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165B1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1165B1 KR102031165B1 KR1020180163671A KR20180163671A KR102031165B1 KR 102031165 B1 KR102031165 B1 KR 102031165B1 KR 1020180163671 A KR1020180163671 A KR 1020180163671A KR 20180163671 A KR20180163671 A KR 20180163671A KR 102031165 B1 KR102031165 B1 KR 1020311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k
- sensor
- amount
- leakage
- loc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689 poly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18 poly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98 Portland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누수 감지 시스템의 설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누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토목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누수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수 보수 및 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및 누수 양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해당 누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누수 감지 시스템의 설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누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수밀성과 강도와 하중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한 균열로 인해 방수의 개념은 대두되었고, 이러한 방수의 형태는 건축물에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 실내, 수조류 및 지하 터널 방수로 분류될 수 있고,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의 경우에는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방수, 탄 우레탄 방수 및 고무 아스팔트 방수 등이 시공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시공은 콘크리트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방수액을 첨가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짓거나, 또는 방수액을 이용하여 적층 후에 시트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시공은 냄새가 발생되고, 화기의 위험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의 노후현상에 의한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시트 등을 이용하여 방수를 하는 경우 시트가 들뜨거나 떨어져 나가게 되어 부분적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체 진동이나 지각의 뒤틀림 등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방수의 효과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수시공에 의하면, 약 1년 내지 3년 정도 후에 부분적으로 다시 방수를 해야하고, 이러한 보수공사에 의해서도 누수 되는 부분을 완전하게 방수처리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건축물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를 위해 시공되는 시트방수, 아스팔트 방수, 도막 방수 및 액채 몰탈 방수는 모두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몰탈과 보호 콘크리트를 반드시 시공해야 한다. 따라서, 공기가 연장되고, 또한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방수 시공 후 일정 기간이 지나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 위치를 찾기가 어려워 기존 방수재를 철거 후 전체를 재시공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누수 감지 시스템의 설치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효율적이고 신속한 누수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공 공간에 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누수 감지 센서의 상부에 방수 보강 테이프 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방수 보강 테이프의 상부에 1차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방수재의 상부에 2차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센서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또는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상기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1차 방수재는 (i) PVAc(Polyvinyl acetate)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 (ii) PVAc(Polyvin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 또는 (iii) PVB(Polyvinyl butyral)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2차 방수재는 상기 1차 방수재에 포틀란트 시멘트 분체를 혼합한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센서는 센서 별 누수 양을 센싱하여, 누수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감지 데이터를 누수 감지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누수 감지 시스템은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시공 공간에 1차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1차 방수재의 상부에 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누수 감지 센서의 상부에 방수 보강 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방수 보강 테이프의 상부에 2차 방수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 감지 센서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또는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상기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부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하는 동작; 및 누수 여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는 상기 방수 보수 방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 보수 방법 선택 동작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에 매칭된 방수 보수 방법을, 상기 방수 보수 방법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또는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 위치 계산 동작은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계산 동작은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하고, 누수 여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누수 감지 제어부; 및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는 상기 방수 보수 방법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에 따라 매칭된 방수 보수 방법을, 상기 방수 보수 방법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또는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상기 누수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토목 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누수를 신속하게 탐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수 보수 및 보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및 누수 양 등을 정확히 파악하여, 해당 누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신속히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누수 발생 시 전체 재시공을 하지 않고, 해당 누수 위치에만 방수 보수 및 보강 작업을 할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건물 구조물의 수명 또한 연장 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청소 단계(S101), 누수 감지 센서 설치 단계(S103), 방수 보강 테이프 설치 단계(S105), 1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7), 2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청소 단계(S101)로, 시공할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면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작업으로, 방수 작업을 하기 위한 전처리 작업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구조물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시설물의 제거, 콘크리트 구조물 내 고르지 못한 면을 고르게 처리하는 작업 등 방수 작업을 위한 전처리 작업들이 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누수 감지 센서 설치 단계(S103)로,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면 위에 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작업이다.
누수 감지 센서는 후술하는 센서부(200)에 해당하며, 누수 감지 센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누수 여부를 체크하고, 누수 양 등을 센싱하여, 누수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데이터는 누수 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여부, 누수 양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누수 감지 센서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설치되는 누수 감지 센서는 면 센서 및/또는 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감지 센서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면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 및 위치는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의 개수 및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센서 및 누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100)에 대해서는 도 6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방수 보강 테이프 설치 단계(S105)로, 방수 보강 테이프를 누수 감지 센서 상부에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강 테이프는 일반적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방수 보강 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센서의 개수, 종류 및 콘크리트 구조물 면적, 모양 등에 맞는 방수 보강 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1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7)로, 1차 방수재를 방수 보강 테이프 상부에 고르게 도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방수재는 다양한 방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1차 방수재로 (i) PVAc(Polyvinyl acetate)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 (ii) PVAc(Polyvinyl acetate), PVB(Polyvinyl butyral)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 또는 (iii) PVB(Polyvinyl butyral)와 라텍스(latex)의 혼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이와 같은 1차 방수재를 ‘FM 방수 원액’이라고 명명한다.
마지막으로, 2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9)로, 2차 방수재를 1차 방수재 상부에 고르게 도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방수재 또한 다양한 방수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2차 방수재로 1차 방수재 즉, ‘FM 방수 원액’에 포틀란트 시멘트와 같은 분체를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면 위로, 누수 감지 센서(11), 방수 보강 테이프(13), 1차 방수재(15), 2차 방수재(17) 순으로 위치한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청소 단계(S301), 1차 방수재 도포 단계(S303), 누수 감지 센서 설치 단계(S305), 방수 보강 테이프 설치 단계(S307), 2차 방수재 도포 단계(S3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과 비교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청소 후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면에 1차 방수재를 먼저 도포하고, 그 후 1차 방수재 상부에 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한다. 그리고, 누수 감지 센서 상부에 방수 보강 테이프 및 2차 방수재를 차례로 설치 및 도포하는 것이다.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1에서 전술하였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구조는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면 위로, 1차 방수재(31), 누수 감지 센서(33), 방수 보강 테이프(35), 2차 방수재(37) 순으로 위치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a)는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 청소 단계(S101, S301)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으로, 방수 시공될 콘크리트 구조물 바닥의 이물질 제거, 불필요한 시설물 제거 등이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b)는 1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7, S303)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으로, 1차 방수재(11, 35)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되고 있다. 도면과 같이, 1차 방수재(11, 35)를 수작업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도포 장비(미도시)를 통해 1차 방수재(11, 35)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도(c)는 2차 방수재 도포 단계(S109, S309)의 시공 현장을 도시한 도면으로, 2차 방수재(17, 37)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되고 있다. 도면과 같이, 2차 방수재(17, 37)를 수작업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다양한 도포 장비(미도시)를 통해 2차 방수재(17, 37)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르게 도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시스템(10)은 누수 감지 제어부(100), 센서부(200),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누수 감지 시스템(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300)과 누수 감지 시스템(10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300)과 누수 감지 시스템(100)간의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Two Generation)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Three Generation)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LTE-A)망과 같은 4G(Four Generation) 이동통신망, 및 5G(Five Generation) 이동통신망,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위성 통신망 중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누수 감지 제어부(100)는 센서부(200)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누수 위치, 누수 양을 계산 및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여,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결과 데이터에는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감지 제어부(100)는 생성된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누수 여부를 알리고, 누수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누수 여부를 체크하고, 누수 양 등을 센싱하여, 누수 감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데이터는 누수 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여부, 누수 양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센서부(200)는 면 센서 및/또는 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면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구조물 각 모서리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의 개수 및 위치는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의 개수 및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부(200)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모서리 부분에 3개의 선 센서로 구성되며, 누수 감지 제어부(1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누수 감지 제어부(100)와 센서부(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유무선 연결 여부는 센서부(200)의 규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콘크리트 구조물 면 위에 바로 설치될 수 있으며, 1차 방수재(11, 35)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전술하였다.
그리고, 센서부(200)는 생성된 누수 감지 데이터를 누수 감지 제어부(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누수 감지 제어부(100)로부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아,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누수 결과 데이터에는 포함된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등을 다양한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300)은 누수 여부에 대해서는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경고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등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실행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으며, 일례로, WCDMA, LTE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상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장치, PC(Personal Computer), 터미널(Terminal)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국(MS), 머신 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M2M(Machine-to-Machine), D2D(Device-to-Devic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터미널(wireless terminal; WT),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AT),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SU),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 저장 및 재생 가전 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제어부(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제어부(11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누수 위치 계산부(140), 누수 양 계산부(150), 보수 방법 제안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누수 감지 제어부(1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누수 위치 계산부(140)와 누수 양 계산부(150)를 통합하거나,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수 감지 제어부(110)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과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0)는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다록,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누수 위치 계산부(140), 누수 양 계산부(150), 보수 방법 제안부(16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센서부(200)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누수 위치 계산부(140)를 제어하여 누수 감지 데이터로부터 누수 위치를 계산하고, 누수 양 계산부(150)를 제어하여 누수 감지 데이터로부터 누수 양을 계산하며, 보수 방법 제안부(160)를 제어하여 누수 위치, 누수 양을 바탕으로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계산된 누수 위치, 누수 양, 선택된 방수 보수 방법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생성된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센서부(200)에서 생성된 누수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데이터에는 누수 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여부, 누수 양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결과 데이터에는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30)는 관리자로부터 감지 제어부(100)의 환경 설정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환경 설정 정보에는 일례로, 연결된 센서들의 On/Off 정보, 누수 감시 데이터의 수신 주기 정보, 누수 알람 설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입력된 환경 설정 정보에 따라, 감지 제어부(100), 센서부(20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센서부(200)에서 전송받은 누수 감지 데이데로부터 누수 위치를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각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여부, 누수 양을 이용하여 정확한 누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다.
일례로,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모두에서 누수가 감지된다면,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의 중간 위치를 누수 위치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양이 3:1인 경우,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제 1 센서의 위치와 제 2 센서의 위치를 잇는 일직선에서 1:3인 지점을 누수 위치로 계산할 수 있다.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전술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양 계산부(150)는 센서부(200)에서 전송받은 누수 감지 데이데로부터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계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00)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누수 양 계산부(150)는 각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여부, 누수 양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들의 정확한 누수 양을 계산하는 것이다.
일례로, 누수 지점이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의 중간 위치인 경우, 누수 양 계산부(150)는 제 1 센서의 누수 양과 제 2 센서의 누수 양의 평균 값을, 해당 누수 지점의 누수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누수 지점이 제 1 센서의 위치와 제 2 센서의 위치를 잇는 일직선에서 1:3인 지점인 경우, 누수 양 계산부(150)는 제 1 센서의 누수 양의 75% 및 제 2 센서의 누수 양의 25%의 합을, 해당 누수 지점의 누수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누수 양 계산부(150)는 전술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누수 위치 계산부(140)에서 계산된 누수 위치 및 누수 양 계산부(150)에서 계산된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여 제안한다.
만약, 누수가 콘크리트 구조물 전역에서 발생한다면,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의 방수를 보수하는 시공을 해야하지만, 누수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지점에서만 발생한다면, 해당 지점의 방수만 보수하는 시공을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다.
따라서,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누수 위치 및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한다.
일례로,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누수 위치 및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정보에 매칭되어 기 설정된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방수 보수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프로세서(310), 및 디스플레이 장치(3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및 메모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 디스플레이 장치(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및 메모리(340)는 통신 버스(30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누수 감지 제어부(100)에서 누수 결과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프로세서(610)는 누수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20)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화면 상으로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환경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누수 알람 방법, 출력할 누수 결과 데이터의 종류, 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메모리(340)는 누수 결과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세서(310)는 도 6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34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예를 들어, DRAM, SRAM, DDR RAM 또는 다른 고속 액세스 고체 상태 메모리 장치 등과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프로세서(310)로부터 원격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방법은 누수 감지 제어부(100)에서 수행되며, 누수 감지 데이터 수신 동작(S501), 누수 위치 계산 동작(S503), 누수 양 계산 동작(S505), 방수 보수 방법 선택 동작(S507), 누수 결과 데이터 전송 동작(S5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누수 감지 데이터 수신 동작(S501)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센서부(200)에서 생성된 누수 감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감지 데이터에는 누수 센서에서 감지된 누수 여부, 누수 양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위치 계산 동작(S503)으로, 제어부(110)는 누수 위치 계산부(140)를 제어하여, 센서부(200)에서 전송받은 누수 감지 데이데이부터 누수 위치를 계산한다.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각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여부, 누수 양을 이용하여 정확한 누수 위치를 계산하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제 1 센서와 제 2 센서 모두에서 누수가 감지된다면,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의 중간 위치를 누수 위치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양이 3:1인 경우, 누수 위치 계산부(140)는 제 1 센서의 위치와 제 2 센서의 위치를 잇는 일직선에서 1:3인 지점을 누수 위치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양 계산 동작(S505)으로, 제어부(110)는 누수 양 계산부(150)를 제어하여, 센서부(200)에서 전송받은 누수 감지 데이데로부터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계산한다.
누수 양 계산부(150)는 각 센서에서 측정된 누수 여부, 누수 양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들의 정확한 누수 양을 계산하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누수 지점이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의 중간 위치인 경우, 누수 양 계산부(150)는 제 1 센서의 누수 양과 제 2 센서의 누수 양의 평균 값을, 해당 누수 지점의 누수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누수 지점이 제 1 센서의 위치와 제 2 센서의 위치를 잇는 일직선에서 1:3인 지점인 경우, 누수 양 계산부(150)는 제 1 센서의 누수 양의 75% 및 제 2 센서의 누수 양의 25%의 합을, 해당 누수 지점의 누수 양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 보수 방법 선택 동작(S507)으로, 제어부(110)는 보수 방법 제안부(160)를 제어하여, 누수 위치 계산부(140)에서 계산된 누수 위치 및 누수 양 계산부(150)에서 계산된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여 제안한다.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누수 위치 및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최적의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며,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례로,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누수 위치 및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정보에 매칭되어 기 설정된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보수 방법 제안부(160)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방수 보수 방법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누수 결과 데이터 전송 동작(S509)으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제어부(110)에서 생성된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결과 데이터에는 누수 여부, 누수 위치, 누수 지점들의 누수 양, 방수 보수 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센서부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하는 동작;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하는 동작;
누수 여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는 상기 방수 보수 방법을 더 포함하는,
누수 감지 방법.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보수 방법 선택 동작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에 매칭된 방수 보수 방법을, 상기 방수 보수 방법으로 선택하는
누수 감지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및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위치 계산 동작은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누수 감지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계산 동작은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누수 감지 방법. -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누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하고, 누수 여부,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누수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이용하여, 방수 보수 방법을 선택하고,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는 상기 방수 보수 방법을 더 포함하는 누수 감지 제어부; 및
상기 누수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 - 삭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누수 위치 및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에 따라 매칭된 방수 보수 방법을, 상기 방수 보수 방법으로 선택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누수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 센서 및 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 센서는 시공 공간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누수 감지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상기 누수 위치를 계산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감지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제 1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과 상기 센서부의 제 2 센서의 위치 및 누수 양을 이용하여, 상기 누수 위치 별 누수 양을 계산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671A KR102031165B1 (ko) | 2018-12-18 | 2018-12-18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3671A KR102031165B1 (ko) | 2018-12-18 | 2018-12-18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1165B1 true KR102031165B1 (ko) | 2019-10-11 |
Family
ID=6821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3671A KR102031165B1 (ko) | 2018-12-18 | 2018-12-18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116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11002A (zh) * | 2022-11-14 | 2023-02-24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顶板预留洞防渗漏检测结构及检测方法 |
KR102525691B1 (ko) * | 2023-02-15 | 2023-04-26 | (주)에스티특수보강 |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 공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9863B1 (ko) * | 2009-05-19 | 2009-12-04 | (주)참우엔씨 |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
KR101891204B1 (ko) * | 2018-05-09 | 2018-08-23 | 이영준 | 계면 접착성과 신축성 및 고방수 성능이 있는 개질 복합 폴리머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탄성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901848B1 (ko) * | 2016-07-04 | 2018-09-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지하 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 |
KR20180106070A (ko) * | 2017-03-17 | 2018-10-01 | 김성일 | Rfid를 이용한 누수 차단 시스템 |
KR101929417B1 (ko) * | 2018-09-03 | 2019-03-12 | (주)대우건설 | 고형 폴리머 백업제를 이용한 수압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인트 누수 보수 공법 |
-
2018
- 2018-12-18 KR KR1020180163671A patent/KR1020311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9863B1 (ko) * | 2009-05-19 | 2009-12-04 | (주)참우엔씨 | 방수, 방폭, 내진 시공 방법 |
KR101901848B1 (ko) * | 2016-07-04 | 2018-09-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지하 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 |
KR20180106070A (ko) * | 2017-03-17 | 2018-10-01 | 김성일 | Rfid를 이용한 누수 차단 시스템 |
KR101891204B1 (ko) * | 2018-05-09 | 2018-08-23 | 이영준 | 계면 접착성과 신축성 및 고방수 성능이 있는 개질 복합 폴리머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 탄성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929417B1 (ko) * | 2018-09-03 | 2019-03-12 | (주)대우건설 | 고형 폴리머 백업제를 이용한 수압환경 콘크리트 구조물용 조인트 누수 보수 공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11002A (zh) * | 2022-11-14 | 2023-02-24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顶板预留洞防渗漏检测结构及检测方法 |
KR102525691B1 (ko) * | 2023-02-15 | 2023-04-26 | (주)에스티특수보강 |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 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1165B1 (ko) |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 시공 방법 및 누수 감지 방법 및 시스템 | |
TWI717672B (zh) | 廣播通道切換時間的方法和設備以及連接到無線ap的方法 | |
JP6382335B2 (ja) | 複数のカバレッジエンハンスメントレベルにおける進化型ノードbの動作に関する技術及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 | |
JP6474011B2 (ja) | ジオフェンシング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及びモバイルデバイス | |
US9794739B2 (en) | Assistant wireless UE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 |
JP2015537444A5 (ko) | ||
US20150264519A1 (en) | Efficient generation and update of heat maps | |
US201403358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y handing over a mobile terminal to a small cell within a heterogeneous network | |
KR101634306B1 (ko) |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JP2012199998A5 (ko) | ||
JP2017528023A5 (ko) | ||
JP2017517175A5 (ko) | ||
JP2015065676A5 (ko) | ||
WO2010016123A1 (ja) | 基地局装置、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 |
CN110235462B (zh) | 用户装置及测量报告发送方法 | |
JP2016514442A5 (ko) | ||
EP3609214A1 (en) | A method for coverage determination using predefined paths | |
US20180206185A1 (en) | Wireless Access Method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 |
WO2014190802A1 (en) | Method,system and terminal device for scanning virus | |
JP6174992B2 (ja) |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JP2017517953A5 (ko) | ||
US20160183053A1 (en) | Determination of a location of a device based 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locations of other devices | |
WO2020156060A1 (zh) | 一种邻小区更新的方法及设备 | |
US2013022342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determining communication link in communication system | |
JP5286135B2 (ja) | コンピュータ機能の災害対応移行システムと方法、同方法を実行させ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同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