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993B1 -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993B1
KR101843993B1 KR1020170177708A KR20170177708A KR101843993B1 KR 101843993 B1 KR101843993 B1 KR 101843993B1 KR 1020170177708 A KR1020170177708 A KR 1020170177708A KR 20170177708 A KR20170177708 A KR 20170177708A KR 101843993 B1 KR101843993 B1 KR 10184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closed space
space
information
data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강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Priority to KR102017017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993B1/ko
Priority to PCT/KR2018/015178 priority patent/WO201912481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 상기 밀폐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 상기 작업자와 동반하는 작업자 단말 및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밀폐공간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작업자 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현장을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분할한 현장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ORKERS OF A SITE INCLUDING SEALED AREA}
본 발명은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에는 지하실이나 공장의 수조 등 다양한 밀폐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공간은 통신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현황을 판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작업자들이 비상상황에 외부로 비상신호를 보내거나 연락을 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밀폐공간 내 작업자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과, 사고 발생시 골든타임의 확보를 위해 작업자의 최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977호, 2012.09.03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 상기 밀폐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 상기 작업자와 동반하는 작업자 단말 및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밀폐공간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작업자 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현장을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분할한 현장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는, 상기 밀폐공간 밖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작업자 정보가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스캐너에 수신되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 방향에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는, 상기 출입구 방향이 아닌 일 방향을 지향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 스캐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구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밀폐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연결통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밀폐공간이 위험공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험공간 및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위험공간을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험공간 또는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제1 작업자의 제1 작업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작업자의 위치 및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작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위험공간에 작업자가 없거나, 상기 위험공간에 위치한 작업자가 모두 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험공간에 포함된 연결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제1 밀폐공간 및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한 제2 밀폐공간의 출입구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의 상태를 상기 제1 밀폐공간 또는 상기 제2 밀폐공간 입장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의 출입구를 통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2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어떠한 스캐너로부터도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의 세기 이하의 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새로운 밀폐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하는 임시 밀폐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은,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임시 밀폐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생성하되,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는 대응하는 밀폐공간의 고유번호 순서대로 연결되어 저장되고, 상기 자료구조 각각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하나인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상기 제1 자료구조와 연결된, 상기 제1 자료구조의 다음 순서인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다시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상기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의 위조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임시 밀폐공간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대응하는 제4 자료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상기 임시 밀폐공간이 생기기 전까지 마지막 순서로 저장되어 있던 제3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제4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4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가장 빠른 순서로 저장된 제5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하나인 제3 밀폐공간은 상기 제3 밀폐공간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각각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3 밀폐공간은 상기 분할된 각각의 섹션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지도를 표시하되,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이 상기 현장 지도에 모두 표시되도록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펼쳐서 표시하는 평면도를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 내에서 작업자들의 출퇴역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작업자들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어, 작업관리가 용이하고 유사시 작업자를 빠르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출입구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는 스캐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과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현장의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높이에 따라 분할되는 밀폐공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현장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밀폐공간(1)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1)은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폐공간(1)은 반도체공장의 지하수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밀폐공간(1)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이 개시되며, 도 1을 참조하면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200)가 시스템에 포함된다.
서버(200)는 밀폐공간(1)으로부터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밀폐공간(1)에 정보를 전송하거나, 밀폐공간(1)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제어한다.
개시된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관리 시스템에는 밀폐공간(1)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110 및 120)가 포함된다.
또한, 밀폐공간(1)을 포함하는 현장에는 하나 이상의 작업자(10, 20 및 30)와, 하나 이상의 작업자 각각에 동반하는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이 존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200)와 연결되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300)이 시스템에 포함된다.
관리자 단말(3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300)은 사무실 등에 설치된 컴퓨터일 수도 있고,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일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300)이 컴퓨터인 경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은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웹 화면을 통해 접근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인 경우,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 화면을 통해 접근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모듈을 포함한다. 예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에 포함된 BLE 비콘은 배터리(3V)로 구동되며,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6개월~1년)로 교체되거나 충전되어 이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IoT 전용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LTE-M 또는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비상벨 기능 및 비상 전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10, 20 및 3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이 비상벨 기능 및 비상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10, 20 및 30)는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을 이용하여 구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스캐너(110 및 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과 연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10, 20 및 3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된 작업자(10, 20 및 3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스캐너(110 및 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10, 20 및 3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된 작업자(10, 20 및 3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스캐너(110 및 120)에 포함된 AP(Access Point)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심박 또는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작업자(10, 20 및 3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유해가스 누출, 주변 온도, 습도 또는 주변 사물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이 구비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작업자 단말(11, 21 및 31)은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스캐너(110 및 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작업자 단말(11, 21 및 31)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BLE 비콘 스캐너를 포함한다. BLE 비콘은 전력 소모가 매우 적기 때문에 한 번 충전하면 6개월 내지 1년 동안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
현장에 설치된 스캐너(110 및 120)는 전원(220V)에 의하여 전력을 획득하나, 스캐너(110 및 120)는 현장에서의 잦은 정전 시에도 배터리(battery)를 충전하여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UPS 시스템과 결합되어, 정전시에도 스캐너(110 및 120)가 UPS 전원을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IoT 전용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10 및 120)는 LTE-M 또는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밀폐공간(1)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캐너(110 및 120)는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유해가스 누출, 주변 온도 또는 습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110 및 120)가 구비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스캐너(110 및 120)는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 추적 및 분류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10 및 120)는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10 및 120)는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 및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10 및 120)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스캐너(110 및 120)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10 및 120)는 작업자 정보 및 환경정보를 서버(200)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캐너(110 및 12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밀폐공간(1)내에서 작업자가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WiFi A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1)에는 물이나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파이프(4)가 포함된다. 공사 현장에서는, 파이프(4)는 밀폐공간(1) 내부로 전원선이나 인터넷 선을 연결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스캐너 및 AP는 출입구(2) 또는 파이프(4)를 통하여 유선으로 밀폐공간(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서버(200)는 수신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을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분할한 현장 지도를 표시하고, 분할된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1)은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2)를 포함한다. 출입구(2)는 밀폐공간(1)으로 출입이 가능한 개구부와, 밀폐공간(1)으로 내려갈 수 있는 사다리(3)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구(2)는 추락사고를 막기 위한 외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밀폐공간(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스캐너(120)를 포함한다. 내부 스캐너(120)는 밀폐공간(1) 내부의 작업자(30)의 작업자 단말(31)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작업자(30)가 밀폐공간(1) 내부에 있다는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내부 스캐너(120)는, 밀폐공간(1) 밖에 위치한 작업자(10)의 작업자 단말(11)로부터 송신된 작업자 정보가 출입구(2)를 통하여 내부 스캐너(120)에 수신되지 않도록, 출입구(2) 방향에 출입구(2)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출입구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는 스캐너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100)는 출입구(2)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410)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102)를 출입구(2) 방향에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재(102)는 아연(Zn) 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00)는 출입구(2) 방향이 아닌 일 방향을 지향하여, 밀폐공간(1) 내부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31)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420 및 430)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104 및 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캐너(100)는 밀폐공간 내부에 WiFi 신호(440)를 제공하는 A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1)의 출입구(2) 외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 스캐너(11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입구 스캐너(110)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1)에 출입하는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고, 서버(2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1)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출입구 스캐너(110) 및 내부 스캐너(120)가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작업자(20)가 밀폐공간(1)에 입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출입구 스캐너(110)가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이후에 내부 스캐너(120)가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작업자(20)가 밀폐공간(1)에 입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 스캐너(120)가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이후에 출입구 스캐너(110)가 작업자(20)의 작업자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작업자(20)가 밀폐공간(1)으로부터 퇴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지도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장 지도(500)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섹션 각각은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각각 대응한다.
예를 들어, 현장 지도(500)에 표시되는 섹션들은 각각의 밀폐공간에 대응하며, 밀폐공간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현장 지도(50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장 지도(500)에는 각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가 표시되며, 현장 지도(500) 또는 별도의 표시공간에 각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과 연결통로를 포함하는 현장의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현장에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밀폐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300)은 현장 지도(600)에 연결통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장 지도(600)에 포함된 20번 섹션과 21번 섹션, 21번 섹션과 13번 섹션은 각각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14번 내지 18번 섹션은 각각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18번 섹션과 9번 섹션 또한 연결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의 위험여부를 판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위험여부는 밀폐공간 내의 공기상태, 화재발생여부, 유독가스 검출여부 등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밀폐공간이 위험공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공간 및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9번 및 14번 밀폐공간을 위험공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9번과 14번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이 있는 경우, 9번과 14번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송신하고, 위험공간을 이탈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9번과 인접한 18번, 그리고 14번과 인접한 15번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14번과 인접한 15번 또한 위험가능성이 있는 경우, 15번에 인접한 16번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도 위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위험공간을 현장 지도(600)에 표시하고, 위험공간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현장 지도(6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밀폐공간 9(610)와 밀폐공간 14 내지 16(620 내지 640)과 같이, 다른 밀폐공간들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300)는 각 위험공간의 위험상황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패턴으로 위험공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은 서버(200)로부터 위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작업자의 탈출을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공간 또는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방향을 판단하고, 작업자가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은 나침반이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자의 방향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작업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은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소리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은 작업자의 헬멧에 설치된 복수의 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진동장치가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이동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작업자가 이동하여야 하는 방향에 설치된 스캐너에서 소리 또는 빛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이동방향을 알려줄 수도 있다.
서버(200)는 각 밀폐공간에 위치하는 스캐너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각 위험공간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공간에 작업자가 없거나, 위험공간에 위치한 작업자가 모두 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험공간에 포함된 연결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위험공간으로 판단되는 9번 밀폐공간(610)에 작업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결통로(612)를 폐쇄하여 인접한 밀폐공간에 위험인자가 전파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200)는 위험공간으로 판단되는 14번 밀폐공간(620)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접한 밀폐공간에 작업자가 있는지 여부 및 인접한 밀폐공간의 위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16번 밀폐공간(640)까지 위험인자가 전파하였고, 14번 내지 16번 밀폐공간(620 내지 640)에 작업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결통로(626)를 폐쇄할 수 있다. 서버(200)는 연결통로(626)만을 폐쇄할 수도 있고, 연결통로(622 내지 626)를 순차적으로 폐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4번 밀폐공간(620)에 작업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결통로(622)를 폐쇄하고, 인접한 15번 밀폐공간(630)의 위험인자 전파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인자가 전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15번 밀폐공간(630)의 작업자들 대피하도록 한다. 15번 밀폐공간(630)에 작업자가 위치하지 않거나 대피가 완료된 경우, 연결통로(624)를 폐쇄하고, 인접한 16번 밀폐공간(640)에 대하여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여 연결통로(626)를 폐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밀폐공간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과, 작업자의 밀폐공간 간의 이동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제1 밀폐공간 및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한 제2 밀폐공간의 출입구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 스캐너를 포함한다.
서버(200)는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의 상태를 상기 제1 밀폐공간 또는 상기 제2 밀폐공간 입장대기 상태로 변경한다. 서버(200)는 제1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가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작업자가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의 출입구를 통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2 내부 스캐너로부터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서버(200)는 작업자가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제2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정보가 어떠한 스캐너로부터도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의 세기 이하의 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 서버(200)는 작업자가 서버(200)에 저장되지 않은 새로운 밀폐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하는 임시 밀폐공간을 생성하고, 작업자가 임시 밀폐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 지도에 임시 밀폐공간을 표시하고,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임시 밀폐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 밀폐공간에 대한 정보와 각 밀폐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에 대한 정보는 암호화되고,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고유번호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밀폐공간 번호와 같이 부여될 수 있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생성하되, 생성된 자료구조는 대응하는 밀폐공간의 고유번호 순서대로 연결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료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된 자료구조 각각은 헤더를 포함하고, 서버(200)는 연결된 자료구조 중 하나인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제1 자료구조와 연결된, 제1 자료구조의 다음 순서인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다시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소정의 주기로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의 위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임시 밀폐공간이 생성되는 경우, 임시 밀폐공간에 대응하는 제4 자료구조를 생성하고, 생성된 자료구조 중 임시 밀폐공간이 생기기 전까지 마지막 순서로 저장되어 있던 제3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제4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제4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생성된 자료구조 중 가장 빠른 순서로 저장된 제5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자료구조는 클래스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클래스는 헤더를 포함하며, 각 클래스는 각각 하나의 밀폐공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밀폐공간 고유번호에 따라 연결되는 순환 연결 리스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밀폐공간에 대응하는 클래스에 포함되는 자료구조들에 포함된 정보들은 합산되어 해시되고, 연결된 다음 순서의 자료구조의 헤더에 해시값이 저장될 수 있다. 새로운 밀폐공간이 생성되는 경우 새로운 자료구조를 생성하고, 리스트의 마지막 자료구조의 해시값을 새로운 자료구조에 저장하고, 새로운 자료구조의 해시값을 리스트의 첫 자료구조에 저장함으로써, 순환 자료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은 밀폐공간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각각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공간은 가로로 2개, 세로로 3개, 높이로 2개로 각각 분할된 총 12개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다.
도 5는 높이에 따라 분할되는 밀폐공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공간(1)에는 작업자(10)가 높이에 따른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레일(5)이 포함될 수 있다.
밀폐공간(1)은 분할된 각각의 섹션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캐너(110 내지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110 내지 150)로부터 수신되는 작업자 정보 및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분할된 복수의 섹션들 중 하나로 특정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밀폐공간(1)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현장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현장 지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밀폐공간(1)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이 현장 지도에 모두 표시되도록, 밀폐공간(1)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펼쳐서 표시하는 평면도를 현장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밀폐공간(1)을 분할한 12개의 섹션이 평면도로 펼쳐져서 표시된 현장 지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밀폐공간(1)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하거나,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현장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버(200)는 분할된 섹션 간 작업자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서로 높이가 다른 섹션 간에 작업자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위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밀폐공간
10, 20 및 30 : 작업자
11, 21 및 31 : 작업자 단말
110 및 120 : 스캐너
200 : 서버
300 :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
    상기 밀폐공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캐너;
    상기 작업자와 동반하는 작업자 단말; 및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상기 밀폐공간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작업자 정보 및 상기 환경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현장을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분할한 현장 지도를 표시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섹션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 대응하고, 상기 분할된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밀폐공간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연결통로를 표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밀폐공간이 위험공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험공간 및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작업자들에게 위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위험공간을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위험공간 또는 상기 위험공간과 연결통로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위치한 제1 작업자의 제1 작업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작업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작업자의 위치 및 상기 제1 작업자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작업자가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탈출하거나 상기 위험공간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작업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위험공간에 작업자가 없거나, 상기 위험공간에 위치한 작업자가 모두 대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위험공간에 포함된 연결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는,
    상기 밀폐공간 밖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송신된 작업자 정보가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상기 스캐너에 수신되지 않도록, 상기 출입구 방향에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차폐할 수 있는 부재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 스캐너는,
    상기 출입구 방향이 아닌 일 방향을 지향하여,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의 출입구 외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출입구 스캐너;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출입구 스캐너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출입하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에 대한 작업자의 출입여부를 판단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캐너는,
    제1 밀폐공간 및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한 제2 밀폐공간의 출입구 사이에 설치된 출입구 스캐너;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의 상태를 상기 제1 밀폐공간 또는 상기 제2 밀폐공간 입장대기 상태로 변경하고,
    상기 제1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된 이후, 상기 제1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출입구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의 출입구를 통해 밖으로 나간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제2 내부 스캐너로부터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제1 밀폐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공간에 입장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작업자의 작업자 정보가 어떠한 스캐너로부터도 수신되지 않거나, 소정의 세기 이하의 신호만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서버에 저장되지 않은 새로운 밀폐공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제1 밀폐공간에 인접하는 임시 밀폐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작업자가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은,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임시 밀폐공간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는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생성하되,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는 대응하는 밀폐공간의 고유번호 순서대로 연결되어 저장되고, 상기 자료구조 각각은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하나인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상기 제1 자료구조와 연결된, 상기 제1 자료구조의 다음 순서인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다시 합산하고, 합산 결과를 해시하여 상기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제2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된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의 위조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장 지도에 상기 임시 밀폐공간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임시 밀폐공간에 대응하는 제4 자료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상기 임시 밀폐공간이 생기기 전까지 마지막 순서로 저장되어 있던 제3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제4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고,
    상기 제4 자료구조에 포함된 정보들을 합산하여 해시하고, 해시 결과를 상기 생성된 자료구조 중 가장 빠른 순서로 저장된 제5 자료구조의 헤더에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 중 하나인 제3 밀폐공간은 상기 제3 밀폐공간의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각각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복수의 섹션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3 밀폐공간은 상기 분할된 각각의 섹션에 기초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캐너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상기 현장 지도를 표시하되,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이 상기 현장 지도에 모두 표시되도록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을 펼쳐서 표시하는 평면도를 상기 현장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제3 밀폐공간을 분할한 복수의 섹션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의 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70177708A 2017-12-22 2017-12-22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84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08A KR101843993B1 (ko) 2017-12-22 2017-12-22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PCT/KR2018/015178 WO2019124816A1 (ko) 2017-12-22 2018-12-03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08A KR101843993B1 (ko) 2017-12-22 2017-12-22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993B1 true KR101843993B1 (ko) 2018-03-30

Family

ID=61900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708A KR101843993B1 (ko) 2017-12-22 2017-12-22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993B1 (ko)
WO (1) WO201912481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04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89020B1 (ko) * 2020-03-02 2020-12-09 동양비엠에스(주) IoT 복합센서를 활용한 현장 미세먼지 및 온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39976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200142269A (ko) 2019-06-12 2020-12-22 한국종합환경산업(주) 탈부착형 밀폐환경 측정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9515A (ko) * 2019-09-06 2021-03-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20210048668A (ko) * 2019-10-24 2021-05-04 (주)오픈웍스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45328B1 (ko) * 2022-06-20 2022-09-20 주식회사 페가수스 반도체 설비 시공 현장의 안전 감시 정보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9667A (ko) 2021-12-14 2023-06-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39B1 (ko)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135A (ko) * 2008-07-30 2010-02-09 윤병선 수동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안전위험개소 출입정보제공
KR20120096977A (ko) * 2011-02-24 2012-09-03 (주)바소콤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KR101959849B1 (ko) * 2015-11-04 2019-03-19 최옥재 Sns을 이용한 스마트폰의 출입통제 및 출입정보 관리 및 통보 시스템
KR101831054B1 (ko) * 2016-05-19 2018-02-21 주식회사 코아칩스 자가발전 웨어러블 무선 전송기를 이용한 방재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139B1 (ko) 2015-11-27 2016-08-03 정용호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04A (ko) * 2019-03-25 2020-10-07 (주)오픈웍스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28165B1 (ko) * 2019-03-25 2021-03-16 (주)오픈웍스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00139976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102293896B1 (ko) * 2019-06-05 2021-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밀폐 공간 작업자 안전 장치 및 방법
KR20200142269A (ko) 2019-06-12 2020-12-22 한국종합환경산업(주) 탈부착형 밀폐환경 측정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9515A (ko) * 2019-09-06 2021-03-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2253851B1 (ko) * 2019-09-06 2021-05-18 삼성물산 주식회사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20210048668A (ko) * 2019-10-24 2021-05-04 (주)오픈웍스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86279B1 (ko) * 2019-10-24 2021-08-05 (주)오픈웍스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89020B1 (ko) * 2020-03-02 2020-12-09 동양비엠에스(주) IoT 복합센서를 활용한 현장 미세먼지 및 온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9667A (ko) 2021-12-14 2023-06-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45328B1 (ko) * 2022-06-20 2022-09-20 주식회사 페가수스 반도체 설비 시공 현장의 안전 감시 정보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816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993B1 (ko)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671209B1 (ko)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US20170345265A1 (en) Dynamic acquisition terminal for behavior statistic information of people, evacuation system and method
RU2472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м лиц
US201803562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ding responses to an event detected by a monitoring system
KR101099745B1 (ko)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01584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EP3195149A1 (en) Responder-ready reporting network
KR20180090933A (ko) 지능형 가스 누출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82834B (zh) 一种大空间屋盖火灾下坍塌预警系统的实现方法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CN103523676A (zh) 一种地铁盾构隧道门吊作业安全风险实时监控预警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428896B1 (ko) 건설현장의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70631B1 (ko)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CN108460963B (zh) 远程消防监控平台
KR20210114699A (ko) 복합 재난 대응 시스템
CN113280814B (zh) 一种园区作业人员的安全监测方法及设备
KR102324178B1 (ko) 이동식 화재 감지기
KR20210055343A (ko) 자동탐색 기능을 갖는 이동식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75484B1 (ko) 현장안전 관제 시스템
KR102228165B1 (ko)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45421B1 (ko) 이동식 무인감시로봇을 이용한 통합 안전 관제 시스템
KR20210048668A (ko) 화로 안전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7440B1 (ko)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