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008B1 - 복합 단열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복합 단열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008B1
KR102002008B1 KR1020190023918A KR20190023918A KR102002008B1 KR 102002008 B1 KR102002008 B1 KR 102002008B1 KR 1020190023918 A KR1020190023918 A KR 1020190023918A KR 20190023918 A KR20190023918 A KR 20190023918A KR 102002008 B1 KR102002008 B1 KR 102002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insulating
insulating layer
shee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형
최동훈
조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Priority to KR102019002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82Porous coatings, e.g. coating containing porou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9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fibrous material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2Multiple coatings, for one of the coatings of which at least one alternative is describ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75Insulating linings for the interior face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단열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공법에 있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을 세척하고 표면을 조정하여 시공을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시트를 부착하여 접합층을 형성하는 접합층 형성단계; 상기 접합층의 표면에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층 형성단계; 및 상기 마감층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열전도가 낮은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도막층을 이용하여 방수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 및 차열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단열 방수 공법{Compound insulation water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복합 단열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성이 있는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도막층을 이용하여 방수 및 차열과 단열할 수 있도록한 복합 단열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과 같은 콘크리트의 표면에는 누수를 방지하고 내부에 포함된 철골의 부식, 균열 등을 방지하게 위해서 방수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크게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로 나뉜다.
먼저, 시트 방수의 경우 시공면에 방수 시트를 펼치고 시트끼리 겹쳐지는 부분을 열 압착시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규격화된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층의 두께가 일정하고 시공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 방수의 경우 시트와 시트의 이음부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이음부에서 누수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방수시트의 일부에 균열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시공된 구조물 전체를 철거해야 하며, 구조가 복잡한 부위에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시트 방수의 단점을 극복한 도막 방수 방법이 최근 각광받고 있으며, 도막 방수 방법은 액상의 도료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뒤 형성된 도막으로 방수를 도모하는 도막 방수의 경우, 얇은 두께로 도포가 가능하며, 굴곡진 부분이나 구조가 복잡한 부위에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고, 도료를 덧칠함으로써 보수가 가능하여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막 방수의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자체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들뜸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방수성 및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옥상, 지붕에는 누수방지 목적으로 방수공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방수층이 외기에 노출되어 온도에 의한 열화현상 가속화 및 열전도가 높아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1148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2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열전도가 낮은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도막층을 이용하여 방수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공법에 있어,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을 세척하고 표면을 조정하여 시공을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시트를 부착하여 접합층을 형성하는 접합층 형성단계; 상기 접합층의 표면에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층 형성단계; 및 상기 마감층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도료를 접합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설정된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단열층을 구성하는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는 코팅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단열층을 형성한 후 접합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단열층을 구성하는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는 코팅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합층과 단열층은 일체형 시트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시트층은 방수층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장착되는 글라스버블 또는 실리카버블이 수용된 도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층과 단열층은 일체형 시트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층은 방수층의 상부에 장착되고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하부 장착홈이 형성되는 시트 형상의 하부단열 부재; 상기 하부단열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 장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히팅 장착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히팅 코일이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히팅 부재; 상기 히팅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장착홈 및 히팅 장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장착홈이 형성되는 상부단열 부재; 상기 하부 장착홈과 히팅 장착공 및 상부 장착홈에 장착되고, 상하부에 센서 장착홈이 형성되는 측정 고정구와 상기 측정 고정구의 센서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고 단열 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측정 고정구와 온도감지센서를 고정하고 상·하부 끝단의 외주면에는 하부 장착홈과 상부 장착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측정 커버를 포함하는 측정구; 상기 상부단열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형상의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장착되고 에어로젤이 포함된 도료로 형성되는 단열층부; 상기 단열층부의 상부에 코팅되는 코팅재; 및 상기 측정구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온도를 바탕으로 히팅 부재의 히팅 코일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수층과 고정 부재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진동흡수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단열 부재와 부직포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에어튜브수단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되, 상기 진동흡수수단은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 지지구; 박스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부 지지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 지지구; 상기 상부 지지구와 하부 지지구의 사이의 가장자리를 연결 및 고정하는 자바라 형상의 연결 부재; 상기 상·하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 스프링; 및 상기 원형 스프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튜브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밀착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수용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구 형상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열전도가 낮은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도막층을 이용하여 방수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향상 및 차열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나타낸 순차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통해 형성된 복합 단열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3(c)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구성하는 단열층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구성하는 접합층과 단열층을 일체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시트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구성하는 접합층과 단열층을 일체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시트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측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구성하는 접합층과 단열층을 일체로 구성하여 형성되는 시트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진동흡수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나타낸 순차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통해 형성된 복합 단열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c)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구성하는 단열층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전처리단계(S110), 방수층 형성단계(S120), 접합층 형성단계(S130), 단열층 형성단계(S140), 마감층 형성단계(S150), 탑코팅층 형성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처리단계(S110)는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이하 '구조물'이라 함)을 조정 및 시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전처리단계(S110)는 구조물(10)의 표면을 세척하고 표면을 조정하여 시공을 준비함으로써, 방수층 형성단계(S120)에서 도포되는 프라이머를 구조물(10)의 표면에 긴밀하게 고착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전처리단계(S110)는 물리적으로 구조물(10)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어 바탕조정하며, 표면에 균열이 있거나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V커팅 또는 연마한 후 실링제를 이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구조물(10)의 표면을 정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10)은 물구배가 잘 이루어지도록 반듯하게 정리 및 충분히 건조시키고 유분, 녹 등의 이물질이 없도록 이물질을 제거 및 청소하게 된다.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S120)는 구조물(10)의 표면에 방수층(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S120)는 전처리단계(S110)를 거친 구조물(10)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20)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S120)는 전처리단계(S110)를 거친 구조물(10)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 및 건조시켜 방수층(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수층(20)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는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접합성과 평활성이 우수하고, 방수층과의 접착력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 표면에 약간의 탄성을 부여하면서 표면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부틸아크릴산 중합체 등을 택일하여 형성된다.
상기 접합층 형성단계(S130)는 방수층(20)의 상부에 접합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접합층 형성단계(S130)는 방수층(20)의 경화 중 또는 경화 후 시트를 공급하여 단열층(40)과 용이하게 접합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접합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합층(30)을 구성하는 시트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접합층(30)은 0.8mm ~ 1.2mm로 형성되는데 이는 원활하게 단열층과 접합하면서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단열층 형성단계(S140)는 접합층(30)의 표면에 단열층(4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열층 형성단계(S140)는 접합층(30)의 표면에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단열층(4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로젤(aerogel)은 기본적으로 규소산화물(SiO2)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초다공성 나노 구조의 소재로서 졸-겔반응을 통해 제조된 습윤젤을 기-액 계면에 존재하지 않는 초임계 조건에서 수축없이 건조하여 젤의 기공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물질이다.
그리고 상기 접합층(30)의 표면에 형성되는 단열층(40)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단열층(40)은 두 가지 방법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첫 번째로, 상기 단열층(40)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도료를 접합층(30)의 표면에 도포하여 설정된 두께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단열층(40)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을 접합층(30)의 상부에 도포하면서 필요한 두께로 형성하게 된다.
두 번째로, 상기 단열층(40)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단열층(40)을 형성한 후 접합층(30)의 표면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단열층(40)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틀이나 롤러를 통해 필요한 두께로 형성한 다음, 상기 접합층(30)의 상부에 그대로 안착되거나 또는 접착제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40)을 구성하는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층(40)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을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조직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갈라짐 및 내구성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열층(4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코팅층(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층(40)은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 코팅층(42)을 형성하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접합층(30)과 마감층(50)에 원활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단열층(40)은 0.8mm ~ 1.2mm로 형성되는데 이는 원활하게 접합층(30) 및 마감층(50)과 접합하면서도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마감층 형성단계(S150)는 단열층(40)의 표면에 마감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마감층 형성단계(S150)는 단열층(40)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마감층(50)을 형성하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마감층 형성단계(S150)는 단열층(40)의 표면에 액상 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마감층(50)은 1.2mm ~ 1.8mm로 형성되는데 이는 원활하게 마감층(50)과 접합하면서도 완충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탑코팅층 형성단계(S160)는 마감층의 표면에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탑코팅층 형성단계(S160)는 상기 마감층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탑코팅층 형성단계(S160)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실리콘은 자외선에 강하고, 내열성 및 난연성이 크며, 흰색일 경우 에너지 절감효과가 높다. 이때, 탑코팅층은 실리콘에 한정되지 않으면 실잘상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다른 재료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도시된 도 4 내지 8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도 4의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접합층(30)과 단열층(40)이 일체형 시트층(70)으로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트층(70)은 방수층(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 부재(71)와 상기 시트 부재(71)의 상부에 장착되는 부직포(72) 및 상기 부직포(72)의 상부에 장착되는 글라스버블(74) 또는 실리카버블이 수용된 도료(7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시트층(70)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시트 부재(71), 부직포(72), 글라스버블(74) 또는 실리카버블이 수용된 도료(73)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시트층(70)은 접합층(30) 및 단열층(40)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캡슐형태로 형성되는 글라스버블(74) 또는 실리카버블을 통해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 및 6의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접합층(30)과 단열층(40)이 일체형 시트층(70)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시트층(70)은 고정 부재(71a), 하부단열 부재(72a), 히팅 부재(73a), 상부단열 부재(74a), 측정구(75a), 부직포(76a), 단열층부(77a), 코팅재(78a), 히팅 제어기(79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시트층(70)은 방수층(20)의 상부 방향으로 고정 부재(71a), 하부단열 부재(72a), 히팅 부재(73a), 상부단열 부재(74a), 측정구(75a), 부직포(76a), 단열층부(77a), 코팅재(78a), 히팅 제어기(79a)를 순차적으로 장착하여,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면서도 온도 차이에 대한 변형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 부재(71a)는 방수층(20)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71a)는 방수층(20)의 상부에 용이하게 장착하면서도 보관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71a)의 크기와 두께는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변경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하부단열 부재(72a)는 고정 부재(71a)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단열 부재(72a)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하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부 장착홈(72a-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단열 부재(72a)는 고정 부재(71a)의 상부에 장착되어 열의 이동을 차단하면서도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하부 장착홈(72a-1)에는 측정구(75a)의 상부가 장착된다.
상기 히팅 부재(73a)는 하부단열 부재(72a)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부재(73a)는 소정의 크기 및 두께를 가지며, 상기 하부 장착홈(72a-1)과 대응하는 위치에 히팅 장착공(73a-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히팅 코일(73a-2)이 장착된다.
즉, 상기 히팅 부재(73a)는 측정구(75a)를 통한 상·하부단열 부재(72a, 74a)의 온도 측정 후 상기 히팅 제어기(79a)의 전달신호에 따라 히팅 코일(73a-2)을 작동시켜 상·하부단열 부재(72a, 74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보충설명하면, 상기 히팅 부재(73a)는 온도차이가 심한 겨울철에 상·하부단열 부재(72a, 74a)에 열을 제공하여 온도차를 최소화시켜 복합 방수 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는 히팅 부재(73a)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는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며 상부에는 상기 하부 장착홈(72a-1) 및 히팅 장착공(73a-1)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장착홈(74a-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는 히팅 부재(73)의 상부에 장착되어 열의 이동을 차단하면서도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며, 상기 상부 장착홈(74a-1)에는 측정구(75a)의 하부가 장착된다.
상기 측정구(75a)는 하부 장착홈(72a-1)과 히팅 장착공(73a-1) 및 상부 장착홈(74a-1)에 장착된다.
즉, 상기 측정구(75a)는 동일선상에 위치한 하부 장착홈(72a-1)과 히팅 장착공(73a-1) 및 상부 장착홈(74a-1)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단열 부재(72a)의 온도와 상부단열 부재(74a)의 온도를 측정한 후 히팅 제어기(79a)에 측정 값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구(75a)는 상하부에 센서 장착홈(75a-2)이 형성되는 측정 고정구(75a-1)와 상기 측정 고정구(75a-1)의 센서 장착홈(75a-2)에 각각 장착되고 단열 부재(72a, 74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75a-3) 및 상기 측정 고정구(75a-1)와 온도감지센서(75a-3)를 고정하고 상·하부 끝단의 외주면에는 하부 장착홈(72a-1)과 상부 장착홈(74a-2)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75a-5)가 형성되는 측정 커버(75a-4)로 구성된다.
즉, 측정구(75a)는 측정 고정구(75a-1)의 센서 장착홈(75a-2)에 온도감지센서(75a-3)를 장착한 후 상기 측정 고정구(75a-1)와 온도감지센서(75a-3)를 측정 커버(75a-4)를 통해 고정하게 된다.
상기 부직포(76a)는 상부단열 부재(74a)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76)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단열층부(77a)는 부직포(76a)의 상부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층부(77a)는 상부에서 전술한 단열층(40)과 대응하게 에어로젤(77a-1)이 포함된 도료(77a-2)로 형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코팅재(78a)는 단열층부(77a)의 상부에 코팅된다.
여기서, 상기 코팅재(78a)는 제조가 완료된 단열층부(77a)의 상부에 코팅된 후 상기 단열층부(77a)의 장착시 함께 부직포(76a)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히팅 제어기(79a)는 일 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 제어기(79a)는 상기 측정구(75a)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온도를 바탕으로 히팅 부재(73a)의 히팅 코일(73a-2)의 온도를 제어하여 온도차에 따른 복합 방수 구조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층(20)과 고정 부재(71a)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7 및 8과 같이 진동흡수수단(8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층(20)과 고정 부재(71a)의 사이에 진동흡수수단(80)을 장착하여,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수단(80)은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 지지구(81), 박스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부 지지구(8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 지지구(82), 상기 상부 지지구(81)와 하부 지지구(82)의 사이의 가장자리를 연결 및 고정하는 자바라 형상의 연결 부재(83), 상기 상·하부 지지판(81, 8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 스프링(84), 상기 원형 스프링(84)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판 스프링(8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진동흡수수단(80)은 상·하부 지지구(81, 82)의 사이에 장착되는 원형 스프링(84)과 판 스프링(85)을 통해 상, 하부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층(20)과 고정 부재(71a)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도시된 도 7 및 8과 같이 진동흡수수단(80)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와 부직포(76a)의 사이에 도시된 도 9 및 10과 같이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에어튜브수단(9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수층(20)과 고정 부재(71a) 및 상기 상부단열 부재(74a)와 부직포(76a)의 사이에 진동흡수수단(80)과 에어튜브수단(90)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동흡수수단(80)은 도시된 도 7 및 8의 진동흡수수단(80)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튜브수단(9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밀착방지돌기(92)가 형성되는 튜브 본체(91) 및 상기 튜브 본체(91)의 수용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구 형상의 완충부재(9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에어튜브수단(90)은 튜브 본체(91)의 외면에 형성되는 밀착방지돌기(92)를 통해 이웃하는 튜브 본체(91)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튜브 본체(91)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완충부재(93)를 탄성을 통해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키면서 용이하게 원상복귀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10)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평탄하게 다듬어 바탕조정하며, 표면에 균열이 있거나 파손된 부분이 있으면 V커팅 또는 연마한 후 실링제를 이용하여 충진함으로써 구조물(10)의 표면을 정리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20)을 형성한 후, 상기 방수층(20)의 표면에 시트를 공급하여 단열층(40)과 용이하게 접합하면서도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접합층(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합층(30)의 표면에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단열층(40)을 형성한 후, 상기 단열층(40)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마감층(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마감층(50)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탑코팅층(60)을 형성하면,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을 통해 복합 단열 방수는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복합 단열 방수 공법은 단열성이 있는 에어로젤이 구비된 단열도막층을 이용하여 방수 및 차열과 단열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10 : 전처리단계 S120 : 방수층 형성단계
S130 : 접합층 형성단계 S140 : 단열층 형성단계
S150 : 마감층 형성단계 S160 : 탑코팅층 형성단계
10 : 구조물 20 : 방수층
30 : 접합층 40 : 단열층
42 : 코팅층 50 : 마감층
60 : 탑코팅층 70 : 시트층

Claims (6)

  1.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단열 및 방수 공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을 세척하고 표면을 조정하여 시공을 준비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건축물의 바닥 또는 바닥과 벽체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방수층의 상부에 시트를 부착하여 접합층을 형성하는 접합층 형성단계;
    상기 접합층의 표면에 에어로젤을 포함하는 도료를 도포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열층 형성단계;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하여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층 형성단계; 및
    상기 마감층의 표면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탑코팅층을 형성하는 탑코팅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합층과 단열층은 일체형 시트층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층은,
    방수층의 상부에 장착되고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복수의 하부 장착홈이 형성되는 시트 형상의 하부단열 부재;
    상기 하부단열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 장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히팅 장착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히팅 코일이 장착되는 시트 형상의 히팅 부재;
    상기 히팅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 장착홈 및 히팅 장착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장착홈이 형성되는 상부단열 부재;
    상기 하부 장착홈과 히팅 장착공 및 상부 장착홈에 장착되고, 상하부에 센서 장착홈이 형성되는 측정 고정구와 상기 측정 고정구의 센서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고 단열 부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측정 고정구와 온도감지센서를 고정하고 상·하부 끝단의 외주면에는 하부 장착홈과 상부 장착홈에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측정 커버를 포함하는 측정구;
    상기 상부단열 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시트형상의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상부에 장착되고 에어로젤이 포함된 도료로 형성되는 단열층부;
    상기 단열층부의 상부에 코팅되는 코팅재; 및
    상기 측정구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온도를 바탕으로 히팅 부재의 히팅 코일의 온도를 제어하는 히팅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 도료를 접합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설정된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단열층을 구성하는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는 코팅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를 혼합하여 시트 형상으로 단열층을 형성한 후 접합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단열층을 구성하는 에어로젤과 수용성 수지의 혼합물에 화이바 섬유 또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면에는 코팅층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과 고정 부재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진동흡수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단열 부재와 부직포의 사이에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에어튜브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진동흡수수단은 박스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 지지구; 박스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상부 지지구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 지지구; 상기 상부 지지구와 하부 지지구의 사이의 가장자리를 연결 및 고정하는 자바라 형상의 연결 부재; 상기 상·하부 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원형 스프링; 및 상기 원형 스프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튜브수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밀착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튜브 본체; 및 상기 튜브 본체의 수용공간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구 형상의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20190023918A 2019-02-28 2019-02-28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200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18A KR102002008B1 (ko) 2019-02-28 2019-02-28 복합 단열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18A KR102002008B1 (ko) 2019-02-28 2019-02-28 복합 단열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008B1 true KR102002008B1 (ko) 2019-07-22

Family

ID=6746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18A KR102002008B1 (ko) 2019-02-28 2019-02-28 복합 단열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0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74B1 (ko) * 2020-11-24 2021-10-15 (주)녹십자이엠 에어로젤을 이용한 냉실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65484A (ko) *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WO2023202698A1 (zh) * 2022-04-22 2023-10-26 中科润资(重庆)气凝胶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火电热建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447A (ko) * 2005-01-24 2006-07-27 강남화성 (주)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4206B1 (ko) 2009-09-23 2010-02-24 도은건설 (주) 방수,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81739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20150114811A (ko) 2014-04-02 2015-10-13 홍순오 복합 에어로겔이 포함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447A (ko) * 2005-01-24 2006-07-27 강남화성 (주)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4206B1 (ko) 2009-09-23 2010-02-24 도은건설 (주) 방수, 차열 및 단열 성능이 뛰어난 단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81739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20150114811A (ko) 2014-04-02 2015-10-13 홍순오 복합 에어로겔이 포함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374B1 (ko) * 2020-11-24 2021-10-15 (주)녹십자이엠 에어로젤을 이용한 냉실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65484A (ko) * 2021-06-08 2022-12-15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2572019B1 (ko) * 2021-06-08 2023-08-31 왕미정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WO2023202698A1 (zh) * 2022-04-22 2023-10-26 中科润资(重庆)气凝胶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火电热建材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008B1 (ko) 복합 단열 방수 공법
RU2451147C2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остеклени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50072727A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CN112227755A (zh) 一种旧屋面防水修缮结构及方法
KR20140085017A (ko) 결로방지를 위한 발코니 난간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발코니 난간 콘크리트 벽체용 단열시트
KR101566591B1 (ko) 창틀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 보강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보강시트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1431012B1 (ko) 무기 발포 판재를 이용한 내단열 밀착 시공방법
KR100587125B1 (ko) 방수 단열 피복재료 조성물
KR102261864B1 (ko) 수용성 아크릴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40079745A (ko) 이미지 인쇄층이 형성된 내외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결로 방지 단열 시공방법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20180042604A (ko) 옥상 구조물의 복합 방수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0597579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KR20140085020A (ko) 건축물의 내단열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복합기능 단열재
KR101377250B1 (ko)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RU117468U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утепления "теплолинк" для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101710598B1 (ko)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TWI539067B (zh) 外牆防水施作方法
KR101432938B1 (ko) 함침홀 타공 부직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복합방수층 시공방법
KR102017088B1 (ko) 초단열 시공방법 및 그 단열구조
KR100903208B1 (ko)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3중층 바탕조정 시트 및 다공성재질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단열 복합 방수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2626783B1 (ko) 단열방수 기능을 갖춘 건축물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3449608U (zh) 一种旧屋面防水修缮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