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096B1 -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096B1
KR102632096B1 KR1020230037037A KR20230037037A KR102632096B1 KR 102632096 B1 KR102632096 B1 KR 102632096B1 KR 1020230037037 A KR1020230037037 A KR 1020230037037A KR 20230037037 A KR20230037037 A KR 20230037037A KR 102632096 B1 KR102632096 B1 KR 10263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synthetic polymer
joint portion
compos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호
Original Assignee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102023003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4/00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과, 상기 하부 섬유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접착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WATERPROOF COMPLEX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은 강수 등으로부터 누수를 방지하며 구조물의 균열이나 내구성의 저하를 막기 위한 방수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아스팔트 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도막 방수 등을 이용하여 방수작업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하거나 토목 구조물을 구축하는 데, 건축물 및 구조물들의 각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방수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방수공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이 방수공법은 각종 바탕기재층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이 시멘트 모르타르층 위에 프라이머를 코팅하며, 이 프라이머층 위에 일반 시트 방수층 또는 일반 도막 방수층을 코팅하여 방수구조를 형성한다.
이 방수 시공이 완료되면, 이 방수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방수층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보호 모르타르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호 모르타르층 위에 시멘트, 모래, 자갈로 구성되는 레미콘(read mixed concrete)을 타설하여 보호 누름층을 형성한다. 이 보호 누름층은 바탕기재층과 방수층과의 들뜸을 방지한다.
이때, 바탕기재층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목재, 벽돌, 철골,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는 아스팔트계, 우레탄계, 탄성무기질계 및 아크릴계 프라이머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일반 시트 방수층은 주로 아스팔트계 시트가 사용되고, 일반 도막 방수층은 주로 우레탄방수나 무기질탄성도막방수 등이 사용된다.
이 방수공법에 적용되는 일반 시트 방수층 및 일반 도막 방수층은 바탕기재층 및 바탕기재층을 통과한 물에 대한 방수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일차적으로 바탕기재층은 여러 특수한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각 구조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현대식 건축물 및 토목 구조물은 철근과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한 구조물이므로 각종 강우에 의한 단기적인 수분영향과 지하수에 의한 장기적인 수분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강우와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산, 알카리, 염소, 오일 성분 등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촉진과 철근의 부식에 따른 내구성능 저하를 일으키고, 이차적으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구연한을 저하시킨다.
일반 시트 방수층은 바탕기재층에 부착되어 시공되므로 바탕기재층의 변형 또는 균열시, 이 균열에 이어져 파단되어, 견고한 방수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1421호(2000.11.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과, 상기 하부 섬유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접착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는 제1시트와,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얹혀져 상기 제1시트와 접합하는 제2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섬유층은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의 접합부위에는 선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제1시트의 결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접착층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1접합부분과, 상기 제1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제2시트의 접착층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2접합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맞대어져 상기 제2접합부분을 덮는 부틸테이프와,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섬유층, 상기 제2시트의 상부 섬유층 및 상기 부틸테이프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부착되는 씰링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제2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부틸테이프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3접합부분과, 상기 제3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부틸테이프와 상기 씰링제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4접합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는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이형 가능한 이형층이 구비되고, 상기 이형층이 이형 된 이후 상기 접착층의 하부와 바탕면 사이에는 상기 접착층의 부착성을 높이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는 도막방수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씰링제를 덮는 형태로 도포되어 차열성능을 높이는 차열도막재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과, 상기 하부 섬유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접착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는 제1시트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얹혀져 상기 제1시트와 접합하는 제2시트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의 접합부위에 부틸테이프를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섬유층, 상기 제2시트의 상부 섬유층 및 상기 부틸테이프를 덮는 형태로 씰링제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 사이에는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6단계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에 도막방수재를 시공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5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씰링제를 덮도록 차열도막재를 도포하여 차열도막재층을 형성하는 제8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의하면,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접합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접합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11)과, 합성 고분자층(11)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12)과, 보강층(12)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13)과, 하부 섬유층(13)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15)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14a)를 구비하는 접착층(14)과, 합성 고분자층(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16)을 구비할 수 있다.
합성 고분자층(11)은 우수한 방수성, 내구성 및 장기 신뢰성을 가짐과 동시에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가공될 수 있어 방수층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강층(12)은 방수용 복합시트(10)의 평활도 및 강도를 향상하여 열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보강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수분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발수성을 가지도록 폴리에스테르계 직모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섬유층(13)은 합성 고분자층(11)에 접착층(14)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평면을 구성하는 층상 형상으로 구비되며, 합착 처리된 보강섬유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층(14)은 부틸고무 시트 등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단면을 가지면서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접착층(14)이 평면상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14)은 합성 고분자층(11), 보강층(12) 및 하부 섬유층(1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돌출되는 결합부(14a)를 구비하고, 결합부(14a)에는 보강 메쉬(15)가 구비되며, 결합부(14a)를 통해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방수용 복합시트(10)가 접합될 수 있다.
이형층(20)은 경질 특성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계 필름의 일면에 실리콘 이형 처리된 이형 필름 또는 종이로 제작되고, 합지 처리 후 주름 발생을 방지하며, 접착층(14)과 원활하게 이형되어 박리 시 찢어짐,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섬유층(16)은 방수용 복합시트(10)의 노출 또는 비노출 시공시 합성 고분자층(11)의 상부에 구비되는 각종 마감층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노출 시공될 시에는 일 방향으로 긴 선 형태를 갖는 복수의 상부 섬유층(16)이 구비되고,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비노출 시공될 시에는 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접합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접합 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접합 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는 합성 고분자층(11), 보강층(12), 하부 섬유층(13), 접착층(14) 및 상부 섬유층(16)을 구비하는 제1시트(10a)와, 합성 고분자층(11), 보강층(12), 하부 섬유층(13), 접착층(14) 및 상부 섬유층(16)을 구비하여 제1시트(10a)의 접착층(14)에 구비된 결합부(14a)에 얹혀져 제1시트(10a)와 접합하는 제2시트(1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시트(10a)와 제2시트(10b) 서로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구비되어 이웃하게 위치하며, 접합시 제2시트(10b)의 일단이 결합부(14a) 위에 위치하여 제1시트(10a)의 일단에 얹혀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시트(10b)가 제1시트(10a)에 얹혀진 이후에는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 및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과 맞대어져 제2접합부분(100b)을 덮는 부틸테이프(200)와, 제1시트(10a)의 상부 섬유층(16), 제2시트(10b)의 상부 섬유층(16) 및 부틸테이프(200)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부착되는 씰링제(300)가 구비될 수 있다.
부틸테이프(200)는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과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에 부착되어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과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을 일체화하는 역할을 하며, 씰링제(300)는 부틸테이프(200)를 덮어 부틸테이프(2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1시트(10a)와 제2시트(10b)의 접합부위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16)은 선 형태로 구비되어 씰링제(300)에 의해 덮어질 수 있다.
한편, 방수용 복합시트(10)는 제1시트(10a)의 결합부(14a)와 제2시트(10b)의 접착층(14)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1접합부분(100a)과, 제1접합부분(100a)의 상단에 형성되되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과 제2시트(10b)의 접착층(14)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2접합부분(100b)과, 제2접합부분(100b)의 상단에 형성되되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과 부틸테이프(200)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3접합부분(100c)과, 제3접합부분(100c)의 상단에 형성되되 부틸테이프(200)와 씰링제(300)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4접합부분(100d)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접합부분(100a)은 접착층(14) 간의 접합으로써 접합력을 높게 발휘할 수 있고, 제2접합부분(100b)은 제2시트(10b)의 접착층(14)을 통해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3접합부분(100c)은 부틸테이프(200)를 통해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4접합부분(100d)을 형성하는 부틸테이프(200)는 상면에 접착력이 없으므로 씰링제(300)의 하면과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닌 씰링제(300)의 하면 맞대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부틸테이프(200)는 씰링제(300)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유동하더라도 유동하지 않고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과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접합구조를 통해 접합력이 발휘되도록 하여 방수용 복합시트(1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부틸테이프(200)의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방수용 복합시트(10)의 하자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접합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접착층(14)의 하면에는 접착층(14)으로부터 이형 가능한 이형층(20)이 구비되고, 이형층(20)이 이형 된 이후 접착층(14)의 하부와 바탕면(미도시) 사이에는 접착층(14)의 부착성을 높이는 프라이머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7)은 바탕면(미도시)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층(14)의 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비노출 시공될 시에는 프라이머층(17)과 방수용 복합시트(10) 사이에 도막방수재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도막방수재층(18)은 프라이머층(17)에 도막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방수용 복합시트(10)가 시공되기 전에 선 시공되어 방수용 복합시트(10)와 함께 방수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17)은 바탕면(미도시)의 상면에 형성되어 도막방수재층(18)의 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비노출 시공될 시 방수용 복합시트(10)에는 방수용 복합시트(10)를 마감하기위한 마감층 또는 코팅층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접합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방수용 복합시트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접착층(14)의 하면에는 접착층(14)으로부터 이형 가능한 이형층(20)이 구비되고, 이형층(20)이 이형 된 이후 접착층(14)의 하부와 바탕면(미도시) 사이에는 접착층(14)의 부착성을 높이는 프라이머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7)은 바탕면(미도시)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접착층(14)의 부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노출 시공될 시에는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 및 씰링제(300)를 덮는 형태로 도포되는 차열도막재층(19)이 구비될 수 있다.
차열도막재층(19)은 차열도막재를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 및 씰링제(300)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노출 시공에 따른 태양광의 열이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 및 씰링제(3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방수용 복합시트(10)의 차열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10)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바탕면(미도시)을 정리하는 제1단계(S110)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11)과, 합성 고분자층(11)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12)과, 보강층(12)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13)과, 하부 섬유층(13)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15)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14a)를 구비하는 접착층(14)과, 합성 고분자층(11)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16)을 구비하는 제1시트(10a)를 시공하는 제2단계(S120)와, 합성 고분자층(11), 보강층(12), 하부 섬유층(13), 접착층(14) 및 상부 섬유층(16)을 구비하여 제1시트(10a)의 접착층(14)에 구비된 결합부(14a)에 얹혀져 제1시트(10a)와 접합하는 제2시트(10b)를 시공하는 제3단계(S130)와, 제1시트(10a)와 제2시트(10b)의 접합부위에 부틸테이프(200)를 시공하는 제4단계(S140)와, 제1시트(10a)의 상부 섬유층(16), 제2시트(10b)의 상부 섬유층(16) 및 부틸테이프(200)를 덮는 형태로 씰링제(300)를 시공하는 제5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계(S110)와 제2단계(S120) 사이에는 바탕면(미도시)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7)을 형성하는 제6단계(S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비노출 시공될 시에는 제2단계(S120)와 제6단계(S160) 사이에 바탕면(미도시)에 도막방수재를 시공하여 도막방수재층(18)을 형성하는 제7단계(S170)가 구비되고, 방수용 복합시트(10)가 노출 시공될 시에는 제5단계(S150) 이후에 제1시트(10a)의 합성 고분자층(11), 제2시트(10b)의 합성 고분자층(11) 및 씰링제(300)를 덮도록 차열도막재를 도포하여 차열도막재층(19)을 형성하는 제8단계(S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방수용 복합시트 10a: 제1시트
10b: 제2시트 11: 합성 고분자층
12: 보강층 13: 하부 섬유층
14: 접착층 14a: 결합부
15: 보강 메쉬 16: 상부 섬유층
17: 프라이머층 18: 도막방수재층
19: 차열도막재층 20: 이형층
100a: 제1접합부분 100b: 제2접합부분
100c: 제3접합부분 100d: 제4접합부분
200: 부틸테이프 300: 씰링제

Claims (13)

  1. 방수용 복합시트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과, 상기 하부 섬유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접착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는 제1시트와,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얹혀져 상기 제1시트와 접합하는 제2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섬유층은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의 접합부위에는 선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과 상기 제2시트의 결합부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1접합부분과, 상기 제1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의 하면과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2접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맞대어져 상기 제2접합부분을 덮음과 동시에 상기 제1시트의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및 상기 접착층과 접하는 부틸테이프와,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섬유층, 상기 제2시트의 상부 섬유층 및 상기 부틸테이프를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부착되는 씰링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는 상기 제2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부틸테이프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3접합부분과, 상기 제3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부틸테이프와 상기 씰링제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4접합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하면에는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이형 가능한 이형층이 구비되고,
    상기 이형층이 이형 된 이후 상기 접착층의 하부와 바탕면 사이에는 상기 접착층의 부착성을 높이는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상기 프라이머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는 도막방수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씰링제를 덮는 형태로 도포되어 차열성능을 높이는 차열도막재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
  10. 바탕면을 정리하는 제1단계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부 섬유층과, 상기 하부 섬유층의 하부에 위치하고 일측에 보강 메쉬가 구비된 돌출형태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접착층과, 상기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는 제1시트를 시공하는 제2단계와,
    상기 합성 고분자층, 상기 보강층, 상기 하부 섬유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상부 섬유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에 얹혀져 상기 제1시트와 접합하는 제2시트를 시공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시트와 상기 제2시트의 접합부위에 부틸테이프를 시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시트의 상부 섬유층, 상기 제2시트의 상부 섬유층 및 상기 부틸테이프를 덮는 형태로 씰링제를 시공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2단계 내지 제5단계에서의 상기 제1시트, 상기 제2시트, 상기 부틸테이프 및 상기 씰링제에는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과 상기 제2시트의 결합부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1접합부분과, 상기 제1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시트의 접착층의 하면과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의 상면이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2접합부분과, 상기 제2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과 상기 부틸테이프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3접합부분과, 상기 제3접합부분의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부틸테이프와 상기 씰링제가 접합하여 형성되는 제4접합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와 상기 제2단계 사이에는 바탕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6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비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2단계와 상기 제6단계 사이에는 프라이머층에 도막방수재를 시공하여 도막방수재층을 형성하는 제7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용 복합시트가 노출 시공될 시, 상기 제5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1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상기 제2시트의 합성 고분자층 및 상기 씰링제를 덮도록 차열도막재를 도포하여 차열도막재층을 형성하는 제8단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복합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230037037A 2023-03-22 2023-03-22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63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037A KR102632096B1 (ko) 2023-03-22 2023-03-22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7037A KR102632096B1 (ko) 2023-03-22 2023-03-22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096B1 true KR102632096B1 (ko) 2024-01-31

Family

ID=8971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7037A KR102632096B1 (ko) 2023-03-22 2023-03-22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421B1 (ko) 1998-02-14 2000-11-15 장성주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KR20060086157A (ko) * 2005-01-26 2006-07-31 (주)삼성건업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20210092889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87902B1 (ko) * 2021-02-16 2021-08-10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차열층을 포함하는 방수·방근 점착복합시트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421B1 (ko) 1998-02-14 2000-11-15 장성주 경질시트를 이용한 도막 방수공법 및 그 방수시트
KR20060086157A (ko) * 2005-01-26 2006-07-31 (주)삼성건업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20210092889A (ko) *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용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287902B1 (ko) * 2021-02-16 2021-08-10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차열층을 포함하는 방수·방근 점착복합시트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6181B2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194298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와 단열 및 보강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방수 및 보강 복합 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0533231B1 (ko) 도막방수층 보강을 위한 스트레치 고무 아스팔트 펠트 및그를 이용한 도막 및 펠트 적층방수재
KR1006884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480098B1 (ko) 욕실용 방수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0607154B1 (ko)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632096B1 (ko)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902836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 적층 자착형 점착씰 보강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시공공법
KR20023389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트
KR102047113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1700250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KR102047111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4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0231910B1 (ko) 휨 및 표면충격 강도가 강화된 건축용 패널및 그 제조방법
KR101566591B1 (ko) 창틀과 구조물 사이의 틈새 보강방법 및 건축물의 균열보수용 보강시트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102072273B1 (ko)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20010090026A (ko) 폴리에스터 개량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247450Y1 (ko) 패드형 단열방수시트
KR100323119B1 (ko) 지붕 마감구조, 아스팔트 시트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공법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60032718A (ko) 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방수시트본체와 도막방수층이 일체로 형성되는복합방수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