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637A -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637A
KR20160087637A KR1020150006856A KR20150006856A KR20160087637A KR 20160087637 A KR20160087637 A KR 20160087637A KR 1020150006856 A KR1020150006856 A KR 1020150006856A KR 20150006856 A KR20150006856 A KR 20150006856A KR 20160087637 A KR20160087637 A KR 2016008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on
resistant
concrete
coating layer
fi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15000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7637A/ko
Publication of KR2016008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04B1/648Damp-proof courses obtained by injection or infiltration of water-proofing agents into an existing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면과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사이에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분출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기 테이프를 배설하여 습기에 의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이 들뜨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1)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점착되어 바닥면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연장되는 통기 테이프(3)와, 상기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1)의 전체에 걸쳐 부설되며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4)와, 상기 섬유시트에 도포되는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1)의 공극까지 침투되어 상기 섬유시트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Abrasion-Resistant Floor Which Enables an Exhaust of Mois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바닥면과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사이에 콘크리트의 바닥면에서 분출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기 테이프를 배설하여 습기에 의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이 들뜨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공된 각종 바닥 면에는 내약품성, 내수성, 내마모성, 청결 등을 유지하기 위하여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등의 도료로서 도막을 형성하는데, 이 중에서 에폭시계의 도료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폭시 도료는 크게 용제형과 무용제 형으로 나누어 구분되며, 시멘트 콘크리트 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상면에 도포하는 도료로서 우수한 접착력, 내화학성, 내수성, 내충격성 등이 유사한 여타의 도료에 비하여 성능이 월등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주차장, 병원, 공항, 백화점, 학교 등의 콘크리트 건물이 준공된 후에는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바닥면을 보호하면서도 외형적인 미감을 위해 에폭시계 바닥 도막을 시공하여, 수시로 출입하는 차량이나 사람들의 왕래시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 및 보행이 가능하면서도 빗물로부터 콘크리트 바닥면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에폭시계 바닥 도료는 수지성분, 경화제, 희석제, 기타 첨가제 등을 액상의 상태로 배합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도포한 후 일정시간 동안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완성되며, 여러 형태의 에폭시계 바닥 도료가 시중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액상으로 도포 경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도막은 통상적으로 1 내지 3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시공되는데, 상기 내마모성 도막의 공사비와 내구성은 그 도막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내마모성 도막은 차량의 바퀴의 회전과 같은 회전 마찰하중이 내마모성 도막의 표면을 조금씩 마모시키게 되므로 그 두께에 따라 내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도막의 두께 외에도 내마모성 도막의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도막의 균열문제이다.
즉, 내마모성 도막의 균열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된다.
첫째는 내마모성 도막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내마모성 도막은 일반적으로 내마모성과 압축강도 및 경도가 크고 신축성이 작아서 충격에 약한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바탕 면이 되는 콘크리트 바닥에 미세한 균열이 진행되면 바로 내마모성 도막의 균열로 이어진다. 도막의 균열이 진행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차량 바퀴의 회전과 같은 회전 마찰하중이 작용하면 도막의 균열 부분에서 내마모성 도막이 부분적으로 깨져 유실되기 시작하며, 결국에는 단기간에 전체적인 내마모성 도막의 훼손으로 발전한다.
둘째는 콘크리트 바닥면의 특성에서 비롯된다. 콘크리트는 타설 후, 양생 중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균열은 그 상부에 형성된 내마모성 도막의 균열로 이어진다.
셋째는 수분의 기화현상에서 비롯된다. 콘크리트 바닥면에는 임의의 장소에 물이 분출될 개연성이 있는데, 만약 물이 분출되면 이러한 수분은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시멘트, 자갈, 모래의 공극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한다. 계절의 변화로 온도가 상승할 때에는 기화현상으로 수분의 부피가 크게 팽창하며, 이와 같이 기화되어 팽창된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바닥면으로부터 내마모성 도막이 들뜨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 바퀴의 회전과 같은 회전 마찰하중이 작용하면 내마모성 도막이 깨지는 원인이 된다.
넷째는 건축물 지하 주차장의 경우, 건축물 주변의 지하수위가 지하 주차장의 콘크리트 바닥면보다 높은 경우에 발생되는 현상이다. 지하수위가 콘크리트 바닥면보다 높은 경우, 건축물의 주변에 흐르는 지하수가 콘크리트 바닥면을 통해 분출되어 콘크리트 바닥면의 가장 낮은 움푹한 부분에서 고이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고인 물은 주변의 지하수와 수분의 통로가 연결되는 것이므로 완전한 건조가 사실상 어렵다. 이러한 콘크리트 바닥면에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내마모성 바닥을 시공하는 경우, 원래 물이 고여있던 부분은 내마모성 도료의 확실한 건조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외견상 건조의 상태를 유지한다고 하여도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존재하여 내마모성 도막이 들뜨는 하자부분으로 남게 되므로 기존의 기술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내마모성 도막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려면, 도막의 두께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도막에 균열이 발생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며,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을 통해서 분출되는 수분의 처리를 원활히 하여 내마모성 도막이 부분적으로 깨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등록특허 10-1134486호에는 시공 면상에 도포되는 제 1 방수층 상부에 섬유시트를 펼쳐 배치하는 섬유시트 층의 상부에 방수재를 가하되, 방수재의 일부가 상기 섬유시트의 섬유조직 내부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섬유시트에 방수재를 함침시킨 후에 차열 방수층을 다시 형성하여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갈라지거나, 들뜨는 등의 변형이 없는 옥상방수층을 형성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옥상방수에 관한 것으로써 내마모성 바닥 도막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섬유시트에 도료(방수재)를 함침하여 섬유시트 도막 층을 형성하는 기술구성을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등록특허 10-0640073호는 건물옥상 표면과 방수층을 절연하고, 이음매 없는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여 방수층의 파손을 방지하고, 부풀어 오름 결함을 제거할 수 있는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 그 방수층 구조에 관한 기술로, 이러한 종래기술 역시 내마모성 바닥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콘크리트 바닥면의 균열이 도막의 균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개념으로 이 또한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34486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40073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써, 시공이 간편하며 공사비를 절감하고, 도막의 균열요인을 제거하여 전반적인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바닥면과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사이에 콘크리트 바닥면에서 분출된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기 테이프를 배설하여 습기에 의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이 들뜨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콘크리트 바닥면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되어 바닥면의 끝 부분인 벽면까지 연장되는 통기 테이프와,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의 전체에 걸쳐 부설되며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와, 상기 섬유시트에 도포되는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공극까지 침투되어 상기 섬유시트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1) 콘크리트 바닥면에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바닥면의 수분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예비공정; (2)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통기 테이프를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시켜 바닥면의 끝 부분인 벽면까지 연장하는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 (3)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를 상기 통기 테이프들이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 전체에 걸쳐 부설하는 섬유시트 부설공정; (4) 상기 섬유시트에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공극까지 침투시켜 상기 섬유시트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일체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섬유질 사이로 침투되는 상기 내마모성 도료가 상기 섬유시트와 일체화되어 내마모성과 인장력이 보강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을 형성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설되는 섬유시트에 내마모성 도료를 침적하여 상기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로 침투되어 섬유시트 및 콘크리트 바닥면과 일체화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은 회전마찰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하고 내마모성 도막의 균열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며, 상기 섬유시트의 하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되는 통기 테이프에 의해 콘크리트에서 분출된 습기가 기화되어 배출되는 통기 통로를 형성하여 습기의 기화로 인한 내마모성 도막의 들뜸현상을 방지하므로 내마모성 도막의 내구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2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섬유시트가 얹혀진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통기 테이프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바닥면에 균열이 발생된 상태에서도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은 갈라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각 층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습기가 기화되어 팽창될 때 통기 테이프로 인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통기 통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2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섬유시트가 얹혀진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통기 테이프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써, 본 발명의 내마모성 바닥은 콘크리트 바닥면(1)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의 불투과성(不透過性) 필름으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되어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연장되는 통기 테이프(3)와, 상기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1) 전체에 걸쳐 부설되며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4)와, 상기 섬유시트(4)에 도포되는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1)의 공극까지 침투되어 상기 섬유시트(4)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과,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상면에 다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면(1) 또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면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섬유시트(4)는 직 포, 부직포, 펠트(felt) 등과 같이 섬유 사로 만들어진 시트를 지칭한다.
상기 섬유시트(4)는 일반적으로 합성섬유로 만드는 것으로,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다.
이때, 상기 섬유시트(4)에 함침되는 내마모성 도료를 도 4와 같이 투명 도료로 하고, 섬유시트(4)의 표면에 주차선(7a), 중앙선(7b), 방향 지시선(7c), 장애인/여성 주차표시(7d)(7e) 등과 같은 기호와 문자 또는 다양한 도형이 표현되도록 제직하거나, 인쇄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7과 같이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표면에 색상을 가지는 기호, 문자, 도형 중 어느 하나거나, 이들이 조합된 문양(7)을 표현하고,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상면에는 투명한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을 더 형성하여 문양(7)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시공이 완료된 바닥에 별도의 문양을 나타내기 위한 페인팅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단축, 시공비 절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으며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섬유시트의 조직력에 의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에는 균열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핵심 기술 구성요소가 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과 통기 테이프(3)의 구성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닥 도료는 에폭시, 아크릴, 우레탄 등의 계열이 주로 사용된다. 그 중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가장 큰 것은 에폭시 계열이다. 이러한 이유로 에폭시 계열이 내마모성 바닥도료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내마모성 도막 층은 일반적으로 내마모성과 압축강도 그리고 경도가 크고 신축성이 작아서 충격에 약한 취성을 갖는다.
따라서 바탕 면이 되는 콘크리트 바닥의 미세한 균열이 진행되면 바로 내마모성 도막 층의 균열로 이어진다. 만약 도막 층에 균열이 진행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차량 바퀴의 회전과 같은 회전 마찰하중이 작용하면 도막 층의 균열 부분에서 내마모성 도막 층이 조각으로 깨져 유실되는 결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내마모성 도료와 섬유시트(4)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은 인장 강도가 커서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1)에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도막 층의 균열을 방지할 뿐 아니라 미세한 도막 층의 균열이 발생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차량의 바퀴회전에 의한 회전마찰하중이 작용하여도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섬유시트(4)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어 있어 조각으로 깨져 유실되는 현상을 억제하므로 내마모성 바닥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콘크리트는 타설 후, 양생 중 건조/수축에 의하여 콘크리트 바닥면(1)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도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을 구성하는 섬유시트(4)의 인장력으로 인해 곧바로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까지 균열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섬유시트의 하부에서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점착된 통기 테이프(3)는 섬유시트(4)의 섬유 틈새로 통과하는 내마모성 도료가 콘크리트 바닥면까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바닥면(1)에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일체화되지 않고 격리되는 통기 통로(9)를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연장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도 6에는 습기가 기화되어 팽창될 때 콘크리트 바닥면(1)에 점착되게 시공된 통기 테이프(3)로 인해 통기 통로(9)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통기 테이프(3)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미세한 틈새(통기 통로)를 유지하면서 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기 테이프(3)로 인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 통로(9)는 계절의 변화로 온도가 상승할 때에는 기화현상으로 습기의 부피가 크게 팽창하게 되므로 이러한 통기 통로(9)는 기화되어 팽창된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
즉, 수분으로부터 기화되어 팽창된 습기는 콘크리트 바닥면(1)에서부터 벽면(2)까지 연장된 통기 통로(9)를 따라 이동하여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습기로 인해 들뜨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습기의 기화현상도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들뜨고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바닥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종합하여 본 발명은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들뜨는 요인을 제거하는 것이며, 최소한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조각으로 깨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성질에 따라 섬유시트는 직 포, 부직포 또는 펠트 들 중에서 현장의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콘크리트 바닥면(1)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바닥면의 수분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예비공정을 거친다.(S100)
(2)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내마모성 도료가 통과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통기 테이프(3)를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시켜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연장하는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을 실시하게 된다.(S200)
(3)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4)를 상기 통기 테이프(3)들이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1)에 부설하는 섬유시트 부설공정을 실시하게 된다.(S300)
(4) 상기 섬유시트(4)에서 내마모성 도료를 충분히 부어 섬유시트(4)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1)의 공극(S)까지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섬유시트(4)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섬유질 사이로 침투되는 상기 내마모성 도료가 상기 섬유시트(4)와 일체화되어 내마모성과 인장력이 보강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을 형성하는 섬유질 도막 층 형성공정을 거친다.(S400)
(5)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상면에 다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을 형성하는 마감 도막 층 형성공정을 실시하게 된다.(S500)
이때, 필요에 따라 후공정으로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을 형성하지 않고 섬유 특유의 재질 감을 가지는 섬유시트(4)의 섬유 사이로 침투된 내마모성 도료의 경화에 따라 섬유시트(4)와 내마모성 도료가 일체화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만이 콘크리트 바닥면(1)에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된 통기 테이프(3)의 상면에 부설되어 접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섬유시트(4)에 충분한 양으로 부은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4)로 침투되어 경화되었을 때 공지된 샌딩기(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상면을 평탄하게 샌딩(sanding)함으로써, 달성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S200) 또는 섬유시트 부설공정(S300)을 실시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바닥면(1)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탕 도막(도시는 생략함)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의 도포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S600)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탕 도막을 형성하는 이유는 내마모성 도료와 콘크리트 바닥면(1)과의 접착력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예비공정(S100)은 섬유시트(4)를 부설하기 전에 콘크리트 바닥면(1)에 수행하는 공정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들과 수분이 콘크리트 바닥면(1)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후공정을 실시하면 내마모성 도료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이물질들을 제거하고 수분함유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하는 예비공정(S100)이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통기 테이프(3)의 점착공정(S200)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1)에 내마모성 도료가 통과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통기 테이프(3)를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시켜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연장하는 공정이다.
상기 통기 테이프(3)의 폭은 넓고, 설치 간격은 좁을수록 양호하나, 설치장소의 조건, 즉 분출되는 습기의 양 및 분출 개수에 따라 통기 테이프(3)의 폭 및 설치간격의 달리 설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통기 테이프(3)는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져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형성공정을 수행할 때, 도포되는 내마모성 도료가 통과되지 않도록 하여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장소는 콘크리트 바닥면(1)에 닿아 일체화되지 않으므로 습기가 통과되는 통기 통로(9)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에 포함되었던 수분이 기화되어 팽창하면, 습기가 바로 통기 테이프(3)의 하면에 형성되는 통기 통로(9)를 따라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으로 이동되어 하여 벽면(2)을 통해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습기의 팽창압력이 내마모성 도막 층이 들뜨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3은 지하수위가 콘크리트 바닥면(1)보다 높아 콘크리트 바닥면의 낮은 움푹한 부분(점선으로 표시한 부위)으로 습기가 분출되어 완전히 건조되지 않는 장소에도 본 발명의 통기 테이프(3) 점착공정이 유용하게 적용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습기가 분출되는 부위의 식별은 콘크리트 바닥면(1)을 건조시키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수분이 다시 분출되어 습기가 차므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건조공정이 완료된 후에 분출되는 습기가 통기 테이프(3)의 상부로 침출되지 않도록 덮개 통기 테이프(8)를 이용하여 습기가 분출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충분한 범위까지 덮고, 상기 덮개 통기 테이프(8)에서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통기 테이프(3)를 점착하여 연장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을 실시하여야 된다.
여기에서, 덮개 통기 테이프(8)는 습기가 분출되어 외부로 표출되는 전체보다 넓은 범위를 덮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덮개 통기 테이프(8)는 콘크리트 바닥면(1)의 상면으로 표출되는 습기의 상부에 부설되는 내마모성 섬유시트 부설공정(S400)에 의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이 습기에 의해 들뜨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공사가 완료된 후에 덮개 통기 테이프(8)의 하면에 발생된 습기가 기화현상으로 팽창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 통기 테이프(8)에 연결된 통기 테이프(3)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 통로(9)를 따라 콘크리트 바닥면(1)의 끝 부분인 벽면(2)까지 이동하여 대기 중으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내마모성 도막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비공정 후 또는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이 완료된 다음, 콘크리트 바닥면(1)의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탕 도막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공정을 더 시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시트(4)의 부설공정은 콘크리트 바닥면(1)의 전체에 걸쳐 직 포, 부직포, 펠트(felt) 등으로 되는 섬유시트를 부설하는 공정이다.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형성공정은 콘크리트 바닥면(1)에 부설된 섬유시트(4)의 상면에서 내마모성 도료를 충분히 도포하여(부어) 콘크리트 바닥면(1)까지 침투하도록 하는 공정으로, 섬유 사이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바닥면(1)까지 도달하는 내마모성 도료는 섬유시트(4)를 통과하여 콘크리트 바닥면(1)의 공극까지 치밀하게 침투하여 내마모성 도료와 섬유시트(4)가 콘크리트 바닥면(1)에 일체화되어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콘크리트 바닥면(1)에 부설된 섬유시트(4)의 상면에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만들어지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은 콘크리트 바닥면(1)과 섬유시트(4) 하면에 사이에 약간의 공극(S)이 존재한다고 하여도 투명도료가 그 공극을 자연스럽게 채워주므로, 간편한 작업으로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을 평탄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통기 테이프(3)가 점착된 장소는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못하므로 통기 통로(9)가 형성된다,
상기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의 형성공정은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5)의 상면에 다시 투명도료를 평탄하게 도포하여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6)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겸비하는 내마모성 바닥을 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콘크리트 바닥면 2 : 벽면
3 : 통기 테이프 4 : 섬유시트
5 :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 6 :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
8 : 덮개 통기 테이프 9 : 통기 통로

Claims (9)

  1. 콘크리트 바닥면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간격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 점착되어 바닥면의 끝 부분인 벽면까지 연장되는 통기 테이프와,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의 전체에 걸쳐 부설되며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와, 상기 섬유시트에 도포되는 내마모성 도료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공극까지 침투되어 상기 섬유시트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상면에 다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표면에 색상을 가지는 기호, 문자, 도형 중 어느 하나거나, 조합된 문양을 표현하고,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상면에는 투명한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도료를 투명 도료로 하고, 섬유시트의 표면에 각종의 색상을 가지는 기호, 문자, 도형 중 어느 하나거나, 조합되어 표현되는 문양이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도료는 에폭시 계열, 아크릴 계열, 우레탄 계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섬유시트는 직 포, 부직포, 펠트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7. (1) 콘크리트 바닥면에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고 바닥면의 수분 함유량이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예비공정; (2) 상기 콘크리트 바닥면에 내마모성 도료가 침투되지 않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는 불투과성 필름으로 만들어지는 통기 테이프를 소정의 간격으로 점착시켜 바닥면의 끝 부분인 벽면까지 연장하는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 (3) 인장력이 강한 섬유로 만들어지는 섬유시트를 상기 통기 테이프들이 점착된 콘크리트 바닥면 전체에 걸쳐 부설하는 섬유시트 부설공정; (4) 상기 섬유시트에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들의 틈새를 통해 상기 통기 테이프가 점착된 부분을 제외한 콘크리트 바닥면의 공극까지 침투시켜 상기 섬유시트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일체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섬유질 사이로 침투되는 상기 내마모성 도료가 상기 섬유시트와 일체화되어 내마모성과 인장력이 보강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을 형성하는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 형성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성 섬유질 도막 층의 상면에 다시 내마모성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 도막인 내마모성 마감 도막 층의 형성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예비공정 또는 통기 테이프 점착공정이 완료된 다음 콘크리트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탕 도막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공정을 추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의 시공방법.
KR1020150006856A 2015-01-14 2015-01-14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87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56A KR20160087637A (ko) 2015-01-14 2015-01-14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856A KR20160087637A (ko) 2015-01-14 2015-01-14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37A true KR20160087637A (ko) 2016-07-22

Family

ID=5668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856A KR20160087637A (ko) 2015-01-14 2015-01-14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76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73B1 (ko) 2005-08-10 2006-11-02 송병창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101134486B1 (ko) 2011-09-29 2012-04-13 (주)펜테크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073B1 (ko) 2005-08-10 2006-11-02 송병창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101134486B1 (ko) 2011-09-29 2012-04-13 (주)펜테크 노출식 차열방수 복합공법 및 이에 의한 차열방수 복합 적층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858B1 (ko) 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 공법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20120107213A (ko)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비노출 방수 및 그 방수방법
KR100329661B1 (ko) 바탕조정 및 강화시스템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87637A (ko) 습기배출이 가능한 내마모성 바닥 및 그 시공방법
KR101283325B1 (ko)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JP2015093269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方法
JP2007297916A (ja) 防水仕上げ構造と防水仕上げ方法
KR100686452B1 (ko) 주차장 방수바닥재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1575730B1 (ko) 내마모성 문양 바닥의 시공방법
KR20020006081A (ko)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KR101083910B1 (ko)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99751B1 (ko)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
CN216446425U (zh) 一种结构装饰一体化地面
KR100544059B1 (ko) 구조물의 단열 및 방수 · 보강공법
KR20090091861A (ko)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KR200209578Y1 (ko) 수분침투방지층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 패널
KR100656511B1 (ko) 아스팔트시트의 적층공법
JP4726437B2 (ja) 基礎コンクリートの改善方法
FI128677B (fi) Menetelmä vesieristetyn lattialaattaelementin valmistamiseksi
KR102335819B1 (ko) 지붕방수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형성된 지붕방수구조
KR101074429B1 (ko) 폴리우레아, 우레탄, 에폭시 도막방수 공법
KR101116924B1 (ko) 섬유시트와 보강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