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081A -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081A
KR20020006081A KR1020000039544A KR20000039544A KR20020006081A KR 20020006081 A KR20020006081 A KR 20020006081A KR 1020000039544 A KR1020000039544 A KR 1020000039544A KR 20000039544 A KR20000039544 A KR 20000039544A KR 20020006081 A KR20020006081 A KR 2002000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esin
concrete
vacuum film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033B1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10-2000-003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0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0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023/0251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by using fiber reinforced plas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용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복합소재로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현장에서 진공성형 복합소재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강화섬유직포에 진공감압에 의한 기압차로 수지를 함침시켜 성형되는 복합소재를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에 일체로 부착시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의하면, 균열, 박리 등으로 손상된 임의의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부재를 고강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보강하므로 두께나 자중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으며, 종래의 현장 수작업 적층공법에 비해 진공으로 성형되므로 보강용 복합소재가 고밀도로 성형되어 수지소모량이 절감되고, 적층시 공기함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층겹수의 제한없이 고품질로 제작되어 보강기능이 향상되며, 성형전에 보강섬유직포를 건식기법으로 배치하므로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보강공사비가 절감된다.

Description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구조물의 보강방법{Rehabilitation of Concrete Structures with Composites by Vacuum Bag Method}
본 발명은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열화, 결함, 손상이 있는 각종 콘크리트 구조부재의 내하력 복원 및 보강을 위하여, 경량,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진 복합소재를 현장에서 진공성형 복합소재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강화섬유직포에 진공감압에 의한 기압차로 수지를 함침하여 콘크리트 표면에 일체로 부착시켜 보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 슬래브, 기둥, 벽체 등의 부재에 기상작용, 작용하중의 증대, 설계오류, 시공불량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박리에 의한 단면결손, 철근노출에 의한 부식, 콘크리트의 품질저하가 발생하거나 구조적 성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절한 보강이 요구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강판접착공법, 탄소섬유나 유리섬유 쉬트를 이용한 수적층 부착공법 또는 복합소재 박판 부착공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보나 슬래브의 인장측 콘크리트면에 강판을 접착하여 기존 콘크리트에 일체화시킴으로서 내하력을 증가시키는 종래의 강판접착공법에서는 보강작업시 대상 부재에 앵커볼트를 천공하여 강판을 고정시키고,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강판과 대상부재를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대상 콘크리트 단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거나 시공이 되더라도 충분한 접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의 형상의 부재에 대한 시공이 매우 어렵다.
또한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보강용 강재를 추가로 부착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자중이 증가되며, 누수에 의한 강판의 재박리와 부식의 우려가 있어 영구적인 보강효과가 의문시되고, 시공 후 콘크리트의 손상과 결함을 점검할 수 없어 유지관리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천공함에 따라 콘크리트에 2차적인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으로는 직포형태의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함침시켜 부착보강하는 섬유쉬트 부착공법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섬유쉬트 부착공법에서는 복합소재 쉬트를 함침기와 인력을 동원하여 함침시킨 후, 함침된 복합소재 쉬트를 수작업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하게 되므로 작업환경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 그 뿐만 아니라 수지의 복합소재 쉬트에 대한 함침율이 체적비로 최대 30% 정도밖에 되지 않아 많은 양의 수지가 소비되며, 이러한 많은 수지 소모량으로 인하여 비용이 증대되며, 롤러로 수적층하기 때문에 공기함유량이 많아 품질관리에 문제점이많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면을 보강하는 경우, 복합소재 쉬트를 수지의 점성만으로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쉬트 부착시 쉬트가 처지게 되고, 이러한 쉬트 처짐의 증대로 인하여 콘크리트면 및 적층 상호간의 부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적층할 수 있는 쉬트의 겹수에 한계가 있다.
또다른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으로 인발성형으로 제작된 복합소재 박판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보강대상 부재에 부착보강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복합소재판 접착방법은 현장함침과 수적층으로 작업하는 종래의 섬유쉬트 부착공법의 시공성을 상당히 개선한 것이기는 하나, 보강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단면이 평활하지 못한 경우 시공이 불가능하거나 시공이 되더라도 충분한 접착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의 형상의 부재에 대한 시공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인발성형으로 제작된 복합소재판 표면에는 이형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보강대상 콘크리트 부재에 부착시 접착 강도와 접착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강판 또는 복합소재 박판 접착이나 복합소재 쉬트의 현장 수적층 작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이 가지는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균열, 박리 등으로 손상된 임의의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부재를, 두께나 자중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개선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현장 수작업 적층공법에 비해 수지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강품질을 향상시키며, 보강시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와 보에 적용하는 형상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와 보에 적용한 후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콘크리트 벽체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적용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으로서, 도 2a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벽체만을 입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일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콘크리트 기둥에 적용한 후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2 섬유직포
3 필플라이 4 수지분배망
5 블리더 6 진공필름
7 수지주입채널 8 진공흡입채널
9 밀봉재 10 수지주입관
11 수지용기 12 진공트랩
13 진공펌프 14 진공흡입관
20 섬유강화 복합소재 100 콘크리트 벽체
200 콘크리트 기둥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토목 및 건축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대상 콘크리트 부재에, 강화섬유직포와 수지로 이루어진 복합소재를 진공감압에 의한 기압차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에 일체로 부착시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 교량, 콘크리트 건물, 콘크리트 박스구조물, 콘크리트 항만구조물,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수처리구조물 등 콘크리트로 건설된 모든 유형의 토목 및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열화, 결함, 손상이 발생한 콘크리트 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강화재인 섬유직포를 현장에서 진공감압에 의하여 수지로 함침시키면서 보강대상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에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일체로 접착 성형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에 에폭시 주입으로 균열을 보수하고, 샌드 블라스팅, 디스크 샌딩, 워터제팅 등의 방법으로 콘크리트 표면의 불순물과 돌출면을 제거하여 표면처리한 뒤, 건조상태를 유지시키고, 붓이나 롤러 등의 도포기구를 사용하여 보강하고자 하는 범위내의 모든 부분에 프라이머를도포하는 순서로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전처리한 후, 섬유가 소정 방향과 두께로 배열되도록 함침되지 않은 섬유직포를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섬유직포 위에 수지분배를 원활하게 하는 망형상의 수지분배망을 설치하고, 상기 섬유직포와 수지분배망 사이에 필플라이를 배치시키고,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흡입채널과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채널을 설치하고, 상기 진공흡입채널의 하부에는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진공필름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게 하는 블리더(Bleeder)를 설치하고, 상기 섬유직포와 상기 진공흡입채널과 수지주입채널에 진공필름을 덮어 진공필름 주위를 밀봉하고, 상기 진공흡입채널을 통하여 진공필름 내부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감압 배출시켜 진공필름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든 후, 상기 수지주입채널을 통하여 액상의 수지가 진공필름 내부로 기압차에 의하여 주입되어 상기 섬유직포가 수지로 함침되며, 함침된 섬유직포가 경화되어 섬유 복합소재가 성형되면 진공필름을 제거하여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표면에 복합소재가 일체로 부착하게 되어 보강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서 사용되는 섬유직포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의 강화섬유를 사용하여 우븐직포(woven fabric) 또는 스티치직포(stitched fabric) 형태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사용되는 수지로는, 비닐에스터, 폴리에스터, 에폭시, 페놀 등이 사용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와 보를 보강하는 형상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래브와 보를 보강한 후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보강을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부재(1)의 표면에 현저한 단면결손이나, 균열부와 같은 불량부분(15)이 있을 경우에, 불량부분(15)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불량부분(15)을 보수하고, 콘크리트 부재(1)의 표면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 표면의 기름, 먼지, 돌출면 등을 샌드 블라스팅, 디스크 샌딩, 워터 제팅 등과 같은 방법으로 완전히 제거하고 평탄화하여 보강대상 콘크리트 부재면을 표면처리한 후 건조상태를 유지시킨다.
그 후, 보강하고자 하는 범위내의 모든 부분에 롤러나 붓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고르게 도포한다. 이때, 프라이머가 콘크리트 표면에 충분히 침투되도록 반복적으로 도포한다.
프라이머를 도포한 콘크리트 부재(1)에 섬유직포(2)를 배치하게 되는데,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부재(1)가 부담하고 있는 하중 등에 대한 구조계산의 결과에 따라 보강정도를 결정하고, 그 보강정도에 따라 정해진 섬유배치방향과 섬유량으로 적층구조를 결정한 후, 이에 따라 섬유직포(2)를 콘크리트 표면의 보강이 필요한 위치에 배치한다. 수지가 섬유직포(2) 전체에 고르게 분배되어 함침될 수있도록, 섬유직포(2) 위에 망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지분배망(4)을 설치한다.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1)의 보강 부위에 놓여진 섬유직포(2)를 진공필름(6)으로 덮은 뒤 양면 접착테이프 등과 같은 밀봉재(9)를 이용하여 진공필름(6)의 가장자리를 밀봉한다. 진공필름(6)을 덮기 전에, 진공필름(6) 내부에는 액상의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채널(7)과 밀봉된 진공필름(6)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흡입채널(8)이 설치된다.
상기 수지주입채널(7)의 일단부는 수지주입관(10)에 연결되어 있어, 수지용기(11)에 담겨진 수지가 상기 수지주입관(10)을 거쳐 수지주입채널(7)로 공급된다. 상기 진공흡입채널(8)의 일단부에는 진공흡입관(1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진공흡입관(14)은 진공트랩(12)과 진공펌프(13)에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공펌프(13)의 작동에 의하여 밀폐된 진공필름(6) 내부에 있던 공기가 진공흡입채널(8)을 통하여 배출된다. 도 1a에서 수지주입관(10)과 진공흡입관(14)은 표현의 편의상 굵은 선으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진공흡입채널(8)을 통하여 진공필름(6)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기 시작하면 밀봉되어 있던 진공필름(6) 내부가 감압되면서 진공필름(6)이 콘크리트 부재(1)의 표면 또는 섬유직포(2)에 밀착하게 되는데, 진공필름(6)이 밀착되면 공기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공기의 원할한 배출을 위하여 소정의 기공이 있는 블리더(Bleeder)(5)를 설치한다. 즉, 섬유직포(2) 위에 블리더(5)를 설치하고, 상기 블리더(5) 위에 진공흡입채널(8)을 위치시키면, 진공필름(6) 내부가 감압되어 진공필름(6)이 밀착되더라도, 블리더(5) 내의 기공을 통하여 진공필름(6)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진공필름(6) 내부를 완전히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다.
진공필름(6) 가장자리의 밀봉이 완료되면, 수지주입관(10)을 차단한 후, 진공펌프(13)를 작동시켜, 진공흡입채널(8)을 통하여 밀봉된 진공필름(6)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므로써 진공필름(6) 내부를 진공상태 또는 감압상태로 만든다.
진공필름(6) 내부가 진공상태 또는 감압상태일 때 수지주입관(10)을 개방하여 기압차에 의해 수지용기(11)로부터 수지가 진공필름(6) 내부로 주입되게 한다.
진공필름(6) 내부가 진공상태 또는 감압상태에 있으므로, 주입되는 수지는 섬유직포(2)에 신속하게 함침된다. 이때 주입된 수지는 망형상의 수지분배망(4)을 따라 섬유직포(2) 전체에 고르게 퍼져 섬유직포(2)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지에 함침된다. 섬유직포(2)가 수지로 함침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경화시킨 후 진공필름(6)을 제거하면 복합소재(20)가 콘크리트 부재(1)에 일체로 견고하게 부착되므로써 보강작업이 완료된다.
수지가 경화된 후에 수지분배망(4)이 보강부위에 남아 있게 되어 표면이 거칠게 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수지 경화 후 수지분배망(4)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섬유직포(2) 위에 필플라이(Peel ply)(3)를 위치시키고 그 위에 수지분배망(4)을 설치한 후 수지가 주입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지가 경화된 후 필플라이(3)를 잡아당기면 필플라이(3)와 함께 수지분배망(4)을 경화된 수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별도의 외부가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거나 또는 진공필름(6) 내부에 내장 열선을 설치하여 가열하므로써 수지의 경화를촉진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콘크리트 벽체에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을 적용하는 형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으로서, 도 2a는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벽체만을 입면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100)의 일부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200)을 보강한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섬유직포(2)와 수지로 구성된 복합소재(20)는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일체로 부착되어 영구히 존재하게 된다. 상기 복합소재(20)는 경량, 고강도, 고탄성, 고내구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우수한 보강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콘크리트 거더 교량, 콘크리트 벽체, 기둥 및 박스 구조물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강방법이 적용되는 일 예이며, 예시한 구조물 이외에도 본 발명의 보강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소재를 이용한 보강방법에서는, 현장에서 진공성형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강화섬유직포에 진공감압에 의한 기압차로 수지를 함침시키면서 복합소재를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의 표면에 일체로 접착성형하여 보강하므로 균열, 박리 등으로 손상된 임의의 형상을 가진 콘크리트 부재에 고강도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서는, 경량의 복합소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게 되므로 보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두께나 자중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고 간편하게 보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서는 진공감압에 의한 기압차를 이용하여 섬유직포를 수지로 함침시키므로, 종래의 현장 수작업 적층공법에 비해 수지함침비율이 체적비로 일정하게 50퍼센트로 유지할 수 있어 보강용 복합소재가 고밀도로 성형되므로 수지소모량이 절감되고, 적층시 공기함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적층겹수의 제한이 없어 고품질의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건식기법으로 함침되지 않은 상태의 섬유직포를 보강대상 콘크리트면에 손쉽게 위치시키고, 진공필름 내부를 감압 또는 진공상태로 만든 후 수지를 주입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수지를 직접 만지거나 다루지 않게 되고, 수지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으며, 사용되거나 남는 수지는 수지용기내에서 취급 또는 처리되므로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현장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며, 보강공사비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서 사용하는 복합소재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보강으로 인한 건축한계(clearance)에 대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서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강방법에 따라 복합소재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게 되면 부식으로 인한 내하력 저하의 우려 없이 영구히 보강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며,별도의 방청도장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보강된 복합소재는 우수한 수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강재의 박리 및 부식의 우려도 없다. 복합소재는 외부의 환경영향이나 화학작용에 대하여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해, 무독성이므로 환경친화적인 보강공사가 가능하다.
보강공사시 일단 진공필름 내부를 감압 또는 진공상태로 만들게 되면,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섬유직포가 해당 부재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보강방법에 비해 보강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토목 및 건축용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섬유직포(2)를 진공감압에 의하여 수지로 함침시켜 성형되는 복합소재(20)를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부재(1) 표면에 일체로 부착시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20)를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부재(1) 표면에 일체로 부착시켜 보강하는 과정은,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부재(1)에 에폭시를 주입하여 균열을 보수하고 콘크리트 표면의 불순물과 돌출면을 제거하여 표면처리한 후에 콘크리트 부재(1)의 표면을 건조상태로 유지하고, 도포기구를 사용하여 보강하고자 하는 범위내의 모든 부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보강대상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부재(1) 표면을 전처리하고, 섬유가 소정 방향과 섬유량으로 배치되도록 섬유직포(2)를 상기 콘크리트 부재(1)의 표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섬유직포(2) 위에 수지를 고르게 분배하기 위한 망형상의 수지분배망(4)를 설치하고, 공기를 배출하는 진공흡입채널(8)과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수지주입채널(7)을 설치하고, 상기 진공흡입채널(8)의 하부에는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진공필름(6)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게 하는 블리더(5)를 설치하고, 상기 섬유직포(2)와 상기 진공흡입채널(8)과 수지주입채널(7)을 덮도록 진공필름(6)을 덮어 진공필름(6) 주위를 밀봉하고, 상기진공흡입채널(8)을 통하여 진공필름(6)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밀봉된 진공필름(6)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상기 수지주입채널(7)을 통하여 기압차에 의해 수지를 진공필름(6) 내부로 주입되게 하여 상기 섬유직포(2)를 수지로 함침시키고, 수지에 함침된 섬유직포(2)가 경화되어 복합소재(20)가 제작되면 진공필름(6)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직포(2)와 수지분배망(4) 사이에는 필플라이(3)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직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의 강화섬유를 사용하여 우븐직포(woven fabric) 또는 스티치직포(stitched fabric) 형태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에폭시, 페놀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KR10-2000-0039544A 2000-07-11 2000-07-11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KR100405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44A KR100405033B1 (ko) 2000-07-11 2000-07-11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44A KR100405033B1 (ko) 2000-07-11 2000-07-11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081A true KR20020006081A (ko) 2002-01-19
KR100405033B1 KR100405033B1 (ko) 2003-11-07

Family

ID=1967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44A KR100405033B1 (ko) 2000-07-11 2000-07-11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0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125A (ko) * 2000-11-13 2002-05-18 이화선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장치
KR20030038004A (ko) * 2001-11-08 2003-05-16 (주)황우토탈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KR100471509B1 (ko) * 2001-06-11 2005-03-08 고조 힌시츠 호쇼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구축물의 보강 방법, 보강 구조체 및 고연성재
IT1425475B1 (ko) * 2014-08-01 2016-11-03
CN107521125A (zh) * 2017-08-17 2017-12-29 精功(绍兴)复合材料有限公司 超厚碳纤维复合材料板的真空导入成型方法
CN108221949A (zh) * 2018-02-02 2018-06-29 上海港湾基础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预压水下双胶补膜装置及方法
FR3119631A1 (fr) * 2021-02-09 2022-08-12 Soletanche Freyssinet Procédé de renforcement d’un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22B1 (ko) 2007-12-21 2009-12-31 류철주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페놀수지와 유리섬유를 이용한불연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8645A (ja) * 1988-07-26 1990-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天井板の施工方法
JP2907448B2 (ja) * 1989-08-24 1999-06-21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ひび割れ補修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接着剤注入装置
JPH03235876A (ja) * 1990-02-09 1991-10-21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の空洞補修方法
KR970065923A (ko) * 1996-03-18 1997-10-13 진인창 구조물의 보수 · 보강 방법
JPH10246001A (ja) * 1997-03-07 1998-09-14 Sanko Techno Kk 建築物または土木構造物における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補強の成形方法
JP3398716B2 (ja) * 1997-10-13 2003-04-21 武志 山口 コンクリートの仕上げ方法
JPH11287026A (ja) * 1998-04-01 1999-10-19 Ichiro Shimizu 真空含浸式タイル補修接着工法
KR100341085B1 (ko) * 1999-08-20 2002-06-20 윤용성 창호벽 보강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125A (ko) * 2000-11-13 2002-05-18 이화선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장치
KR100471509B1 (ko) * 2001-06-11 2005-03-08 고조 힌시츠 호쇼켄큐쇼 가부시키가이샤 구축물의 보강 방법, 보강 구조체 및 고연성재
KR20030038004A (ko) * 2001-11-08 2003-05-16 (주)황우토탈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IT1425475B1 (ko) * 2014-08-01 2016-11-03
CN107521125A (zh) * 2017-08-17 2017-12-29 精功(绍兴)复合材料有限公司 超厚碳纤维复合材料板的真空导入成型方法
CN108221949A (zh) * 2018-02-02 2018-06-29 上海港湾基础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预压水下双胶补膜装置及方法
CN108221949B (zh) * 2018-02-02 2023-12-19 上海港湾基础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预压水下双胶补膜装置及方法
FR3119631A1 (fr) * 2021-02-09 2022-08-12 Soletanche Freyssinet Procédé de renforcement d’un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5033B1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839E1 (en) Carbon fiber reinforcement system
CA2950056C (en) Repair of pipes
JP7075343B2 (ja) 構造物へのfrp材の接着構造および接着方法
US6386236B1 (en) Method of prestressing and reinforcing damaged cylindrical structures
US5879778A (en) Strengthening of structural members
KR100405033B1 (ko)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CA2634991A1 (en) Cost effective repair of piping to increase load carrying capability
MXPA06010413A (es) Revestimiento para rehabilitacion de sistema de aguas residuales.
US3424203A (en) In-place repairs for concrete irrigation pipe
WO201709190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KR100353575B1 (ko) 탄소섬유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강구조물보강방법
EP1272342B1 (en) Liner for waste water system rehabilitation
KR200232866Y1 (ko) 유로폼 코팅합판 재생용 및 유로폼 합판용 섬유보강복합소재 피막
Giancaspro et al. Aerospace technology for strengthening of bridges
JPH04336243A (ja) 繊維強化樹脂補強セメント系構造体およびセメント系構造体の補強方法
US20160075104A1 (en) Anchored multi-layer liner system for waste water system rehabilitation
KR20020037125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장치
KR200300380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 공법 및 그 장치
WO20020388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reinforcement of concrete structures
KR200277971Y1 (ko)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이용한 유로폼 합판의 피막
KR20020045441A (ko) 유로폼 코팅합판 재생용 및 유로폼 합판용 섬유보강복합소재 피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