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739A -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739A
KR20110081739A KR1020100044932A KR20100044932A KR20110081739A KR 20110081739 A KR20110081739 A KR 20110081739A KR 1020100044932 A KR1020100044932 A KR 1020100044932A KR 20100044932 A KR20100044932 A KR 20100044932A KR 20110081739 A KR20110081739 A KR 20110081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sheet
waterproof
waterproof coating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2875B1 (ko
Inventor
고진수
김진영
한경희
임재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Publication of KR2011008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상에 형성되는 프리이머층;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외부와 단열하는 베이스 시트층;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상기 베이스 시트층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방수층;을 포함하는 방수 도막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부 방수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표면 코딩막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A sheet wasteproof layer and A method of 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시트층의 공극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을 원활히 소통시켜 방수 도막에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빛 차단 및 단열 기능을 가지는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옥상이나 지붕 등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 공사를 하게 되는데, 건축물의 옥상에 사용되는 방수 재료는 시트형과 액상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방수 재료로 시트형을 이용한 시트 공법은 공장에서 일정형상으로 성형한 시트를 현장에 반입하여 이를 일정 간격으로 깔고 시트와 시트를 이음 작업으로 연결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이, 시공상 편의로 일정 규격의 방수 시트를 바탕면에 펼쳐 설치하는 시트 방수 공사가 널리 채택되고 있다. 방수 시트는 구성되는 주요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PVC 등 합성고분자계 방수 시트는 그 중 하나이다. 합성고분자계 방수용 시트는 신장률이 크기 때문에 건축물 모체의 균열 또는 거동에 대한 추종성 및 순응성이 양호하고 내후성, 내열성 등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통상 시트 방수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트 공법은 일정한 도막 두께가 확보되고 경화 및 양생 기간을 줄여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이 있으나, 시트의 이음부의 시공이 정밀하지 않을 경우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방수 재료로 액상형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는 주로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2액형의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데 시트 방수와 같이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고 일체형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현장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교반하여 도포하기 때문에 기상 조건이나 콘크리트의 바탕 조건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유기계 도막 재료는 콘크리트 표면습도가 5%이하인 상태에서 시공해야 하는데, 표면습도 5%가 되기 위해서는 상온 20~25℃에서 20여일 건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데 연중 이러한 최적의 환경이 구현되는 기간이 많지 않다.
한편, 건축물의 옥상이 평지붕 구조로 된 경우는 대부분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하거나 우레탄으로 도막 방수를 한다. 아스팔트 방수층은 자외선에 약하고 온도 변화에 유동적이지 못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보호 누름 콘크리트를 설치하는데 비노출 공법의 경우 준공 후 방수층의 유지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노출 부위는 우레탄 도막 방수제를 사용하는데 콘크리트 바탕 조건에 따라 품질에 차이가 크며 특히,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이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방수층을 부풀게 하는 등의 결함이 있다.
건물의 옥상은 외기에 직접 면하고 있어 직사 일광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이 열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냉난방부하가 상승하는 등 열손실 크고 CO2 가스 배출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도심의 녹지 공간이 축소되고 아스팔트 도로와 콘크리트 구조물이 고밀도로 형성되어 도심지로 갈수록 기온이 상승하고, 외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이상 기온 현상, 즉,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과거에 비해 대기 온도가 점차 상승하여 여름철 전력 소비가 급증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열섬 현상의 원인은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등 각종 인공 시설물이 빛을 흡수하는 용량이 높고 흡수한 빛을 적외선 방사의 형태로 외부로 발산하여 대기의 온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반면 녹지 공간은 태양열을 흡수해 대기의 기온을 하강시킴은 물론, 그늘을 만들고 수분을 증발시켜 태양 에너지로 부터 지표면이 가열되는 것을 막아 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열섬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옥상녹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건물의 옥상을 녹화하는 경우 하계 정오의 옥상표면온도가 약 30℃낮았고, 녹화된 건물의 아래층 실온이 2℃정도 낮았다는 결과도 있어 열섬 현상의 가장 큰 문제인 열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옥상 녹화는 식재로 인해 추가되는 하중을 보강하기 위한 비용, 식재를 위한 녹화 공사비 그리고 식재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앞서 설명한 종래의 방수 시트는 시방서에 개시되는 방수 성능만 갖추고 있을 뿐, 빛 반사 및 단열 성능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의 방수 시트를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한 건물은 햇빛 또는 외기의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여름이나 낯에는 건물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이나 밤에는 건물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게 된다. 이는 결국 에너지 사용량 및 CO2 가스 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므로 세계적인 기조인 친환경 및 녹색 성장 등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및 빛 차단 기능을 가지는 방수 시트 및 방수 시트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시트층의 공극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을 원활히 소통시켜 방수 도막에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시트와 도막을 동일한 재료로 시공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은, 콘크리트 상에 형성되는 프리이머층;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외부와 단열하는 베이스 시트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상기 베이스 시트층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방수층;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아크릴 수지 및 상기 단열이 가능한 무기질 기포가 분산된 용액에 시트를 함침하여 형성한 복수의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1.0 mm의 두께, 2,000 mm의 폭, 10m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방수층은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액상의 아크릴은 65%의 고형분이며, 1,6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도막은, 상기 상부 방수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표면 코딩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딩막은 나도 입자를 가지는 금속 분말 및 중공형의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코딩막은 상기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차열 코팅제는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65% 이상의 고형분이며, 1,6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이머층과 상기 베이스 시트층 사이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방수층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상에 프리이머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밀착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부와 단열하는 베이스 시트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트층 상에 상기 베이스 시트층과 같은 재료로 상부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아크릴 수지 및 상기 단열이 가능한 무기질 기포가 분산된 용액에 시트를 함침하여 형성한 복수의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1.0 mm의 두께, 2,000 mm의 폭, 10m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방수층은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액상의 아크릴은 65%의 고형분이며, 1,6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은 상기 상부 방수층 상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코딩막은 나노 입자를 가지는 금속 분말 및 중공형의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차열 코팅제는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65% 이상의 고형분이고, 1,6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리이머층을 형성하는 과정 후, 상기 베이스 시트층을 형성하는 과정 전,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단열 및 빛 반사 성능이 우수하여 건물이 외기의 온도 등에 영향 받지 않는 단열층 및 반사층을 구비한 방수 도막을 제공한다. 둘째, 단열 성능과 빛 반사 성능을 갖추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냉/난방비를 절감하는 등 경제적인 방수 도막을 제공한다. 셋째, 방수 도막의 태양광 반사 효과로 인해 방수 도막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므로 도시의 열섬현상을 완화시키는 친환경적인 방수 도막을 제공한다. 넷째, 베이스 시트의 공극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이 원활히 소통되므로 방수 도막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다섯째, 베이스 시트와 도막이 동일한 재료 이므로 이질재료를 사용하는 복합 공법에 비하여 재료의 일체화가 확실하고 장기적인 내구성이 우수해 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상에 시공된 방수 도막의 단면이며, 도 1b는 방수 도막의 베이스 시트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수 도막이 시공된 난간을 포함하는 옥상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풀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상에 시공된 방수 도막의 단면이며, 도 1b는 방수 도막의 베이스 시트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은 콘크리트(100) 상에 프리이머층(200), 하부 방수층(300), 베이스 시트층(400), 상부 방수층(500) 및 표면 코딩막(600)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하부 방수층(300) 및 표면 코팅막(600)은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층(400)은 복수의 베이스 시트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그 연결 부위(접착면)는 이음부용 실링제(410)를 이용하여 접착한다.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가 포개어져 접착되는 접착면은 70mm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면을 도 1b에 도시하였다.
베이스 시트층(400)을 구성하는 각 베이스 시트는 1.0 mm의 두께로 형성되며, 하나의 베이스 시트는 폭 2,000 mm이며, 길이가 10m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 시트의 색상은 백색 또는 주홍색이 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층(400)을 구성하는 베이스 시트는 글레스버블, 지르코늄 및 퍼라이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어느 하나와 아크릴에멀젼과 함께 부직포(시트)에 함침 한다. 이때, 부직포, 즉, 시트는 유리 섬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직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은 아크릴 도료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아크릴 도료는 액상의 아크릴이며, 65%의 고형분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점도는 1,600 cps임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 도료는 백색 또는 밝은 회색을 이용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간을 접착하는 아크릴 실링제(410)는 2액형이며 초속경의 재료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 실링제는 70% 이상의 고형분이며, 그 점도는 700,000 cps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 색상은 아크릴 도료와 같은 색을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코딩막(600)을 형성하는 차열 코팅제는 액상의 아크릴이며, 일액형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65% 이상의 고형분을 가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재료의 점도는 1,600 cps임이 바람직하다.
표면 코딩막(600)은 빛의 반사 및 차열 코팅 처리를 위한 것이며, 이러한 표면 코딩막(600)은 입사되는 햇빛을 반사하여 햇빛으로 인한 방수 도막의 기온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표면 코딩막(600)은 금속 분말 및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금속 분말은 나노 입자임이 바람직하며, 아크릴계 수지는 중공형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표면 코딩막(600)의 조성물은 근적외선을 흡수하고 열을 차단하는 피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은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을 구비하며,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은 아크릴을 재료로 하며, 방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수 도막의 베이스 시트층(400)이 외기의 열로부터 단열하며, 표면 코딩막(600)이 외부의 빛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방수 도막은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과 베이스 시트층(400)이 동일한 재료이므로 열팽창 계수가 동일하다. 이에 따라, 기온 변화에도 베이스 시트층(400) 및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이 일체되어 베이스 시트층(400)과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과의 접착이 우수하여 부풀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솔벤트 사용이 없는 수성의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고, 단열 및 빛 반사 성능이 우수하여 지구 온난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다. 방수 도막 시공시, 바탕 처리가 필요 없으며, 일반 도막 방수 공법에 비해 도막 두께의 확보가 용이하다.
도 2a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수 도막이 시공된 난간(파라펫)을 포함하는 옥상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옥상의 난간의 상태가 일반적인 경우의 방수 도막의 단면이며, 도 2b는 옥상의 난간의 상태가 옥상의 난간이 노후되어 상태가 평탄하지 않거나 부식이 많이 진행된 경우의 방수 도막의 단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옥상의 상면 및 난간을 이루는 콘크리트(100) 상에 프리이머층(200), 하부 방수층(300), 베이스 시트층(400), 상부 방수층(500) 및 표면 코딩막(600)이 순차로 적층된 방수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구조인 방수 도막 하부 방수층(300)은 선택적 구성이며, 하부 방수층(300) 및 표면 코딩(600)은 도시되지 않았다. 특히, 프리이머층(200)상에 접착제(210)를 도포하여 프리이머층(200) 및 베이스 시트층(400)을 접착한다.
도 2b와 같이 옥상의 난간이 노후되어 상태가 평탄하지 않거나 부식이 많이 진행되어 보강이 필요하면, 옥상의 상면 및 난간을 이루는 콘크리트(100) 상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도막을 형성하기 전, 테이프 실링(203), 부정형 실링(205) 및 누름 철물(207)을 이용하여 그 상태를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치켜 올림부에 테이프 실링(203)을 부착하며, 치켜 올림부의 높이는 150 mm 이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정형 실링(205)을 이용하여 난간의 평탄하지 못한 부분을 보상한다. 또한, 치켜 올림부 또는 감아 내림부의 끝부분은 누름 철물(207)로 고정한다.
도 3,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풀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기성이란 기체가 통과한다는 의미로 통기성이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방수 도막(10)을 우레탄수지를 사용하는 도막 방수 공법을 이용하여 시공한 경우, 콘크리트(100)와 방수 도막(10) 계면의 수막/부풀음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최근 도막 방수 공사의 하자 원인으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방수 도막(10) 표면이 햇빛을 받으면 표면 온도가 약 60∼80 ℃까지 상승하여 이 열이 바닥의 콘크리트(100)에 전달된다. 방수 도막(10) 내부의 콘크리트(100)로 전달된 열은 콘크리트(100) 내부의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 및 습기의 분자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그 공기 및 습기의 부피를 팽창하게 한다. 일상적으로 옥상 층의 표면 온도가 60 ℃까지 상승하면 방수 도막(10) 내부의 콘크리트(100) 온도도 약 40 ℃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방수 도막(10)과 콘크리트(100) 계면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약 10 kPa이 된다. 또한 일몰 후 상온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압력은 약 1∼2 kPa이 된다. 즉, 하루 평균 10 kPa 미만의 압력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되는 압력이 계면 접착이 약한 부위에 집중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도막(10) 부풀음이 발생할 수 있다.
방수 재료의 접착 강도는 약 800∼1,000 kPa 이상을 기준으로 하여 시공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수 도막(10)과 콘크리트(100)사이에서는 온도차에 의해 약 10 kPa의 압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에 따라 콘크리트(100)에서 발생한 증기압이 방수 도막(10)의 부풀음을 발생하게 한다. 또한 계면에 물이 침투하여, 콘크리트(100)의 상면에 수분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도 수분의 증기압에 의해서 방수 도막(10)에 부풀음 현상이 나타난다. 콘크리트(100) 상면이 건조 되었다 하여도 콘크리트(100) 내부에 함유 된 수분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증기압 형태로 발생되어 부풀음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는 공극을 통해 통기성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의 방수 도막(10)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부풀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부직포에 아크릴과 기포를 함침하여 형성된 베이스 시트의 100배 및 300배 확대한 상세 사진을 개시하였다. 개시된 바와 같이, 함침된 공간 내에 50~300 ㎛ 크기의 공극이 발생한다. 이 공극을 통해 기체가 통과하므로 상술한 부풀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시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S501 단계에서 시트(부직포)를 아크릴 수지와 단열이 가능한 무기질 기포가 분산된 용액에 함침하고 로울러(601)를 통과시켜 압착한다. 이러한 함침 공정을 도 7a에 도시하였다.
그런 다음, S503 단계에서 압착한 결과물을 가열하여 건조한다. 이때, 결과물을 가열롤(603)을 통과시켜 건조하며, 가열롤(603)의 온도는 최대 27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시 표면이 경화되어 만져도 되도록 지촉 건조 수준 이상으로 건조한다.
이어서, S505 단계에서 건조된 결과물을 환풍기(605)를 통해 열풍 건조한다. 열풍 건조는 30초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열풍 건조는 지촉 건조 후 미진한 건조를 완전히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열풍 건조 공정을 도 7b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S507 단계에서 상온에서 냉각하여 베이스 시트를 완성한다. 도 7c는 완성된 베이스 시트를 보인다.
방수 도막에 상술한 바와 같은 베이스 시트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층(400)을 형성하면, 첫째, 시공시 콘크리트에 대한 바탕 처리를 생략할 수 있으며, 둘째, 방수 도막의 통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셋째, 방수 도막의 단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시트는 단열, 방수 및 통기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방수 공사를 시행할 옥상의 콘크리트(100) 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바탕 청소를 시행한다. 바탕 청소가 시행된 예를 도 9a에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S803 단계에서 옥상 콘크리트(100) 상면에 프리이머를 도포하여 프리이머층(200)을 형성한다. 콘크리트(100) 상에 프리이머층(200)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 9b에 도시하였다. 이어서, S805 단계에서 치켜올림부, 코너부, 돌출물 부변에 방수제를 도포한다. 그런 다음, S807 단계에서 벽면 또는 치켜올림부에 시트를 부착한다. S805 및 S807 단계는 현장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809 단계에서 프리이머층(200) 상에 접착제(210)를 도포한다. 접착제(210)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먼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접착제(210)를 담은 용기를 3 내지 4 cm 간격으로 뚫는다. 그런 다음, 접착제(210)가 바닥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뿌리거나,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에 실어 끌고 다닌다. 이어서, 도 9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로 접착제(210)를 고르게 도포한다.
접착제(210)가 도포되면, S811 단계에서 접착제(210)의 점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높아질때까지 대기한다. 즉, 도 9j와 같이, 접착제(210)의 점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는 시점까지 기다린 후, S813 단계에서 도 9k와 같이 베이스 시트를 접착제(210) 상에 부착한다.
즉,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면적과 하나의 베이스 시트의 면적을 고려하여, 베이스 시트를 부착하는 S809 내지 S813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베이스 시트가 여러 번 나누어 부착된 베이스 시트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시트의 가장 자리 부분은 베이스 시트간 포개어져 접착되는 접착면이 있으며, S815 단계에서 이러한 접착면을 디스크로 고정한다. 또한, 디스크로 고정하는 위치는 베이스 시트의 수축 및 풍압에 대비하여 그 공정 부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9m에 시트의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디스크를 설치하는 공정이 도시되었다.
그런 다음, S817 단계에서 베이스 시트층(400)을 로울러로 눌러 그 하부와 밀착시킨다. 도 9n에 로울러를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층(400)을 그 하부와 밀착시키는 공정이 도시되었다.
이어서, S819 단계에서 아크릴 도료를 도포하여 베이스 시트층(400) 상에 상부 방수층(500)을 형성한다. 도 9o에 베이스 시트층(400) 상에 상부 방수층(500)을 형성하는 공정이 도시되었다. 그런 다음, S821 단계에서 상부 방수층(500)을 코팅하여 표면 코딩막(600)을 형성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도 9p에 표면 코딩막(600)을 형성하는 고정을 도시하였으며, 도 9q에 시공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기의 열을 단열하는 단열층인 베이스 시트층(400)과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층인 표면 코딩막(600)을 구비한 방수 도막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도막을 시공하면 단열 성능과 빛 반사 성능을 갖추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우수하여 냉난방비를 절감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표면 코딩막(600)이 태양광을 반사함으로써 방수 도막의 표면 온도가 낮아지므로 도시의 열섬 현상을 완화시키는 친환경적인 방수 도막을 제공한다. 게다가, 베이스 시트층(400)의 공극을 통해 콘크리트(10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압이 원할히 소통되므로 부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시트층(400)과 상부 및 하부 방수층(300, 500)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므로, 이질 재료를 사용하는 복합 공법에 비하여 장기적으로 방수 도막의 내구성이 우수해 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코팅막(600)을 형성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콘크리트 200 : 프리이머층
300 : 하부 방수층 400 : 베이스 시트층
500 : 상부 방수층 600 : 표면 코딩막

Claims (16)

  1. 콘크리트 상에 형성되는 프리이머층;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형성되어 외부와 단열하는 베이스 시트층;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상기 베이스 시트층과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상부 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아크릴 수지 및 상기 단열이 가능한 무기질 기포가 분산된 용액에 시트를 함침하여 형성한 복수의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1.0 mm의 두께, 2,000 mm의 폭, 10m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층은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액상의 아크릴은 65%의 고형분이며, 1,60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표면 코딩막;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딩막은
    나도 입자를 가지는 금속 분말 및 중공형의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딩막은
    상기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차열 코팅제는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65% 이상의 고형분이며, 1,6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이머층과 상기 베이스 시트층 사이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방수층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9. 콘크리트 상에 프리이머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밀착되도록 접착제를 이용하여 외부와 단열하는 베이스 시트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베이스 시트층 상에 상기 베이스 시트층과 같은 재료로 상부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층은
    아크릴 수지 및 상기 단열이 가능한 무기질 기포가 분산된 용액에 시트를 함침하여 형성한 복수의 베이스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는
    1.0 mm의 두께, 2,000 mm의 폭, 10m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층은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상기 액상의 아크릴은 65%의 고형분이며, 1,6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방수층 상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딩막은
    나노 입자를 가지는 금속 분말 및 중공형의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딩막을 형성하는 차열 코팅제는 액상의 아크릴을 이용하여 형성하며, 65% 이상의 고형분이고, 1,6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이머층을 형성하는 과정 후, 상기 베이스 시트층을 형성하는 과정 전,
    상기 프리이머층 상에 상기 상부 방수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하부 방수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1020100044932A 2010-01-08 2010-05-13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101222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2001 2010-01-08
KR1020100002001 2010-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739A true KR20110081739A (ko) 2011-07-14
KR101222875B1 KR101222875B1 (ko) 2013-02-15

Family

ID=4492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32A KR101222875B1 (ko) 2010-01-08 2010-05-13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8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86B1 (ko) * 2011-09-29 2012-04-13 (주)펜테크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KR101328679B1 (ko) * 2012-01-31 2013-11-1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혼합섬유직물을 이용한 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차열복합방수시트공법
KR102002008B1 (ko) * 2019-02-28 2019-07-22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2141416B1 (ko)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003B2 (ja) * 1987-08-29 1996-07-03 フジワラ化学株式会社 建物壁面外装用防水化粧シ―ト
KR100509702B1 (ko) * 2003-04-23 2005-08-31 주식회사 지케이엘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60085447A (ko) * 2005-01-24 2006-07-27 강남화성 (주)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8355B1 (ko) * 2007-09-13 2010-03-22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차열 및 방수 구조물, 차열 및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차열 및 방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86B1 (ko) * 2011-09-29 2012-04-13 (주)펜테크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KR101328679B1 (ko) * 2012-01-31 2013-11-1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혼합섬유직물을 이용한 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차열복합방수시트공법
KR102002008B1 (ko) * 2019-02-28 2019-07-22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복합 단열 방수 공법
KR102141416B1 (ko) 2019-03-19 2020-08-05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2875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열방수공법
US20060174546A1 (en) Joint structure for waterproof sheets
US20060254207A1 (en) Composite roof and wall system -- three in one -- fireproof,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KR101222875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2141416B1 (ko)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1423598B1 (ko) 점착식 부틸고무시트와 3중 알루미늄층을 이용한 복합 방수ㆍ방근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CN216616362U (zh) 一种气凝胶毡外墙外保温系统
Kumar et al. Advances in the building materials for thermal comfort and energy saving
KR102119478B1 (ko) 건물 옥상면 반사차열공법 및 상기 공법에 의한 반사차열 적층체
CN204506022U (zh) 一种屋面防水卷材
CN211764009U (zh) 一种维修用热塑性聚烯烃防水卷材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2447732B1 (ko) 스틸 방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으로 시공된 방수시스템
CN218292532U (zh) 一种大型屋面或正置式屋面女儿墙防水保温结构
CN218990689U (zh) 一种轻薄型防水反射隔热节能一体化系统
CN218814776U (zh) 屋顶隔热防渗水建筑施工装置
CN217680068U (zh) 一种新型平瓦屋面保温结构
CN205840174U (zh) 一种新型屋面防火隔离带
CN212802316U (zh) 一种水泥发泡板型防水保温屋面
CN109944347A (zh) 一种mcm饰面的建筑外墙构造
JP3729152B2 (ja) 防水工法、防水シート
CN214884893U (zh) 一种坡屋面用带保温层的复合金属瓦
CN220117607U (zh) 一种斜屋面保温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