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486B1 -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 Google Patents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486B1
KR101134486B1 KR1020110098815A KR20110098815A KR101134486B1 KR 101134486 B1 KR101134486 B1 KR 101134486B1 KR 1020110098815 A KR1020110098815 A KR 1020110098815A KR 20110098815 A KR20110098815 A KR 20110098815A KR 101134486 B1 KR101134486 B1 KR 10113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ing
waterproofing material
waterproof
fi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펜테크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테크, 김진수 filed Critical (주)펜테크
Priority to KR102011009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공법은,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상에 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시공면상에 기초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 위에, 제 1방수층을 형성하는 1차방수재 도포단계와; 상기 제 1방수층 상부에 섬유시트를 펼쳐 배치하는 섬유시트 적층단계와; 상기 섬유시트 적층단계에 의해 형성된 섬유시트층의 상부에 방수재를 가하되, 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섬유시트의 섬유조직 내부로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섬유시트에 방수재를 함침시키는 함침단계와; 상기 방수제가 함침된 상태의 섬유시트의 건조 후, 섬유시트 상부에 차열도료를 도포하여 섬유시트 상부에 차열층을 형성하는 차열층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에 의한 적층체는, 차열층을 방수층에 접목시킨 것으로서, 차열층이 방수층을 보호하고 방수층이 차열층을 보호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체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갈라지거나 들뜨는 등의 변형이 없어, 차열기능과 방수기능이 최상의 상태로 변함없이 유지된다.

Description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Complex method for constructing insulation and water proofing lamination and Complex lamination by the complex method}
본 발명은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각종 빌딩에서부터 개인주택은 물론 공장이나 축사 등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건축물에는 방수(防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방수는 방수재를 건축물의 지붕과 벽면에 도포하여 가령 빗물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가축 또는 기계 장비 등을 보호한다. 상기 방수재는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이나 벽면에 도포되어 방수층을 이루며 해당 부분을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방수층은, 단순히 방수재를 여러 번 도포한 것에 불과하므로 내구성이 좋지 않아, 온도변화와 풍화작용 등은 물론 건물 자체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함에 의해, 시공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쉽게 갈라지거나 들뜬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수층(17)이 적용된 건물(11)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방수층(17)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지붕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건물(11)의 지붕(13)에 방수층(17)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방수층(17)은 지붕재(15)의 표면에 접착되어 지붕재(15)를 대기와 격리시켜 지붕재(15)로 빗물이 스미지 않게 한다.
그런데 상기 지붕재(15)는 그 표면이 기하학적으로 완전히 평평하지 않고 (미시적으로 관찰할 때) 울퉁불퉁 하기 때문에, 지붕재(15)에 도포되어 있는 방수층(17)의 두께가 지붕의 각 지점마다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
가령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지붕재(15)의 오목한 부분(A부분)에 도포되어 있는 방수층은 두텁고, 볼록한 부분(B부분)에 도포되어 있는 방수층은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다. 이와같은 두께의 차이에 의해, 온도변화에 의한 방수층의 팽창과 수축정도가 부분적으로 달라, 결국 상대적으로 얇은 B부분이 쉽게 갈라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지구온난화에 의한 건축물의 냉방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근래 여러 가지 건축공법 및 자재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기 자재 중에는 차열도료도 포함된다.
상기 차열도료는, 콘크리트 외벽이나 건물 옥상, 창고, 공장, 양계장, 돈사, 우사 등의 축사지붕 등에 도포되어, 적외선을 차단하고 입사된 태양열을 반사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차열도료는 그 기능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자체의 내구성이 좋지 않아, 예컨대 도 2에 설명한 이유로 쉽게 갈라지거나 손상될 수 있다. 차열도료가 갈라지기 시작하면 얼마 후 너덜너덜 해지고 차열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차열층을 방수층에 접목시켜, 차열층이 방수층을 보호하고 방수층이 차열층을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체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갈라지거나 들뜨는 등의 변형이 없어, 차열기능과 방수기능이 최상의 상태로 변함없이 유지되게 하는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은,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상에 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시공면 표면의 지장물을 치우고 돌출부위를 제거하며 파인부분을 모르타르로 메워 평탄하게 정리하여 작업면을 확보하는 시공면정리단계와; 상기 시공면정리단계를 통해 확보된 시공면상에, 롤러를 이용해 기초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평활한 상면(上面)을 갖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를 통해 그 상면이 평활하게 형성된 프라이머층 위에, 수성 방수재를 도포하여 제 1방수층을 형성하는 1차방수재 도포단계와; 상기 1차방수재 도포단계에 의해 형성된 제 1방수층이 굳기 전에 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방수층 상부에 일정 폭 및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부직포로 제작된 섬유시트를 펼쳐 배치하되, 상기 섬유시트를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일측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와 이웃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겹쳐지게 배치하는 섬유시트 적층단계와; 상기 섬유시트 적층단계에 의해 형성된 인장섬유층의 상부에 수성 방수재를 가하되, 상기 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섬유시트의 섬유조직 내부로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섬유시트에 방수재를 함침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장섬유층의 상부에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지며 일정두께를 갖는 함침층을 형성하는 함침단계와; 상기 함침단계에 이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인장섬유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두께의 합침층 상부에 방수재를 다수회 도포하여 제 2방수층을 형성하는 2차방수재 도포단계와; 상기 2차방수재 도포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 2방수층의 상부에 차열도료를 다수회 도포하여 차열층을 형성하는 차열층형성단계와; 상기 차열층의 형성이 완료된 후, 차열층을 대기에 노출시켜, 대기중에 차열층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방수층을 이루는 방수재와, 섬유시트에 함침된 방수재와, 상기 인장섬유층 상부의 함침층을 이루는 방수재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수성 방수재로서, 희석비율은 방수재 100중량% 당 물 20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는,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상에 적층되어, 시공면을 방수하고 태양광을 반사하여 태양광의 열이 시공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공면상에 도포되어 평활한 상면(上面)을 제공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진 제 1방수층과; 상기 제 1방수층 상부에 배치되어 제 1방수층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계열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수의 섬유시트를 폭방향으로 배치하되, 일측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이웃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그 조직 내부에 방수재가 합침되어 있는 인장섬유층과; 상기 인장섬유층의 상부에 도포되되, 인장섬유층의 상부에 일정두께를 갖는 층을 이루는 함침층과; 상기 함침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진 제 2방수층과; 상기 제 2방수층 상부에 도포되며, 조사된 태양광을 반사하는 차열도료로 이루어진 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에 의한 적층체는, 차열층을 방수층에 접목시킨 것으로서, 차열층이 방수층을 보호하고 방수층이 차열층을 보호하게 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체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갈라지거나 들뜨는 등의 변형이 없어, 차열기능과 방수기능이 최상의 상태로 변함없이 유지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수층이 적용된 건물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방수층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방수 복합 적층제가 적용된 건물의 일 예로서 축사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가 옥상 슬라브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은,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에 적용되는 공법으로서, 시공면상에 방수층을 먼저 형성하고, 상기 방수층 위에 차열층을 적층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상기 방수층은 그 내부에 인장섬유층(도 4의 59)을 구비하므로 질기고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 갈라지거나 벌어질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방수층에 차열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차열층이 태양열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고, 차열층에 보호된 방수층이 차열층을 갈라지지 않게 지지하여 보호하는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 현저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견해에 기초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은,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71)를 시공할 시공면의 표면을 평탄하게 정리하여 최대한 평활한 작업면을 확보하는 시공면 정리단계(31)로 시작된다. 상기 시공면은 이를테면 축사의 지붕이나 건물 옥상의 시멘트면 또는 외벽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시공면 정리단계(31)는, 시공면상의 지장물을 치우고 돌출부위를 제거하며 파인부분은 모르타르로 메우는 과정이다.
상기 시공면 정리단계(31)가 완료된 후 프라이머 도포단계(33)가 이어진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33)는 시공면에 투명기초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상기 투명기초 프라이머는, 롤러를 이용하여 시공면상에 먼저 도포된 후, 그 위에 적층되는 제 1방수층을 시공면에 강력하게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33)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머층(도 4의 55)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므로, 시공면상의 울퉁불퉁한 부분을 받아들이고 평활한 상면을 제공한다.
이어지는 1차방수재 도포단계(35)는,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33)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도 4의 55) 위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제 1방수층(57)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수재는 그 자체가 접착력을 가지므로 상기 프라이머층(55)에 완벽히 밀착된다. 특히 상기 방수재는 물로 희석된 상태로 사용된다. 방수재의 희석 정도는 경우에 따라 달라지며 가령 방수재 100중량% 당 물 15중량% 내지 25중량%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1차방수재 도포단계(35)가 완료된 후, 제 1방수층(57)이 굳기 전에 섬유시트 적층단계(37)가 이어진다. 상기 섬유시트 적층단계(37)는 일정 폭 및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부직포를 상기 제 1방수층(57) 위에 펼쳐 배치함으로서 인장섬유층(도 4의 59)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인장섬유층(59)은 섬유시트(59a)로 이루어진 층인 것이다.
상기 섬유시트(59a)는 일정폭을 가지며 두루마리 형식으로 감겨진 부직포로서, 시공시 필요한 길이 만큼씩 풀려져 제 1방수층(57) 위에 깔린다. 특히 상기 섬유시트(59a)의 시공시 섬유시트(59a)를 나란하게 배치하되 섬유시트의 테두리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상기 섬유시트(59a)는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합성섬유 제품이므로, 제 1방수층(57)과 제 2방수층(63)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제 1,2방수층(57,63)이 균열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섬유시트(59a)의 적층이 완료되었다면 함침단계(39)를 수행한다. 상기 함침단계(39)는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방수재를 펴 발라 방수재의 일부 또는 거의 대부분이 섬유시트(59a)의 섬유조직 내부로 침투하게 하는 공정이다. 즉 방수재를 섬유시트(59a) 내부로 함침(含浸) 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함침은 롤러를 사용함이 효과적이다.
상기 함침단계(39)에 사용되는 방수재는 1차방수재 도포단계(35)에 사용된 방수재와 동일하다. 또한 함침에 투입되는 방수재의 양은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투입되는 방수재의 양이 충분해야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방수재로 이루어진 함침층(61)이 형성된다.
상기 함침단계(39)에 이어서 2차방수재 도포단계(41)가 수행된다. 2차방수재 도포단계(41)는, 함침층(61)의 건조 후 함침층(61) 상부에 방수재를 다수 회 도포하여 제 2방수층(6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때 사용되는 방수재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가령, 방수재 100중량% 당, 물을 20중량% 이하로 투입하여 희석한다.
상기 2차방수재 도포단계(41)의 완료 후 차열층 형성단계(43)가 이어진다. 상기 차열층 형성단계(43)는, 롤러를 이용하여 제 2방수층(63)의 상부에 차열도료를 1회 이상 도포하여 차열층(6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차열층(65)을 이루는 차열도료는, 태양광선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지붕(도 4의 53)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기능성 도료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태양광선을 반사하므로 자체의 온도가 높지 않아 차열층(65)의 수명이 길다. 차열층(65)의 수명이 길다는 의미는 차열층(65)에 커버되어 있는 방수층의 수명도 길다는 의미이다.
상기 차열층 형성단계(43)를 통해 차열층(65)의 적층이 완료되었다면 건조단계(45)를 통해 대기중에서 차열층(65)을 건조시키며 모든 공정을 마무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방수 복합 적층제(71)가 적용된 건물의 일 예로서, 가축이 거주하는 축사(51)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사(51)의 지붕(53) 표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71)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복합 적층체(71)는, 지붕재(15), 가령 슬레이트(slate)의 상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55)과, 상기 프라이머층(55)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는 제 1방수층(57), 인장섬유층(59), 함침층(61), 제 2방수층(63), 차열층(65)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열층(65)은 태양광선을 반사함으로써 지붕재(15) 하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축사 내부의 온도가 오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차열층(65)에 커버되어 있는 적층체는, 인장섬유층(59)을 내장하므로 차열층(65)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차열층(65)이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71)가 옥상 슬라브(69)에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옥상 슬라브(69)의 상면 및 벽체(67)의 내측면에 본 실시예의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71)가 적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적층체(71)는 절곡된 상태로 슬라브(69)와 벽체(67)를 동시에 커버하여 슬라브(69)와 벽체(67) 사이를 완벽히 밀폐한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71)는, 종래의 방수재를 여러 번 겹쳐 코팅하는 방법과 달리, 인장성이 강한 섬유시트(59a)를 내장하므로 균열이 발생할 염려가 없어 수명이 그만큼 길고 유지보수 필요 없이 차열과 방수능력이 오랜 시간동안 지속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건물 13:지붕
15:지붕재 17:방수층
51:축사 53:지붕
55:프라이머층 57:제 1방수층
59:인장섬유층 59a:섬유시트
61:함침층 63:제 2방수층
65:차열층 67:벽체
69:옥상 슬라브 71: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Claims (6)

  1.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상에 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서,
    상기 시공면 표면의 지장물을 치우고 돌출부위를 제거하며 파인부분을 모르타르로 메워 평탄하게 정리하여 작업면을 확보하는 시공면정리단계(31)와;
    상기 시공면정리단계(31)를 통해 확보된 시공면상에, 롤러를 이용해 기초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평활한 상면(上面)을 갖는 프라이머층(55)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33)와;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33)를 통해 그 상면이 평활하게 형성된 프라이머층(55) 위에, 수성 방수재를 도포하여 제 1방수층(57)을 형성하는 1차방수재 도포단계(35)와;
    상기 1차방수재 도포단계(35)에 의해 형성된 제 1방수층(57)이 굳기 전에 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방수층(57) 상부에 일정 폭 및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계열의 부직포로 제작된 섬유시트(59a)를 펼쳐 배치하되, 상기 섬유시트(59a)를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일측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와 이웃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겹쳐지게 배치하는 섬유시트 적층단계(37)와;
    상기 섬유시트 적층단계(37)에 의해 형성된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수성 방수재를 가하되, 상기 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섬유시트의 섬유조직 내부로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섬유시트(59a)에 방수재를 함침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지며 일정두께를 갖는 함침층(61)을 형성하는 함침단계(39)와;
    상기 함침단계(39)에 이어지는 단계로서, 상기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두께의 합침층(61) 상부에 방수재를 다수회 도포하여 제 2방수층(63)을 형성하는 2차방수재 도포단계(41)와;
    상기 2차방수재 도포단계(41)의 완료 후, 상기 제 2방수층(63)의 상부에 차열도료를 다수회 도포하여 차열층(65)을 형성하는 차열층형성단계(43)와;
    상기 차열층(65)의 형성이 완료된 후, 차열층(65)을 대기에 노출시켜, 대기중에 차열층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4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방수층(57)을 이루는 방수재와, 섬유시트(59a)에 함침된 방수재와, 상기 인장섬유층(59) 상부의 함침층(61)을 이루는 방수재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수성 방수재로서, 희석비율은 방수재 100중량% 당 물 20중량%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차열(遮熱)과 방수(防水)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공면상에 적층되어, 시공면을 방수하고 태양광을 반사하여 태양광의 열이 시공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시공면상에 도포되어 평활한 상면(上面)을 제공하는 프라이머층(55)과;
    상기 프라이머층(55)의 상부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진 제 1방수층(57)과;
    상기 제 1방수층(57) 상부에 배치되어 제 1방수층(57)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일정폭 및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계열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다수의 섬유시트(59a)를 폭방향으로 배치하되, 일측 섬유시트(59a)의 폭방향 단부가 이웃 섬유시트(59a)의 폭방향 단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그 조직 내부에 방수재가 합침되어 있는 인장섬유층(59)과;
    상기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도포되되, 인장섬유층(59)의 상부에 일정두께를 갖는 층을 이루는 함침층(61)과;
    상기 함침층(61)의 상부에 적층되는 아크릴계 수성 방수재로 이루어진 제 2방수층(63)과;
    상기 제 2방수층(63) 상부에 도포되며, 조사된 태양광을 반사하는 차열도료로 이루어진 차열층(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6. 삭제
KR1020110098815A 2011-09-29 2011-09-29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KR10113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15A KR101134486B1 (ko) 2011-09-29 2011-09-29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815A KR101134486B1 (ko) 2011-09-29 2011-09-29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486B1 true KR101134486B1 (ko) 2012-04-13

Family

ID=4614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815A KR101134486B1 (ko) 2011-09-29 2011-09-29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37A (ko) 2015-01-14 2016-07-22 변무원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KR102119478B1 (ko) * 2019-10-16 2020-06-05 (주)펜테크 건물 옥상면 반사차열공법 및 상기 공법에 의한 반사차열 적층체
KR102335819B1 (ko) * 2020-12-09 2021-12-06 신현덕 지붕방수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지붕방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004A (ko) * 2007-09-13 2009-03-1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차열 및 방수 구조물, 차열 및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차열 및 방수공법
KR20110081739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004A (ko) * 2007-09-13 2009-03-1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차열 및 방수 구조물, 차열 및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차열 및 방수공법
KR20110081739A (ko) * 2010-01-08 2011-07-14 주식회사 미람아이에프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37A (ko) 2015-01-14 2016-07-22 변무원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2015465B1 (ko) 2019-03-19 2019-08-28 주식회사 리가채움 박공지붕과 경사파라펫을 포함하는 복합시트형 방수단열공법
KR102119478B1 (ko) * 2019-10-16 2020-06-05 (주)펜테크 건물 옥상면 반사차열공법 및 상기 공법에 의한 반사차열 적층체
KR102335819B1 (ko) * 2020-12-09 2021-12-06 신현덕 지붕방수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지붕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86B1 (ko)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7538175A (ja) 多層被覆材
US9663952B2 (en) Web frame
RU2640834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реставра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EP2525016B1 (fr) Paroi exterieure de bâtiment en laine minerale dense
KR100949548B1 (ko) Pvc 단열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RU2604840C2 (ru) Лист,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ость стен и чердачных помещений зданий, а также изолирующие панели, подходящие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и насекомых
KR102119478B1 (ko) 건물 옥상면 반사차열공법 및 상기 공법에 의한 반사차열 적층체
JP2006063715A (ja) 屋上断熱防水構造
SK1892000A3 (en) Mineral fibre insulation
KR20200082848A (ko) 층간소음 저감 완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4238952B2 (ja) バルコニー、ベランダ等の防水層保護構造
JP5953231B2 (ja) 床用断熱材、床断熱構造及び床断熱構造の施工方法並びに床断熱パネル
KR102099728B1 (ko) 방수 타일
CN210530153U (zh) 一种辐射制冷建材
KR101146243B1 (ko) 열교현상 억제를 위한 개량형 생태건축용 단위패널과 이의 제작방법, 그리고 그 단위패널을 이용한 생태건축물
CN215166680U (zh) 一种防水隔热复合涂层
KR100924760B1 (ko) Pvc 복합방수시트와 그 제작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방법과 복합방수공법
KR102579979B1 (ko)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CN216340199U (zh) 一种保温隔音eps板
KR102615088B1 (ko) 비압착 장섬유 니들펀칭 부직포를 이용한 지붕 표면 굴곡부의 방수공법
KR102598358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35819B1 (ko) 지붕방수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지붕방수구조
SE512156C2 (sv) Bjälklagskonstruk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