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085B1 - 창호벽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창호벽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085B1
KR100341085B1 KR1019990034712A KR19990034712A KR100341085B1 KR 100341085 B1 KR100341085 B1 KR 100341085B1 KR 1019990034712 A KR1019990034712 A KR 1019990034712A KR 19990034712 A KR19990034712 A KR 19990034712A KR 100341085 B1 KR100341085 B1 KR 100341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einforcing
attached
building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38A (ko
Inventor
김광률
Original Assignee
윤용성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성, 주식회사 일진씨피에스 filed Critical 윤용성
Priority to KR101999003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085B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0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04C5/073Dis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크랙의 주원인인 창호 모서리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 콘크리트 벽체(100)에 단열재(200)를 부착 일체하고 이 단열재(200)의 창호(300) 4변 외주면에 보강용 메쉬(10)를 부착하며 그 위로 마감재(30)를 시공하여 창호벽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300) 4모서리 주위에 고인장강도의 부직포(20)를 부착한 다음, 상기 창호 4변을 보강하는 보강용 메쉬(10)를 상기 부직포(20)와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부착하고, 단열재(200)의 창틀부(400) 4모서리에도 상기 부직포(20)를 각기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호벽 보강방법{Method for reinforcing the wall of window}
본 발명은 창호벽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크랙의 주원인인 창호 모서리의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시공후 건물벽체의 균열은 건축물의 취약부분인 창호벽면에서 주로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창호 주위부분은 추가보강을 하지 않거나 보강을 하더라도 창호변을 따라 보강용 메쉬를 설치하는데 그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벽 보강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100)은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 (200)은 콘크리트 벽체 외면에 부착 일체된 단열재, (300)은 창호, (10)은 단열재의 창호변을 따라 설치된 보강용 메쉬이다.
즉, 종래의 창호벽 보강방법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벽체(100)에 단열재(200)가 부착되어 하나의 창호벽을 형성하고, 이 창호벽의 창호(300) 4변 둘레에 예컨대 유리섬유망과 같은 보강용 메쉬(10)를 부착한 다음, 그 위에 마감재(30)를 처리하여 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호 보강방법은, 외부충격으로부터 건물 창호 주위의 크랙이나 파손을 어느정도 보강할 수 있으나, 도 1b와 같이 창호 모서리부에서 시발되는 크랙(500)에 대해서는 무방비 상태이고, 오히려 창호 4변에만 보강용 메쉬(10)가 설치됨으로써 외력이 창호의 모서리 부근으로 몰리게 되고, 이로써 창호 모서리 주위의 크랙이나 변형을 촉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건물의 창호 둘레를 보강용 메쉬로서 보강하되, 이 보강용 메쉬와 함께 인장강도가 높은 부직포를 창호의 4곳 모서리의 내·외부에 추가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서, 건축물 창호 주위의 크랙이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건물의 내구력을 증대하여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창호벽 보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의 창호벽 보강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 - 본 발명의 창호벽 보강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강용 메쉬
20 : 부직포
30 : 마감재
100 : 콘크리트 벽체
200 : 단열재
300 : 창호
400 : 단열재 창틀부
500 : 크랙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벽 보강방법은, 건물의 창호 4변 둘레를 보강용 메쉬(10)로서 보강하는 것과 함께, 창호 4모서리 내·외부를 고인장강도의 부직포(20)를 설치하여 창호 주연부 전체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창호벽 보강방법은, 건물 콘크리트 벽체(100)에 단열재(200)를 부착 일체하고, 이 단열재(200)의 창호(300) 4모서리 외주면에 고인장강도의 부직포(20)를 설치하며, 이 부직포(20) 위로 창호(300) 4변 외주면을 따라서 보강용 메쉬(10)를 설치하면서, 창호(300) 내부, 즉 단열재의 창틀부(400) 4모서리에도 상기 부직포(20)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마감재(30)를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창호벽 보강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창호벽 보강시공은, 창호(300) 4변에 보강용 메쉬(10)를 부착하여 창호 주변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과 아울러, 별도의 부직포(20)를 창호(300) 4모서리부 및 창틀부(400)에 각기 추가 설치한 것으로서, 창호변에서 발생되는 크랙은 물론 창호모서리에서 시발되는 크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종래의 창호변 주위만을 보강하여 발생되는 문제점, 즉 외력이 창호모서리에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창호벽 전체 내구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2에 의해 본 발명의 창호벽 보강방법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건물의 콘크리트 외벽체(100)에 접착몰탈을 골고루 바르고 예컨대 난연성 발포 폴리스틸렌 폼과 같은 단열재(200)를 견고히 부착한다.
상기 단열재(200) 위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20)를 부착한다. 사용되는 부직포(20)는 인장강도의 물성이 뛰어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위치는 창호(300) 4모서리 주위 외면에 부착하되, 창호(300) 모서리에 근접부착하여 창호 4모서리에서 시발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부직포(20)가 부착된 다음, 이 부직포(20) 위로 예컨대 유리섬유망과 같은 보강용 메쉬(10)를 설치한다. 설치위치는 창호(300) 둘레를 따라 외면에 부착하되, 창호(300)의 4변과 근접되게 부착하고 메쉬(10)의 일단이 상기 부직포(20)의 단부와 서로 겹치게 한다.
창호(300) 둘레전체, 즉 창호 4변 및 4모서리 주연부에 각기 보강용 메쉬(10)와 부직포(20)가 설치된 다음, 창호(300) 내부, 즉 단열재(200)의 창틀부(400) 각 4모서리에 상기 부직포(20)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한다.
상기와 같이 창호 모서리부에 부직포 보강설치가 완료되면, 그 위에 마감재(30)를 시공하여 마감한다. 마감재(30)는 상기 보강용 메쉬(10)와 부직포(20) 위로 예컨대 접착몰탈을 바르고 유리섬유망(reinforcing fiberglass mesh)과 같은 보강재를 매입한 후 원하는 재질과 색상의 쿼츠코트(quartz coat)를 바르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300) 4변 주위에 보강용 메쉬(10)가 설치되면서, 이 보강용 메쉬(10)와 함께 창호(300) 모서리부를 보강하는 부직포(20)가 창호 4모서리 외면과 창틀부(400)에 각기 형성되어, 창호 주위의크랙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창호 주위 크랙이나 파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건물의 내구력을 증대하고 건축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창호벽 보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건물 콘크리트 벽체(100)에 단열재(200)를 부착 일체하고 이 단열재(200)의 창호(300) 4변 외주면에 보강용 메쉬(10)를 부착하며 그 위로 마감재(30)를 시공하여 창호벽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창호(300) 4모서리 주위에 고인장강도의 부직포(20)를 부착한 다음, 상기 창호 4변을 보강하는 보강용 메쉬(10)를 상기 부직포(20)와 일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부착하고, 단열재(200)의 창틀부(400) 4모서리에도 상기 부직포(20)를 각기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벽 보강방법.
KR1019990034712A 1999-08-20 1999-08-20 창호벽 보강방법 KR100341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12A KR100341085B1 (ko) 1999-08-20 1999-08-20 창호벽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712A KR100341085B1 (ko) 1999-08-20 1999-08-20 창호벽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38A KR20000006638A (ko) 2000-02-07
KR100341085B1 true KR100341085B1 (ko) 2002-06-20

Family

ID=1960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712A KR100341085B1 (ko) 1999-08-20 1999-08-20 창호벽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33B1 (ko) * 2000-07-11 2003-11-07 이성우 복합소재의 진공성형 부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38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7140A (ko)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20180051473A (ko)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WO2016190610A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100341085B1 (ko) 창호벽 보강방법
KR20110003009A (ko)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벽체구조
KR101707876B1 (ko) 건물용 외장 패널의 코너용 방수 부재 세트 및 그 방수 부재 세트를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20190134150A (ko)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KR102326131B1 (ko) 단열 일체형 외장 패널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03642B1 (ko) 이미지 인쇄층이 형성된 내외벽 단열방수보드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087837B1 (ko) 커튼월 리모델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리모델링 방법
KR20200123723A (ko) 별도의 건축 외장재가 설치 가능한 일체형 복합단열패널
KR100318006B1 (ko) 외단열 건축물의 창호 후래싱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10069942A (ko) 고접착 성능을 가진 단열재,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41558Y1 (ko)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KR20150117016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가설건물시공방법
KR102502843B1 (ko) 조립식 패널의 모서리 마감용 코너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의 모서리 시공방법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US11859381B2 (en) Exterior insulation penetration edge frame and cover
KR100643592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벽체의 코너부용 복합단열판 시공방법
KR100498273B1 (ko) 철골조 건축물의 외단열구조
JP3084623B2 (ja) パネル壁の目地補強工法
KR200241343Y1 (ko) 건식 칸막이 벽체
KR940004243Y1 (ko) 결로방지판넬 시공구조체
KR200311225Y1 (ko) 단열코팅제가 도포된 샌드위치판넬
KR101303762B1 (ko) 열교방지 구조보강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