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283A -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283A
KR20190058283A KR1020180112743A KR20180112743A KR20190058283A KR 20190058283 A KR20190058283 A KR 20190058283A KR 1020180112743 A KR1020180112743 A KR 1020180112743A KR 20180112743 A KR20180112743 A KR 20180112743A KR 20190058283 A KR20190058283 A KR 2019005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enso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성
구자석
Original Assignee
(주)오픈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웍스 filed Critical (주)오픈웍스
Priority to KR102018011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8283A/ko
Publication of KR2019005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K9/00006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사현장의 출입자에 부여된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태그의 인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와의 수신신호세기(RSSI)값을 검출하여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추적부, 공사현장의 유해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탭재한 게이트웨이(GW)에 연동하며, 탑재한 스택을 이용한 제1 통신방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공사현장의 굴진 상황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공사현장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C1,C2,C3,.. Ck)와 통신하는 억세스 포인트(AP)에 의한 제2 통신방식을 통해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카메라 모니터링부, 및 제1 통신방식 및 제2 통신방식과 다른 제3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App)으로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 및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Site Safet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 터널 공사 현장 등의 공사 현장에서 근무자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장소와 시간에 상관 없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스마트폰과 관리 PC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입관리, 생체인식기(지문 인식,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심박수 측정 등)에 의한 작업자/방문자의 생체인식 출입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출입증에 부착된 비콘 태그 위치 추적, 비상연락망과 공사현장 주의사항(전기 안전 설비 주의사항, 굴착시 주의 사항 등) 공지,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위험 지역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기상정보 제공(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 위험 지역 재난사고 대응을 위해 웹 카메라 모니터링과 스마트폰 모니터링, 전광판 연동 표시 기능, 출입인원 및 작업 환경의 확인/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 안전 관리는 대형 건설 공사, 터널 굴진 공사 현장에서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방문자와 공사 차량의 출입 관리와, 건설 자재관리, 현장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16712090000에서는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서버, 상기 터널 공사현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공유기, 상기 작업자와 동반하는 작업자 단말 및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작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터널 공사현장의 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수집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터널 공사현장의 지도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여 브라우저에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영역에 상기 작업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환경정보 및 사전에 입력된 위험요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험 영역을 결정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터널 공사현장에는 공유기(400)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공유기(400)는 와이파이 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공유기(400)는 터널 공사현장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10)는 작업자 단말(11)을 휴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가 착용하는 안전모에 부착될 수 있다.
작업자(10)는 터널 공사를 위한 장비(20)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장비(20)에는 장비용 단말(21)이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은 BLE 비콘(Bluetooth Low Energy Beacon, 블루투스 저에너지 비콘)일 수 있다. BLE 비콘은 전력 소모가 매우 적기 때문에 한 번 충전하면 6개월 내지 1년 동안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며, 터널 공사 현장에서의 잦은 정전 시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배터리(battery)를 충전하여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은 IoT 전용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은 LTE-M 또는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이 이용할 수 있는 통신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은 비상벨 기능 및 비상 전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1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이 비상벨 기능 및 비상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작업자(10)는 작업자 단말(11)을 이용하여 구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정보수집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과 연동될 수 있으며, 작업자(1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된 작업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정보수집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10)의 스마트폰 또는 개인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된 작업자(10)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공유기(40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심박 또는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11)은 작업자(10)의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 단말(11)은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유해가스 누출, 주변 온도, 습도 또는 주변 사물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11)이 구비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작업자 단말(11)은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정보수집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널 공사현장의 안전관리자는 관리자 단말을 휴대할 수 있다. 터널 공사현장의 안전관리자는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10)들 중에서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작업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작업자 단말(11)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안전 관리자 또한 작업자 단말(11)을 휴대하고, 작업자 단말(11)과는 별도로 관리자 단말을 휴대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의 스마트폰 또는 PC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터널 공사현장에는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이 터널 공사현장의 입구에서부터 막장면(5)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정의 간격 사이에 터널의 굴진면 또는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정보수집 단말은 소정의 간격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BLE 비콘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정보 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IoT 전용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은 LTE-M 또는 LoRa(Long Range Wide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터널 공사 현장은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의 위치 및 신호 수신 범위에 따라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널 공사 현장은 정보수집 단말(110)의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는 제1 영역(1), 정보수집 단말(120)의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는 제2 영역(2), 정보수집 단말(130)의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는 제3 영역(3) 및 정보수집 단말(140)의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는 제4 영역(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공유기(400)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작업자 단말 및 장비용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공유기(40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수집 단말(120)의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는 제2 영역(2) 내에 작업자(10) 및 장비(20)가 위치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120)은 작업자(10)의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20)의 장비용 단말(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120)은 작업자 단말(11) 및 장비용 단말(21)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120)은 획득한 정보를 공유기(40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은 공기 중의 산소의 농도,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 유해가스 누출, 주변 온도 또는 습도 등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이 구비할 수 있는 센서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은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공유기(40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은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 추적 및 분류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은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집 단말들 각각(110 내지 140)은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 및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수집 단말들 각각(110 내지 140)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정보수집 단말들 각각(110 내지 140)은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보를 공유기(4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주변의 사물 또는 움직이는 물체를 분류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과 공유기(400)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유기(400)가 터널 공사현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서버(200)는 터널 공사현장의 입구에 위치하거나, 터널 공사현장의 입구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정보수집 단말(110)부터 막장면(5)에 위치하거나, 막장면(5)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정보수집 단말(140)까지 순차적으로 공유기(400)와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공유기(400)와의 연결상태가 불량한 정보수집 단말을 발견하는 경우, 서버(200)는 연결상태가 불량한 정보수집 단말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상태가 불량한 정보수집 단말에 대응하는 영역 또는 연결상태가 불량한 정보수집 단말에 대응하는 영역 및 공유기(400)의 사이에 위치한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에 새로운 공유기 또는 와이파이 신호 리피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서버(200)가 처리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브라우저, 터널 공사현장의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정보수집 단말들(110 내지 140) 각각의 위치 및 신호 수신 범위에 대응하여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1 내지 4)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위치한 작업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중 위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서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모니터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작업자(10)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작업자(10)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터널 공사현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10)의 스마트폰은 공유기(40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2로써, 특허 등록번호 10-09934690000에서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계하여 동시다발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시공현장별 공사현황 정보를 인증된 개별 PDA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공사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본사와 현장 및 개별 PDA간의 유기적인 정보교환을 통해 개별 PDA에서 직접 공사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및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현장관리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제1 단계;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서 등록을 수행하는 제2 단계;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데이타 베이스 서버에 직접 접근하여 DB에 저장된 개별 현장정보를 다운받는 제3 단계;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연계된 GIS 시스템을 통하여 현장단위, 시/군단위, 마을/분구단위로 접근하고, 접근된 해당 현장의 공종별 공사현황, 자재사용량, 인력 및 장비, 검측서를 GIS 모니터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하고 정보를 갱신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타 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생성된 업체별 자재 재고 관리와 단관 자재 현황, 인력 및 장비, 검측서관리를 수행하고, 공사현황등의 웹파일을 본사 및 현장에서 조회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및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현장 공사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은 대형 건설 공사, 터널 굴진 공사 현장에서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방문자와 출입 차량의 출입 관리와, 현장 안전관리를 제공하였지만, 유해 가스가 많은 위험 지역에서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하고, 공사 상황/굴진 상황/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 표시, 및 전광판 표시 등의 건설 현장 안전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허 등록번호 10-16712090000 (등록일자 2016년 10월 26일),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특허 등록번호 10-09934690000 (등록일자 2010년 11월 04일),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대림산업 주식회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 근무자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장소와 시간에 상관 없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스마트폰과 관리 PC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출입관리, 생체인식기(지문 인식,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심박수 측정 등)에 의한 작업자/방문자의 생체인식 출입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출입증에 부착된 비콘 태그 위치 추적, 비상연락망과 공사현장 주의사항(전기 안전 설비 주의사항, 굴착시 주의 사항 등) 공지,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위험 지역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기상정보 제공(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 위험 지역 재난사고 대응을 위해 웹 카메라 모니터링과 스마트폰 모니터링, 전광판 연동 표시 기능, 출입인원 및 작업 환경의 확인/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티링 장치 및 현장 안전관리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출입증을 소지한 공사 현장 출입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 정보를 측정하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생체 인식기; 상기 생체인식기로부터 출입자의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를 수신받아 생체 인식에 따른 출입정보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GIS 서버와 연동되는 RTLS 서버를 구비하며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 위치 추적,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USN 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여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율을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하며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굴진 상황을 표시하며,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CCTV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유해 가스 센싱 정보, CCTV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광판을 포함하며,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로 수집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화재감지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진동 센서,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며,
상기 지그비 게이트웨이는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통해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전송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App으로 공사 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은 (a)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출입증을 소지한 공사 현장 출입자를 대상으로 생체 인식기에 의해 출입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측정된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출입자의 심박수를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간대별 작업자/방문자/운전자와 동승자/출입 차량의 출입 정보를 출입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b)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굴진 상황 모니터링부에 의해 공사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공정, 착수 일자, 계획 연장(m), 전일 굴진(m), 누계 굴진(m), 굴진율(m/월)을 포함하는 굴진 상황 정보를 제공하며, 계획된 전체 터널길이, 현재 굴진 깊이, 굴진율 자동 계산 후 표시, 표시된 굴진율은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 상황 모니터링부에 의해 공사 현장의 현재 작업 상황 정보와 사진 및/또는 영상이 포함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아, 작업 상황을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광판 정보 제공부에 의해 기상 정보, 출입관리 인원 정보,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 일정,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광판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S1,S2,S3,.. Sk)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에서 수집하여 USN망을 통해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부로 수신받고, 특정 공사 현장(터널)의 유해 가스 센서 정보[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산소농도(%), 일산화탄소(ppm), 이산화탄소(ppm), 황화수소(ppm), 메탄가스(%)의 기준치-측정치(연직경), 측정치(터널 막장)]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화재감지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진동 센서,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사현장의 출입자에 부여된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태그의 인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와의 수신신호세기(RSSI)값을 검출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추적부, 상기 공사현장의 유해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탭재한 게이트웨이(GW)에 연동하며, 상기 탑재한 스택을 이용한 제1 통신방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상기 공사현장의 굴진 상황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현장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C1,C2,C3,.. Ck)와 통신하는 억세스 포인트(AP)에 의한 제2 통신방식을 통해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카메라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통신방식 및 상기 제2 통신방식과 다른 제3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상기 굴진 상황 정보, 상기 작업 상황 정보 및 상기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이용한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망을 통한 통신방식이며, 상기 제3 통신방식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태그의 인근 3대의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RSSI값을 검출하여 3각 측량에 의해 상기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심박수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인식기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자의 공사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공사현장 출입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태그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은 위치 추적부,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카메라 모니터링부 및 웹서버를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추적부가, 공사현장의 출입자에 부여된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태그의 인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와의 수신신호세기(RSSI)값을 검출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가, 상기 공사현장의 유해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탭재한 게이트웨이(GW)에 연동하며, 상기 탑재한 스택을 이용한 제1 통신방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가, 상기 공사현장의 굴진 상황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현장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C1,C2,C3,.. Ck)와 통신하는 억세스 포인트(AP)에 의한 제2 통신방식을 통해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1 통신방식 및 상기 제2 통신방식과 다른 제3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상기 굴진 상황 정보, 상기 작업 상황 정보 및 상기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이용한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망을 통한 통신방식이며, 상기 제3 통신방식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의 인근 3대의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RSSI값을 검출하여 3각 측량에 의해 상기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은, 공사현장 출입 관리부가 심박수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인식기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자의 공사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과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저장하는 DVR로부터 상기 굴진 상황 정보 및 상기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건설 현장, 터널 공사 현장 등의 공사 현장에서 근무자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장소와 시간에 상관 없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스마트폰과 관리 PC를 통하여 생체인식기(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심박수 측정 등)에 의한 작업자/방문자의 출입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출입증에 부착된 비콘 태그 위치 추적, 비상 연락망과 공사현장 주의사항(전기 안전 설비 주의사항, 굴착시 주의 사항 등) 공지, 건설 자재/유해 물질 관리, 위험 지역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기상정보 제공(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 위험 지역 재난사고 대응을 위해 웹 카메라 모니터링과 스마트폰 모니터링, 전광판 연동 표시 기능, 출입인원 및 작업 환경의 확인/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 등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터널 입구(유입부), CCTV 터널 막장(유출부)에 CCTV 시스템을 구비하고 비상벨과 터널 내 비상 전화를 구비하는 A 방향 터널, B 방향 터널 각각의 굴진 현황,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산소, 메탄,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화면이다.
도 6은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CCTV 모니터링 화면,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터널 출입 현황(고정 출입자, 외부 방문자, 잔류 인원), 터널 공사 현장 현재 공정(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점검, 근무교대, 선진보강),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작업 환경[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산소농도(%), 일산화탄소(ppm), 이산화탄소(ppm), 황화수소(ppm), 메탄가스(%)의 기준치-측정치(연직경), 측정치(막장)], 공정 현황[굴진 현황: 계획 연장(m), 전일 굴진(m), 누계 굴진(m), 굴진율(m/월), 착수일자), 실시간 기상 및 수문 현황[기온, 댐수위(ELM), 저수율(%), 전일 강수량(mm), 금일 강수량(mm), 연강수량(mm)], 비상 연락망과 금일 공지사항을 나타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 등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건설 현장, 터널 공사 현장 등의 공사 현장에서 근무자 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장소와 시간에 상관 없이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스마트폰과 관리 PC를 통하여 생체인식기(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심박수 측정 등)에 의한 작업자/방문자의 출입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출입증에 부착된 비콘 태그 위치 추적, 비상연락망과 공사현장 주의사항(전기 안전 설비 주의사항, 굴착시 주의 사항 등) 공지,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위험 지역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 점검, 근무 교대, 선진 보강), 기상정보 제공(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 위험 지역 재난사고 대응을 위해 웹 카메라 모니터링과 스마트폰 모니터링, 전광판 연동 출력 기능을 제공하며, 출입인원 및 작업 환경의 확인/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사 현장에 곳곳에 지역(Area)을 구분하여 설치되며,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tag)의 위치를 출입구1,2의 터널 유입구, 유출구에서는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출입증을 소지한 고상 현장 출입자를 대상으로 출입증에 부착된 비콘 태그와 최근접 위치된 하나의 AP(Access Point)에 의해 최근접 측량, 또는 비콘 태그 인근 3대의 비콘 AP에 의해 RSSI값을 검출하여 3각 측량에 의해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사 현장 다 지점에 설치된 BLE/Wi-Fi 통신 게이트웨이로써 통신부와 제어부와 저장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억세스 포인트(AP1, AP2, AP3,.. APk);
공사 현장 출입구1,2, 터널 유입구와 유출구, 터널 내부, 공사 현장의 다지점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C1,C2,C3,..Ck)와 Wi-Fi 또는 LTE-M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 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730)을 구비하는 관제 PC(717)와 연결되는 CCTV 시스템;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S1,S2,S3,.. Sk)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집하는 지그비 게이트웨이(ZigBee Gateway)(740)를 구비하며, USN 통신망을 통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과 연동되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공사 현장 출입구1,2 또는 관리사무소에 구비되며, 공사 현장 작업자/방문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 정보를 측정하며, 출입자(작업자, 방문자, 출입 출입차량 운전자, 동승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생체 인식기(719);
상기 생체 인식기(719)로부터 유무선 통신(블루투스, Wi-Fi, USB 케이블)을 통해 출입자의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를 수신받아 생체 인식에 따른 출입정보 관리와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GIS 서버(721)와 연동되는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서버를 구비하며 3각 측량에 의해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 위치 추적, 기상 정보 제공, 건설 자재/위험 물질 관리, 상기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로부터 USN 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율을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하며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굴진 상황을 표시하며,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다수의 카메라(C1,C2,C3,.. Ck)와 연동된 DVR(730)과 연결되어 CCTV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 및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과 Wi-Fi 또는 LTE-M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공사 일정, 공사 현황과 굴진 상황 모니터링, 실시간 작업 상황 모니터링, 유해 가스 센싱 정보, 하나의 또는 다수의 CCTV 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광판(790)을 포함하며,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제 PC(717)와 스마트폰(770)의 공사 현장 안전관리App으로 모든 공사 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모든 공사 현장 안전관리 정보는 공사 현장 주의 사항과 공지 사항, 기상 정보, 출입관리 정보,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CCTV 카메라들의 영상 데이터 정보, 공사 일정, 공사 현황 정보,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공사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ZigBee Gateway)(740)로 수집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S1,S2,S3,.. Sk)는 장치ID가 할당되며, 산소 측정 센서,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온/습도 센서, 화재감지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진동 센서, 수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하며,
상기 지그비 게이트웨이(740)는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탑재하며,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통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전송한다. 센서 네트워크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는 900MHz 또는 2.4GHz RFID 태그 또는 비콘 태그(beacon tag)를 사용할 수 있다.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억세스 포인트(AP)는 BLE/Wi-Fi 통신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BLE/Wi-Fi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비콘 AP가 사용되며, 비콘 AP는 출입구1,2, 유출구, 유입구에서 비콘 태그와 최근접 측량되는 최소 하나의 AP 또는 공사 현장 곳곳에 설치된 태그(tag) 기준 인접한 3대의 AP에 의해 측정된 비콘 태그 ID와 RSSI값을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억세스 포인트(AP)는 BLE/Wi-Fi 통신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BLE/Wi-Fi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RFID 리더를 사용하며, Wi-Fi 통신을 통해 RFID 태그 ID 정보를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생체 인식기(719)는 지문 인식기, 손혈관 측정기, 지정맥 측정기, 또는 얼굴 인식기 중 어느 하나의 인식기를 구비하며, 심박수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생체 인식부와 제어부 및 저장부와 블루투스 또는 Wi-Fi 통신부, 또는 USB 케이블로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공사 현장에서 키오스크(Kiosk)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생체 인식기(719)는 작업자/방문자와 출입차량 운전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등의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 센서에 의해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여 블루투스 또는 Wi-Fi, USB 케이블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생체 인식 정보를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도 3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이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웹 서버(701), DB 서버(702), 기상 정보 제공부(703),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704), GIS 서버(721)와 연동되는 RTLS 서버를 구비하는 비콘 태그 정보 관리부(705), 비콘 위치 추적부(706),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부(707), 굴진 상황 모니터링부(708), 작업 상황 모니터링부(709), DVR(730)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CTV 모니터링부(710), 건설 자재 관리부(711), 위험 물질 관리부(712), 및 전광판 정보 제공부(713)를 포함하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관제 PC(717), 및 출입문에 구비된 생체 인식기(719)와 연결되며, Wi-Fi 또는 LTE 모뎀을 통해 전광판(790)에 연결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현장 안전관리 App이 설치된 스마트폰(770)과 연결된다.
전광판(790)은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과 Wi-Fi 또는 LTE-M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외부에 방수 처리된 투명 커버가 도포된 LED 전광판, 또는 LCD 전광판을 사용한다.
전광판(790)은 Wi-Fi 통신부 또는 LTE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부와; 무선 통신부와 연결되며 전광판의 출력 기능을 제어하는 전광판 제어부와; 상기 전광판 제어부와 연결된 저장부와; 상기 전광판 제어부에 연결되고, LED 또는 LCD 표시부를 사용하며, 기상 정보, 출입관리 인원 정보,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 일정,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전광판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PC와 스마트폰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웹 서버(701); 출입차량 정보와 작업자/방문자/출입차량 운전자의 출입관리 정보, 작업자/방문자/출입 차량 운전자의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정보, 출입증에 부착되는 비콘 태그 정보, 건설 자재/위험 물질 정보, 공사 일정 정보,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 기상 정보,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현장 주의사항(전기 안전관리와 사고 예방 지침, 굴착시 주의 사항)과 공지사항, 비상 연락망 정보를 저장하는 DB 서버(702);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을 제공하고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상기 생체인식기(719)에 의한 출입자(작업자/방문자/출입차량 운전자/동승자)의 출입 관리 정보와, 심박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출입자(작업자/방문자/출입차량 운전자/동승자)의 심박수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정보, 출입 차량 정보를 출입자별 출입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는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704); 공사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공정(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점검, 근무교대, 선진보강), 굴진 상황[착수 일자, 계획 연장(m), 전일 굴진(m), 누계 굴진(m), 굴진율(m/월))] 정보를 제공하며, 계획된 전체 터널길이, 현재 굴진 깊이, 굴진율 자동 계산 후 표시, 표시된 굴진율은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굴진 상황 모니터링부(708); 공사 현장의 현재 작업 상황 정보와 사진 및/또는 영상이 포함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아 모니터링하는 작업 상황 모니터링부(709); 및 기상 정보, 출입관리 인원 정보,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 일정, 굴진 상황 정보, 작업 상황 정보를 Wi-Fi 또는 LTE-M 통신망을 통해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전광판 정보 제공부(713)를 포함한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외부 기상 정보 시스템(720)과 연동되며, 실시간 기상 및 수문 현황[기온, 댐수위(ELM), 저수율(%), 전일 강수량(mm), 금일 강수량(mm), 연강수량(mm)] 정보와 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정보 제공부(703)를 더 포함한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S1, S2, S3,.. Sk)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ZigBee Gateway)에서 수집하여 USN(Ubiquitous Sensor Network)망을 통해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수신받고, 공사 현장의 유해 가스 센서 정보[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산소농도(%), 일산화탄소(ppm), 이산화탄소(ppm), 황화수소(ppm), 메탄가스(%)의 기준치-측정치(연직경), 측정치(터널 막장)]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부(70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 ID와 RSSI 값을 BLE/Wi-Fi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억세스포인트(AP)를 통해 Wi-Fi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비콘 위치 추적부(706)와 RTLS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RTLS 서버에 의해 출입증의 태그의 위치를 최근접 측량 또는 3각 측량에 의해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공사 현장의 출입이 허가된 출입자에게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예, beacon tag 또는 RFID tag)의 정보를 관리하는 태그 정보 관리부(705); 및
GIS 서버(721)와 연동되는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서버를 구비하며, 공사 현장의 출입구1(유입구), 출입구2(유출구)의 작업자/방문자의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tag) ID와 RSSI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억세스포인트(AP)를 통해 비콘 위치 추적부와 RTLS 서버로 수신받아, RTLS 서버에 의해 최근접 측량 또는 3각 측량에 의해 출입증의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고, 출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발급되는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는 비콘 위치 추적부(706)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위치 추적부(706)는 공사 현장 출입구1,2, 터널 유입구, 유출구, 터널 내부에서 작업자의 출입증의 태그와 가장 최근접 위치된 억세스포인트(AP)에서 최근접 측량으로 측정된 태그 ID와 RSSI값을 수신하여 RTLS 서버에 의해 출입증의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며, 공사현장에서는 비콘 태그 인근 적어도 하나 이상의 AP 또는 3대의 억세트포인트(AP1,AP2,AP3)를 통해 Wi-Fi 통신망을 통해 출입자가 소지하는 출입증의 태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RTLS 서버에 의해 3개의 억세스 포인트(AP1,AP2,AP3)로부터 태그 ID와 RSSI값을 비콘 위치 추적부(706)와 RTLS 서버로 수신받아 저장하고, RTLS 서버에 의해 3각 측량에 의해 측정된 출입증의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며, 작업자/방문자의 위치를 GIS 서버(721)의 지도(map)에 표시하고, 터널 내 잔류 인원과 작업자/차량의 실시간 위치 정보 확인, 시간 별 출입자 및 차량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출입자 및 출입 차량별 저장된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일/주/월별 출입자의 위치 추적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비콘 위치 추적부는 출입자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험 지역에 있는 출입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스마트폰)로 SMS 서버를 통해 위험 지역 공사 현장 주의 사항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공사 현장 출입구, 터널 입구, 터널 막장, 터널 내부 등의 공사 현장 각 지점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C1,C2,C3,.. Ck)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억세스포인트(AP)를 통해 Wi-Fi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는 DVR(730)과 연동되는 CCTV 모니터링부(710)를 더 포함한다.
CCTV 시스템은 고유의 장치 ID가 할당된 카메라들과 DVR(730)이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과 연동된다.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은 펜스의 테두리가 설치된 공사 현장에서 건설 자재의 입고, 출고, 재고와 사용 건설 자재 정보를 관리하는 건설 자재 관리부(711); 공사 현장에서 위험 물질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공사현장 사용 후 위험 물질 폐기 처리 정보를 관리하는 위험 물질 관리부(712); 및
공사 현장에서 붕괴 위험 상황 및 재난 사고시에 긴급 대피 또는 응급 조치를 취하도록 작업자/방문자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위험 상황 및 재난 사고 문자를 전송하는 붕괴 위험 상황 및 재난 사고 문자 전송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1.1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 출입통제 시스템
- 생체인식기(지문인식, 손혈관, 지정맥, 얼굴인식, 심박수 측정 등)연동
- 등록된 작업자 정보 불러오기 및 실시간 모니터링
- 시간 별 출입자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출입자 별 출입시간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각 입구별/장비별 출입인원(출입 차량) 실시간 출입자 정보 확인
- 일/주/월별 출입관리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생체 인식기(719)는 지문인식기, 손혈관, 지정맥, 또는 얼굴 인식기 등의 생체 인식기와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한다.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704)는 생체 인식기(719)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출입차량 정보와 작업자/방문자/출입차량 운전자의 출입관리 정보, 작업자/방문자/출입 차량 운전자의 심박수 측정에 의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며, 등록된 작업자 정보 불러오기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간 별 출입자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출입자 별 출입시간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일/주/월별 출입관리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비콘 태그(beacon tag)와 심박수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와 저장부, BLE 통신부를 포함하는 비콘 센서에 탑재된 심박수 센서에 의해 출입자의 심박수 센서 건강 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1.2 비콘 센서를 이용한 위치추적부
- 비콘 AP: 공사 현장 다 지점 마다 BLE/Wi-Fi 게이트웨이 설치,
- 비콘 위치 추적부는 RTLS 서버와 GIS 서버 연동
- 터널 내 잔류 인원(차량) 실시간 위치 정보 확인(터널 내 위치정보 포함)
- 시간 별 출입자 및 차량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출입자 및 차량별 저장된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일/주/월별 출입자의 위치 추적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근로자의 비콘 태그 위치 추적,
- 비콘 태그와 심박수 센서가 구비된 비콘 센서에 탑재된 심박수 센서 건강 상태 모니터링
1.3 유해가스 및 각종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
(산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메탄, 이산화질소, 온/습도, 화재감지, 소음, 진동 센서, 수위 센서 등)
- 실시간 센서들에 측정된 가스의 수치를 모니터링
- 시간대별 센서의 유해 가스의 측정치 모든 데이터 값의 저장
- 임계치 도달 시 수치의 색상 변화
예) 검정(정상) -> 노랑(위험) -> 빨강(매우 위험)
- 센서 교체시기 알림(팝업 및 SMS 전송, 알림 일자 지정)
- 임계치 도달 시 실시간 알림(팝업 및 SMS전송)
- 시간별 센서상태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센서별 검색 가능(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일/주/월별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1.4 굴진상황 모니터링부
- 굴진 상황 정보 저장
- 계획된 전체 터널길이 기재
- 현재 굴진 깊이 직접 기재
- 굴진율 자동 계산 후 표기
- 표기된 굴진율은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
-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 검색 가능(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1.5 작업상황 모니터링부
- 저장된 실시간 작업현황(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 점검, 근무 교대, 선진 보강)을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직접 선택 표시 가능(발파, 숏크리트 등)
1.6 기상정보 제공부
- 기상 정보 시스템과 연동하여 실시간 기상정보 모니터링(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 등)
- 각 계측기별 검색 가능(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일/주/월별 기상 정보 검색 가능(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 선택 기간의 누적 강수량 검색 가능(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1.7 실시간 원격 영상 모니터링(Pan/Tilt/Zoom 제어 가능), 스마트폰 모니터링
- CCTV 카메라 모니터링
- 스마트폰 용 웹페이지 사용
- 안드로이드/아이폰 용 전용 어플리케이션(App) 사용
1.8 모니터링 화면 구성
모니터링 화면 구성: 상기 시스템 중 이용자의 요구에 맞게 선택하여 화면구성 가능(배치, 크기조절 등)
1.9 전광판 연동 표시
현장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과 전광판 연동 표시 기능 제공, 공사 일정, 공사 현장 주의 사항 및 공지사항, 기상 정보, 출입관리 인원 정보(현 인원, 터널 잔류 인원),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 일정, 공사 현황/굴진 현황/작업 상황 표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은
(a) 출입구 또는 공사 현장 관리사무소에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생체 인식기(719)가 구비되며, 비콘 태그를 사용하는 출입증을 소지한 출입자(작업자/방문자, 출입차량 운전자와 동승자)의 지문, 손혈관, 지정맥, 얼굴 인식 중 어느 하나의 생체 인식 정보를 측정하며, 심박수 측정 센서를 구비하는 생체 인식기(719)에 의해 측정된 생체 인식 정보와 심박수 측정 센서 의해 측정된 출입자의 심박수를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으로 전송하고, 시간대별 작업자/방문자/운전자와 동승자/출입 차량의 출입 정보를 출입 시각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며, 일/주/월별 출입관리 정보 검색을 제공하는 단계(S10);
(b)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굴진 상황 모니터링부(708)에 의해 공사 일정 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공정(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점검, 근무교대, 선진보강), 굴진 상황[착수 일자, 계획 연장(m), 전일 굴진(m), 누계 굴진(m), 굴진율(m/월)] 정보를 제공하며, 계획된 전체 터널길이, 현재 굴진 깊이, 굴진율 자동 계산 후 표시, 표시된 굴진율을 지도(map)과 연동하여 표시, 날짜별 굴진 깊이 및 굴진율을 제공하는 단계(S60);
(c)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작업 상황 모니터링부(709)에 의해 공사 현장의 현재 작업 상황 정보와 사진 및/또는 영상이 포함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받아, 작업 상황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70); 및
(d)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전광판 정보 제공부(713)에 의해 기상 정보, 출입관리 인원 정보(공사 인원, 터널 전류 인원),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정보, 공사 일정, 상기 굴진 상황 정보, 상기 작업 상황 정보를 Wi-Fi 또는 LTE-M 통신망을 통해 전광판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기상 정보 제공부(703)에 의해 외부 기상 정보 시스템(720)과 연동되며, 실시간 기상 및 수문 현황[기온, 댐수위(ELM), 저수율(%), 전일 강수량(mm), 금일 강수량(mm), 연강수량(mm)] 정보와 날씨, 기온, 강수량, 풍향,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의 위치를 최근접 측량 또는 3각 측량에 의해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사 현장 다 지점에 설치된 BLE/Wi-Fi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다수의 억세스 포인트(AP)로부터 태그 ID와 RSSI값을 수신받는 RTLS 서버가 구비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태그 정보 관리부(705)에 의해 공사 현장의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의 정보를 관리하며, GIS 서버와 연동되는 비콘 위치 추적부(706)와 RTLS 서버에 의해 공사 현장의 출입구1,2, 터널 유입구, 유출구의 작업자/방문자의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고, 출입 차량의 운전자에게 발급되는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콘 위치 추적부(706)와 RTLS 서버는 공사 현장 출입구, 터널 유입구, 유출구, 터널 내부에서는 태그와 가장 가까운 최근접 한 억세스 포인트(AP)에서 태그 ID와 RSSI값을 수신받아 최근접 측량으로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며, 공사현장에서는 3개의 억세트 포인트(AP)에서 3각 측량에 의해 출입증에 부착된 태그의 위치를 추적하며,
터널 내 잔류 인원과 작업자/출입 차량 운전자의 실시간 위치 정보 확인, 시간 별 출입자 및 차량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출입자 및 출입 차량별 저장된 위치 정보 확인(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일/주/월별 출입자의 위치 추적 정보 검색(엑셀파일 생성 및 출력가능)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비콘 위치 추적부(706)는 출입자가 위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험 지역에 있는 출입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스마트폰)로 SMS 서버를 통해 위험 지역 공사 현장 주의 사항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방법은, 공사 현장과 터널 내부의 다 지점에 설치된 센서들(S1,S2,S3,.. Sk)로부터 측정된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지그비 게이트웨이(740)에서 수집하여 USN망을 통해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700)의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부(707)로 수신받고, 특정 공사 현장(예, 터널)의 유해 가스 센서 정보[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산소농도(%), 일산화탄소(ppm), 이산화탄소(ppm), 황화수소(ppm), 메탄가스(%)의 기준치-측정치(연직경), 측정치(터널 막장)]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S1,S2,S3,.. Sk)는 산소 측정 센서, 일산화탄소 측정 센서,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황화수소 측정 센서, 메탄 가스 측정 센서, 이산화질소 측정 센서, 온/습도 센서, 화재감지 센서, 소음 측정 센서, 진동 센서, 수위 센서(물의 높이 측정 - 일정 기준치 이상이면 모니터링 화면에 알람 발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사용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공사 현장 출입구, 터널 입구, 터널 막장, 터널 내부 등의 공사 현장 각 지점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C1,C2,C3,.. Ck)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억세스 포인트(AP)를 통해 Wi-Fi 통신망을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는 DVR(730)과 연동되는 CCTV 모니터링부(710)에 의해 공사 현장 영상을 PC(717) 또는 스마트폰(770)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건설 자재 관리부에 의해 펜스의 테두리가 설치된 공사 현장에서 건설 자재의 입고, 출고, 재고와 사용 건설 자재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위험 물질 관리부에 의해 공사 현장에서 위험 물질 정보와 보관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공사현장 사용 후 위험 물질 폐기 처리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붕괴가 예고되는 위험 상황이나 재난 사고시 출입자의 스마트폰으로 긴급 대피 또는 긴급 조치 정보가 포함된 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CTV 터널 입구(유입부), CCTV 터널 막장(유출부)에 CCTV 시스템을 구비하고 비상벨과 터널 내 비상 전화를 구비하는 A 방향 터널, B 방향 터널 각각의 굴진 현황,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산소, 메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화면이다.
도 6은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CCTV 모니터링 화면,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터널 출입 현황(고정 출입자, 외부 방문자, 잔류 인원), 터널 공사 현장 현재 공정(TBM 굴진, 지보 설치, 발파/숏크리트, 장비점검, 근무교대, 선진보강), 터널 유입부와 유출부의 작업 환경[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 산소농도(%), 일산화탄소(ppm), 이산화탄소(ppm), 황화수소(ppm), 메탄가스(%)의 기준치-측정치(연직경), 측정치(막장)], 공정 현황[굴진 현황: 계획 연장(m), 전일 굴진(m), 누계 굴진(m), 굴진율(m/월), 착수일자), 실시간 기상 및 수문 현황[기온, 댐수위(ELM), 저수율(%), 전일 강수량(mm), 금일 강수량(mm), 연강수량(mm)], 비상 연락망과 금일 공지사항을 나타낸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700: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701: 웹 서버 702: DB 서버
703: 기상 정보 제공부 704: 공사 현장 출입관리부
705: 비콘 태그 정보 관리부 706: 비콘 위치 추적부
707: 유해 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708: 굴진 상황 모니터링부 709: 작업 상황 모니터링부
710: CCTV 모니터링부 711: 건설 자재 관리부
712: 위험 물질 관리부 713: 전광판 정보 제공부
717: 관제 PC 719: 생체 인식기
721: GIS 서버 730: DVR
740: 지그비 게이트웨이 770: 스마트폰
790: 전광판

Claims (12)

  1. 공사현장의 출입자에 부여된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태그의 인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와의 수신신호세기(RSSI)값을 검출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추적부;
    상기 공사현장의 유해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탭재한 게이트웨이(GW)에 연동하며, 상기 탑재한 스택을 이용한 제1 통신방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상기 공사현장의 굴진 상황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현장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C1,C2,C3,.. Ck)와 통신하는 억세스 포인트(AP)에 의한 제2 통신방식을 통해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카메라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통신방식 및 상기 제2 통신방식과 다른 제3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상기 굴진 상황 정보, 상기 작업 상황 정보 및 상기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이용한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망을 통한 통신방식이며, 상기 제3 통신방식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태그의 인근 3대의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RSSI값을 검출하여 3각 측량에 의해 상기 위치를 검출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심박수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인식기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자의 공사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공사현장 출입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부는, 상기 태그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는,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수신받아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연동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7. 위치 추적부,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 카메라 모니터링부 및 웹서버를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상기 위치 추적부가, 공사현장의 출입자에 부여된 출입증에 부착되는 태그(tag)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태그의 인근 복수의 억세스 포인트(AP) 또는 게이트웨이(gateway)와의 수신신호세기(RSSI)값을 검출하여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해가스 센서 모니터링부가, 상기 공사현장의 유해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의 센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탭재한 게이트웨이(GW)에 연동하며, 상기 탑재한 스택을 이용한 제1 통신방식을 통해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가, 상기 공사현장의 굴진 상황 및 작업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공사현장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C1,C2,C3,.. Ck)와 통신하는 억세스 포인트(AP)에 의한 제2 통신방식을 통해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웹서버가, 상기 제1 통신방식 및 상기 제2 통신방식과 다른 제3 통신방식을 통해 관제 PC와 스마트폰의 공사현장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App)으로 상기 굴진 상황 정보, 상기 작업 상황 정보 및 상기 유해 가스 센싱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정보를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방식은 센서 네트워크(USN)망을 이용한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2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망을 통한 통신방식이며, 상기 제3 통신방식은 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방식을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의 인근 3대의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상기 RSSI값을 검출하여 3각 측량에 의해 상기 위치를 검출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공사현장 출입 관리부가, 심박수 측정 센서에 의해 상기 출입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 인식기에 연동하여 상기 출입자의 공사현장 출입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와 비콘 통신을 수행하는 억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되어 상기 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진 상황 정보 및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니터링부과 상기 억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카메라 영상을 저장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로부터 상기 굴진 상황 정보 및 상기 작업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KR1020180112743A 2018-09-20 2018-09-20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KR20190058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743A KR20190058283A (ko) 2018-09-20 2018-09-20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743A KR20190058283A (ko) 2018-09-20 2018-09-20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94A Division KR101907964B1 (ko) 2017-11-20 2017-11-20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283A true KR20190058283A (ko) 2019-05-29

Family

ID=6667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743A KR20190058283A (ko) 2018-09-20 2018-09-20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8283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72786A (zh) * 2019-09-10 2019-12-13 中国计量大学 一种基于wifi与人脸识别的区块化室内定位系统及方法
CN111292455A (zh) * 2020-03-05 2020-06-16 深圳市君利信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指纹识别的海关闸门检测系统
KR20210025911A (ko) * 2019-08-28 2021-03-10 (주)오픈웍스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JP2021060533A (ja) * 2019-10-08 2021-04-15 株式会社セイビ堂 作業現場用の表示システム、情報伝達方法
KR102315081B1 (ko) * 2021-06-04 2021-10-19 유우준 모바일로 연동 가능한 자동 계측 시스템
KR20210144389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20220023868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523123B1 (ko) * 2022-01-24 2023-04-25 주식회사 보명아이엔씨 이동통신 기지국 환경친화형 가림막 시스템
KR20230065506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휴대용 가스측정기 활용한 안전 모니터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101044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통합 안전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40008488A (ko) 2022-07-12 2024-01-19 주식회사 무스마 IoT와 영상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69B1 (ko)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69B1 (ko) 2008-09-26 2010-11-10 대림산업 주식회사 개인 휴대용 단말기 및 지리정보시스템를 연계한 실시간 현장공사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671209B1 (ko)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911A (ko) * 2019-08-28 2021-03-10 (주)오픈웍스 다목적 이동식 모니터링장치
CN110572786A (zh) * 2019-09-10 2019-12-13 中国计量大学 一种基于wifi与人脸识别的区块化室内定位系统及方法
JP2021060533A (ja) * 2019-10-08 2021-04-15 株式会社セイビ堂 作業現場用の表示システム、情報伝達方法
CN111292455A (zh) * 2020-03-05 2020-06-16 深圳市君利信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指纹识别的海关闸门检测系统
CN111292455B (zh) * 2020-03-05 2021-05-18 深圳市君利信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和指纹识别的海关闸门检测系统
KR20210144389A (ko) * 2020-05-22 2021-11-30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관리방법
KR20220023868A (ko) * 2020-08-20 2022-03-03 주식회사 아이티로 이동형 시공 현장 관리 장치
KR102315081B1 (ko) * 2021-06-04 2021-10-19 유우준 모바일로 연동 가능한 자동 계측 시스템
KR20230065506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휴대용 가스측정기 활용한 안전 모니터링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30101044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통합 안전 관리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23123B1 (ko) * 2022-01-24 2023-04-25 주식회사 보명아이엔씨 이동통신 기지국 환경친화형 가림막 시스템
KR20240008488A (ko) 2022-07-12 2024-01-19 주식회사 무스마 IoT와 영상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정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964B1 (ko)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8283A (ko)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방법
US118754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real-time analysis from multi-modal data fusion for contextual risk identification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671209B1 (ko)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689040B1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서버 및 위치 추적 시스템
RU24722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за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ем лиц
RU2401947C2 (ru) Шахт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горнорабочих
KR101099745B1 (ko) 작업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779447A (zh) 一种融合bim的rfid的建筑工人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07328413B (zh) 基于人员位置的矿井下灾害报警系统
US10826763B2 (en) Portable outdoor construction site data center
KR10164882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KR101483393B1 (ko) 무선 통신 태그 커넥터를 이용한 시설물 유지 관리 및 사회 안전망 구축 시스템
US11657690B2 (en) Nanosatellite-based property monitoring
US20220139199A1 (en) Accurate digital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685079B1 (ko) Rfid 기반의 소화전 관리시스템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CN107328412B (zh) 基于加速度的矿井下灾害报警系统
KR20130098060A (ko)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1997690A (zh) 用于隧道工程的智能管理系统及方法
RU82270U1 (ru) Шахт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оповещения и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горнорабочих
KR20150005232A (ko) 재난 신고 시스템
KR102139651B1 (ko) 아동청소년 교육시설 성범죄자 접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A framework of on-sit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computer vision and real-time lo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