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868A -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868A
KR20220023868A KR1020200104837A KR20200104837A KR20220023868A KR 20220023868 A KR20220023868 A KR 20220023868A KR 1020200104837 A KR1020200104837 A KR 1020200104837A KR 20200104837 A KR20200104837 A KR 20200104837A KR 20220023868 A KR20220023868 A KR 2022002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device
site management
mobile
mobil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631B1 (ko
Inventor
김도형
이덕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로
Priority to KR102020010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6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시공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하고,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대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시공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 중,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영역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하여, 주변 영역의 위험 요소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및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시공 현장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경고 송출 수단에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MOBILE TYPE MANAGEMENT DEVICE OF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시공 현장의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작업 인력에 대한 인력 관리를 수행하며, 건설현장의 공정 등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디바이스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산업은 노동 집약적인 산업으로서, 다양한 시공 종목과,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므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와 운용, 그리고 이러한 투입인력에 대한 확실한 안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공 현장에는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위험성이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이를 위한 대비책으로서, 현장 관리자를 투입하여 작업자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곳곳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수에 비하여, 투입되는 현장 관리자의 수가 극히 적어, 시공 현장에 대한 사고 위험이나 인력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9-0000241호(건설현장 안전관리 방법)에서는 건설 현장의 위험 지역 또는 관리 지역으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경고 알림을 제공하거나,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떨어졌을 경우에 관리자 측에 구조를 위한 비상 호출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은, 작업자에 대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 측에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통보하도록 하는 기능만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하여, 사고가 발생한 작업자에 대한 후속 조치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 번 사고가 발생하면 중상 이상의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시공 현장의 특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사고 원인 및 피해 상태 등을 더욱 정밀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시공 현장의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작업 인력에 대한 인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 및 지하 공사를 위한 수직구 출입 관리와 관련된 시공 현장에 대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시공 관리 장치는,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하고,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대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시공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 중,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영역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하여, 주변 영역의 위험 요소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및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시공 현장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경고 송출 수단에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으로서, 근로자의 얼굴 영역 및 근로자에 부여된 스마트 태그의 설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식별 영역 정보와 시공 현장에 기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대한 인력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객체의 모션 분석 알고리즘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근로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사고 발생 여부의 판단 결과,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근로자의 사고 발생이 감지된 경우, 근로자에 분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관할 지역의 관제 센터 단말에 구조 요청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시공 현장에 구비되는 센서는, 주변 영역의 가스 농도 정보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및 객체 낙하 정보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주변 영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 일 위험 요소가 감지될 시, 경고 출력 모듈을 통해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경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경고 송출 수단은, 경고 콘텐츠를 청각적 수단으로서 제공하는 스피커 및, 경고 콘텐츠를 광원을 이용한 레이저 빔의 형태로 바닥면에 투광되도록 하여 시각적 수단으로서 제공하는 레이저 투광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위험도 분석 결과,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이 기 설정된 임계 위험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고, 주변 영역으로 일 근로자가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될 시, 경고 출력 모듈을 통해, 접근 중인 근로자를 타겟으로 하는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되는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전송되어, 원격지에서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는,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지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가공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 데이터로 가공된 작업 지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지하에 배치되는 제1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및, 지상에 배치되는 제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포함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상호 통신하게 함으로써, 지상 및 지하의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환경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클라우드 서버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현황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작업 현황 데이터가 관리되도록 하고,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유효 사용자로 인증된 음형을 갖는 음성 명령으로서,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브리핑 요청이 수신될 시, 관리 중인 상기 작업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 브리핑 요청에 응답하는 브리핑 콘텐츠를 생성하여, 생성된 브리핑 콘텐츠를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업과 관련된 다양한 시공 현장의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서, 시공 현장에 대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에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비교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출입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현장 관리자가 직접 근로자들을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 없이도 근로자의 시공 현장 출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근로자들에 대한 인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한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위험 요소를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수행되게 하여 시공 현장의 안전 관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복수 개로 설치하여,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종래 지상 및 지하의 통신이 불량하여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원활히 공유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
도 3 및 4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인력 관리가 수행되는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데이터에서 근로자의 모션을 분석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근로자에 발생한 사고에 대한 구조 요청을 수행하는 예.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시공 현장에서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경고 출력 모듈의 기능이 수행되는 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서 시공 현장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는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에서 수신된 작업 지시 정보를 시공 현장에 설치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로 출력하는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현황 데이터의 브리핑 콘텐츠가 제공되는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시공 현장의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작업 인력에 대한 인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제1 목적이, 지상 및 지하 공사를 위한 수직구 출입 관리와 관련된 시공 현장에 대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제2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할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바람직하게 수직구 시공, 동바리 시공 및 터널 시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건설 관련의 시공 현장에 설치되어, 현장 및 근로자의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디바이스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하나 이상의 기술적 특징 또는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 참조될 것이다.
이에 먼저 도 1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보면,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에는,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하고,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대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1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술한 카메라 모듈은 시공 현장 곳곳에 구비된 하나이상의 카메라 모듈이거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상부 일 영역에 고정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카메라 모듈은, 자동 조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오토메이션 시스템이 구비되어,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공 현장 주변 영역을 촬영 및 센싱하도록 기능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카메라 모듈(11)은,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근로자의 얼굴 영역 및 근로자에 부여된 스마트 태그(NFC 영역의 설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식별 영역 정보가 포함된 영상 데이터는,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인력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되는 데이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획득된 영상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20)로 전송되고, 클라우드 서버(20)에서 영상 데이터에서 상술한 식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식별 영역 정보와, 시공 현장에 기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인력 관리가 수행되게 된다.
이때, 기 등록된 근로자 정보는, 근로자의 얼굴 이미지 정보 및 근로자에 부여된 스마트 태그의 식별 코드 정보가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근로자의 정보에 대응되는 근로자의 이름, 나이, 혈액형 및 질병 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 정보가 등록되도록 하여, 불의의 사고 발생 시, 등록된 개인 정보를 요 구조자 정보로 제공하여 신속한 사고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4에서는, 클라우드 서버에 기 등록된 시공 현장의 근로자(P) 정보와,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근로자(P)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근로자(P)의 출입 관리가 수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100에서는, 클라우드 서버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서 근로자(P)의 얼굴 영역이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서버에 기 등록된 근로자(P) 정보와 비교한 결과, 등록된 근로자(P)로 판단되는 것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P)의 얼굴 영역 등,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식별 영역 정보가, 기 등록된 근로자(P) 정보와 동일인으로 판단될 경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통해 근로자(P) 측에 시공 현장에서의 안전 작업을 당부함과 동시에, 출입을 허가하는 의미의 메시지(101)로서 "안녕하세요 (근로자 이름)님, (시공 현장 식별 정보)입니다. 안전에는 베테랑이 없습니다. 오늘도 안전 작업하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의 110에서는, 클라우드 서버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서 근로자(P)의 얼굴 영역이 촬영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서버에 기 등록된 근로자(P) 정보와 비교한 결과, 근로자(P)가 미등록된 근로자(P)로 판단되는 것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P)의 얼굴 영역 등,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식별 영역 정보가, 기 등록된 근로자(P) 정보와 매치되지 않을 경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통해 근로자(P) 측에 미등록된 근로자임을 고지하고 출입을 불허한다는 의미의 메시지(111)로서 "미등록 근로자입니다. 배치된 시공 현장을 다시 확인하여 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3 및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P)에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근로자(P) 정보를 비교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출입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현장 관리자가 직접 근로자(P)들을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 없이도 근로자(P)의 시공 현장 출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근로자(P)들에 대한 인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카메라 모듈(11)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면, 상술한 카메라 모듈(11)은, 앞서 설명한 근로자에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외에도,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음에 따라, 시공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 중인 근로자의 근태 및, 시공 현장의 사고 발생 여부 등 시공 현장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이 수행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11)은, 카메라 모듈(11)의 화각에 포함되는 주변 영역을 촬영할 수도 있으나, 사람 및 사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주변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기능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 역시 클라우드 서버(20)로 전송되게 되는데, 이때 클라우드 서버(20)에서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객체의 모션 분석 알고리즘이 학습된 인공 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근로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인공지능 기술로서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영상 데이터에서 작업하는 사람 및 사물 객체의 모션을 분석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 영역에 객체가 진입하였을 경우를 검지하거나, 특정 영역에서 사람이 진입한 이후 쓰러진 상태로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 특정 영역에 사람이 진입하여 일정 시간 동안 배회하는 경우,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근로자가 검지되는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를 사고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실시 예로서, 도 5의 200 및 210에서는,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앞서 시공 현장에 등록된 식별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를 근로자로 특정하여 모션이 감지(201)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식별된 근로자의 모션이 감지되던 중, 210의 실시 예와 같이 근로자의 쓰러짐 모션이 감지(211)될 경우, 본 발명에서는, 식별된 근로자의 쓰러짐이 발생한 시간을 카운트하여,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시, 근로자의 쓰러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 데이터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근로자의 사고 발생이 감지될 경우, 본 발명에서는, 근로자에 분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시공 현장에 대응되는 관할 지역의 관제 센터 단말에 구조 요청이 수행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상술한 구조 요청 정보가 생성된 화면(22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때, 상술한 구조 요청 정보는, 시공 현장의 관리자 단말에 보고되는 동시에, 관제 센터로 송신하여 신속한 구조 요청이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 요청 정보에는, 22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사고 발생 장소에 대한 정보와 함께, 근로자의 모션 분석을 통해 추론된 사고 내용 및 사고 대상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하여 구조자의 구조 효율을 증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주요 구성으로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인력의 관리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 및,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안전 사고 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에는, 시공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120)들 중,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영역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20)와 통신하여, 주변 영역의 위험 요소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12)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시공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120)와,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12)은, 블루투스 클래스 2(반경 10m, 최대출력 2.5mW)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고속 또는 저속 UWB(초광대역 통신, Ultra Wide-Band), Wi-Fi 공유 단말 등의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연동되는 것으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근거리 통신 수단의 데이터 송수신 반경 내에 위치한 센서(120)와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12)이 상호 연결되어, 센서(12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 반경은, 3차원의 거리로서, 근거리 통신 수단이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임계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센서(120)는, 설치된 위치에서 특정 반경의 환경 정보값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에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시공 현장에 구비되는 센서(120)는 예를 들어, 주변 영역의 산소,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및 기타 가연성 가스의 농도 정보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주변 영역의 불꽃, 연기 및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여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및, 객체의 낙하 정보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센서(120)들에 의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한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위험 요소를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수행되게 하여 시공 현장의 안전 관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에는, 카메라 모듈(11) 및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12)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20)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13)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통신 모듈(13)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특정 원거리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수단인 원거리 통신 수단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속 시, 클라우드 서버(20)와 연결되어 앞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20)에서는, 하나 이상의 시공 현장에서 수집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클라우드 서버(20)에서 관리되는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30)에 전송하여 원격지의 관리자 단말(30)에서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이 모니터링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실시 예를 도 9에서 살펴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특정 인터페이스 화면(500)으로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면(500)에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시공 현장에 대한 영상 데이터(501)와, 시공 현장에 등록된 근로자 현황(502). 실시간으로 시공 현장에 대해 감지된 센싱 데이터들(503, 504, 505)이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시각 정보로 가공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에서 관리되는 시공 현장이 다수일 경우, 화면(500)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시공 현장의 모니터링 결과 역시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서버가,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시공 현장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예로서 도 10을 참조하여 보면, 도 10에는 특정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 관리자 단말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600)이 도시되어 있다.
즉, 관리자 단말에서는, 상술한 화면(600)에서 제공되는 입력 창에,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키보드 및 마이크)을 통해 원격지에서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해 클라우드 서버에 수집된 작업 지시 정보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음성 데이터로 가공되어, 시공 현장에 설치된 이동형 관리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시 예를 도 10의 610에서 살펴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종래 시공 현장에서 현장 관리자가 확성기 등을 이용하여 업무 지시에 대한 정보(611)를 전달하는 것을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로 대체하게 되므로, 별도의 확성기 등의 장비 없이, 시공 현장에 위치한 근로자들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611)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에는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시공 현장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경고 송출 수단(140)에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14)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술한 경고 송출 수단(140)은, 경고 콘텐츠를 청각적 수단으로서 제공하는 스피커(141) 및, 경고 콘텐츠를 광원을 이용한 레이저 빔의 형태로 바닥면에 투광되도록 하여 시각적 수단으로서 경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레이저 투광기(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위험도 분석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주변 영역에서의 센싱 데이터 값이 기 설정된 위험도 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를 위험한 상황으로 인지하여 이에 대한 경고 콘텐츠를 앞서 설명한 경고 송출 수단(140)으로서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 주변에 설치된 가스 센서, 화재 감지 센서, 라이더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12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변 영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도록 하고, 일 위험 요소가 감지될 시, 상술한 경고 출력 모듈(14)을 통해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경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 실시 예로,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7의 300에는 수직구 시공 현장에 설치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의 기능 수행에 대한 예로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와 객체의 추락을 감지하는 라이더 센서(123, 1230)가 상호 연결되어, 추락 사고에 대한 안전 관리가 수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추락이 감지되는 객체는 수직구 시공에서 터파기 한 흙, 암석 등을 퍼 옮기는 크람쉘 버킷(301)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수직구 벽면 등에 다수 개로 구비된 라이더 센서(123, 1230)를 통해 크람쉘 버킷(301)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하강 지점 또는 승강 지점에 대한 단계적 경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1단계 경고 콘텐츠로, "크람쉘 버킷(301)의 하강이 시작되었습니다"와 같은 경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2단계 경고 콘텐츠로 "크람쉘 버킷(301)의 50% 지점에 도달하였습니다"와 같은 경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3단계 경고 콘텐츠로 "대피하여주세요! 크람쉘 버킷(301)이 곧 하강합니다!"와 같은 경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경고 콘텐츠는 수직구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 레이저 투광기(14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에 구비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경고 송출 수단을 통해 청각적 경고 콘텐츠(1410) 및 시각적 경고 콘텐츠(1420)로 출력될 수 있고, 수직구 시공 현장의 근로자(P)는 상술한 경고 콘텐츠를 통해 안전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기능 수행과 관련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값으로부터 위험도를 분석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가 설치된 주변 영역이 기 설정된 위험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고, 위험도가 높은 주변 영역으로 일 근로자(P)가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될 시, 경고 출력 모듈을 통해 접근 중인 근로자(P)를 타겟으로 하는 경고 콘텐츠를 출력함으로써, 사고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높은 근로자(P)에게 높은 강도의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 400과 같이, 위험도가 높은 주변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근로자(P)에 대하여, 근로자(P)의 식별 영역을 스캔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근로자(P) 정보를 로드하여 근로자(P)의 이름과 같은 신상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근로자(P) 측에 "크람쉘이 하강하고 있습니다! (근로자 이름)님! 하강 지점 외부로 대피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경고 콘텐츠(40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술한 근로자(P)는 자신의 이름을 듣고 자신이 안전 사고가 높은 지점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신속히 인지하여 대피하는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되고,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시공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 사고의 발생률을 저감토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1),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12), 통신 모듈(13) 및 경고 출력 모듈(14)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이 이동 가능한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예를 도 2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상술한 주요 구성 요소들이 도 2와 같은 외형 케이스의 내, 외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단일 디바이스로 구성되도록 하거나, 탈부착 가능한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거나, 경량으로 구성하여 관리자가 필요시 휴대 이동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에 상술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복수 개로 배치하여, 복수 개의 시공 현장 관리 장치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작업 환경을 공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도 7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지상 및 지하에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복수 개로 배치하여, 지하에 배치되는 제1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b)와, 지상에 배치되는 제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10a)를 상호 통신하게 함으로써 지상 및 지하의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환경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종래 지상 및 지하의 통신이 불량하여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원활히 공유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클라우드 서버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현황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작업 현황 데이터가 관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인터페이스에는, 상술한 작업 현황 데이터로서 시공 현장과 관련된 공정 관리, 작업 일보, 품질 관리 및 그룹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연어 이해기술과 대화 처리 로직이 학습된 인공지능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엔진이 탑재되어, 작업 현황 데이터의 입력 시, 음성 인식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와 연동된 입력 수단(예를 들어, 현장 관리자 단말에 구비된 마이크)을 통해 수신되는 유효 사용자로 인증된 음형을 갖는 음성 명령으로서 판단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유효 사용자로 인증된 음형을 갖는 음성 명령으로서,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브리핑 요청이 수신될 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 중인 작업 현황 데이터를 기반으로, 브리핑 요청에 응답하는 브리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브리핑 콘텐츠를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브리핑 콘텐츠는, 전반적인 작업 현황 데이터를 리포트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현하여, 유효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대해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의 700에서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유효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의 700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서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음형 인증이 완료된 유효 사용자(예를 들어 시공 현장 관리자)에 의해 "헤이 김기사! 어제까지 공정율 알려줘"와 같이 공정율에 대한 음성 명령이 수신될 경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입력된 작업 현황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의 질의에 대하여 "어제 2020년 8월 10일까지 공정율은 23%입니다"와 같이 전체 작업량 대비 현재 수행된 작업량에 대한 공정률을 연산하여 연산된 결과값에 기반한 응답을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헤이, 김기사"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호출하는 호출어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호출어 값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호출어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입력 모듈에 수신되는 호출어의 음형을 분석하여 유효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효 사용자로부터 "지난 주에 1층 B Zone의 기둥은 몇 개 설치했지?"와 같이 일 시공 현황에 대한 작업 진행량에 대한 음성 명령이 수신될 수도 있다.
이에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상술한 음성 명령 수신대한 응답으로서, "1층 B zone의 기둥은 22개인데, 지난 주 2020년 8월 3일부터 9일까지 8개 설치하여 누게 12개가 설치됨으로써 54%를 완료하였습니다"와 같이 일 시공 현장의 작업 진행 현황을 작업 스케줄에 고려한 응답으로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효 사용자로부터 "기둥 설치는 언제까지 완료되어야 하지?"와 같이 작업 스케줄에 대한 음성 명령이 수신될 수도 있다.
이에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상술한 음성 명령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예정 스케줄은 2020년 8월 25일까지이며, 현재 속도를 유지한다면 2일의 여유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와 같이 일 시공 영역에 대한 전체 작업 스케줄 대비 현재 작업 진행 정도를 분석한 응답을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 시공 영역에 대한 작업 완료 시간에 맞춰, 작업 현황 데이터 수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작업 현황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집되도록 하거나, 작업 시작 시간에 맞춰 갱신된 작업 현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브리핑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브리핑 콘텐츠를 자동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매일 아침 작업 회의 때,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 엔진이, 일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현황 데이터를 분석하여, 작업 진행 현황을 보고하고, 현업에 체크하며, 미달된 작업 정보, 자재 현황, 협력사의 인력 공급 미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브리핑 콘텐츠로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으로 출력하도록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수집된 작업 현황 데이터 및 작업 스케줄 정보를 고려하여, 오늘의 주요 작업 정보, 작업 주의 사항 정보, 스케줄 조정에 대한 제안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브리핑 콘텐츠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현장 관리자 등 유효 사용자와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보조하는 인공 지능 기반의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게 됨에 따라, 시공 현장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시공 현장은 물론이고, 시공 현장이 아닌 원격지에서도 작업 현황 정보에 대한 브리핑 콘텐츠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어 시공 현장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설업과 관련된 다양한 시공 현장의 위험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사고 발생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서, 시공 현장에 대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로자에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와,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비교하여 시공 현장에서의 출입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현장 관리자가 직접 근로자들을 일일이 확인하는 과정 없이도 근로자의 시공 현장 출입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근로자들에 대한 인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된 주변 영역에 대한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위험 요소를 신속히 감지하고,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수행되게 하여 시공 현장의 안전 관리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복수 개로 설치하여, 서로 통신되게 함으로써, 종래 지상 및 지하의 통신이 불량하여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원활히 공유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10의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인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있어서,
    시공 현장에 출입하는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을 촬영하고,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함으로써,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시공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들 중,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영역과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통신하여, 주변 영역의 위험 요소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싱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원격의 클라우드 서버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의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경고 송출 수단에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고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근로자의 기 설정된 식별 영역으로서, 상기 근로자의 얼굴 영역 및 상기 근로자에 부여된 스마트 태그의 설치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식별 영역 정보와 상기 시공 현장에 기 등록된 근로자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인력 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객체의 모션 분석 알고리즘이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근로자의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발생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식별되는 근로자의 사고 발생이 감지된 경우, 상기 근로자에 분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관할 지역의 관제 센터 단말에 구조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 현장에 구비되는 센서는,
    주변 영역의 가스 농도 정보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센서 및 객체 낙하 정보를 감지하는 라이다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가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주변 영역에 대한 위험 요소를 감지하고,
    일 위험 요소가 감지될 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을 통해 가스 누출 사고, 화재 사고 및 객체 추락 사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에 대한 경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송출 수단은,
    상기 경고 콘텐츠를 청각적 수단으로서 제공하는 스피커 및, 상기 경고 콘텐츠를 광원을 이용한 레이저 빔의 형태로 바닥면에 투광되도록 하여 시각적 수단으로서 제공하는 레이저 투광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위험도 분석 결과,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가 설치된 주변 영역이 기 설정된 임계 위험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주변 영역으로 일 근로자가 접근 중인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경고 출력 모듈을 통해, 접근 중인 근로자를 타겟으로 하는 경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관리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센싱 데이터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전송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시공 현장의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서 모니터링되는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 지시 정보를 음성 데이터로 가공하여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 데이터로 가공된 작업 지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지하에 배치되는 제1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및, 지상에 배치되는 제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를 상호 통신하게 함으로써, 지상 및 지하의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환경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 단말과 연동된 하나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상기 시공 현장에 대한 작업 현황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작업 현황 데이터가 관리되도록 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신되는 유효 사용자로 인증된 음형을 갖는 음성 명령으로서, 상기 작업 현황 데이터에 대한 브리핑 요청이 수신될 시,
    관리 중인 상기 작업 현황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브리핑 요청에 응답하는 브리핑 콘텐츠를 생성하여, 생성된 브리핑 콘텐츠를 상기 관리자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0200104837A 2020-08-20 2020-08-20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47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37A KR102470631B1 (ko) 2020-08-20 2020-08-20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837A KR102470631B1 (ko) 2020-08-20 2020-08-20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868A true KR20220023868A (ko) 2022-03-03
KR102470631B1 KR102470631B1 (ko) 2022-11-25

Family

ID=8081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837A KR102470631B1 (ko) 2020-08-20 2020-08-20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6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3161A (zh) * 2022-04-22 2022-07-08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隧道管廊的地图路线规划管理系统
CN115512514A (zh) * 2022-08-23 2022-12-23 广州云硕科技发展有限公司 预警指令智能管理方法及装置
KR102626783B1 (ko) * 2022-10-21 2024-01-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09B1 (ko)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비콘을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0480B1 (ko) * 2018-02-07 2018-10-22 (주)티엔젠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8283A (ko) * 2018-09-20 2019-05-29 (주)오픈웍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KR102136070B1 (ko) *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09B1 (ko) * 2017-08-04 2018-08-02 주식회사 와이랩스 비콘을 이용한 건설 현장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10480B1 (ko) * 2018-02-07 2018-10-22 (주)티엔젠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8283A (ko) * 2018-09-20 2019-05-29 (주)오픈웍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KR102136070B1 (ko) *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23161A (zh) * 2022-04-22 2022-07-08 中煤科工集团重庆智慧城市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隧道管廊的地图路线规划管理系统
CN115512514A (zh) * 2022-08-23 2022-12-23 广州云硕科技发展有限公司 预警指令智能管理方法及装置
KR102626783B1 (ko) * 2022-10-21 2024-01-18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림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631B1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20220023868A (ko)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US109777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l-time analysis from multi-modal data fusion for contextual risk identification
CN111083640B (zh) 施工现场的智能监管方法及系统
CA3159776C (en) Portable personal moni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CN106383463B (zh) 一种基于安全帽的施工环境监测系统及方法
KR101723283B1 (ko)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2281A1 (en) Using smart cards to reduce risks of work accidents
KR102195174B1 (ko) 웨어러블 카메라를 이용한 건설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CN111552216A (zh) 基于5g的施工现场智慧监管系统
KR101843993B1 (ko)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N111508196A (zh) 一种智能物联网安全监控系统
JP2019526187A (ja) 管制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45670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98841B1 (ko) 영상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 현장의 위험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5516659B (zh) 一种基于脸部情绪识别的智能安防系统及方法
CN113706355A (zh) 化工园区智慧应急系统搭建方法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KR102237432B1 (ko) 이동식 무인 로봇을 이용한 산업플랜트 감시 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CN113206978A (zh) 油气管道站场安防智能监控预警系统及方法
KR102095986B1 (ko) 화재 조기 감지 및 안전 대피 유도 시스템과 그 방법
CN206062255U (zh) 一种施工环境监测安全帽
CN116739870B (zh) 一种应急体系管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