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440B1 -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440B1
KR102647440B1 KR1020230042500A KR20230042500A KR102647440B1 KR 102647440 B1 KR102647440 B1 KR 102647440B1 KR 1020230042500 A KR1020230042500 A KR 1020230042500A KR 20230042500 A KR20230042500 A KR 20230042500A KR 102647440 B1 KR102647440 B1 KR 10264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information
safety
work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은
김혜원
이진미
박병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4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부에 구성되는 출입도어와, 양측부에 구성되어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와, 바닥면에 구성되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와,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본체; 상기 발판 작동 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화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 어셈블리; 상기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 거치부, 발판 어셈블리, 도어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Safety equipment identification gate device for workers and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안전장비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장비를 모두 착용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와, 작업 시작 전, 작업자 단말을 통해 당일 작업할 내용이 포함된 작업일지를 작성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경우에만 건설 현장으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 건설 현장 등에는 수많은 현장 근로자가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현장에 내재된 다양한 위험 요소와 현장 근로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안전보호구 미착용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작업자가 작업현장에 투입 시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투입이 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작업자의 보호구 착용 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실정이며, 안전모 뿐만 아니라 보안경, 마스크, CO 검지기, CO2 검지기, 안전줄 등과 같은 많은 보호장비가 필요한 작업장에서는 작업자 본인도 보호장비의 착용 여부를 모를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315호에는 전송용 비콘 단말로 안전모 비콘 단말, X-밴드(안전대) 비콘 단말, 안전화 비콘 단말을 포함하며, 데이터 수집용 비콘 게이트웨이로 탈부착형 게이트웨이(G/W), 스마트폰으로 형성가능한 작업자 단말기, 그리고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앱, 복장상태 및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에 해당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안전모 비콘 단말, X-밴드(안전대) 비콘 단말, 안전화 비콘 단말에서 작업자 단말기로 전송된 비콘 신호를 작업자 단말기가 탈부착형 게이트웨이(G/W)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작업장 내에 존재하는 작업자의 인원파악, 안전 보호 장비 착용상태,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파악하도록 하는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유무 감시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기술은 각 산업현장별이나 특정 현장에서의 각 작업팀별로 안전장비 착용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어렵고 일정 기간별 안전 장비 착용 통계도 확인하기 어려워 관리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단순히 착용유무를 파악 및 관리하기만 할 뿐 근로자에게 보호장비 착용을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231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가 안전장비를 착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장비를 모두 착용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와, 작업 시작 전, 작업자 단말을 통해 당일 작업할 내용이 포함된 작업일지를 작성하여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에만 건설 현장으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질 때, 음주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당 작업자가 음주자로 판단되는 경우, 당일 작업에서 완전히 배제시키거나, 또는 당일 진행해야 할 작업 중에서 위험도가 높은 작업에서 배제시켜 음주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중인 안전장비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전장비들중에서 일부 안전장비의 위치정보만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되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장비를 벗은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 단말로 해당 안전장비의 착용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도중에 임의적으로 안전정비를 벗는 등의 행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서버에서 건설 현장에 대한 위치를 작업 공간별 구역으로 구분하고, 작업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작업 일지 정보를 분석하여 작업별 작업 공간별 구역과 매칭시켜 작업일지에 기재된 작업 정보에 대응하게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일지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 이후 작업자의 작업 상태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어 해당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최적화된 건설 현장의 작업 공간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전방부에 구성되는 출입도어와, 양측부에 구성되어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와, 바닥면에 구성되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와,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본체; 상기 발판 작동 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화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 어셈블리; 상기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 거치부, 발판 어셈블리, 도어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작업자 단말이 충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단말 거치패널과, 상기 작업자의 고유 ID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단말과 연동하여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단말정보 표시부와, 상기 작업자의 음주 여부를 체크하는 음주 체크 수단과, 상기 작업자가 음주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단말정보 표시부는,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유 ID를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고유 ID에 대응하는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음주 체크 수단에는, 상기 게이트 본체의 점검 공간에 대한 공기질을 측정하여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공기질 측정 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는,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1확인모듈과,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복 하의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2확인모듈과,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며, 상기 작업자가 착용한 특수장비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제3확인모듈 및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발판 어셈블리는, 상기 발판 작동 안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 어셈블리와 상기 게이트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승강수단과, 안전화의 바닥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압발판과, 상기 가압발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화의 품목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안전화 인증모듈과, 상기 가압발판의 하부에 구성되며,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의 작업자에 대한 몸무게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무게 측정모듈과, 상기 발판 어셈블리의 회전 작동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과, 상기 발판 어셈블리의 하강시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안전화 인증모듈 및 무게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발판 제어부와, 전방측 하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발판 제어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상부 접점부와, 상기 발판 제어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상부 접점부와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당일 수행해야 할 작업에 착용해야 할 필수적인 안전장비 정보와, 당일 작업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특수 안전장비 정보를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 전방부에 구성되는 출입도어와, 양측부에 구성되어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와, 바닥면에 구성되며,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와, 상기 작업자 단말이 거치되며,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본체와, 상기 게이트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게이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고유 ID 별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대한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시 작업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도별 등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작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정보 분석부;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안전장비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 위치가 상이한 안전장비를 작업자가 착용 해제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세지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착용 상태 점검부; 건설현장에서 착용해야 할 안전장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 및 당일 작업일지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는,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이 이루어질 때, 건설 현장에서의 구역 정보와 비교하여 작업별로 작업자가 위치해야 할 작업 구역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는, 상기 작업 구역 위치 정보의 생성시 건설현장 전체 면적 범위에 대한 가상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 상기 작업 구역을 표시하며, 상기 작업 구역에 작업내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는,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로 이전 위치에 포함된 작업 구역에서의 작업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하는 확인 메세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는,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변경되지 않거나, 작업내용에 포함된 작업 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도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로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안전장비를 모두 착용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와, 작업 시작 전, 작업자 단말을 통해 당일 작업할 내용이 포함된 작업일지를 작성하여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에만 건설 현장으로 진입이 가능함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시 안전장비 미착용에 따른 인명피해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질 때, 음주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당 작업자가 음주자로 판단되는 경우, 당일 작업에서 완전히 배제시키거나, 또는 당일 진행해야 할 작업 중에서 위험도가 높은 작업에서 배제시켜 음주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착용중인 안전장비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안전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안전장비들중에서 일부 안전장비의 위치정보만 어느 한 지점에서 고정되는 경우, 작업자가 안전장비를 벗은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 단말로 해당 안전장비의 착용을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 도중에 임의적으로 안전정비를 벗는 등의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일지에 기재된 작업 정보에 대응하게 작업자가 작업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작업일지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작업이 완료된 이후 작업자의 작업 상태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어 해당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최적화된 건설 현장의 작업 공간으로 배치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의 발판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의 개폐 가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건설현장을 구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서버는,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메모리, 프로세서, 통신 인터페이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시스템을 실행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웹 서버일 수 있으며, 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서버를 통해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거나, 편집,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인 단말로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작업시작 전에 작성하는 당일 작업일지의 작성 상태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공간으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작업 공간에서 수행해야 할 작업의 종류에 대하여 착용할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여 모든 안전장비가 착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만 상기 작업 공간으로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공간(작업장) 사고 중 개인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안전장비, 특수장비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안전장비의 품목 정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모듈이 내장되며, 작업자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실시간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모의 내면에는 안전모 및 안전복에는 각각의 품목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GPS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안전화에는 내부에 내장되며, 안전화에 대한 품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안전화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GPS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독물, 위험물 등과 같은 화학물질 취급, 또는 밀폐공간 작업, 화기 작업 등의 위험 작업시에 착용하는 특수 안전장비에도 각각의 품목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품목정보만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간 위치 변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는 작업자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후방부가 개방되게 구성되며, 전방부로 출입도어(102)가 구성되고, 양측부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106)가 장착되며,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부(104)가 구성되는 게이트 본체(100)와, 개방된 후방부에 구성되고, 작업자의 안전화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106)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 어셈블리(110)와,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에 따라 출입도어(102)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130)과, 장비 착용 확인부(106), 거치부(104), 발판 어셈블리(110), 도어 개폐수단(13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게이트 본체(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컨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이트 본체(100)는 작업자들이 작업 공간으로 진입하기 전 소집되어 안전장비를 착용하기 위한 장소, 또는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에 대한 확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작업 공간으로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게이트 본체(100)은 후방부가 개방되며, 작업자들이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 및 점검을 받을 수 있도록 점검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게이트 본체(100)는 그 전방부에 구성되고, 안전장비 착용 상태 및 착용 유무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고, 당일 작업일지의 작성을 완료한 작업자만 게이트 본체(100)를 통과하여 건설 현장의 작업 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도어(102)가 구성된다.
이때, 출입도어(102)는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는 도어 개폐수단(130)에 의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 개폐수단(130)은 게이트 본체(100)의 전방측 벽면의 상부에 구성되며, 출입도어(102)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출입도어(102)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 구동부(134)와, 상기 전방측 벽면의 양측부에 구성되며, 출입도어(102)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개폐 가이드(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 개폐 구동부(134)는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며, 출입도어(102)가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인, 스프로켓, 벨트 등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이드(132)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출입도어(102)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레일 프레임(132a)이 구성될 수 있으며, 출입도어(102)의 상부 및 하부에 돌출되게 구성되며, 레일 프레임(132a)에 삽입되어 출입도어(102)가 직진성을 가지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레일부재(132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본체(100)은 양측 벽면으로 서로 대응되게 구성되고,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0)이 거치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이 작업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200)을 통해 작성된 당일 작업일지에 대한 정보를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는 거치부(104)가 구성된다.
거치부(104)는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0)이 거치되며, 게이트 컨트롤러(1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업자 단말(200)을 거치한 작업자의 고유 ID 정보를 제공하고,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200)에 입력한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단말 거치패널(122)과, 단말정보 표시부(124), 음주 측정 수단(126) 및 스피커(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 거치패널(122)은 작업자 단말(200)이 안착되며, 이 작업자 단말(200)의 안착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말정보 표시부(124)는 작업자의 고유 ID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작업자 단말(200)을 통해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된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따라 착용해야 할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정보 표시부(124)는 고유 ID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단말 거치패널(122)에 안착된 작업자 단말(200)과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연동된 작업자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상기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받아 표시함과 동시에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말정보 표시부(124)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유 ID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게이트 컨트롤러(1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입력된 작업자의 고유 ID를 전송하고, 게이트 컨트롤러(15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고유 ID에 대응하는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단말 거치패널(122) 및 단말정보 표시부(124)는 게이트 본체(100)에 다수개로 구성되어, 다수의 작업자들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104)에는 작업자가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 또는 착용 여부에 대한 점검을 확인받기 전, 음주 여부를 체크하는 음주 체크 수단(126)이 더 구성된다.
음주 체크 수단(126)은 다수개로 구성되는 단말 거치패널(122)들 사이에 구성되며, 고유 ID를 입력한 작업자의 음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주 체크 수단(126)은 작업자가 호흡을 통해 내뱉는 산소에 포함된 알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거치부(104)에는 단말 거치패널(122)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고유 ID를 입력한 작업자가 음주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128)가 구성된다.
여기서, 스피커(128)는 게이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전송되는 경고음, 또는 안내 메세지를 송출한다.
이와 같은 음주 체크 수단(126)은 전술한 다수개의 단말 거치패널(122) 및 단말정보 표시부(124)와 마찬가지로 다수개로 구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작업자 단말(200)의 안착 및 고유 ID를 입력한 이후에 음주 체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음주 체크 수단(126)은 게이트 본체(100)의 점검 공간에 대한 공기질을 측정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는 공기질 측정 부재(126a)가 구성될 수 있으며, 게이트 컨트롤러(150)에서는 수신받은 점검 공간의 공기질을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후술할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알콜 농도에 대한 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상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작업자의 개별 음주 측정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거치부(104)에 구성되는 스피커(128)를 통해 경고음 및 안내 메세지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점검 공간 내에 존재하는 작업자들(단말정보 표시부(124)를 통해 고유 ID를 입력한 작업자)이 각각 음주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게이트 본체(100)에는 거치부(104)의 일측으로 고유 ID를 입력한 작업자의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 및 착용 여부를 점검하고, 점검 결과 정보를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106)가 구성된다.
장비 착용 확인부(106)는 작업자 단말(200)을 통해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전송한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대한 정보를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며, 작업자에게 현재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장비 착용 확인부(106)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대응하여 필수적인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이 모두 완료된 경우에만 출입도어(102)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전장비 확인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또한, 장비 착용 확인부(106)는 게이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상기 필수적인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가 불량인 경우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재착용이 필요한 안전장비, 또는 특수장비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비 착용 확인부(106)는 게이트 본체(100)의 바닥면에 구성되어, 장비 착용 확인부(106)의 구동 신호를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고, 작업자의 작업화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발판 어셈블리(110)와,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1확인모듈(142)과,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복 하의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2확인모듈(144)과,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따라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며, 작업자가 착용한 특수장비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제3확인모듈(146) 및 상기 필수적인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판 어셈블리(110)는, 거치부(104)를 통해 당일 작업일지를 제출하고, 음주 여부의 체크를 완료한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 여부를 확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안전화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며,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이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발판 어셈블리(110)는 게이트 본체(100)의 바닥면에 구성되며, 일측 단부가 게이트 본체(1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111)가 구성된다.
이때, 회전부재(111)는 게이트 본체(100)의 바닥면에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108)에 고정되며, 발판 어셈블리(110)의 후방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발판 어셈블리(110)는 하부면에 구성되며, 회전부재(111)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승강수단(115)이 연결된다.
이때, 승강수단(115)은 발판 작동 안내부(108)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실린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판 어셈블리(110)는 상부면에 구성되고, 안전화의 바닥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작업자가 발판 어셈블리(110)에 올라설 때 이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압발판(112)이 구성된다.
여기서, 발판 어셈블리(110)에는 가압발판(112) 사이에 형성되며, 안전화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이 안전화의 품목정보를 수신받아 발판 제어부(117)로 전송하는 안전화 인증모듈(118)과, 가압발판(112)의 하부에 구성되며,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의 작업자에 대한 몸무게를 측정하여 발판 제어부(117)로 전송하는 무게 측정모듈(119)이 구성된다.
아울러, 발판 어셈블리(110)에는 후방측 하부면, 즉 회전부재(111)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되며, 발판 어셈블리(110)의 회전 작동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113)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판 어셈블리(110)에는 전방측 하부면에 구성되고, 발판 제어부(117)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상부 접점부(114)와, 발판 제어부(117)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부 접점부(114)와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부 접점부(116)가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발판 어셈블리(110)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부 접점부(114)와 하부 접점부(116)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측으로 전송하고, 안전화 인증모듈(118) 및 무게 측정모듈(119)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이 각각의 모듈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게이트 컨트롤러(150)측으로 전송하는 발판 제어부(117)가 구성된다.
제1확인모듈(142)은 작업자가 착용중인 안전장비 중,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에 대한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카메라 모듈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각의 모듈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확인모듈(142)은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의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를 촬영한 후,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여 상기 안전모 및 안전복 상의에 대한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확인모듈(144)은 제1확인모듈(142)의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작업자가 착용한 상태의 안전화와 안전복 하의를 촬영한 후, 이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여 상기 안전화 및 안전복 하의에 대한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확인모듈(146)은 작업자가 착용한 특수장비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특수장비에 내장된 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이 특수장비의 품목정보를 수신받아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3확인모듈(146)은 특수장비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작업자가 특수장비를 착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신호를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148)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 현황 정보를 표시하며, 게이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상기 필수적인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며,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을 송출함과 동시에 재착용이 필요한 안전장비, 또는 특수장비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작업자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업자 단말(200)로 작업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ID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단말정보 표시부(124)로부터 작업자 단말(200)의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당일 수행해야 할 작업에 착용해야 할 필수적인 안전장비 정보와, 당일 작업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특수 안전장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8)로 전송한다.
또한,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상기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장비에 대한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정상착용 여부 및 착용 상태에 대한 불량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8)로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단말정보 표시부(124)와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정보들을 분석하여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수신여부,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가 모두 양호한 경우에만 출입도어(102)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도어 개폐수단(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아울러,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거치부(104)에 구성된 음주 체크 수단(126)으로부터 작업자의 음주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받아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음주라고 판단되는 경우, 스피커(128)를 통해 경고음, 또는 안내 메세지의 송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상기 작업자가 음주인 경우, 발판 어셈블리(110)에 올라선다 하더라도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단말정보 표시부(124)와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정보들을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해당 작업자의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위험도가 높은 특수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특수 작업에 대한 주요 안전수칙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부(148)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보 발명의 게이트 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3확인모듈(142, 144, 146)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장비에 대한 정보들을 후술할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로 전송하여 상기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300)은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의 게이트 본체(100), 특히 게이트 컨트롤러(15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게이트 본체(100)를 통과하면서 생성되는 정보들을 수신받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200) 및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하는 한편, 작업자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작업자 단말(200)을 통해 생성된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분석 결과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작업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작업정보 분석부(310), 착용 상태 점검부(320),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게이트 컨트롤러(150)로부터 작업자 단말(200)의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고유 ID 별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대한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한다.
이때,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된 안전장비 정보와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별 필수 안전장비 정보와, 특수 작업시 필요한 특수 안전장비 정보로 이루어지는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특수 작업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특수 작업의 주요 안전수칙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부터 수신받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상기 고유 ID 및 당일 작업일지 정보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 결과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로 전송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시 작업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도별 등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작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30)와 작업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작업 평가 정보의 생성시 당일 작업자가 지급받을 금액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이 이루어질 때, 건설 현장에서의 구역 정보와 비교하여 작업별로 작업자가 위치해야 할 작업 구역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설 현장에서의 구역 정보는 작업자가 당일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작업 구역을 일정 면적으로 구획한 구역 정보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포함된 작업내용이 A 내지 D의 작업에 해당하고, 해당 작업의 작업 구역이 A' 내지 D'에 해당하는 경우, 건설현장 전체 면적 범위에 대한 가상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 정보에 상기 작업 구역을 표시하고, 이 작업 구역에 작업내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생성한 작업 구역 위치 정보를 착용 상태 점검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로 전송한다.
또한,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착용 상태 점검부(320)로부터 작업자 단말(200)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수신받으로, 상기 변경된 위치 정보의 수신시 작업자 단말(200)로 이전 위치에 포함된 작업 구역에서의 작업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하는 확인 메세지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단말(200)은 상기 확인 메세지를 표시 및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하였음을 확인하는 경우, 이에 대한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정보 분석부(310)는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포함된 작업들을 작업자가 모두 수행하는 경우, 당일 작업 완료 정보를 생성하여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전송함과 동시에 작업 평가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용 상태 점검부(320)는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안전장비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 위치가 상이한 안전장비를 작업자가 착용 해제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경고 메세지를 작업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작업 구역 내에서 착용한 안전장비들 중 안전모를 벗은 상태로 다른 작업 구역(예를 들어 A 작업구역에서 B 작업구역)으로 이동할 때, 벗어 놓은 안전모를 그대로 둔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 착용 상태 점검부(320)는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는 안전장비의 위치 정보에서 안전모의 위치 정보만 다른 위치 정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위치에 있는 안전모를 착용하라는 경고 메세지를 생성하여 작업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 상태 점검부(320)는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게 전송되는 경우, 상이한 위치에 있는 안전장비 정보와 위치정보를 작업정보 분석부(310)로 전송하여 작업자의 작업 평가 정보 생성시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상태 점검부(320)는 작업자 단말(200)의 위치가 변경되되, 이 작업자 단말(200)이 현재 작업 구역 위치로부터 다음 작업 구역 위치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200)의 변경된 위치 정보를 작업정보 분석부(310)로 전송하여 작업 평가 정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착용 상태 점검부(320)는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변경되지 않거나, 작업내용에 포함된 작업 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도 변경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 단말(200)로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작업정보 분석부(3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 단말(200)로부터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게이트 컨트롤러(150)로 해당 작업자의 작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자 단말(200)의 고유 ID와 현재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데이터베이스(330)는 작업정보 분석부(3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들을 전송하는 한편, 작업정보 분석부(3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것으로, 건설현장에서 착용해야 할 안전장비 정보가 저장되고,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200)의 고유 ID 및 당일 작업일지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30)는 건설현장에서 수행되는 특수 작업에 대한 주요 안전수칙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작업자 단말 100: 게이트 본체
102: 출입도어 104: 거치부
106: 장비 착용 확인부 108: 발판 작동 안내부
110: 발판 어셈블리 111: 회전부재
112: 가압발판 113: 완충부재
114: 상부 접점부 115: 승강수단
116: 하부 접점부 117: 발판 제어부
118: 안전화 인증모듈 122: 단말 거치패널
124: 단말정보 표시부 126: 음주 체크 수단
126a: 공기질 측정 부재 128: 스피커
130: 도어 개폐수단 132: 개폐 가이드
132a: 레일 프레임 132b: 레일부재
134: 도어 개폐 구동부 142: 제1확인모듈
144: 제2확인모듈 146: 제3확인모듈
148: 디스플레이부 150: 게이트 컨트롤러
200: 작업자 단말 300: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310: 작업정보 분석부(310), 320: 착용 상태 점검부
330: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전방부에 구성되는 출입도어와, 양측부에 구성되어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와, 바닥면에 구성되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와, 작업자의 작업자 단말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본체;
    상기 발판 작동 안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전화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작업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발판 어셈블리;
    상기 안전장비의 착용 상태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를 개폐시키는 도어 개폐수단;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 거치부, 발판 어셈블리, 도어 개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게이트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 어셈블리는,
    상기 발판 작동 안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발판 어셈블리와 상기 게이트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축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승강수단과,
    안전화의 바닥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작업자의 몸무게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가압발판과,
    상기 가압발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안전화의 품목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안전화 인증모듈과,
    상기 가압발판의 하부에 구성되며, 안전장비를 착용한 상태의 작업자에 대한 몸무게를 측정하여 전송하는 무게 측정모듈과,
    상기 발판 어셈블리의 회전 작동시 소정의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재과,
    상기 발판 어셈블리의 하강시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며, 상기 안전화 인증모듈 및 무게 측정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발판 제어부와,
    전방측 하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발판 제어부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상부 접점부와,
    상기 발판 제어부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상부 접점부와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하부 접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작업자 단말이 충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단말 거치패널과,
    상기 작업자의 고유 ID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자 단말과 연동하여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단말정보 표시부와,
    상기 작업자의 음주 여부를 체크하는 음주 체크 수단과,
    상기 작업자가 음주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정보 표시부는,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유 ID를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고유 ID에 대응하는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주 체크 수단에는,
    상기 게이트 본체의 점검 공간에 대한 공기질을 측정하여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공기질 측정 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는,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모와 안전복 상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1확인모듈과,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복 하의에 대한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제2확인모듈과,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며, 상기 작업자가 착용한 특수장비의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전송하는 제3확인모듈 및
    안전장비 및 특수장비의 착용 상태 및 착용 여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는,
    상기 거치부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분석하여, 당일 수행해야 할 작업에 착용해야 할 필수적인 안전장비 정보와, 당일 작업에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특수 안전장비 정보를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8.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
    전방부에 구성되는 출입도어와, 양측부에 구성되어 메모리 및 GPS 모듈이 내장된 안전장비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 착용 확인부와, 바닥면에 구성되며, 상기 장비 착용 확인부의 구동신호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발판 작동 안내부와, 상기 작업자 단말이 거치되며,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본체와, 상기 게이트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게이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상기 게이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고유 ID와 당일 작업일지 정보를 수신받아 고유 ID 별 당일 작업일지 정보에 대한 안전장비 목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본체로 전송하고,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시 작업별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도별 등급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등급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작업 평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작업정보 분석부;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안전장비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으며,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안전장비들 간의 위치 정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 위치가 상이한 안전장비를 작업자가 착용 해제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메세지를 상기 작업자 단말로 전송하는 착용 상태 점검부;
    건설현장에서 착용해야 할 안전장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ID 및 당일 작업일지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는,
    상기 당일 작업일지 정보의 분석이 이루어질 때, 건설 현장에서의 구역 정보와 비교하여 작업별로 작업자가 위치해야 할 작업 구역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로 전송하고,
    상기 작업 구역 위치 정보의 생성시 건설현장 전체 면적 범위에 대한 가상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정보에 상기 작업 구역을 표시하며, 상기 작업 구역에 작업내용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는,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로부터 상기 작업자 단말의 변경된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로 이전 위치에 포함된 작업 구역에서의 작업을 완료하였는지 확인하는 확인 메세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상태 점검부는,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변경되지 않거나, 작업내용에 포함된 작업 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도 변경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로 작업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작업정보 분석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30042500A 2023-03-31 2023-03-31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4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500A KR102647440B1 (ko) 2023-03-31 2023-03-31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500A KR102647440B1 (ko) 2023-03-31 2023-03-31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440B1 true KR102647440B1 (ko) 2024-03-14

Family

ID=902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500A KR102647440B1 (ko) 2023-03-31 2023-03-31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4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301A (ja) * 2006-12-08 2008-06-26 Systec:Kk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KR20120083946A (ko) * 2011-01-19 2012-07-27 (주)영우산업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40032618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글로텍 3차원 건설 공사 작업용 관리장치
KR20170115937A (ko) * 2016-04-08 2017-10-18 진종곤 건설안전 시스템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1872315B1 (ko) 2016-12-23 2018-06-29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2482906B1 (ko) * 2022-02-22 2023-01-03 이후시스(주) 비접촉 생체인식 헬스케어 진단 및 출입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301A (ja) * 2006-12-08 2008-06-26 Systec:Kk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KR20120083946A (ko) * 2011-01-19 2012-07-27 (주)영우산업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KR20140032618A (ko) * 2012-09-07 2014-03-17 주식회사 글로텍 3차원 건설 공사 작업용 관리장치
KR20170115937A (ko) * 2016-04-08 2017-10-18 진종곤 건설안전 시스템
KR20180046813A (ko) * 2016-10-28 2018-05-09 주식회사 서안에스앤씨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1872315B1 (ko) 2016-12-23 2018-06-29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102482906B1 (ko) * 2022-02-22 2023-01-03 이후시스(주) 비접촉 생체인식 헬스케어 진단 및 출입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36,"Mobile passiv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portal for automated and rapid control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on construction sites"(201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4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l-time analysis from multi-modal data fusion for contextual risk identification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US20200202472A1 (en) Adapting workers safety procedures based on inputs from an automated debriefing system
KR101843993B1 (ko)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N211955374U (zh) 一种用于检测有限空间作业环境的检测装置、检测系统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CN112085232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运检系统及方法
CN110221582A (zh) 一种五位一体生产或工程安全服务和保障方法及系统
Bjelland et al. Emergency preparedness for tunnel fires–a systems-oriented approach
US7244123B1 (en) Training tank for personnel entry, exit and rescue
KR102647440B1 (ko) 작업자용 안전장비 식별 게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CN111768602A (zh) 受限空间作业智能安全监管系统及监管方法
CN109272197B (zh) 一种基于建筑bim模型的危险源辨识方法
JP2021080076A (ja) エレベーター安全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安全作業管理装置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20230036738A (ko) 질식사고 예방시스템
Guo et al. How traditional construction safety performance indicators fail to capture the reality of safety
KR20240015201A (ko)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KR102472802B1 (ko) 승선자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Li Intelligent Science Empowers: Building Fire Pro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KR102557127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모바일 앱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설비 공사 현장 안전 및 보안 관리용 시스템
EP24749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dock for trucks
McCoy Final Report for the Contractor Readiness Assessment of the Transient Reactor Test Facility Resumption of Transient Testing Activity at the Idaho National Laboratory
WO2020122263A1 (ko)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고소작업대의 안전점검 시스템 및 방법
KR102166528B1 (ko) 밀폐공간의 3d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