨어지므로 바탕조정작업을 통해 바탕면을 평활하게 잡아주며, 또한 핀 홀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2) 우레탄 계열의 제품을 선정 한다.
(3) 바탕조정 후 고가의 2액형 폴리우레아의 특성상 모체와의 온도차로 인한 핀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우레탄 바탕조정 후 함침하여 핀홀과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4. carbon fiber 보강
(1) 바탕 조정 시 탄소 섬유를 이용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배열로 구조물의 보강 작업을 실시한다.
(2)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2액형 분사용 폴리우레아 탄성물질로서 방수재를 가열, 혼합, 고압분사 하면 대단히 높은 강도를 지니며, 방수와 방청, 그리고 내화학성이 뛰어난 도막형 방수재로 기술자료상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내벽 및 상부 시공시 구조물의 진동 및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구조물의 파편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벽체 및 천정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한다.
바탕면을 정리하고 프라이머도포 탄소섬유보강 바탕조정도포 및 부직포 타설 후 2액형 폴리우레아 도포 화재 등을 대비하여 천정 및 내부 벽체 시공시 최종 단계로 규사를 살포 함침 하고 내화 뿜칠을 분사 한다.
(5)품질기준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1]
Figure 112009029972675-pat00001
한편, 시공법은 상기에서 서술하였지면 단계별로 나누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 공 법)
1) 바탕처리
(1) 물 구배 잡기
스텐드에 역구배로 인해 물이 고이는 곳이 없도록 물 구배가 바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불량인 곳은 바로 잡는다.
(2) 표면 오염물질의 제거
콘크리트 표면에 묻은 기름, 먼지, 레이턴스나 기타 오염물질은 제거한다. 이때 오염 물질의 제거는 가급적이면 그라인딩이나 고압공기를 이용하나 부득이할 경우에는 고압물 세척기를 이용한다.
(3) 보수, 보강
콘크리트에 있는 갈라진 틈이나 빈 곳, 철근의 부식 등의 결점을 확인하고 필요한 부분은 보수, 보강 하여야 한다.
(4) 특수부위의 처리
난간대 설치부위, 바닥과 벽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 등 시공이 어려운 부위는 감독관과 시공 전에 충분한 협의를 거쳐 시공한다.
(5) 시공 끝단 부분의 처리
시공 끝 부위가 타 재료마감과 만나는 부분이나 외부복도와 만나는 부위, 걸레받이 부분 같이 방수 시공이 중간에 끝나는 부위는 반드시 컷팅기로 홈을 만들어 바탕면과의 접착력을 높여야 한다.
(6) 마스킹 테이프의 처리
시공 면의 깔끔한 처리와 비시공 면에 2액형 폴리우레아가 스프레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마스킹 테이프로 비시공면을 보호하여야 한다.
(7)누수 감지용 전선매설
콘리트 표면에V,U 컷팅을 하여 누수감지용 감지전선(누수감지 케이블)을 매설한다.
2) 프라이머(Primer) 도포
(1) 프라이머는 붓, 로울러, 고무주걱 또는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2) 프라이머 도포 후 적정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후속 공정을 진행하되 오염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3) 프라이머는 익일 작업량에 맞추어 도포 하여야 하므로 작업 전에 공정에 대한 정확한 일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바탕조정재
상기 (1) 2)번 항목의 조건에 맞는 자재를 선택한다.
4) 2액형 폴리우레아 시공에 따른 보강
(1) 2액형 폴리우레아를 도포하기 직전에 바탕조정재가 도포된 표면의 먼지가 제거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2) 2액형 폴리우레아의 제2용액은 사용 전에 충분히(30분 이상) 교반하여야 한다.
(3) 2액형 폴리우레아는 제1용액과 제2용액을 각각 65-75℃로 가열시킨 후 스프레이 건에서 고압충돌 혼합방식으로 분사 도포한다.
(4)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의 두께는 현장에 따라 조정을 한다.( 현장에 따라 1.5~3mm 두께 또는2.0mm)
(5)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은 2액형 폴리우레아의 도막 두께를 고르게 하기 위하여 +자형으로 뿌려야 한다.
(6)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은 핀 홀을 없애기 위하여는 1차로 약1.0mm정도를 스프레이 한 후 핀 홀을 조사하여 핀 홀이 있을 경우에는 제조업자가 추천하는 퍼티로 메우고 난 후 스프레이 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하여야 한다.
(7)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은 일일 작업량의 한계로 인한 시공이음부(Construction joint)의 처리는 반드시 다음의 공법대로 하여야 한다.
가. 연결 겹침 부위 주변 30cm 정도를 연마 하도록 한다.
나. NMP 또는 MEK : 물 = 1 : 1로 희석하여 연마부위를 세척한다.
다. 아세톤으로 닦아낸다.
라. 충분히 건조시킨다.
마. 연결부위를 스프레이 한다.
5) 탑코트(노출 공사 시 적용)
(1) 2액형 폴리우레아의 도포 후 탑코트는 스프레이, 붓, 로울러 등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2) 일반적인 상도 작업이므로 대기의 상태가 좋을 때 제조사가 추천한 제품을 도포한다.
6) 보수 및 재시공
검사 및 시험 조항에 의한 시험, 검사에서 결함이 발견 되었을 때는 보수 또는 재시공을 하고 완전함이 입증될 때가지 계속 시험, 검사하여야 한다.
(시험 및 검사)
1) 결함검사
공법 층의 들뜸, 기포, 균열, 찢김 등의 결함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시 보수 혹은 보강도포를 하여야 한다. 특히 돌출물이 있을 때에는 상, 하, 좌, 우를 모두 면밀히 살펴야 한다.
2) 경화도 검사
시공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화가 완전히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있다. 보통 경화가 되지 않는 부분은 손으로 만지면 묻어 나오고 색상도 변한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시공 후 전수조사를 하여야 한다.
3) 두께검사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공공법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코어드릴 채취방법과 의심부위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칼로 도려내는 방법이 있다. 어떠한 방법이든 시험편을 채취한 부분은 약품 처리를 하여 재도포하여야 한다. 하지만 재도포시 기존 층과 두께가 미세하더라도 틀려질 수 있으니 시험편 채취부위는 감독원과 협의하여 사람의 시선이 잘 미치지 않는 곳을 선정하는 것이 깨끗한 마감을 만들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시공 상태는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단면도, 피도포물(10)의 표면으로 2액형 폴리우레아(20), 부직포(50), 바탕조정(40), 프라이머(20), 탄소섬유(30), 프라이머(20)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프라이머(20)의 상측에는 감지선(90)이 설치된다.
상기한 감지선(90)의 설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피면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선(90)은 지그재그식으로 함몰되게 설치된다.
또한,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는 하부 단면도 및 하부 평면도로서, 2액형 폴리우레아(60)의 표면으로 규사(70)와 내화뿜칠(80)을 더 적층하여 시공된 것이다.
첨부 도면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순서도로서, 피도포물(10)의 표면을 청소한 후, 그 표면으로 감지선(90)을 설치하며, 또한, 프라이머(20) 및 탄소섬유를 부착한다. 이후에는 표면의 보수 보강을 한다.
또한, 프라이머 바탕조정 및 부직포를 함침한 후 2액형 폴리우레아를 분사 후 핀홀 검사 및 규사를 살포한다. 또한 내화뿜칠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을 설명위한 것으로,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단면도,
도 4는 하부단면도,
도 5는 하부평면도,
도 6은 누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선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도포물
20 : 프라이머
30 : 탄소섬유
40 : 프라이머 및 바탕조정
50 : 부직포
60 : 2액형 폴리우레아
70 : 규사
80 : 내부 뿜칠
90 : 감지선

Claims (2)

  1.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여 피도포물 콘크리트 또는 철재 표면을 청소하는 제1단계(S1);
    함수율을 측정하고 누수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제2단계(S2);
    스프레이 방식 또는 붓,로울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피도포물 표면에 도포하고, 방폭과 내진을 위한 탄소섬유를 부착한 후 일정 시간이상 경화시키는 제3단계(S3);
    결점 부위를 보수하는 제4단계(S4);
    프라이머 바탕조정 부직포(50)를 함침하는 제5단계(S5);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8mm로 스프레이 분사 후 핀홀 검사하는 제6단계(S6);
    2액형 폴리우레아의 두께 0.7mm로 스프레이 분사 후 규사를 살포하는 제7단계(S7);
    상기 제6단계(S6) 및 상기 제7단계(S7)의 수행으로 형성된 상기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두께를 측정하는 제8단계(S8);
    상기 2액형 폴리우레아 도막의 부착력이 기준값(1.5N/mm2)이하이면, 제6단계(S6)를 수행하고 기준값 이상이면, 비 노출시 보호재 및 보호몰탈 처리하는 제9단계(S9)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장치는,
    구조체의 바닥면에 감지전선을 매설하여 누수시 전압이 강하되어 전체 저항에서 그 저항에 해당하는 만큼의 비율을 가지고 강하된 전압에 의해 누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방수 시공방법.
KR1020090043630A 2009-05-19 2009-05-19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KR100929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630A KR100929863B1 (ko) 2009-05-19 2009-05-19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630A KR100929863B1 (ko) 2009-05-19 2009-05-19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863B1 true KR100929863B1 (ko) 2009-12-04

Family

ID=4168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630A KR100929863B1 (ko) 2009-05-19 2009-05-19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86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03B1 (ko) * 2010-12-23 2011-07-11 우리해양 주식회사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등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34993B1 (ko) * 2011-02-24 2012-04-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우수한 방폭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133B1 (ko) 2012-06-20 2012-08-16 (주)에스엔건설 열경화성 폴리머 수지 몰탈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2031165B1 (ko) * 2018-12-18 2019-10-11 주식회사 에프엠시스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5419A (ko) * 2019-01-07 2020-07-15 최시행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2238516B1 (ko) * 2020-05-29 2021-04-08 손창식 친환경 폴리우레아 수지와 습포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면의 복합방수공법
KR102321032B1 (ko) * 2020-12-22 2021-11-02 권병돈 건축물의 보강방수공법
CN116715536A (zh) * 2023-06-06 2023-09-08 中铁二十二局集团轨道工程有限公司 一种输水隧道混凝土管片防腐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03A (ja) * 1988-01-11 1990-01-05 Duphar Internatl Res Bv 造血疫患治療用薬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20010111675A (ko) * 2000-06-12 2001-12-20 이은택 폴리우레아 스프레이 코팅을 위한 콘크리트 표면의하지처리 방법
KR20020095361A (ko) * 2001-06-1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누수감지 장치를 갖는 온도제어 장치
KR100408010B1 (ko) 2001-11-30 2003-12-01 (주)아텍스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03A (ja) * 1988-01-11 1990-01-05 Duphar Internatl Res Bv 造血疫患治療用薬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20010111675A (ko) * 2000-06-12 2001-12-20 이은택 폴리우레아 스프레이 코팅을 위한 콘크리트 표면의하지처리 방법
KR20020095361A (ko) * 2001-06-1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누수감지 장치를 갖는 온도제어 장치
KR100408010B1 (ko) 2001-11-30 2003-12-01 (주)아텍스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시방서(2007.03)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03B1 (ko) * 2010-12-23 2011-07-11 우리해양 주식회사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등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34993B1 (ko) * 2011-02-24 2012-04-09 주식회사 케이씨씨 우수한 방폭 성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3133B1 (ko) 2012-06-20 2012-08-16 (주)에스엔건설 열경화성 폴리머 수지 몰탈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2031165B1 (ko) * 2018-12-18 2019-10-11 주식회사 에프엠시스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5419A (ko) * 2019-01-07 2020-07-15 최시행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2247690B1 (ko) * 2019-01-07 2021-04-30 최시행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2238516B1 (ko) * 2020-05-29 2021-04-08 손창식 친환경 폴리우레아 수지와 습포식 방수시트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면의 복합방수공법
KR102321032B1 (ko) * 2020-12-22 2021-11-02 권병돈 건축물의 보강방수공법
CN116715536A (zh) * 2023-06-06 2023-09-08 中铁二十二局集团轨道工程有限公司 一种输水隧道混凝土管片防腐处理方法
CN116715536B (zh) * 2023-06-06 2024-03-12 中铁二十二局集团轨道工程有限公司 一种输水隧道混凝土管片防腐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863B1 (ko)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Garcez et al. System of inspection, diagnosis and repair of external claddings of pitched roofs
Silva et al. Inspection, diagnosis, and repair system for architectural concrete surfaces
KR101468017B1 (ko) 건물 외벽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1623081B1 (ko) 건축 구조물의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479531B1 (ko) 점착성 방수재와 내부가 비어 있는 돌기를 가진 요철성형 방수패널을 이용한 입체형 복합 방수공법
Sriravindrarajah et al. Waterproofing practices in Australia for building construction
Flores-Colen et al. In situ adherence evaluation of coating materials
KR19990084102A (ko) 스프레이공법을 이용한 폴리머시멘트 모르터 단면수복보수공법
KR20130053966A (ko) 내화학성, 내구성을 갖는 코팅재의 시공 방법
Hamilton et al. Durability evaluation of Florida’s fiber-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 reinforcement for concrete structures
US20060261505A1 (en) Method for treating the internal surfaces of industrial bulidings
KR100597176B1 (ko) 콘크리트 표면 탄성방수도장 보수보강 방법
KR1013760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JP587797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構造
JP2009079364A (ja) 老朽化吹き付けモルタル被覆面の補修方法
Bhattacharjee Deterioration of concrete structures along with case studies in India
Khan Be prepared Is surface preparation for concrete repairs a fad?
O BRIEN CONCRETE DETERIORATION AND REPAIR.
Hove Critical literature review on concrete crack repairs
Mohammad et al. Structural Repair to Conserve Langkawi’s Main Tourist Attraction: Practical Approach
Halstead et al. Fiber-reinforced polymer wrapping of deteriorated concrete columns
Parker et al. Extending the Service Life of Historic Terra Cotta Roofing with Fluid-Applied Waterproofing Membranes
Bjegovic et al. Calculation of Diffusion Rate of Migrating Corrosion Inhibitors (MCI®) through Concrete
Posey et al. EIFS: Canadian field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