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515A -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515A
KR20210029515A KR1020190110841A KR20190110841A KR20210029515A KR 20210029515 A KR20210029515 A KR 20210029515A KR 1020190110841 A KR1020190110841 A KR 1020190110841A KR 20190110841 A KR20190110841 A KR 20190110841A KR 20210029515 A KR20210029515 A KR 20210029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alarm
concentra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851B1 (ko
Inventor
유지용
주선경
박현일
이은택
박태하
도광구
전이슬
박태현
전용삼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4Toxic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웨어러블 유닛(100); 및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은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110); 및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작업공간 내에서 누출 등의 이유로 발생된 유해물질의 농도 증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에 따라 작업자들에게 대피권고, 즉시 대피 등의 알람 정보를 즉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공간에서의 유해물질 누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Worker Accident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밀폐공간과 같은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유해물질에 의한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웨어러블 유닛을 착용하고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웨어러블 유닛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서버가 분석하여 작업자의 건강이 해하여질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에게 직접 경고하여 대피하도록 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폐공간의 경우 환기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공기의 순환이 적어 유해가스와 같은 유해물질의 농도의 증가가 순식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밀폐공간 내의 작업자의 질식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경우 안전 관리자가 작업공간에 상주하여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유해물질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으나, 이 경우 안전 관리자의 안전사고 발생이 문제되고 안전 관리자가 유해물질의 누출 등의 문제를 발견하였다고 하더라도 밀폐공간 내의 전 작업자에게 대피 경고가 전파되는 것에 시간차가 존재하여 신속한 대피가 요구되는 밀폐공간 내의 가스 누출 사고 등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안전 관리자가 모든 밀폐 공간 내의 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므로 측정 사각 지역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 누출에 대해서는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더하여 밀폐공간의 경우 통신 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작업자에게의 대피 경고 등의 연락망 구축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밀폐공간에서의 유해물질 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된 작업공간 내에서 누출 등의 이유로 발생된 유해물질의 농도 증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에 따라 작업자들에게 대피권고, 즉시 대피 등의 알람 정보를 즉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작업공간, 작업 내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유해물질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유해물질의 농도 측정이 가능한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밀폐공간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존재하는 작업 영역에서의 유해물질의 농도 변화 측정, 작업자의 위치와 분포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웨어러블 유닛(100); 및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은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110); 및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유닛(110)은 센서 본체(111); 및 상기 센서 본체(111)와 결합되는 센서팩(112);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팩(112)은 상기 센서 본체(111)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팩(112)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센서 본체(111)에 전달하며, 상기 센서 본체(111)는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서버(2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팩(112)은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팩(112a);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팩(112b);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팩(112c);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4 센서팩(112d); 및 메탄 농도를 측정하는 제5 센서팩(112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본체(111)에는 상기 제1 센서팩(112a), 상기 제2 센서팩(112b), 상기 제3 센서팩(112c), 상기 제4 센서팩(112d) 및 상기 제5 센서팩(112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포함하되, 상기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은 상기 센서 본체(111)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소정의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알람정보(c)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알람정보(c)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람 유닛(120)에 상기 알람정보(c)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정보(c)는 유의 정보(c1); 및 즉시 피난정보(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121); 및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기준 농도정보(b)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과 연결된 통신부(220); 및 상기 저장부(210) 및 상기 통신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작업구역(10)의 위험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본체(111)는 작업자 위치 정보(d)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200)에 전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상기 작업자 위치 정보(d) 및 상기 알람정보(c)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팩(112)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 본체(111)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서버(200)로 전달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소정의 상기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상기 알람정보(c)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서버(200)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정보(c)를 상기 알람 유닛(120)에 전달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상기 알람 유닛(120)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단계(S300)는,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유의 정보(c1) 또는 상기 즉시 피난정보(c2)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작업공간 내에서 누출 등의 이유로 발생된 유해물질의 농도 증가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에 따라 작업자들에게 대피권고, 즉시 대피 등의 알람 정보를 즉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공간에서의 유해물질 누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작업공간, 작업 내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유해물질의 종류에 대응하여 다양한 유해물질의 농도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공간 작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존재하는 작업 영역에서의 유해물질의 농도 변화 측정, 작업자의 위치와 분포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유닛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본체에 센서팩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본체에 센서팩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작업자 위치 정보 및 알람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밀폐공간과 같은 고위험 작업 공간에서 유해물질이 유출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작업공간의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유해물질의 농도가 상승되는 경우 작업자의 대피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웨어러블 유닛(100) 및 웨어러블 유닛(1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한다(도 13).
이 경우 웨어러블 유닛(100)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센싱하는 센서 유닛(110) 및 센서 유닛(110)이 센싱한 유해물질의 농도에 따라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본 발명에 따르면 알람 유닛(120)의 알람신호에 따라 작업자는 경고, 피난 또는 즉시 피난 등의 행동을 취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의 농도 변화에 따른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의 센서 유닛(110)은 센서 본체(111) 및 센서 본체(111)와 결합되는 센서팩(112)을 포함하되, 센서팩(112)은 센서 본체(111)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도 4, 도 5).
이는 작업공간의 특성이나 작업환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유해물질의 종류가 다양하므로 센싱의 대상이 되는 유해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센서 유닛(11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작업자는 센싱의 대상이 되는 유해물질의 종류에 맞추어 이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팩(112)을 센서 본체(11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유해물질에 대응하여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센서팩(112)은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팩(112a),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팩(112b),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팩(112c),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4 센서팩(112d) 및 메탄 농도를 측정하는 제5 센서팩(112e)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센서 본체(111)에는 제1 센서팩(112a), 제2 센서팩(112b), 제3 센서팩(112c), 제4 센서팩(112d) 및 제5 센서팩(112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팩(112)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하며, 생성된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센서 본체(111)에 전달한다. 센서 본체(111)에 전달된 유해물질 농도정보(a)는 후술되는 서버(200)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센서 본체(111)에는 서버(2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기준 농도정보(b)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웨어러블 유닛(100)과 연결된 통신부(220) 및 저장부(210) 및 통신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포함한다.
알림정보 생성 모듈(310)은 센서 본체(111)로부터 전달받은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소정의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알람정보(c)를 생성하며, 서버(200)는 알람정보(c)가 생성되는 경우 알람 유닛(120)에 알람정보(c)를 전달한다.
알람정보(c)는 유의 정보(c1) 및 즉시 피난정보(c2)로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유의 정보(c1)는 유해물질 농도가 위험수준까지 상승되지 않았지만 위험물질의 종류, 농도 증대 속도 및 공간의 특성을 고려할 때 현재 피난 정보를 작업자들끼리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전달되는 정보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유의 정보(c1)에 대응되는 알람신호가 감지되면, 주변 작업자들에게 이를 전파하고 상황실에 관련 내용을 문의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시 피난정보(c2)는 현재 작업자가 작업 공간을 바로 벗어나야 하는 경우에 전달되는 신호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일체의 행동을 중단하고 자신의 안전 확보를 위한 피난, 방독면 착용 등의 행위를 즉시 시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일률화된 피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위험 수준에 맞는 구분화된 정보를 작업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유닛(100)에 전달하여 효율적인 피난 행동을 촉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의 알람 유닛(120)은 알람정보(c)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121) 및 알람정보(c)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21) 및 발광부(122)는 알람정보(c)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진동 및 색채를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유닛(120)은 알람정보(c)에 따라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향부(123)에서는 알람정보(c)에 따른 알람신호를 발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디스플레이 유닛(400)의 운용자에 의한 피난 가이드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은 서버(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작업구역(10)의 위험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센서 본체(111)는 작업자 위치 정보(d)를 생성하여 서버(200)에 전달하며,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작업자 위치 정보(d) 및 알람정보(c)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도 7 내지 도 12).
이에 따라 관리자는 작업공간의 작업자 배치 현황, 작업공간에서의 유해물질 농도 현황, 피난시의 작업자 피난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팩(112)을 이용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센서 본체(111)를 이용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서버(200)로 전달하는 제1 단계(S100),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이용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서버(200)의 저장부(210)에 저장된 소정의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알람정보(c)를 생성함과 아울러, 서버(200)의 통신부(220)를 이용하여 알람정보(c)를 알람 유닛(120)에 전달하는 제2 단계(S200) 및 알람정보(c)에 따라 알람 유닛(120)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단계(S300)는 알람 유닛(120)은 유의 정보(c1) 또는 즉시 피난정보(c2)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점은 이하와 같다.
첫째, 안전 관리자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던 종래의 안전관리 방식과는 다르게 본 발명은 개별 작업자의 의류에 부착된 웨어러블 유닛(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유해물질 농도가 측정되므로 작업자의 모든 작업영역에 대해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유닛(400)을 통해 작업공간의 안전성 및 작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유해물질 누출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인 대피 현황을 파악하고 피난 절차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유닛(100)은 센서 본체(111)에 측정 대상이 되는 유해물질에 따른 별도의 센서팩(112)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유해물질에 대응한 센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통신망은 기존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되는 것이 아닌 밀폐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 근거리 통신망을 구축하여 사용되므로 밀폐공간이 경우에도 통신의 두절 없이 모든 작업자에 대한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은 전원 및 상용 통신신호의 접근이 어려운 밀폐공간의 특징 고려하여 Power-less(무전원, 배터리 방식), Telecom-less(상용통신 미사용, 자가망), Wire-less(무선) 기술 적용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자가망 모바일 센싱이나 알람 시스템은 통신방식에 있어서는 LPWA(Low Power Wide Area) 방식으로서 상용통신망 구축이 어려운 밀폐공간 등에서 작동 가능한 자가망 통신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센싱이나 알람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작업자에게 장착 가능한 센싱 및 알람 모듈로 작업자 주변 유해물질 센싱 및 알람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서의 알람정보(c)는 일원화된 정보가 아닌 유의 정보(c1) 및 즉시 피난정보(c2)와 같이 상황에 따라 분류된 정보를 각 작업자에게 전달하므로 작업자는 현재의 피난 상황에 맞는 구조 행동을 수행할 수 있어 구조의 용이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자의 구조를 이룰 수 있는 피난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웨어러블 유닛
200 : 서버
300 : 모듈
400 : 디스플레이 유닛

Claims (14)

  1. 웨어러블 유닛(100); 및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200);를 포함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은
    유해물질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110); 및
    알람신호를 생성하는 알람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110)은
    센서 본체(111); 및
    상기 센서 본체(111)와 결합되는 센서팩(112);을 포함하되,
    상기 센서팩(112)은 상기 센서 본체(111)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팩(112)은 유해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센서 본체(111)에 전달하며,
    상기 센서 본체(111)는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서버(2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팩(112)은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팩(112a);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팩(112b);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3 센서팩(112c);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제4 센서팩(112d); 및
    메탄 농도를 측정하는 제5 센서팩(112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본체(111)에는 상기 제1 센서팩(112a), 상기 제2 센서팩(112b), 상기 제3 센서팩(112c), 상기 제4 센서팩(112d) 및 상기 제5 센서팩(112e)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는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포함하되,
    상기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은 상기 센서 본체(111)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소정의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알람정보(c)를 생성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알람정보(c)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알람 유닛(120)에 상기 알람정보(c)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정보(c)는
    유의 정보(c1); 및
    즉시 피난정보(c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부(121); 및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음향을 발산하는 음향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는
    상기 기준 농도정보(b)를 저장하는 저장부(210);
    상기 웨어러블 유닛(100)과 연결된 통신부(220); 및
    상기 저장부(210) 및 상기 통신부(220)를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작업구역(10)의 위험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본체(111)는 작업자 위치 정보(d)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200)에 전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400)은 상기 작업자 위치 정보(d) 및 상기 알람정보(c)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13. 제12항의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을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팩(112)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센서 본체(111)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를 상기 서버(200)로 전달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알람정보 생성 모듈(310)을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농도정보(a)가 소정의 상기 기준 농도정보(b) 이상인 경우에 상기 알람정보(c)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서버(200)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정보(c)를 상기 알람 유닛(120)에 전달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알람정보(c)에 따라 상기 알람 유닛(120)이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S300)는,
    상기 알람 유닛(120)은 상기 유의 정보(c1) 또는 상기 즉시 피난정보(c2)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20190110841A 2019-09-06 2019-09-06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102253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41A KR102253851B1 (ko) 2019-09-06 2019-09-06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41A KR102253851B1 (ko) 2019-09-06 2019-09-06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515A true KR20210029515A (ko) 2021-03-16
KR102253851B1 KR102253851B1 (ko) 2021-05-18

Family

ID=7522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841A KR102253851B1 (ko) 2019-09-06 2019-09-06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409B1 (ko) 2021-10-28 2023-06-26 (주)매트론 밀폐공간의 내부 및 외부 간 비접촉 통신 시스템
KR102518496B1 (ko) 2022-09-14 2023-04-06 손용찬 산소농도 측정용 산소 포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942A (ko) *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101843993B1 (ko) * 2017-12-22 2018-03-30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046176A (ko) * 2017-10-25 201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6942A (ko) *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기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착용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대기 오염 관리 시스템
KR20190046176A (ko) * 2017-10-25 201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는 전자 장치
KR101843993B1 (ko) * 2017-12-22 2018-03-30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밀폐공간을 포함하는 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851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727B1 (ko) 가스검출 경보시스템
US8316850B2 (en) Breathing apparatus with sensor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20180046813A (ko) 건설현장 작업자 안전장구 착용 유무 감시 시스템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CN106813715A (zh) 便携式气体检测器中的不安全工作状况温度警报
KR102229617B1 (ko) 스마트 iot 인공지능 가스경보 시스템
KR10175553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595850B1 (ko) 안전 경보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공기호흡기
KR102253851B1 (ko) 유해물질에 의한 작업자 사고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밀폐공간 작업자의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
KR20110053107A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KR101574076B1 (ko) 방사선 작업자의 안전 및 피폭 관리 시스템
KR102028201B1 (ko) 실시간 작업자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9165517A (ja) 安全帯使用状況の監視及び警報システム
KR20110053826A (ko) 유해작업장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복합형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26440A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25851A (ko) 스마트 안전관리 기기 및 이를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
KR20180137515A (ko) 통합 열 생리적 스트레스 경고 디바이스
CN207624142U (zh) 基于物联网的危险气体作业场所应急处理系统
KR20110053827A (ko) 유해작업장 상황에 따른 작업자 작업량 제한 규칙에 대한 방법
JP2015056060A (ja) 携帯用ガス警報器
KR20200073825A (ko) 공기 중 위험상황 감지를 위한 웨어러블 가스 측정 시스템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170025480A (ko) 안전 밴드를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134034A (ko) 작업장 내 사고 예방 및 근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