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140A -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97140A KR20010097140A KR1020000020953A KR20000020953A KR20010097140A KR 20010097140 A KR20010097140 A KR 20010097140A KR 1020000020953 A KR1020000020953 A KR 1020000020953A KR 20000020953 A KR20000020953 A KR 20000020953A KR 20010097140 A KR20010097140 A KR 200100971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stic panel
- plastic
- waterproof layer
- waterproofing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1059 synthetic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6 p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8 response to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87—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 E04D13/1693—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the insulating material having provisions for roof drainage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inclin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의 바닥면에는 플라스틱 패널을 주로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난간(parapet)과 같은 수직면에는 보조적으로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 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재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한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옥상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난간과 같은 수직면에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재를 사용하여 시트방수층을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패널 방수층과 시트방수층에 도막처리를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패널에는 소정형상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은 원형, 장방형 또는 정방형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패널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을 상호 이어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스틱 패널에는 탈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과 다수의 피스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는 보호캡에 의해 덮혀지며, 플라스틱 패널은 가로×세로의 크기가 1m이고, 그의 두께는 2 ~ 15cm 사이로 생산되므로 옥상의 물흐름 구배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플라스틱 패널 위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의 연결을 위해 보강포가 수지에 의해 함침되는바, 보강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 어느 하나이며, 섬유의 형태는 부직포 또는 직포일 수 있으나, 사용량, 함침정도 및 인장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직포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 방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의 바닥면에는 플라스틱 패널과 도막방수재를 주로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난간(parapet)과 같은 수직면에는 보조적으로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계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을 적용하여 방수층을 전체적인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한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을 방수하기 위한 종래의 방수공법으로는 도막방수재로서는 우레탄 도막재, 무기질 도막재, 시멘트계 방수재, 합성고분자계 시트재,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 시트재 등의 단일 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구성하였으나, 도막방수층은 구조체의 바탕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하자 발생율이 높고 바탕청소를 위한 공사기간 및 인건비의 증가가 필연적이다. 또한 시트방수의 경우 조인트부위의 결함발생률이 매우 높아 완벽한 방수품질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단일 방수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복합화하여 복합방수공법으로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 경우 기본적인 단일방수시의 문제점은 해결했지만 옥상노출시공시 바닥부위에서의 적용성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다음과 같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방수층자체로서 빗물 등의 효율적인 배수를 위한 구배 형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물 고임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변색 및 부풀음 현상이 발생되었다.
둘째, 조인트부의 균열, 부풀음 등의 결함이 발생하고 있고, 방수층 전체의 가장자리에 균열 및 찢어짐이 발생하고 있다.
셋째, 방수층 위로의 보행시 꿀렁거림 현상이 심하며 또한 시트재로 금속시트를 이용한 경우는 보행시의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금속시트의 결합 및 운반과정에서 작업성이 양호하지 못하였고, 방수층의 단열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이동 및 보행시 방수시트의 형상이 변형되는 결함이 있어 방수성능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금속시트를 용이하게 취급하지 못함에 따라 작업속도가 지연되고 금속시트를 설치한 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공기를 단축하기가 어려우며 노무비 및 공사간접비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시트방수층 형성 후 도막 방수재를 시공함에 있어 이질재 상호간 결합의문제로 부착불량이 발생하여 시공 후 시트층과 도막층 사이에 부품음, 들뜸, 박리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며 도막재의 3단계에 걸친 습식 시공에 따른 기후의 영향을 피할 수 없다.
다섯째,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 있어서 활용되고 있는 탈기반의 설치에 있어서 공법의 특성상 현장시공이 불가피하므로 그에 따른 시공기간 연장과 하자 발생률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는 중공의 플라스틱 패널과 도막방수재를 주로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난간과 같은 수직면에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 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재와 도막방수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한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설치개념도,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4c는 가장자리 패널의 평면도,
도4d는 탈기구 설치용 패널의 평면도,
도5는 계단식 또는 경사의 물 흐름 구배설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의 결합단면도,
도7은 플라스틱 패널과 시트방수층의 결합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패널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9는 플라스틱 패널간의 조인트부 보강포 시공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플라스틱 패널과 시트복합방수층의 이음부 보강포 시공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막 방수재 1차 처리후 생산한 패널 및 시트의 단면도,
도12는 탈기반 설치후 생산된 플라스틱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플라스틱 패널 2a,2b,2c:통공
3: 연결부 4: 탈기반용 구멍
5: 피스구멍 30: 탈기반
40: 피스 50: 보호캡
70: 씰 101: 에폭시1차바름층
102: 보강포 103: 에폭시2차바름층
104: 도막방수재 200: 시트복합방수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옥상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난간과 같은 수직면에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 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재를 사용하여 시트방수층을 형성하며; 플라스틱 패널 방수층과 시트방수층에 도막처리를 하여서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패널에는 소정형상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플라스틱 패널에 형성된 구멍은 원형, 장방형 또는 정방형 중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패널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을 상호 이어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고, 탈기반 설치 전용 플라스틱 패널에는 탈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패널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 패널은 가로×세로의 크기가 1m이고, 그의 두께는 2 ~ 15㎝ 사이가 적당하며, 1㎝두께차이로 제작되어 두께가 다른 것을 연이어서 설치할 경우 옥상의 계단식 또는 경사의 물흐름 구배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플라스틱 패널에는 다수의 피스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는 보호캡에 의해 덮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플라스틱 패널 위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의 연결을 위해 보강포와 도막방수재가 공장생산과정에서 사전에 도포되는바, 보강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 어느 하나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부 도막방수층의 도막형성을 고려할 때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바람직하며, 섬유의 형태는 부직포 또는 직포 모두 적용 가능하나 사용량, 함침정도, 인장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직포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에서는 시트방수재로서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시트재, 합성고분자 시트와 도막방수재로서 시멘트 혼입 무기질 탄성도막재, 우레탄 도막방수재 등을 사용하여 방수층을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도막 및 시트방수층을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의 사용을 보조개념으로 적용되도록 하였으며, 대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패널(1)이 주된 사용재료가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층이 바닥부위(10)에서의 적용성에 있어서 구배형성의 어려움, 꿀렁거림, 금속성의 소음, 조인트 및 가장자리의 균열발생, 시트층 및 도막층 사이에서의 들뜸, 부풀음, 박리의 발생, 시트형상의 영구변형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견되어 방수성능을 저하시켰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 부위(1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패널(1)이 적용되고 패러핏 등의 수직면(20)에는 도10과 같은 도막 및 시트방수층을 이용한 복합방수층(21)이 일부 적용되어 복합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에 적용되는 패널(1)의 형태는 공기층을 포함한 고강도의 플라스틱 계통으로 두께는 2∼15㎝까지로써 1cm의 단차를 두면서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치켜올림부 및 패러핏 부위 등의 수직적인 부재에는 기존의 도막 및 시트방수를 활용한 복합방수층의 장점을 그대로 활용한다. 시트복합방수층과의 플라스틱 패널과의 이음부는 시트재가 플라스틱 패널(1)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3a 내지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패널(1)에는 소정형상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는바, 이 구멍은 정방형(2a), 원형(2b), 장방형(2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패널(1)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인접된 플라스틱패널을 상호 이어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탈기반 설치 전용 플라스틱 패널에는 도4d 및 도12에서와 같이 탈기반(30)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패널(1)은 가로×세로의 크기가 1m이고, 그의 두께는 2 ~ 15cm 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5에서와 같이 각기 다른 두께의 플라스틱 패널(1)을 단계별로 결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경사 또는 계단식의 물흐름 구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플라스틱 패널(1)에는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다수의 피스(40) 고정용 구멍(5)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40)는 보호캡(50)에 의해 덮혀져 있다.
한편 플라스틱 패널(1) 위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1)의 연결을 위해도9내지 도11에서와 같이 보강포(102)와 도막방수재(104)가 사전에 도포될 수 있고, 여기에서 보강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일 수 있으며, 섬유의 형태는 부직포 또는 직포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면 옥상방수에 있어서는 구배는 방수성능 확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패널(1)의 설치는 방수층의 구배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콘크리트 바탕에 의해 형성되던 경사구배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방수층 자체가 계단식 또는 경사의 단계적 구배를 도5에서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패널(1)과 플라스틱패널(1)의 결합은 특별한 기계적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연결부(3)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즉 패널(1)자체의 요철부(3)를 만들어 물리적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방식을 택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에는 씰처리(70)를 하고 연결부 보강처리를 한다음 그 위에 도막방수층(104)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시트방수재와의 결합은 홈에 의한 물리적 결합과 고정 피스(40)에 의한 기계적 결합방식 그리고 보강포 함침에의한 결합의 3가지를 동시에 택하여 좀더 물리적으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으며, 결합부위의 보다 완벽한 방수성능 확보를 위해 씰처리(70)를 한다.
또한 패널(1)의 모체와의 결합은 패널 4면에 고정용 피스(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 구조로 된 구(⊙)로 되어 피스(40)의 설치 후 씰처리(70)를 한 다음, 보호캡(50)을 씌우는 구조로 설계되었다(도7참조).
그리고 가장자리의 시트복합방수층(200)과의 이음부는 시트방수층의 고정을 위해 1개의 피스구(5a)를 도8과 같이 추가하였다.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패널(1)은 결합시 전체적으로 물림상태로 시공되기 때문에 각 패널(1)간의 조인트부는 강절점의 성격을 띄고 있다. 또한 각 패널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거동하게 됨으로서 조인트부로의 응력 집중을 분산시키고 있고, 그에 따라 전체 플라스틱 패널층의 가장자리로 전달되는 응력은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층에서 분산되도록 고려하였다. 패널의 공기층에 의해 옥상 전체면의 단열재로서의 역할을 하며, 방수층의 온도차에 의한 신축변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하더라도 넓은 면적에서의 전체적 시공에서는 미리 예상치 못한 원인에 의하여 조인트에 신축응력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에 따른 대책으로플라스틱 패널의 조인트 보강포 수지함침 방법을 적용하여 강절점화, 수밀화 성능을 부여하여 보다 완벽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우선 조인트부 처리용 보강포(102)는 다양한 재료를 고려해 볼 수 있는데, 고강도의 성능을 보유하고 현재 구조물의 보수·보강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보강포로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부 도막방수층(104)의 도막형성을 고려할 때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섬유의 형태는 부직포 또는 직포 모두 적용가능하나 사용량, 함침정도, 인장성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직포를 우선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함침용 수지(103)는 현재 보수·보강 현장에서 섬유의 함침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범용적으로 구입 가능한 에폭시 도료가 가장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폭시도료의 경우는 현장에서 배합에 따라 그 성능이 결정되고 바탕면에 상태(이물질, 습기 유무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재료이므로 현장작업 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한편 보강포의 함침은 조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좌·우 5㎝씩 전체 10㎝를 폭으로 하여 먼저 바탕면(패널면)의 건조유무 및 이물질유무를 충분히 확인 한 후 1차로 수지를 바르고 그 위에 부직포를 시공하고 다시 에폭시를 2차로 발라 함침을 완료시킨다. 이때 주의할 사항은 에폭시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에 의해 빠른 시간에 반응하므로 경화시간 전에 상기와 같은 작업을 완료하여야 하며, 에폭시가 굳기 시작할 때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새로운 수지를 사용하여야한다.
따라서 넓은 면적에서의 시공 시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사용량 및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사전에 시공계획을 철저히 세워야 우수한 방수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기존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의 현장에서 자주 발견되는 문제점 중 하나는 패널 면에 발생하는 부풀음, 들뜸 등은 대부분 현장의 환경조건, 시공부주의로 인해 주로 발생하므로 그에 따른 대책으로 본 특허에서는 플라스틱 중공 패널 및 시트방수재의 공장 생산시 패널 및 시트의 바탕면에 부직포를 함침하고 도막방수재를 1차 바름까지 공장에서 철저한 품질관리에 의해 생산한 후 현장에서 도막방수재의 2차 도포 및 도막 보호층을 도포 할 수 있도록 생산한다.
그러나, 패널 면에 부직포 함침은 플라스틱 중공 패널의 경우는 표면과의 부착력이 양호한 경우 부직포 함침 공정을 생략해도 무방하나 시트방수재의 경우에는 부직포를 함침함으로써 시트복합방수층의 적정한 두께를 확보하기가 유리하기 때문에 시트복합방수층의 두께유지, 내충격 성능 향상, 열변형 신축 대응성 향상 등을 고려하여 반드시 부직포를 함침하고 도막방수재를 1차 바름하여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패널 및 시트방수층 모두 가장자리에서 5㎝는 조인트 처리를 위하여 부직포 함침 및 도막방수재 1차 바름을 하지 않고 생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패널공법에서 모체에 함습하고 있는 수분을 방수층 시공 후에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방수층에 역압(수증기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일방투과 성능을 가진 탈기반(30)을 적용이 반드시 필요하다(도12참조). 따라서 플라스틱 중공 패널에 적용에 있어서도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탈기반(30)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복합방수공법 및 방수시공시 탈기반의 적용에 있어서는 탈기반 설치를 현장에서 시공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에서 플라스틱 패널의 경우는 패널 전체가 단단하고 굴곡이 생기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장생산시 탈기반 전용 플라스틱 패널에 부착하여 도막방수재 1차 바름 후 생산하는 방식을 택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탈기반의 현장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시공상 문제발생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탈기반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플라스틱중공패널의 두께차이(단차 1cm)에 의한 방수층 자체의 계단식 또는 경사의 물흐름 경사(구배) 형성 개념은 기존 도막 및 시트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및 단일재료 방수공사의 전면시공에서 가장 문제점이 되었고, 구배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차적인 문제점(물고임에 의한 변색, 부풀음 등)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외관상으로도 계단식으로 형성된 구배로 인해 중량물의 이동 및 보행 등을 시각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주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 할 수 있는 역할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수층의 구배를 구조물의 형상 및 규모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구배형성에 따른 원할한 배수 및 물고임 현상 등이 없고, 시트방수층의 부식에 대한 염려를 크게 감소시켰다. 그리고 방수층의 내충격 성능 및 보행성이 우수하고, 중량물 이동 및 보행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으며, 조인트부의 강성을 크게 증가 시켜 응력 대응력이 우수하다.
또한, 조인트부의 완벽한 수밀 성능을 보장하며, 패널의 결합 및 운반과정에서 작업성이 양호하고, 꿀렁거림 현상이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패널과 도막방수층을 이용 복합방수층은 방수층의 역할과 동시에 단열층의 역할도 겸할 수 있는 다기능성 복합방수공법의 성립을 가능하게 해준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플라스틱 패널의 크기는 다양한 싸이즈로 제작될 수 있고 통기를 위한 구멍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 콘크리트 구조물의 옥상을 방수함에 있어서:옥상의 바닥면에는 소정 크기의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난간과 같은 수직면에는 아스팔트 시트재, 금속시트재, 합성고분자시트재를 사용하여 시트방수층을 형성하며;상기 플라스틱 패널 방수층과 시트방수층에 도막처리를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는 소정형상의 구멍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의 상호 연결에 의해 계단식 또는 경사의 물흐름 경사(구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의 상면 및 하면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을 상호 이어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는 탈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탈기반이 공장생산과정에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은 가로×세로의 크기가 1m이고, 그의 두께는 2 ~ 15cm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에는 다수의 피스 고정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는 보호캡에 의해 덮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패널 위에는 인접된 플라스틱 패널의 연결부에 보강포 수지함침으로 보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패널의 연결부 좌우 10㎝를 제외한 상면에 부직포 함침과 도막재가 공장생산 과정에서 사전에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패널과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0953A KR100363436B1 (ko) | 2000-04-20 | 2000-04-20 |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
US09/839,612 US6546687B2 (en) | 2000-04-20 | 2001-04-20 | Waterproofing method by using plastic pane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0953A KR100363436B1 (ko) | 2000-04-20 | 2000-04-20 |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7140A true KR20010097140A (ko) | 2001-11-08 |
KR100363436B1 KR100363436B1 (ko) | 2002-12-02 |
Family
ID=19665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0953A KR100363436B1 (ko) | 2000-04-20 | 2000-04-20 |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546687B2 (ko) |
KR (1) | KR100363436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6283A (ko) * | 2001-12-05 | 2003-06-12 | 강남화성 (주) | 조립식 주차장의 방수공법 |
KR100672240B1 (ko) * | 2005-10-20 | 2007-01-22 | (주)리-뉴화학 | 옥상방수공법 |
CN113323284A (zh) * | 2021-06-15 | 2021-08-31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强防水的自由曲面金属屋面系统 |
WO2022021104A1 (zh) * | 2020-07-29 | 2022-02-03 | 黄寿美 | 一种斜坡房顶的钢筋混凝土预制件 |
CN114575538A (zh) * | 2022-03-24 | 2022-06-03 | 杨建� | 一种漏水彰显型屋顶覆盖涂层 |
KR102438008B1 (ko) * | 2021-12-20 | 2022-08-30 | 오제협 | 조립식 지붕 판넬 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8208B2 (ja) * | 1999-09-21 | 2003-03-17 | 宗勉 城田 | 屋根葺材 |
US20050108970A1 (en) * | 2003-11-25 | 2005-05-26 | Mei-Ling Liu | Parquet block with woodwork joints |
DE202004000084U1 (de) * | 2004-01-06 | 2004-04-29 | M. Kaindl | Einschwenkprofil |
US7698859B2 (en) * | 2004-08-20 | 2010-04-20 | Vicente-Francisco Sansano Marti | Removable surface covering |
US20060053723A1 (en) * | 2004-09-14 | 2006-03-16 | Wallace Martin | Roof repair strips and method for refurbishing wooden roofs |
CA2482878A1 (en) * | 2004-09-29 | 2006-03-29 | Denis Lapointe | Insulating roofing system for flat roofs |
US20070011980A1 (en) * | 2005-06-28 | 2007-01-18 | Stegner Michael W | Interlocking Tile |
KR101222290B1 (ko) | 2005-09-23 | 2013-01-16 | 주식회사 케이티 |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
US7490443B1 (en) * | 2006-03-01 | 2009-02-17 | Bike Track, Inc. | Modular flooring system |
US20080222983A1 (en) * | 2007-03-12 | 2008-09-18 | Daniel Lalonde | Encapsulated architectural element |
US20090209239A1 (en) * | 2008-02-18 | 2009-08-20 | Movidilo S.L. | Self-service application platform for wireless devices |
KR101083910B1 (ko) * | 2009-02-20 | 2011-11-15 | 이헌구 |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135975B1 (ko) | 2009-04-20 | 2012-04-17 | 김범진 |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옥상 녹화패널 |
US8402707B2 (en) * | 2010-01-29 | 2013-03-26 | Royal Group Inc. | Interlocking panel system |
US20110258943A1 (en) * | 2010-04-21 | 2011-10-27 | Vic De Zen | Modular building |
IT1404263B1 (it) * | 2011-01-28 | 2013-11-15 | Vass Technologies S R L | Sistema di tetto modulare per la copertura di un edificio |
US8635825B2 (en) | 2011-09-07 | 2014-01-28 | Green Tech Products, Llc | Modular roof panels |
CN114775919A (zh) * | 2019-12-05 | 2022-07-22 | 怀化沃普环保科技有限公司 | 泄压式防水技术 |
CN111851877A (zh) * | 2020-08-27 | 2020-10-30 | 海南红杉科创实业有限公司 | 一种平屋面排水的方法 |
CN113279522A (zh) * | 2021-05-28 | 2021-08-20 |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彩钢瓦屋面电动排烟窗处防水施工方法 |
KR102380382B1 (ko) * | 2021-09-07 | 2022-03-30 | 이영준 | 탄소섬유패널을 이용한 수영장 수조와 그 시공방법 |
KR102571283B1 (ko) * | 2022-01-13 | 2023-08-29 | 이영준 | 수조용 타일과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2551A (en) * | 1943-05-10 | 1946-01-08 | Albert Kahn | Interlocking building block |
US2749739A (en) * | 1951-06-06 | 1956-06-12 | Prec Building System Inc | Interlocking corner block |
US3411256A (en) * | 1965-10-14 | 1968-11-19 | Dow Chemical Co | Roof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
JPS5413104B2 (ko) | 1975-03-18 | 1979-05-28 | ||
US4016323A (en) | 1975-09-29 | 1977-04-05 | Volovsek Anton F | Method and construction of roof system |
US4432183A (en) * | 1981-04-03 | 1984-02-21 | Gory Associated Industries, Inc. | Roofing tile |
US4386981A (en) | 1981-05-29 | 1983-06-07 | W. R. Grace & Co. | Method of waterproofing roofs and the like |
US4651494A (en) * | 1984-06-01 | 1987-03-24 | Wagoner John D Van | Insulation panel for a roofing system or the like |
US4712349A (en) * | 1984-12-24 | 1987-12-15 | The Dow Chemical Company | Protected membrane roof system for high traffic roof areas |
US4719723A (en) * | 1985-10-03 | 1988-01-19 | Wagoner John D Van | Thermally efficient, protected membrane roofing system |
US4899514A (en) * | 1985-11-13 | 1990-02-13 | Brookhart Jr George C | Ballast block for roofing structures |
US5214895A (en) * | 1988-01-18 | 1993-06-01 | Oldcastle, Inc. | Roof tiles |
US4914885A (en) * | 1988-08-29 | 1990-04-10 | Gory Associated Industries, Inc. | Roofing tile |
US5452553A (en) | 1993-09-13 | 1995-09-26 | Clapp; Guy C. | Waterproof coverings for generally flat or low-pitch roofs on buildings |
US5519975A (en) * | 1994-09-30 | 1996-05-28 | Taylor; Mark | Drainage roofing tile |
-
2000
- 2000-04-20 KR KR1020000020953A patent/KR10036343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
- 2001-04-20 US US09/839,612 patent/US654668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6283A (ko) * | 2001-12-05 | 2003-06-12 | 강남화성 (주) | 조립식 주차장의 방수공법 |
KR100672240B1 (ko) * | 2005-10-20 | 2007-01-22 | (주)리-뉴화학 | 옥상방수공법 |
WO2022021104A1 (zh) * | 2020-07-29 | 2022-02-03 | 黄寿美 | 一种斜坡房顶的钢筋混凝土预制件 |
CN113323284A (zh) * | 2021-06-15 | 2021-08-31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强防水的自由曲面金属屋面系统 |
KR102438008B1 (ko) * | 2021-12-20 | 2022-08-30 | 오제협 | 조립식 지붕 판넬 구조 |
CN114575538A (zh) * | 2022-03-24 | 2022-06-03 | 杨建� | 一种漏水彰显型屋顶覆盖涂层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10039781A1 (en) | 2001-11-15 |
KR100363436B1 (ko) | 2002-12-02 |
US6546687B2 (en) | 2003-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97140A (ko) |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
KR101286931B1 (ko) |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 |
KR100737619B1 (ko) | 건설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 |
KR101142857B1 (ko) |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 |
KR100636887B1 (ko) |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 |
US3215243A (en) | Method of repairing roofing material | |
KR100462163B1 (ko) | 패드형 방수시트 | |
KR100702921B1 (ko) |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 |
KR100875897B1 (ko) |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 |
KR102632096B1 (ko) |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
KR20170104172A (ko) |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 |
KR102424341B1 (ko) |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 |
KR100942375B1 (ko) |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 |
KR101780988B1 (ko)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
KR101672303B1 (ko) | 전단균열이 발생되기 전 보강재를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 |
JP3830463B2 (ja) | 建築物の防水工法 | |
KR101115082B1 (ko) |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
JP5652754B2 (ja) | 防水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0552452B1 (ko) |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 |
KR100587410B1 (ko) |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 |
KR20060101368A (ko) | 옥상 철판 방수 공법 | |
KR101860362B1 (ko) | 컬러 탄성 도장공법 | |
KR100334183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 |
KR200326872Y1 (ko) |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 |
KR101864089B1 (ko) | 실외 복합시트 방수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