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201A -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 Google Patents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201A
KR20240015201A KR1020220092367A KR20220092367A KR20240015201A KR 20240015201 A KR20240015201 A KR 20240015201A KR 1020220092367 A KR1020220092367 A KR 1020220092367A KR 20220092367 A KR20220092367 A KR 20220092367A KR 20240015201 A KR20240015201 A KR 20240015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nstruction
equipment
information
wor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연길
김도훈
곽병후
강정훈
김형준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5201A/ko
Publication of KR2024001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20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을 접근할 수 있는 전망대 상에 구축하여 육안 점검하면서, 스마트 안전장비(60)를 이용하여 취합한 건설현장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건설안전을 상시적으로 실시간 통합관제할 수 있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는 전망대 상에 통합관제센터를 건축하고, 통합관제센터의 실내는 관제 공간(110), 회의 공간(120) 및 교육 공간(130)을 갖추게 하며, 육안 점검하면서 관제 수단(20) 및 스마트 대시보드(30)를 사용하여 현장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교육 공간(130)에 비치한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를 이용하여 안전교육할 수 있도록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를 구축한다.

Description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CONSTRUCTION FOR CONSTRUCTION SAFETY MONITERING INTEGRATED CONTROL CENTOR STRUCTURED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현장을 접근할 수 있는 전망대 상에 구축하여 육안 점검하면서, 스마트 안전장비를 통해 취합한 건설현장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건설안전을 상시적으로 실시간 통합관제할 수 있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다양한 공종의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건설현장에는 현장 자체에 내재된 다양한 작업 환경으로부터 기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존재하고,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위험성 평가에 기반한 안전계획 수립, 근로자 관리, 안전교육, 작업 전 안전점검, 작업환경 및 작업 모니터링, 불안전 요소의 신속 조치, 재발 방지 대책 수립 등의 안전관리 업무가 중요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에 대해 최고 책임자의 각성과 제도적 예방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이 형성되고 안전관리에 대한 정부와 국민의 의식수준 및 눈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2021년 1월 26일에 제정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되어서, 안전조치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고 중대재해 발생에 대한 발주자의 책임도 가중되어서, 발주자의 안전 관리 및 감독이 중요시되고 있고, 시공사의 안전 관리자와의 원활한 협업을 통한 안전관리도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소수의 안전 관리·감독 담당자가 수많은 작업 인력, 다양한 공종, 여러 작업장을 상시 감시하며 안전관리하기란 시간적으로 한계가 있고 통제 관리할 작업장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현장의 인근에 시설하는 가설사무실에 감독관실을 마련하지만 사무적 업무 공간 또는 회의 공간으만 사용하고 있어서 건설현장의 상시 감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건설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한 카메라, 계측기, 센서, 태그 기반 위치 추적시스템, 현장 방송 시스템 등에 연계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시 감시 체계를 갖추기도 하지만, 건설현장과 분리된 공간에 구축된 한계에 의해서, 건설 규모가 크고 복잡한 다양한 공종이 수행되며 현장 변화가 큰 경우에 상당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안전 전문가라도 상황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KR 10-2316815 B1 2021.10.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현장 접근성을 높여 상시 육안점검하며 건설현장에 투입된 스마트 안전장비를 통해 취합한 현장 상황 정보를 상호 연계시켜 통합 감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위험요소 발견, 예방 조치 및 응급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제반 안전관리 업무, 사고 예방 및 안전의식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안전교육의 관리, 신규 인력의 교육, 및 실시간 전문가 자문도 지원하여 건설현장의 안전관리를 위한 통합관제가 가능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현장의 접근성을 위해 계단이 설치된 전망대에 테두리측의 통로겸 전망 공간을 남기고 건축하되, 건설현장을 향한 벽체를 공사 현황을 실사한 롤스크린으로 가릴 수 있는 창호로 구성하고, 실내에는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를 통해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는 위치에 단을 조성한 후 단상에 데스크를 배치하고, 창호와 데스크 사이의 회의 공간과 데스크 일측의 교육 공간이 조성되고, 데스크 및 회의 공간 출입을 위한 출입문과 교육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고, 창호 밖의 통로 상에 드론 이착륙장을 비치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설치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관제 수단(20), 스마트 대시보드(30),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 및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제 수단(20)은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에 비치되고,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상기 데스크 및 회의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창호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는 상기 교육 공간에 비치된다.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건설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와 이동촬영수단에 설치된 이동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61), 근로자가 착용하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 건설장비에 탑재한 중장비 안전장비(63), 건설현장의 구조물 또는 지반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건설현장의 공기질을 포함한 환경을 센싱하는 계측기/센서(65) 및 적어도 근로자와 건설장비의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측위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장비(60)와 연계되며,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얻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 영상, 위치 정보 및 계측/센싱 정보를 포함한 건설현장 정보를 표출하는 안전관리 화면(410),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및 이동촬영 화면(430)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의 감독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출력시키고, 상기 데스크 모니터(21)에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화면으로 출력하는 정보 중에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고, 안전교육의 가상체험을 위한 VR 콘텐츠를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제공하여 안전교육을 지원한다.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은 기상청을 통해 수집한 기상 정보, 상기 계측기/센서(65)의 계측 또는 센싱 정보, 상기 CCTV 카메라별로 촬영한 영상, 위치 측위 수단으로 식별한 근로자 및 장비의 위치 정보를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되, 계측 정보를 건설현장 영상 이미지 또는 지도 이미지와 연계시켜 계측 위치를 표출하고, 과거 계측 정보의 정상 여부를 표출하게 하며,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작업장 내에서 인식한 근로자 및 건설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표출한 지도 이미지(421)와, 근로자별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를 표시한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과, 선택된 작업장의 영상 화면(422)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촬영 화면(430)은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하는 현장의 고정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다.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에서 작업장 내의 위험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위험 지역에서 착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 및 위험 지역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의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조치 사항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위험 지역에서 감지된 근로자가 착용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에 따라 안전 조치 사항이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시에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을 통해 경보한다.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에서 감지된 근로자 건강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 및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감지된 긴급 상황 정보를 건설현장 정보에 포함시켜 수집하고, 상기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에는 작업장 내의 근로자 정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장비, 근로자의 위험 요인을 나타내는 안전상황 및 위험 요인에 따른 조치이력을 표출하되, 안전상황으로 표출하는 위험 요인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미착용,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비정상 사용, 근로자의 비건강, 근로자의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 접근 및 수집한 긴급 상황을 포함하고, 조치이력은 안전조치하여 해소된 위험 요인으로서 위험 요인이 발생한 근로자의 정보,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게 저장 관리하여, 동일 작업장에서 이전 작업 중의 조치이력을 조회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있어서, 건설현장의 접근성을 위해 계단이 설치된 전망대에 테두리측의 통로겸 전망 공간을 남기고 건축하되, 건설현장을 향한 벽체를 공사 현황을 실사한 롤스크린으로 가릴 수 있는 창호로 구성하고, 실내에는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를 통해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는 위치에 단을 조성한 후 단상에 데스크를 배치하고, 창호와 데스크 사이의 회의 공간과 데스크 일측의 교육 공간이 조성되고, 데스크 및 회의 공간 출입을 위한 출입문과 교육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고, 창호 밖의 통로 상에 드론 이착륙장을 비치한다.
또한,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는 관제 수단(20)을 데스크에 비치하고, 스마트 대시보드(30)를 데스크 및 회의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창호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를 교육 공간에 비치한다.
또한, 건설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와 이동촬영수단에 설치된 이동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61), 근로자가 착용하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 건설장비에 탑재한 중장비 안전장비(63), 건설현장의 구조물 또는 지반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건설현장의 공기질을 포함한 환경을 센싱하는 계측기/센서(65) 및 적어도 근로자와 건설장비의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측위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장비(60)와 연계되어서,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얻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 영상, 위치 정보 및 계측/센싱 정보를 포함한 건설현장 정보를 수집하고, 안전교육의 가상체험을 위한 VR 콘텐츠를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제공하여 안전교육을 지원하는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를 데스크 또는 데스크 주변에 비치한다.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기상청을 통해 수집한 기상 정보, 상기 계측기/센서(65)의 계측 또는 센싱 정보, 상기 CCTV 카메라별로 촬영한 영상, 위치 측위 수단으로 식별한 근로자 및 장비의 위치 정보를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되, 계측 정보를 건설현장 영상 이미지 또는 지도 이미지와 연계시켜 계측 위치를 표출하고, 과거 계측 정보의 정상 여부를 표출하게 구성한 안전관리 화면(410);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작업장 내에서 인식한 근로자 및 건설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표출한 지도 이미지(421)와, 근로자별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를 표시한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과, 선택된 작업장의 영상 화면(422)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및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하는 현장의 고정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 이동촬영 화면(430); 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의 감독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데스크 모니터(21)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화면으로 출력하는 정보 중에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작업장 내의 위험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위험 지역에서 착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 및 위험 지역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의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조치 사항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위험 지역에서 감지된 근로자가 착용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에 따라 안전 조치 사항이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시에 경보 사항을 표출한다.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에서 감지된 근로자 건강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 및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감지된 긴급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 정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장비, 근로자의 위험 요인을 나타내는 안전상황 및 위험 요인에 따른 조치이력을 상기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에 표출하되, 안전상황으로 표출하는 위험 요인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미착용,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비정상 사용, 근로자의 비건강, 근로자의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 접근 및 수집한 긴급 상황을 포함하고, 조치이력은 안전조치하여 해소된 위험 요인으로서 위험 요인이 발생한 근로자의 정보,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께 동일 작업장에서의 이전 작업 중 조치이력으로 조회하게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전망대, 건설현장 감독사무실 및 관제시스템을 결합하여 건설현장의 상황을 육안 감시에 의해 정확하게 판단하면서 스마트 대시보드(30) 및 관제 수단(20)으로 건설현장 전반을 동시에 상세히 모니터링하여 위험요소 감시, 예방 조치 및 응급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고, 안전교육 및 신규 인력 교육을 위시한 안전관리의 제반 업무를 관리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의 배치도(a)와 통합관제센서에서의 전망 가능한 영역을 보여주는 개략적 측면도(b).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5은 스마트 대시보드(30)에 출력하는 안전관리 화면(410),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이동촬영 화면(430) 및 사업개요 화면(440)의 화면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안전관리 화면(410)으로 동시 출력하는 작업환경 화면(411)의 화면 구성도(6a), 위치정보 화면(412)의 화면 구성도(6b), 전 작업장 영상 화면(413)의 화면 구성도(7a), 및 계측정보 화면(414)의 화면 구성도(7c).
도 8은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의 화면 구성도.
도 9는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의 변형 화면 구성도.
본 발명은 건설현장을 실시간 육안점검하기 위한 전망대 기능과, 스마트 안전장비를 활용하여 건설현장의 상황을 다각적으로 실시간 점검하며 안전 시공을 위해 계도하기 위한 현장 모니터링 기능과, 돌발적인 이상 상황 또는 안전위험이 발생하더라도 안전 시공을 위해 즉각적으로 계도할 수 있는 안전 시공 계도 기능과, 작업 환경 및 작업자에 맞춰 체험적으로 안전 교육할 수 있는 안전 교육 기능과, 시공 중의 실시간 자문을 지원하는 시공 기술 지원 기능을 현장 감독실에서 감독원에 의해 통합적으로 발휘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과, 이를 위해서 건축물에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은 건설현장을 내려다볼수 있는 전망대와 건설현장에 가설 건물로 시공해야할 현장 감독실을 결합한 구조를 갖추어서 현장 감독실 내에서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현장 감독실 내에는 건설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이 구축되어 육안 점검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안전관리 업무 환경이 완비되며, 안전 교육의 장소 및 안전 시공 관리의 지휘소로도 활용하여, 안전 시공을 위한 전반적 관리를 철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현장 감독실에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작업자 및 건설장비의 위치, 작업자의 불안전 상태, 위험 상황 및 긴급 상황을 스마트 안전장비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여, 건설현장 전체를 육안으로 감시하며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각 작업 현장에 대해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안전위험 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현장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사고 예방할 수 있는 감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종 및 작업자 맞춤형 안전교육과 안전관리를 지원하며, 안전 시공을 위한 기술 지원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설명한다.
도 1의 배치도 및 개략적 측면도와, 도 2의 평면도와, 도 3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은 건설현장에 근접한 장소에 시공되며, 가능하면 건설현장 전체를 바라볼 수 있는 높이의 전망대에 현장 감독실을 갖춘 구조로 시공된다.
이를 위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은 건설현장의 전망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 높이로 세운 지지 포스트(300)과, 지지 포스트(300)의 상단에 평탄하게 시공하여 전망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 슬래브(200)와, 바닥 슬래브(200)의 테두리측을 전망 공간으로 이용하도록 제외하고 중앙 부위에 시공한 현장 감독사무실용 통합관제센터(100)를 갖춘 건축물이다.
도 1의 배치도에서 보여주는 건설현장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용 관리하는 운문댐에 취수탑을 신설하는 현장이므로, 취수탑을 설치하는 운문호의 수변 측에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이 좋다. 이에, 도 3의 단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변 측에 옹벽을 축조하고 취수탑 건설현장에 시공하는 가설작업대 상에 기둥을 세운 구조물로 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포스트(300)는 하나의 예시로서 시공할 장소의 지형적 여건에 적합한 구조물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은 건설현장은 취수탑 신설을 위한 가물막이 수중작업 및 굴착과, 터널 공사와, 기존 취수탑 수중공사 등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이므로, 취수탑을 신설할 장소는 물론이고 기존 취수탑의 전망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 맞춰 지지 포스트(300)를 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본 발명의 이해를위해 이 건설현장을 예시하며 설명한다.
바닥 슬래브(200)는 중앙 위치에 시공한 현장 감독사무실용 통합관제센터(100)의 외벽 둘레방향을 따라 통로(201)가 형성되어 건설현장을 전망함은 물론이고 외부 출입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며, 이를 위해서 안전을 위한 난간(202)과 건설현장으로 내려가기 위한 계단(205)이 시공된다. 물론, 통로(201)의 바닥은 테크로 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통로(201)의 난간(202) 중에 건설현장을 향한 부분의 하단에는 전광판(50)이 설치된다. 전광판(50)은 안전 시공을 위한 안내문, 작업자에게 알릴 사항 또는 지시 사항 등을 출력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통합관제센터(100)는 실내에 현장 감독사무실을 마련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건설현장을 향한 벽체는 창호(101)로 시공하여 실내에서도 건설현장의 시야가 확보되게 하며, 통로(201)에서 실내 출입을 위한 출입문(103)도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창호(101)는 건설현장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서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다면 구조로 구획되어서, 창호(101) 안쪽에서 넓은 시야로 건설 현장을 볼 수 있게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창호(101)는 건설현장을 향한 창호의 양 측에 대략 135°각도를 이루는 창호를 추가 설치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창호(101)의 상단에는 통상적으로 공사 현황판에 인쇄하는 공사 현황 정보를 실사한 롤스크린(102)을 내려서, 창호(101) 안쪽의 실내에 공사 현황을 볼 수 있게 한다.
통합관제센터(100)의 실내 현장 감독사무실은 창호(101)와 대향하는 벽체의 중앙 안쪽에 조성되는 관제 공간(110), 관제 공간(110)과 창호(101) 사이에 조성되는 회의 공간(120), 관제 공간(110)의 일측의 교육 공간(130), 및 관제 공간(110)의 타측의 모형물 공간(140)이 마련된다.
관제 공간(110)에는 소정 높이의 단(110)을 설치한 후 단(111) 상에 데스크(112)을 설치하여, 단(111)에 의해 공간이 명확해지고, 데스크(112)에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101)을 통해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단(111) 또는 단(111)의 일측(바람직하게는 교육 공간(130)에 근접한 위치)에 통합 안전관제 서버(10)가 비치되고, 데스크(112) 상에는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는 관제 수단(20)이 비치된다. 여기서, 방송 컨트롤러(23)는 건설 현장에 비상방송하게 설치된 방송 시스템(70)의 컨트롤러로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마이크를 포함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전망 공간으로 사용되는 외부 통로(201) 중에 창호(101)를 설치한 방향의 창호(101) 밖 통로 상에는 드론 이착륙장(204)이 설치된다. 이때의 드론 이착륙장(204)은 데스크(112)의 착석 자리에서 창호(101)를 통해 주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되, 건설현장을 가리지 않도록 일측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창호(101) 중에 데스크(112)의 착석 자리에서 건설현장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부분의 창호(101) 상단에는 스마트 대시보드(30)를 데스크 및 회의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창호의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스마트 대시보드(30)는 상하길이에 비해 좌우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길게 구성한 것이거나 다수의 모니터를 좌우로 배치하여 하나의 기다란 모니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후술하는 다양한 화면을 좌우 방향을 따라 화면 분할하여 동시에 출력할 수 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롤스크린(102) 위에 설치되어 롤스크린(102)에 의해 가려지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데스크(112)에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를 통해 건설현장으로 육안 검사하면서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출력 화면으로 현장 모니터링할 수 있다.
회의 공간(120)은 회의 탁자 및 의자를 창호(101)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조성되며, 안전관리를 위해 신규 채용한 관리원을 교육할 시에도 활용할 수 있다.
교육 공간(130)은 데스크(112)의 좌우 중에 어느 한쪽(도면에는 좌측)에 조성되어 안전교육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가 비치되며, 근접한 벽체에 출입문(103)을 설치하여 안전교육 대상자가 외부의 통로(201)에서 입실할 수 있게 한다.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는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에서 제공하는 VR 콘텐츠에 따라 안전교육 체험자에게 가상체험으로 안전교육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체험자의 손에 착용하거나 손으로 잡고 사용하게 하며 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핸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는 컨트롤러(43), 체험자의 머리에 착용하며 체험자 머리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헤드 트래킹 정보를 생성하고 가상체험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HMD(Head Mounted Display, 42), 및 핸드 트래킹 정보와 헤드 트래킹 정보에 따라 VR 콘텐츠의 가상체험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영상 및 음향을 HMD(42)에 출력시키는 구동 컴퓨터(41)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컴퓨터(41)에서 안전교육 관련 자료를 출력할 모니터(44)도 포함한다. 이러한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는 공지된 기술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모형물 공간(140)은 건설현장에 시공한 구조물의 모형물(141)을 비치하는 공간으로서 관제 공간(110) 및 회의 공간(120)에 인접하여 건설 공정의 이해, 안전 대책 수립 및 사전 검토, 안전점검 대상지 추출 등을 위해 모형물(141)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외부 통로(201)에서 관제 공간(110) 및 회의 공간(120)으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103)이 출입하며 모형물(141)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구축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은 도 4의 블록 구성도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한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와, 관제 공간(110)의 데스크(112)에 비치한 관제 수단(20)과, 창호(101)의 위에 설치한 스마트 대시보드(30)와, 교육 공간(130)에 비치한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와, 슬래브(200)의 난간(202) 아래에 설치한 전광판(50)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건설현장에서 설치 또는 사용되는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건설 현장 정보를 수집하고, 기상청을 통해 기상 정보도 수집한다.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는 카메라(61), 개인보호 안전장비(62), 중장비 안전장비(63), 스마트 글라스(64), 계측기/센서(65) 및 태그 스캐너(6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을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 게이트웨이(67)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 스캐너(60)는 작업 현장은 물론이고 근로자 및 건설 장비의 이동 경로 상에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1)는 건설현장에 고정 설치된 고정식 CCTV와, 이동 설치 가능한 이동식 CCTV와, 근로자가 휴대 또는 착용하거나 건설 장비에 설치한 액션캠과, 건설현장을 이동하며 촬영할 수 있는 이동촬영수단에 설치된 이동식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동식 카메라는 드론 이착륙장(204)을 이용하여 운용하는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일 수 있고, 예시한 건설현장에서는 수중 작업현장을 이동 촬영할 수 있는 수중 ROV(Remotely operated underwater vehicle)에 설치된 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CCTV와 액션캠을 사용하는 근로자 또는 건설 장비에 태그를 설치하여서, 상기 태그 스캐너(66)로 태그를 인식하여 위치를 촬영 위치를 얻게 할 수 있다. 태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얻는 것은 RFID, 비콘(Beac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1)에 GPS를 설치하여 GPS로 얻은 위치 정보를 전달받게 할 수도 있다. 이동 촬영수단에는 자체적으로 위치 파악하므로, 그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보호 안전장비(62)는 근로자가 착용 또는 휴대하며, 안전모 착용 여부 또는 턱끈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모, 안전고리의 사용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벨트, 근로자의 체온 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스마트 밴드, 근로자의 추락이 감지될 시에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웨어러블 에어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보호 안전장비(62)는 근로자가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응급버튼, 상기 태그 스캐너(66)로 인식할 태그 또는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GPS, 근로자의 움직임 또는 쓰러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에서 전송한 음성 안내를 출력할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개인보호 안전장비(62)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착용 여부, 사용 여부, 측정값, 응급버튼 눌림 이벤트 신호, GPS로 얻는 위치 정보, 센싱값을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에서 전송하고, 음성 안내를 수신하여 출력하게 한다.
상기 중장비 안전장비(63)는 건설 장비에 설치되며, 예를 들어 레이더 또는 라이다를 이용한 근로자 접근을 감지하여 경고하는 접근 경보기 또는 건설 장비의 속도, 충돌, 전복 등을 감지하는 트래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장비 안전장비(63)는 상기 태그 스캐너(66)로 인식할 태그, 장비 사용자가 응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응급버튼,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에서 전송한 전달 사항을 출력할 수단을 설치한 것일 수 있고, 상기 태그 스캐너(66)로 위치 정보를 얻는 대신에 GPS를 구비하여 위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중장비 안전장비(63)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한다. 한편, 건설 장비에 상기 태그 스캐너(66)를 설치하여서, 인식한 태그와 거리에 따라 접근 경보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글라스(64)는 근로자의 육안으로 인식되게 할 디스플레이와, 쌍방 통화를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와, 근로자의 전방을 촬영할 카메라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대체로 안경 형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되어서, 원격 회의, 멘토링, 현장 작업 지원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센서(65)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지중경사계, 구조물경사계, 변형률계, 변위계, 탁도계, 지하수수위계, 초음파수위계, 멀티빔 음향측심기, 진동소음계 등의 계측기를 예로 들수 있고, 질식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 사용되는 공기질 센서 또는 가스 센서(산소/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황화수소/가연성 가스 센서) 등의 센서를 예로 들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건설현장의 기상을 계측하는 기상 관측 센서도 포함항 수 있으며, 건설현장에 설치하여야 하는 다양한 계측기 및 센서일 수 있다.
상기한 카메라(61), 개인보호 안전장비(62), 중장비 안전장비(63), 스마트 글라스(64), 계측기/센서(65) 및 태그 스캐너(66)는 스마트 안전장비(60)로서 공지된 장치이고 실제 사용될 수 있게 개발되어 있어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태그와 태그 스캐너(66)의 조합을 이용하거나 GPS 수신기를 이용한 위치 측위 수단도 잘 알려져 있고,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와 통신 연결은 사물인터넷(IoT : Inernet of Things) 기술, LTE, 근로자 스마트폰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67)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도 생략한다.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한 건설현장의 지도(map) 정보, 근로자(작업자 및 관리자) 정보, 장비 정보, 안전교육용 VR 콘텐츠 및 건설공사 관련 정보와,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로 수집된 건설 현장 정보를 통합하여 감독원이 건설안전을 관제할 수 있는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여기서, 지도(map) 정보는 예를 들어 지리 정보 시스템(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여 얻는 GIS 맵으로서, 각종 정보를 맵핑시켜 표출할 수 있는 지도일 수 있다.
근로자 정보는 작업자 및 관리자의 성명, 소속, 직종, 전화번호 및 태그 ID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 정보는 장비 종류, 소유 시공사, 사용 근로자 정보 및 태그 I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비 정보의 사용 근로자 정보는 장비를 다루거나 운전시키는 근로자에 관련된 정보이고, 관리자는 시공사별 시공 관리자일 수 있다.
VR 콘텐츠는 작업 현장의 가상 체험을 위한 컨텐츠와 안전사고의 가상 체험을 위한 컨텐츠 등으로 할 수 있으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서 구동 컴퓨터(41)에 의해 실행되어 컨트롤러(43)에 의한 핸드 트래킹 정보 또는 체험자 조작와 HMD(42)의 헤드 트래팅 정보에 따라 가상 체험하게 한다. 이러한 VR 콘텐츠는 작업 공종별로 준비되어서 안전관리 미흡 공종에 맞춰 안전교육할 수 있게 한다.
건설공사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조감도, 공사개요, 예정공정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로 수집된 건설 현장 정보는 카메라(61)로 촬영된 현장 영상과, 계측기/센서(65)의 센싱 정보와, 태그 및 태그 스캐너(66)의 조합 또는 GPS를 통해 얻는 근로자(또는 개인보호 안전장비), 건설 장비(또는 중장비 안전장비) 및 카메라의 위치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를 통해 얻은 근로자 건강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에서 감지된 응급 버튼 눌림, 근로자 쓰러짐, 웨어러블 에어백 작동 등을 포함한 근로자 긴급 상황 정보와,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감지된 응급 버튼 눌림, 건설 장비의 전복, 충돌 등을 포함한 중장비 긴급 상황 정보와,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발생한 위험 접근 경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SNS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탑재되어, 사전에 등록한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와 SNS통신을 통해 자문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SNS 서비스의 PC버전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데스크(112)의 의자에 착석한 감독원이 데스트(112)에 비치한 상기 관제 수단(20)을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전반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건설현장을 감시관리할 수 있게 하는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의 동작 및 이에 따른 모니터링 화면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창호(101)의 상단에 설치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안전관리 화면(410),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이동촬영 화면(430) 및 사업개요 화면(440)을 출력하는데, 각 화면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므로, 상기 관제 수단(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2)의 조작에 따라 선택된 화면을 출력하여 다양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자세히 살피며 감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통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게 한다.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은 작업환경 화면(411), 위치정보 화면(412), 전 작업장 영상 화면(413) 및 계측정보 화면(414)으로 구분되고,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화면 분할하여 동시 출력되며, 도 6 및 도 7에 상세하게 도시한 화면 구성도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작업환경 화면(411)은 기상청 또는 기상 관측 센서로 얻는 기상정보(411a)와,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파악된 건설 현장 내의 근로자(관리자 및 작업자) 및 장비의 수를 나타내는 작업장별 현황(411b)과,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의 계측기/센서(65)로 측정한 작업장별 공기질 정보(411c)를 표출하는 화면이다.
위치정보 화면(412)은 근로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412a), 건설 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412b), 작업장 범위(412c) 및 태그 스캐너(66)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412d)을 표출한 지도 이미지이다. 감독원의 조작에 따라 특정된 근로자 위치 표식(412a)에는 태그 ID로 식별된 근로자(작업자, 관리자) 정보를 표출하는 데이터창(412e)을 지도 이미지 상에 출력하고, 건설 장비 위치 표식(412b)이 특정되면 건설 장비 정보와 건설 장비를 운용하고 있는 작업자의 정보를 표출하는 데이터창을 지도 이미지 상에 출력한다.
전 작업장 영상 화면(413)은 상기 카메라(61) 중에 고정식 또는 이동식 CCTV로 촬영한 실시간 영상들을 동시 표출하되 감독원의 조작에 따라 특정된 영상만 확대하여 단독 표출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카메라(61)가 줌(Zoom), 팬(Pan) 또는 틸트(Tilt)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인 경우, 단독 표출한 영상은 감독원의 조작에 따라 줌(Zoom), 팬(Pan) 또는 틸트(Tilt) 조절한 영상으로 표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전 작업장 영상 화면(413)에서 어느 한 영상을 단독 표출할 시에는 위치정보 화면(412)과 상호 연계시켜서, 단독 표출한 영상을 얻는 CCTV의 촬영 범위에 있는 작업장의 위치를 위치정보 화면(412)의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CCTV의 촬영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사전 설정하여 둘 수 있다. 이동식 CCTV의 경우에는 이동식 CCTV의 태그를 인식하거나 이동식 CCTV에 설치한 GPS를 통해 얻는 이동식 CCTV의 위치에 근거하여 촬영 범위의 위치 정보를 정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작업장에서 인식한 태그의 표식(412a)을 강조하여 표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감독원은 단독 표출한 영상으로 작업장을 감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 미흡 사항 또는 위험 요소가 발견되는 즉시 작업장 위치의 태그를 선택하여 표출되는 정보에 따라 안전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물론 강조 표출한 태그의 표식(412a)이 관리자이거나 아니면 장비를 나타내는 것일 경우에 대응되는 정보에 따라 적절하게 안전조치를 취하게 할 수 있다.
계측정보 화면(414)은 계측기/센서(65)별로 얻어 계측 위치별로 구분시킨 계측 정보(414a)와,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의 캡쳐 이미지 또는 지도 이미지로서 계측 위치를 표시한 이미지(414b)와, 과거 계측 정보의 정상 여부에 대해 판단결과를 나타내는 계측이력 정보(414c)를 표출한 화면이다. 캡쳐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현장을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에서 얻는 이미지에 계측기/센서(65)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을 창호(101) 상단에 설치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출력함으로써, 감독원은 창호(101)을 통해 작업현장을 육안 점검하면서, 안전관리 화면(410)으로 출력한 정보를 육안으로 보이는 전경과 연계시켜 점검할 수 있고, 작업현장의 환경, 지반 및 구조물 상태, 근로자 위치, 작업현장의 세부 영상을 동시에 상호 연관시켜 점검함으로써, 작업 상황 전반을 점검하며 안전위험 요소를 감시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의 예시도이다.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감독원이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으로 현장 점검하는 중에 특정 작업장을 선택하여 상세하게 점검할 수 있게 하는 화면으로서, 특정 작업장의 지도 이미지(421)와, 특정 작업장 내에 설치한 CCTV로 촬영한 영상(422)을 화면 분할하여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된다. 이때의 지도 이미지(421)는 상기 위치정보 화면(412)과 유사하되 특정 작업장을 중점적으로 보여주는 지도 맵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도 이미지(421)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특정 작업장의 범위(421c)를 표시하고, 그 작업장 범위 내에서 감지된 근로자 및 건설 장비의 위치 표식(421a, 421d)과 그 작업장에 설치된 태그 스캐너(66)의 위치 표식(421d)을 표시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감독원이 GUI 기능으로 선택한 영상(422)의 작업장 위치에서 인식되는 태그를 강조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위치정보 화면(412)과 동일하게 감독원이 선택한 표식에 대응되는 근로자 또는 장비의 정보를 표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상(422)을 얻는 CCTV의 위치를 지도 이미지(421) 상에 추가 표시하고, 복수 영상(422) 중에 감독원이 선택한 영상에 나타나는 근로자 및 건설 장비를 지도 이미지(421) 상에서 강조 표시할 수도 있다.
도 9는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9에 예시한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에는 감독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작업장의 지도 이미지(421),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 및 영상 화면(422)을 화면 분할하여 표시된다.
상기 지도 이미지(421)는 작업장 범위(421c)와, 작업장 내에서 감지된 근로자 및 건설 장비의 위치 표식(421a, 421a', 421d)과, 감독원이 선택한 표식(421a, 421d)에 대응되는 근로자 또는 건설 장비의 상세 정보 데이터창(412e)을 표시하고, 이에 더하여 근로자 위치 표식(421a, 421a')은 작업자, 관리자 및 건설 장비 운영자를 표식으로 구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감독원이 위험 지역 표시 아이콘(421f')을 선택한 후 지도 이미지 상에 위험 지역(421f)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감독원은 사전에 현장에서 확인하거나 또는 영상 화면(422)으로 확인된 위험 지역(421f)의 범위 또는 위치를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 지역(421f)은 작업 위험도 높아 작업할 시에 특별히 감독 관리하기 위한 지역으로 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위험 지역(421f) 설정과 안전 행위 또는 안전 조치 사항 지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위험 지역(421f)을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 위험 지역(421f)에서의 안전 행위 또는 안전 조치 사항을 지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안전장비(60) 중에 안전벨트의 기능으로소 안전 고리를 정상적으로 체결하는 안전 행위, 스마트 안전장비(60) 중에 액션캠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며 작업하여 액션캠의 영상을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의 영상 화면(422)에 출력하여 감독원이 감시하며 안전관리하게 하는 안전 행위, 해당 지역에서 작업할 시에 갖추어야 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한 주의 구역 및 위험 구역의 범위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건설 장비는 장비의 종류에 따라 주의 구역 범위 및 위험 구역 범위와, 운행 속도를 미리 정해둘 수 있으나, 감독원에 의해 수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서, 감독원이 상기한 건설 장비 위치 표식(421b)을 탭하여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새로 지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은 지도 이미지(421)의 작업장에서 감지된 근로자 및 건설 장비에 관한 정보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별 안전 상황을 보여주는 근로자 테이블(423-1)과 건설 장비별 안전 상황을 보여주는 건설 장비 테이블(423-2)을 감독원이 선택하여 확인하거나 동시에 확인하게 하는 테이블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근로자 테이블(423-1)은 근로자의 소속, 직종, 성명 및 전화번호와, 근로자가 착용한 개인보호 안전장비와, 위험 요인에 따른 경보 상황을 표시할 근로자의 안전 상황과, 감독원의 지적에 따라 근로자가 수행한 사항을 기록한 조치이력을 근로자별로 기록한 테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상황에 표시되는 사항에 대해 예를 들면 안전모의 턱끈 미체결, 안전벨트의 안전고리 미체결 등을 포함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비정상 사용, 스마트 밴드로 감지된 건강 정보(예를 들어 체온, 심박수)로 알 수 있는 비건강, 개인보호 안전장비(62)를 통해 감지된 응급 버튼 눌림, 근로자 쓰러짐, 웨어러블 에어백의 작동 등을 포함한 근로자 긴급 상황에 것이거나, 위치 정보에 파악되는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421f)의 근로자 접근일 수 있다.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421f)의 접근 여부를 표시할 시에는 근로자의 접근 거리에 따라 주의 구역으로 접근할 시의 주의 경보와 위험 구역으로 접근할 시의 위험 경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위험 지역(421f)에 대해 지정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미착용 근로자에 대한 경고를 근로자의 안전 상황에 표시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감독원은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과 건강, 위험 상황, 긴급 상황 등의 위험 요인을 근로자 테이블(423-1)의 근로자의 안전 상황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인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조치 방식은 방송 시스템(70)을 이용하는 방식, 스마트 안전장비(60)에 구비된 스피커를 이용하는 방식, 근로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통화 또는 SMS 방식 등으로 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의 해소하기 위한 안전조치는 스마트 안전장비(60)에서 취합되는 정보 또는 출력한 영상(422)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발생했던 위험 요인을 해소됨이 확인될 시에 조치이력에 기록하여서 근로자, 소속, 직종,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께 저장 관리한다. 저장 관리한 조치이력은 재발 방지를 위한 사전 안전교육, 작업전 점검 사항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전 점검 사항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동일한 작업장에서 이전 작업 중에 기록된 조치이력을 조회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을 작업 초기에 출력할 시에, 지도 이미지(421) 상에 조치이력이 존재하는 위치를 표시하여, 해당 위치를 표시할 시에 조치이력을 표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건설 장비 테이블(423-2)은 건설장비의 소속(또는 협력사), 장비명 및 운용자(작업자의 성명, 소속, 전화번호)와, 건설장비에 탑재된 중장비 안전장비와, 건설장비의 안전 상황과, 감독원의 지적에 따라 소속 또는 운용자가 수행한 사항을 기록한 조치이력을 건설장비별로 기록한 테이블일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상황에 표시되는 사항에 대해 예를 들면 근로자의 접근에 따른 위험 상황에 관한 것이거나, 응급 버튼 눌림, 전복, 충돌, 과속 운전 등의 긴급 상황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의 접근 여부도 근로자의 접근 거리에 따라 주의 구역으로 접근할 시의 주의 경보와 위험 구역으로 접근할 시의 위험 경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독원은 위험 상황 및 긴급 상황의 위험 요인을 건설 장비 테이블(423-2)의 안전 상황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 인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조치 방식은 근로자에 대해 수행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위험 요인의 해소는 스마트 안전장비(60)에서 취합되는 정보 또는 출력한 영상(422)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발생했던 위험 요인의 해소됨이 확인될 시에 조치이력에 기록하여서 건설장비, 소속, 운용자,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께 저장 관리한다. 다만, 근로자 접근에 따른 위험 상황에 대해서는 근로자가 접근한 상황에서도 건설장비를 운용한 경우에 한정하여 조치이력에 기록하여도 좋다. 저장 관리한 조치이력은 재발 방지를 위한 사전 안전교육, 작업전 점검 사항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9에 예시한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을 구성함으로써, 감독원은 작업장의 전반 상황, 근로자의 불안전 생동, 위험 상황 및 긴급 상황을 실시간 인지하며 위험 요인에 대해 신속하게 안전조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촬영 화면(430)은 드론 또는 ROV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수단을 운용하여 작업현장을 이동 촬영할 시에 출력하는 화면으로서, 이동수단에 장착한 카메라로 이동 촬영하여 얻는 영상과, 이동 촬영하는 작업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 얻는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하는 화면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동식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431)과, 복수의 CCTV 카메라의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출력하는 화면(432)과, 복수의 CCTV 카메라의 영상 중에 감독원이 선택한 영상을 확대하여 출력하는 화면(433)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촬영한 영상과 이동 촬영한 영상을 동시에 살피며 감시할 수 있다. 영상을 한 화면으로 확대 출력한 화면(433)은 드론과 가장 가까운 위치 또는 드론으로 촬영하는 위치에 설치된 CCTV 카메라의 영상으로 자동 변경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드론 위치 및 자세를 추적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사업개요 화면(440)은 건설공사 관련 정보로서 예를 들어 조감도, 공사개요, 예정공정표 등을 출력하는 화면으로서, 건설공사 관련 정보를 살펴보거나 앞서 언급한 회의 공간(120)에서 회의 또는 교육할 시에 이용될 수 있다.
데스크에 착석한 감독원은 상기한 안전관리 화면(410),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이동촬영 화면(430) 및 사업개요 화면(440)을 출력하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를 이용하여 작업현장 전반을 점검하고, 데스크(20)에 비치된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는 관제 수단(20)을 이용하여 건설안전을 관제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 및 데스크 모니터(21)의 GUI를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작업 안전 관리(안전교육 관리, 위험요인 관리) 및 기술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고, 데스크 모니터(21)에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출력하는 정보 중에서 감독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조작하여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여 자세히 점검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안전교육 관리, 위험요인 관리 및 기술 지원을 위한 GUI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작업 안전 관리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 및 데스크 모니터(21)를 통해 수행한 안전점검 또는 작업현장에서 인지된 안점점검에 따라 작업 공종, 안전점검 결과, 근로자에 대한 계도 사항(예를 들어 상기한 조치이력에 따른 계도 사항)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2)로 입력하게 하고, 입력 사항을 반영하여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의 작업 공종을 수행할 시에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얻은 각종 정보를 취합하여 작업 환경 자료로 정하고, 작업 공종에 관련된 VR 콘텐츠를 선정한다. 이때의 작업 환경 자료 및 VR 콘텐츠는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전달하여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에게 안전교육할 시에 사용되게 한다.
또한, 계도 여부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 선정 여부에 따라 근로자별로 채점하여 기록 관리한다. 이때 기록한 채점은 포상을 위한 점수로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작업 안전 관리를 위해서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공종과, 고위험 공종이 수행되는 작업 위치와, 고위험 공종에 대한 사전 위험성평가에 따라 발굴된 위험요인과, 공종 수행 중의 점검 사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22)로 입력하게 하고, 입력 사항을 반영하여 입력된 공종에 관련된 VR 콘텐츠와, 위험요인 및 점검 사항의 목록을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전달하여 사전 안전교육할 시에 사용되게 한다.
아울러, 작업공정의 일정 또는 태그로 인식한 고위험 공종 작업장 내의 근로자에게 위험요인 및 점검 사항의 목록을 SNS로 전달하고, 근로자 위치, 즉 태그 위치를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안전관리 화면(410)의 위치정보 화면(412)에 강조하여 표시하고,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에서도 강조하여 표시하며, 고위험 공종 작업장의 영상, 센싱 데이터, 계측 데이터 등을 강조하여 표시함으로써 고위험 공종이 수행되는 작업장 위치 및 상황과, 근로자를 쉽게 파악하며 건설안전을 관제하게 한다. 물론,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이미지 상의 표식을 강조하여 표시하고, 영상, 센싱 데이터 및 계측 데이터를 강조하여 표출하는 방식은 데스크 모니터(21)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강조는 영상 테두리를 강조하거나 별도의 고위험 공종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고, 센싱 데이터 및 계측 데이터의 강조는 표출 데이터를 구별되게 강조하거나 별도의 메시지를 주위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현장 근로자로부터 질의 메시지를 SNS통신으로 수신할 시에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게 질의 메시지를 중계하여 자문을 구하고,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 자문하여 SNS통신으로 수신한 메시지를 현장 작업자에게 SNS통신으로 중계하여 전달한다. 여기서,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는 발주처 안전관리 전문가, 시공사 안전관리 전문가, 민간 안전관리 전문가, 수중공사와 같은 전문 공종의 경우에 산업잠수기술인협회 소속 전문가 등으로 구성하여, 사전에 SNS 통신으로 자문하도록 협의하여 멘토링 그룹으로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 근로자는 SNS통신의 전화번호에 따라 식별한 후 식별한 근로자에 대응되는 태그의 위치를 안전관리 화면(410)의 위치정보 화면(412)의 지도 이미지 상에 강조 표시하여, 감독원이 작업현장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자문 내용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중계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안전 시공 기술 자료, 시공 도면 자료 및 시공 기술 자료를 저장하여 두어서, 스마트 글라스(64)의 접속 시에 작업자가 요청하는 자료를 스마트 글라스(64)에 전송하여 작업을 지원하거나, 또는 전문가와의 통화 및 영상 통화를 통한 원격 자문을 중계하여 작업자의 작업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광판(50)에는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감독원이 입력하거나 공종별로 사전에 등록한 사항을 출력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통합 안전관제 서버
20 : 관제 수단
21 : 데스크 모니터 22 : 사용자 인터페이스 23 : 방송 컨트롤러
30 : 스마트 대시보드
40 : 가상체험 시뮬레이터
41 : 구동 컴퓨터 42 : HMD(Head Mounted Display)
43 : 컨트롤러 44 : 모니터
50 : 전광판
60 : 스마트 안전장비
70 : 방송 시스템
100 : 통합관제센터
101 : 창호 102 : 롤스크린 103 : 출입문
110 : 관제 공간 111 : 단 112 : 데스크
120 : 회의 공간 130 : 교육 공간 140 : 모형물 공간
141 : 모형물
200 : 슬래브
201 : 통로 202 : 난간 203 : 전광판
204 : 드론 이착류장 205 : 계단
300 : 지지 포스트
410 : 안전관리 화면
411 : 작업환경 화면 412 : 위치정보 화면
413 : 전 작업장 영상 화면 414 : 계측정보 화면
420 :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
430 : 이동촬영 화면
440 : 사업개요 화면

Claims (16)

  1. 건설현장의 접근성을 위해 계단이 설치된 전망대에 테두리측의 통로겸 전망 공간을 남기고 건축하되, 건설현장을 향한 벽체를 공사 현황을 실사한 롤스크린으로 가릴 수 있는 창호로 구성하고, 실내에는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를 통해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는 위치에 단을 조성한 후 단상에 데스크를 배치하고, 창호와 데스크 사이의 회의 공간과 데스크 일측의 교육 공간이 조성되고, 데스크 및 회의 공간 출입을 위한 출입문과 교육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고, 창호 밖의 통로 상에 드론 이착륙장을 비치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에 설치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며 상기 데스크에 비치하는 관제 수단(20);
    상기 데스크 및 회의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창호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한 스마트 대시보드(30);
    상기 교육 공간에 비치한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
    건설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와 이동촬영수단에 설치된 이동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61), 근로자가 착용하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 건설장비에 탑재한 중장비 안전장비(63), 건설현장의 구조물 또는 지반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건설현장의 공기질을 포함한 환경을 센싱하는 계측기/센서(65) 및 적어도 근로자와 건설장비의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측위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장비(60)와 연계되며,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얻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 영상, 위치 정보 및 계측/센싱 정보를 포함한 건설현장 정보를 표출하는 안전관리 화면(410),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및 이동촬영 화면(430)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의 감독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출력시키고, 상기 데스크 모니터(21)에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화면으로 출력하는 정보 중에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고, 안전교육의 가상체험을 위한 VR 콘텐츠를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제공하여 안전교육을 지원하는 통합 안전관제 서버(10);
    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은 기상청을 통해 수집한 기상 정보, 상기 계측기/센서(65)의 계측 또는 센싱 정보, 상기 CCTV 카메라별로 촬영한 영상, 위치 측위 수단으로 식별한 근로자 및 장비의 위치 정보를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되, 계측 정보를 건설현장 영상 이미지 또는 지도 이미지와 연계시켜 계측 위치를 표출하고, 과거 계측 정보의 정상 여부를 표출하게 하며,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작업장 내에서 인식한 근로자 및 건설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표출한 지도 이미지(421)와, 근로자별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를 표시한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과, 선택된 작업장의 영상 화면(422)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이동촬영 화면(430)은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하는 현장의 고정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에서 작업장 내의 위험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위험 지역에서 착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 및 위험 지역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의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조치 사항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위험 지역에서 감지된 근로자가 착용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에 따라 안전 조치 사항이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시에 상기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을 통해 경보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에서 감지된 근로자 건강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 및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감지된 긴급 상황 정보를 건설현장 정보에 포함시켜 수집하고, 상기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에는 작업장 내의 근로자 정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장비, 근로자의 위험 요인을 나타내는 안전상황 및 위험 요인에 따른 조치이력을 표출하되,
    안전상황으로 표출하는 위험 요인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미착용,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비정상 사용, 근로자의 비건강, 근로자의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 접근 및 수집한 긴급 상황을 포함하고,
    조치이력은 안전조치하여 해소된 위험 요인으로서 위험 요인이 발생한 근로자의 정보,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께 저장 관리하여, 동일 작업장에서 이전 작업 중의 조치이력을 조회하게 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 및 근로자 추적 화면(420)에서, 출력한 영상 중에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감독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얻는 작업장에서 인식된 근로자 및 건설 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지도 상에 강조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표식에 매칭되는 근로자 또는 건설 장비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출되게 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작업 공종, 안전점검 결과, 위험행동한 근로자에 대한 계도 사항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를 입력하게 하고,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의 작업 공종에 관련된 건설현장 정보를 취합하여 관련된 VR 콘텐츠 종류와 함께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전달하여 안전교육할 시에 사용되게 하고, 계도 여부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 선정 여부에 따라 포상을 위한 점수를 근로자별로 채점하여 기록 관리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고위험 공종과, 고위험 공종의 작업 위치와, 고위험 공종의 위험요인과, 고위험 공종의 점검 사항을 입력하게 하고, 입력된 공종에 관련된 VR 콘텐츠와, 위험요인 및 점검 사항의 목록을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전달하여 사전 안전교육할 시에 사용되게 하고, 고위험 공종 작업 위치의 근로자 위치를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안전관리 화면(410)에서 강조하여 표시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고위험 공종을 수행할 시에 인식한 근로자에게 위험요인 및 점검 사항의 목록을 전달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는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 및 근로자와의 SNS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 근로자로부터 수신한 질의 메시지를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 중계하여 자문하고,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 자문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현장 근로자에게 중계하고, 스마트 글라스가 상기 스마트 안전장비(60)에 포함되어 스마트 글라스가 접속될 시에 관련 전문가의 원격 지원을 통신을 중계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9. 건설현장의 접근성을 위해 계단이 설치된 전망대에 테두리측의 통로겸 전망 공간을 남기고 건축하되, 건설현장을 향한 벽체를 공사 현황을 실사한 롤스크린으로 가릴 수 있는 창호로 구성하고, 실내에는 착석한 감독원이 창호를 통해 건설현장을 육안 점검할 수 있는 위치에 단을 조성한 후 단상에 데스크를 배치하고, 창호와 데스크 사이의 회의 공간과 데스크 일측의 교육 공간이 조성되고, 데스크 및 회의 공간 출입을 위한 출입문과 교육 공간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을 설치하고, 창호 밖의 통로 상에 드론 이착륙장을 비치하며,
    데스크 모니터(21), 사용자 인터페이스(22) 및 방송 컨트롤러(23)를 포함하는 관제 수단(20)을 데스크에 비치하고, 스마트 대시보드(30)를 데스크 및 회의 공간에서 볼 수 있도록 창호 상단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를 교육 공간에 비치하고,
    건설현장에 설치된 CCTV 카메라와 이동촬영수단에 설치된 이동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61), 근로자가 착용하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 건설장비에 탑재한 중장비 안전장비(63), 건설현장의 구조물 또는 지반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건설현장의 공기질을 포함한 환경을 센싱하는 계측기/센서(65) 및 적어도 근로자와 건설장비의 위치 정보를 얻는 위치 측위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안전장비(60)와 연계되어서, 스마트 안전장비(60)를 통해 얻는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 영상, 위치 정보 및 계측/센싱 정보를 포함한 건설현장 정보를 수집하고, 안전교육의 가상체험을 위한 VR 콘텐츠를 상기 가상체험 시뮬레이터(40)에 제공하여 안전교육을 지원하는 통합 안전관제 서버(10)를 데스크 또는 데스크 주변에 비치하고,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기상청을 통해 수집한 기상 정보, 상기 계측기/센서(65)의 계측 또는 센싱 정보, 상기 CCTV 카메라별로 촬영한 영상, 위치 측위 수단으로 식별한 근로자 및 장비의 위치 정보를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하되, 계측 정보를 건설현장 영상 이미지 또는 지도 이미지와 연계시켜 계측 위치를 표출하고, 과거 계측 정보의 정상 여부를 표출하게 구성한 안전관리 화면(410);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작업장 내에서 인식한 근로자 및 건설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표출한 지도 이미지(421)와, 근로자별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를 표시한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과, 선택된 작업장의 영상 화면(422)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 및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이동식 카메라로 촬영하는 현장의 고정식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 표출한 화면으로 구성한 이동촬영 화면(430);
    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의 감독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고,
    상기 데스크 모니터(21)는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에 화면으로 출력하는 정보 중에 감독원 조작으로 선택된 정보를 출력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작업장 내의 위험 지역을 지도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위험 지역에서 착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 및 위험 지역에서 정상적으로 사용할 개인보호 안전장비(60)의 기능을 포함하는 안전 조치 사항을 지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위험 지역에서 감지된 근로자가 착용한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정상 사용 여부에 따라 안전 조치 사항이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날 시에 경보 사항을 표출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의 실시간 안전관리 화면(420)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에서 감지된 근로자 건강 정보와, 개인보호 안전장비(62) 및 중장비 안전장비(63)에서 감지된 긴급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작업장 내의 근로자 정보, 근로자가 착용한 안전장비, 근로자의 위험 요인을 나타내는 안전상황 및 위험 요인에 따른 조치이력을 상기 안전 상황 정보 테이블(423)에 표출하되,
    안전상황으로 표출하는 위험 요인은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미착용, 개인보호 안전장비(62)의 비정상 사용, 근로자의 비건강, 근로자의 건설 장비 또는 위험 지역 접근 및 수집한 긴급 상황을 포함하고,
    조치이력은 안전조치하여 해소된 위험 요인으로서 위험 요인이 발생한 근로자의 정보, 작업장 위치, 공종 및 영상과 함께 동일 작업장에서의 이전 작업 중 조치이력으로 조회하게 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상기 안전관리 화면(410) 및 근로자 추적 화면(420)에서, 출력한 영상 중에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감독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얻는 작업장에서 인식된 근로자 및 건설 장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지도 상에 강조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표식에 매칭되는 근로자 또는 건설 장비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출되게 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모니터(21)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작업 공종, 안전점검 결과, 위험행동한 근로자에 대한 계도 사항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를 입력함에 따라,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의 작업 공종에 관련된 건설현장 정보를 관련된 VR 콘텐츠 종류와 함께 출력하고, 계도 여부 및 안전교육 가상체험 대상자 선정 여부에 따라 포상을 위한 점수를 근로자별로 채점하여 기록 관리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대시보드(30)는
    상기 관제 수단(20)에서 고위험 공종과, 고위험 공종의 작업 위치와, 고위험 공종의 위험요인과, 고위험 공종의 점검 사항을 입력함에 따라, 고위험 공종의 작업 위치의 근로자의 태그를 안전관리 화면(410)에 강조하여 표시하는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데스크 모니터(21)는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 및 근로자와의 SNS통신을 위한 통합 안전관제 서버(10)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현장 근로자로부터 수신한 질의 메시지를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 중계하고,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에 자문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현장 근로자에게 중계하는 과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니터인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는 내각이 둔각을 이루는 창호로 구획되어, 회의 공간에서의 건설현장 시야를 확장하고, 상기 창호 방향의 통로의 난간 아래에는 안전 시공 안내문을 출력할 전광판을 건설현장을 향하게 설치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KR1020220092367A 2022-07-26 2022-07-26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KR20240015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67A KR20240015201A (ko) 2022-07-26 2022-07-26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367A KR20240015201A (ko) 2022-07-26 2022-07-26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201A true KR20240015201A (ko) 2024-02-05

Family

ID=8990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367A KR20240015201A (ko) 2022-07-26 2022-07-26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52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2938A (zh) * 2024-03-12 2024-04-12 贵州省公路建设养护集团有限公司 基于物联网实现桥梁施工下的设备安全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815B1 (ko)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815B1 (ko) 2020-12-23 2021-10-25 주식회사 영신 발주기관용 스마트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72938A (zh) * 2024-03-12 2024-04-12 贵州省公路建设养护集团有限公司 基于物联网实现桥梁施工下的设备安全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2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l-time analysis from multi- modal data fusion for contextual risk identification
KR101638972B1 (ko) 건축-구조물의 스마트 재난대피 및 안전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9964B1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76341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emergency information distribution
KR101073076B1 (ko) 복합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11739252B (zh) 一种火灾监测及自动灭火系统及其工作方法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Golovina et al. Towards autonomous cloud-based close call data manageme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KR20230004405A (ko) 중대재해 예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4457A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20240015201A (ko) 건설안전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를 구축한 건설안전 통합관제센터 건축물
WO2022042802A1 (de) Fluchtleitsystem mit fluchthaube
JP6215380B2 (ja) 保守管理システム
KR102449203B1 (ko)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KR101247460B1 (ko) 산림 감시용 폐쇄회로 텔레비전의 영상 정보를 3차원 지도상에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및 그 표출 방법
KR20160034833A (ko) 동적 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GB2595843A (en) Safety system
Li Intelligent Science Empowers: Building Fire Prot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Webber-Youngman et al. The impact of forensic laser scanning technology on incident investigations in the mining industry
US202401696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place safety management
CN116612599B (zh) 一种林火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