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341B1 -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341B1
KR102424341B1 KR1020210145074A KR20210145074A KR102424341B1 KR 102424341 B1 KR102424341 B1 KR 102424341B1 KR 1020210145074 A KR1020210145074 A KR 1020210145074A KR 20210145074 A KR20210145074 A KR 20210145074A KR 102424341 B1 KR102424341 B1 KR 10242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aterproofing
waterproof
waterproof sheet
waterproof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우
이상길
이대경
Original Assignee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이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은이앤씨, 이상길, 이대경 filed Critical (주)한은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4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연결부위의 응력감소 및 통기성이 향상된 복합방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측에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심재필름과 상기 심재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융착되어 결합되되, 폴리에스테의 원사를 섬유형태로 직조된 방수시트를 서로 겹치도록 설치하되 방수시트의 상, 하부를 도막방수재로 함침함으로써, 방수시트가 견고하게 접착됨은 물론 방수시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옥상 슬래브나 지붕 등의 방수대상면과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연결부분에 공기연결통로의 설치와 방수대상면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통기성을 개선하여 들뜸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복합방수구조를 신속하게 점검, 보수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Stress reduction and breathability composite waterproof structure using waterproof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waterp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연결부분의 응력감소 및 통기성이 향상된 복합방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근래에는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나 지붕 등의 방수를 위해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공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른 종래기술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대상면(10)에 방수시트(20)의 연결부분 하부만을 도막방수재(30)로 부착하고 방수시트(20) 상부 및 유리섬유(40)가 설치된 연결부분에 도막방수재(30)를 도포하여 방수시트(20)와 도막방수재(30)를 일체화시키고, 방수시트(20) 하부와 방수대상면(10) 사이의 습기와 공기가 유통되는 방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86035호에는 도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공(121)이 전면에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층(120)을 중심으로 상, 하부에 상, 하부부직포층(110, 130)이 열융착된 통기성 방수시트(100), 통기성 방수시트(100)는 콘크리트 바닥면(A)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하여 벨크로타입의 조인트부재(200)로 접착하고, 인접한 통기성 방수시트(100)에 놓여진 메쉬구조의 유리섬유층(400) 상면을 탄성도막방수층(500)으로 도포하는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1의 종래기술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86035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는 본 발명의 심재필름의 관통구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연결통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온도 변화에 의한 방수시트의 수축팽창이 옥상 슬래브 등 방수대상면의 콘크리트보다 매우 커서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는 방수대상면에 부착된 방수시트의 연결부위에 응력이 집중하게 될 뿐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축팽창이 반복적으로 지속되어, 방수시트 연결부위에는 균열이 발생하고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가 서로 탈락되어 옥상 슬래브 등 방수대상면으로 물이 스며드는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관통공이 플라스틱 필름층 전면에 형성되어 방수시트가 방수대상면과 거의 대부분이 접착되어 있으므로 수증기와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어려운 구조이고, 방수시트 하부와 방수대상면 사이에 수증기와 공기의 배출을 위해 탈기반을 설치해야 하며, 방수공사가 완료 후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탈기반에 공기주입기를 연결하여 공기를 불어넣어서 공기가 빠지는 소리 등으로 방수하자 부위를 찾을 수 있어야 하는데, 도 10의 종래기술과 특허문헌 1에는 탈기반으로 공기주입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아 방수층을 일일이 육안으로 검사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035호(2016.01.1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온도 변화에 의한 방수층의 수축, 팽창 등에 따른 방수시트 연결부분에 작용하는 집중 응력을 감소시키고, 방수대상면과 방수시트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기, 습기 등을 원활하게 배기할 수 있는 통기성이 확보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도포되는 프라이머(100)와 상기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200)와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설치되는 방수시트(400)와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함침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와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함침 도포되는 제3도막방수재(600) 및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자외선차단제(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시트(400)는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양측에 관통구(412)가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구(412)가 형성되는 심재필름(410)과 상기 심재필름(410)보다 좌우 폭이 넓은 연결부(402)가 형성되어 상기 심재필름(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420) 및 상기 심재필름(410)과 폭이 같게 형성되어 상기 심재필름(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시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는 상기 방수시트(400)의 관통구(412)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심재필름(410)은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PV) 중 어느 하나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두께 0.7~1㎜, 폭 110~1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관통구(412)는 1.5~3.0㎝의 구형으로 형성되고, 심재필름(410)의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11~13㎝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열관통구와 1.5~3.0㎝의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필름(410)의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23~25㎝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열관통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열관통구와 제2열관통구는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시트(420)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 이루어지며 240~260g/㎡의 중량으로 6줄의 원사를 경사편직(Tricot) 방식으로 직조한 섬유형태이고, 아크릴수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시트(420)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1.5~15.5N/㎟이고,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24~28N/㎟이며,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130~150N/㎜이고,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110~130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시트(430)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과 길이방향 모두 1인치당 8~10가닥의 원사가 들어가고, 45~60g/㎡의 중량으로 직조하여 섬유형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시트(430)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650~680N/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도막방수재(600) 도포후 경화되기 전에 미끄럼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기연결통로(300)와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탈기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연결통로(300)는 상부는 중앙부에 편평부(310)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경사부(320)가 형성되되, 상부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하부에 복수 개의 돌기(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기장치(800)는 방수대상면(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810)와, 상기 플레이트(810)의 고정공(811)에 나사 고정되는 탈기관(820)과, 상기 탈기관(820)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830)와, 상기 탈기관(8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습기를 개폐하는 밸브(8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기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프라이머(10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와 상기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되, 방수시트(400)가 겹치지는 연결부(402)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는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와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설치하는 방수시트 설치단계(S40)와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제2도막방수재(500)를 함침 도포하는 2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50)와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제3도막방수재(600)를 함침 도포하는 3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60) 및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자외선차단제(700)를 도포하는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 이후,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공기연결통로(300)를 배치하는 공기연결통로 배치단계(S30)와,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전 상기 방수대상면(10)에 탈기장치(800)의 플레이트(810)를 고정하는 고정단계(S80)와,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후 상기 플레이트(810)의 고정공(811)을 방수시트(400) 상부로 노출시킨 후, 탈기관(820)을 나사 조립하는 탈기관 조립단계(S81)와, 상기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 이후, 상기 탈기장치(800)의 커버(830) 및 밸브(840)을 조립하는 탈기장치 조립단계(S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은 양측에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심재필름과 상기 심재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융착되어 결합되되, 폴리에스테의 원사를 섬유형태로 직조된 방수시트를 서로 겹치도록 설치하고, 방수시트의 상, 하부를 도막방수재로 도포하여 함침함으로써, 방수시트가 견고하게 접착됨은 물론 방수시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옥상 슬래브나 지붕 등의 방수대상면과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연결부분에 공기연결통로를 설치하고 방수대상면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통기성을 개선하여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탈기장치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고 공기가 빠지지 않게 잠금밸브를 잠근 다음 공기가 빠져나가는 소리 등으로 방수하자 부위를 간단하게 찾음으로써 신속하게 점검, 보수 등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a) 및 다른 단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방수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시트를 나타낸 투영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시트와 복합방수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방수시트와 복합방수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a) 및 다른 단면도(b).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탈기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a) 및 커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공기연결통로를 나타낸 사시도(a) 및 저면 사시도(b).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의 순서도(a) 및 공기연결통로 배치와 탈기장치의 조립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의 순서도(b).
도 11은 종래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13은 특허문헌 1의 방수시트와 보강형 복합방수구조를 나타낸 모식도.
본 발명은 방수시트(400)를 이용한 연결부분의 응력감소 및 통기성이 향상된 복합방수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측에 복수 개의 관통구가 형성된 심재필름과 상기 심재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융착되어 결합되되, 폴리에스테의 원사를 섬유형태로 직조된 방수시트를 서로 겹치도록 설치하되 방수시트의 상, 하부를 도막방수재로 함침함으로써, 방수시트가 견고하게 접착됨은 물론 방수시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옥상 슬래브나 지붕 등의 방수대상면과 접착되는 방수시트의 연결부분에 공기연결통로의 설치와 방수대상면에 탈기장치를 설치하여 통기성을 개선하여 들뜸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복합방수구조를 신속하게 점검, 보수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프라이머(100)는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도포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방수시트(400)의 일측과 일측이 겹치도록 설치되는 부분과 상기 방수시트(400)의 심재필름(410)에 형성된 관통구(412)가 위치되는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도포되어 제1도막방수재(200), 제2도막방수재(500)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도막방수재(200)는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도포하되, 도포되는 폭은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를 포함하고, 연결하는 방수시트(400)의 심재필름(410)과 하부시트(430)의 일정 길이의 끝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심재필름(410)과 하부시트(430)의 끝단과 연결부(402)가 프라이머(100)에 견고히 결합되어 연결부(402)의 집중응력에 견디게 하고 방수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1도막방수재(200)는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에 상부로 함침되고, 후에 도포될 제2도막방수재(500)가 함침되어 제1, 2도막방수재(200, 500)가 하나로 연결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에 의해 방수시트(400)의 겹치지는 연결부(402)가 함침되어 접착될 때는 공기연결통로(30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공기연결통로(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중앙부에 편평부(310)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경사부(320)가 형성되되, 상부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하부에 복수 개의 돌기(330)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330)과 돌기(330) 사이에 홈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양단부의 경사부(320)는 공기연결통로(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방수시트(400)가 밀접되어 들뜨지 않도록 않도록 하고, 하부의 복수 개의 돌기(300)는 상부에서 누르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고, 돌기(300) 사이의 홈으로는 공기, 습기 등이 원활하게 유통되어 탈기장치(8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기연결통로(300)는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포된 제1도막방수재(200)에 의해 하부가 고정되고,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 하부와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됨에 따라 인접하는 방수시트(400) 사이에 공기가 유통되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 뿐만 아니라 시공에 따른 습기의 유통 또한 원활하도록 하여 제1도막방수재(200)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후에 탈기장치(800)를 통해 방수하자 부위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공기연결통로(300)는 하부에 도포된 제1도막방수재(200)에 고정되고, 상부에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를 겹치게 설치한 후 제2도막방수재(500)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방수시트(400)와 제1도막방수재(200)의 사이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는 심재필름(410)의 폭보다가 넓게 형성되는 상부시트(420)의 양측면에 해당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시트(420)가 섬유형태로 직조됨에 따라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가 상기 상부시트(420)의 양측면에 함침되어 상기 공기연결통로(300)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방수시트(400)는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 및/또는 공기연결통로(300)의 상부에 겹쳐지는 연결부(402)가 위치하는 것으로서, 기도포된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가 상부로 함침됨에 따라 방수성이 향상되고, 제2도막방수재(500)의 함침에 의해 2차로 보다 견고하고 방수성이 향상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수시트(400)는 자체적으로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설치됨에 따라 우수한 방수성능을 발휘하고, 앞서 설명된 제1도막방수재(200)와 제2도막방수재(500) 및 제3도막방수재(600)에 의해 방수대상면(10)에 보다 견고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보다 우수한 방수성을 형성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2도막방수재(500)는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함침 도포되는 것으로서,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에서 도포함과 동시에 상부시트(420) 속으로 함침되어 하부로부터 스며 올라온 제1도막방수재(200)와 일체가 되고, 방수시트(400)의 관통구(412)에서는 방수시트(400)의 상부시트(420)를 함침하고 심재필름(410)의 관통구(412)를 충전한 후 프라이머(100)에 접착됨으로써, 방수성 향상은 물론 방수시트(400)의 겹치는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감소시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3도막방수재(600)는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가 도포되지 않은 방수시트(400)의 상부를 포함하는 즉, 상기 방수시트(400)의 상부 전체에 함침 도포되어 상기 방수시트(400)의 방수성능을 더욱 향상시킨다.
한편 제3도막방수재(600)를 도포한 후 경화되기 전에 규사, 돌가루 등 미끄럼방지제를 골고루 뿌려줌으로써 빗물 등 습기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자외선차단제(700)는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도포되어 자외선으로부터 도막방수재 및 방수시트(400)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방수성능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방수시트(400)는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양측에 관통구(412)가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구(412)가 형성되는 심재필름(410)과, 상기 심재필름(410)보다 좌우 폭이 넓은 연결부(402)가 형성되어 심재필름(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420) 및 상기 심재필름(410)과 폭이 같게 형성되어 상기 심재필름(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시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재필름(410)은 폴리염화비닐(PVC)을 주재로 이루어지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PV) 등 합성고분자계 재료로도 가능하고, 두께 0.7~1㎜, 폭 110~1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재필름(410)는 두께가 0.7㎜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방수시트(400)가 쭈글쭈글해지거나 찢어지기 쉽고, 통기성이 원활하지 않으면 열에 의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고, 두께가 1㎜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불편하고 들뜨게 되어 방수대상면(10)에 밀착하기 곤란한 형상이 발생하게 되고, 심재필름(410)의 두께를 0.7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재필름(410)은 폭이 11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넓은 면적의 방수대상면(10) 시공에서는 작업수요가 증가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20㎝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무게가 무겁고 다루기 힘들어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관통구(412)의 도막방수재 충전에 의한 점 접착 효과가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심재필름(410)의 폭을 1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재필름(410)은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412)를 통해 제2도막방수재(500)가 상부시트(420)에 함침된 후 충전되고, 하부의 프라이머(100)와 접착하여 방수대상면(10)과 방수시트(4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점 접착을 통해 집중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관통구(412)는 직경이 1.5~3.0㎝의 구형으로 형성되고, 심재필름(410)의 일측 또는 타측 말단으로부터 11~13㎝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열관통구(412)와 직경이 1.5~3.0㎝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필름(410)의 일측 또는 타측 말단으로부터 23~25㎝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열관통구(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열관통구(412)와 제2열관통구(412)의 직경은 1.5㎝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관통되는 제2도막방수재(500)에 의한 접착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를 초과하여 성형되는 경우 심재필름(410)의 관통구(412) 사이가 좁아져 찢어지기 쉬워지므로 인열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관통구(412)가 심재필름(410)의 일측 또는 타측말단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11㎝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고, 13㎝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접착에 의한 응력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관통구(412)의 인접한 제1열관통구(412)가 이격되는 거리와 상기 제2열관통구(412)의 인접한 제2열관통구(412)가 이격되는 거리는 4.5㎝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통기성이 저하되면서 찢어지기 쉬워지고, 5.5㎝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접착에 의한 응력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관통구(412)가 심재필름(410)의 일측 또는 타측말단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23㎝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열관통구(412)와 근접되어 통기성이 저하되면서 찢어지기 쉬워지고, 25㎝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열관통구(412)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응력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2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열관통구(412)와 제2열관통구(412)는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2열관통구가 일열로 배열될 때보다 이격거리가 커지므로 심재필름(410)이 찢어지는 것으로 방지할 수 있고, 1, 2열관통구(412)가 경사지게 놓이므로 상, 하부시트(420, 430)가 찢어지는 것을 더욱 더 방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되도록 함은 물론 통기에 의한 제2도막방수재(500)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점 접착에 의한 응력감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상부시트(420)와 하부시트(430)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직조하여 섬유형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상부시트(420)의 경우 공장 제조시 6줄의 원사를 뜨개질 하듯 동시에 엮으면서 짜는 경사편직(Tricot) 방식으로 제조되어 조직이 치밀하고 여러 방향으로도 찢어지지 않으며 인장강도가 매우 높은 특성을 가지며,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의 함침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후에 도포될 제3도막방수재(600)와 기도포된 제2도막방수재(50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하부시트(430)의 경우 통기성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수대상면(10)과의 밀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와 심재필름(410)의 양면에 직조된 섬유형태의 상, 하부시트(420, 430)을 접착함으로써 방수시트(400)가 한쪽으로 쭈굴쭈굴해지는 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시트(420)의 중량은 240g/㎡ 미만으로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섬유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가 충분히 함침되지 못해 방수성이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고 합지 후 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60g/㎡를 초과하여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섬유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의 양이 많아 시공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400)의 무게가 무거워져 시공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g/㎡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시트(420)는 직조하여 섬유형태로 제조한 후 아크릴수지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아크릴수지는 변색에 강하고 내약품성과 전기절연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방수시트(400)의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변형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420)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1.5~15.5N/㎟이고,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24~28N/㎟이며,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130~150N/㎜이고,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110~1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3.5N/㎟,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26.2N/㎟,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142.9N/㎜,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121.8N/㎜이 가장 바람직하며, 종래의 방수시트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비해 매우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응력 발생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시트(430)는 폭방향과 길이방향 모두 1인치(inch)당 8~10가닥의 원사가 들어가고, 45~60g/㎡의 중량으로 직조하여 섬유 형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1인치당 8~10가닥 원사로 제조됨에 따라 방수대상면(10)과 방수시트(400) 사이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면서 단열기능과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방수대상면(10)의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심재필름(41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1인치(inch)당 9가닥의 원사가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45g/㎡ 미만의 중량으로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섬유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60g/㎡ 초과의 중량으로 형성되도록 직조하여 섬유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방수대상면(10)과 밀접되어 통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범위의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2g/㎡ 중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시트(430)는 1인치 폭을 기준으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650~680N/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종래의 방수시트 뿐만 아니라 상부시트(420) 및 심재필름(410)보다 매우 강한 내구성으로 응력 발생시 방수시트(400)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의 단위를 N/in로 한 것은 하부시트가 1인치당 원사를 8~10개를 포함하는 강도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수시트(400)는 제1열관통구(412)와 제2열관통구(412)를 통해 방수시트(400)와 방수대상면(10)을 점 접착시켜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에 집중되는 수축팽창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 의한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의 파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또한 방수대상면(10)과의 사이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탈기장치(800)는 방수시트(400)와 방수대상면(10) 사이의 습기와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고, 방수층의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공기주입기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한 다음 공기가 새어나오지 않게 차단 후 공기가 빠져나오는 소리를 듣거나 방수층 위에 물을 뿌려 공기가 빠져나오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발견하여 하자부위를 발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탈기장치(800)는 방수대상면(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810)와 상기 플레이트(810)의 결합공(813)에 나사 고정되는 탈기관(820)과, 상기 탈기관(820)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830)와, 상기 탈기관(8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습기를 개폐하는 밸브(840)가 포함되어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조립하여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810)는 아연도금 강판으로 바닥면(811)에 연통되는 +형상의 탈기로(8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탈기로(812) 중앙에는 결합공(813)이 형성되어 탈기관(820)을 나사결합으로 견고하고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각 바닥면(811)에는 고정공(814)이 형성되어 플레이트(810)를 방수대상면(10)에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기로(812)는 +자형 각 방향으로 공기와 습기 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탈기로(812)의 +자형 중앙부에는 탈기관(820)에 끼워진 커버(830)가 밀착되는 원형부를 형성한다.
또한 탈기관(820)은 스텐레스 강관으로 배출구가 방수대상면(10)을 향해 구부러져 빗물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배출구 등 양단부는 플레이트(810)와 밸브(840)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830)는 스텐레스 강판의 원형으로써 중앙에 탈기관(820)이 관통하는 구멍(831)이 형성되고, 중앙방향으로 테두리(832), 수직부(833), 경사부(834), 구멍(831)을 구비한 구멍돌출부(835)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밸브는 탈기관(82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공기, 습기 등을 배기할 수 있도록 개폐기능을 갖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나 지붕 등의 방수대상면(10)에 먹줄을 놓고, 방수시트(400)이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되는 위치에 프라이머(100)를 도포한다.
즉,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프라이머(100)를 도포하되,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심재필름(410)에 형성된 관통구(412)가 위치되는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프라이머(10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되,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가 위치되는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는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를 실시한다.
즉, 상기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는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방수시트(400)의 심재필름(410)과 하부시트(430)의 일정 길이의 끝단이 함침되어 방수시트(400)의 겹치는 부분이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방수시트(40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가 상부로 함침되도록 하는 방수시트 설치단계(S40)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는 롤 형태로 현장에 반입된 방수시트(400)를 풀면서 방수시트(400)의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치는 부분과 관통구(412)가 형성된 상부에 제2도막방수재(500)를 함침 도포하는 2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50)를 실시한다.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는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치는 연결부(402)에 함침되어 제1도막방수재와 일체화되고, 관통구(412)가 형성된 위치의 상부시트(420)에 함침되어 상기 관통구(412)를 충전하여 프라이머(100)에 접착됨으로써 방수시트(400)가 겹치는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담하는 기능과 동시에 관통구(412)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제3도막방수재(600)를 도포하는 3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60)를 실시한다. 즉, 상기 3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60)는 전체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제3도막방수재(600)를 함침 도포하여 방수시트(400)의 겹치는 부분과 제2도막방수재(500)와 일체가 되면서 나머지 부분의 상부시트(420)에 함침되고, 이에 따라 심재필름(410)과 일체화되어 방수대상면(10) 전체가 도막방수재로 연결되게 한다.
한편 제3도막방수재(600)를 도포한 후 경화되기 전에 규사, 돌가루 등 미끄럼방지제를 골고루 뿌리기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자외선차단제(700)를 도포하는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를 실시 함에 따라 자외선에 취약한 도막방수재를 보호한다.
아울러 공기연결통로 배치단계(S30)와 탈기장치 조립단계(S80)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 이후,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공기연결통로(300)를 배치하는 공기연결통로 배치단계(S30)를 실시한다.
또한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전, 상기 방수대상면(10)에 탈기장치(800)의 플레이트(810)를 고정하는 고정단계(S80)와,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후 상기 플레이트(810)의 고정공(811)을 방수시트(400) 상부로 노출시킨 후, 탈기관(820)을 나사 조립하는 탈기관 조립단계(S81)와,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 이후, 상기 탈기장치(800)의 커버(830) 및 밸브(840)을 조립하는 탈기장치 조립단계(S82)를 실시한다.
탈지장치 조립단계를 설명하면, 방수대상면(10)에 플레이트(810)를 고정하고, 방수시트(400)를 덮은 후 칼로 고정공(811)을 노출시켜 탈기관(820)을 조립하고, 제1, 2도막방수재와 자외선차단재 도포가 끝난 후, 탈기관(820)에 커버(830)를끼워 커버 하부에 씰링재를 충전한 다음 눌러 접착하고, 마지막으로 밸브(840)를 나사결합한다. 평상시에는 밸브를 열어서 공기나 습기 등이 자유롭게 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은 관통구(412)를 통해 방수시트(400)의 연결부분에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수축팽창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온도 변화에 의한 방수시트(400) 연결부(402)의 파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또한 방수시트(400)와 방수대상면(10) 사이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방수대상면 100 : 프라이머
200 : 제1도막방수재
300 : 공기연결통로 310 : 편평부
320 : 경사부 330 : 돌기
400 : 방수시트
410 : 심재필름 412 : 관통구
420 : 상부시트
430 : 하부시트
500 : 제2도막방수재
600 : 제3도막방수재
700 : 자외선차단제
800 : 탈기장치 810 : 플레이트
811 : 고정공 820 : 탈기관
830 : 커버 831 : 구멍
832 : 테두리 833 : 수직부
834 : 경사부 835 : 구멍돌출부
840 : 밸브

Claims (14)

  1.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도포되는 프라이머(100);와
    상기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200);와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설치되는 방수시트(400);와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함침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500);와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함침 도포되는 제3도막방수재(600); 및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도포되는 자외선차단제(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시트(400)는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양측에 관통구(412)가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구(412)가 형성되는 심재필름(410);과
    상기 심재필름(410)보다 좌우 폭이 넓은 연결부(402)가 형성되어 상기 심재필름(4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시트(420); 및
    상기 심재필름(410)과 폭이 같게 형성되어 상기 심재필름(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시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는
    상기 방수시트(400)의 관통구(412)에 충전되고,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공기연결통로(300);와
    상기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탈기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필름(410)은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PV) 중 어느 하나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두께 0.7~1㎜, 폭 110~1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412)는
    1.5~3.0㎝의 구형으로 형성되고, 심재필름(410)의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11~13㎝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열관통구;와
    1.5~3.0㎝의 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필름(410)의 일측과 타측 말단으로부터 23~25㎝ 이격되어 형성되며,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4.5~5.5㎝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열관통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관통구와 제2열관통구는
    심재필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420)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 이루어지며 240~260g/㎡의 중량으로 6줄의 원사를 경사편직(Tricot) 방식으로 직조한 섬유형태이고, 아크릴수지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420)는
    길이방향의 인장강도가 11.5~15.5N/㎟이고,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24~28N/㎟이며,
    길이방향의 인열강도가 130~150N/㎜이고,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110~1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430)는
    폴리에스테르를 주재로 이루어지고, 폭방향과 길이방향 모두 1인치당 8~10가닥의 원사가 들어가고, 45~60g/㎡ 중량으로 직조하여 섬유형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430)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인장강도가 650~680N/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 도포후 경화되기 전에 미끄럼방지제를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결통로(300)는
    상부는 중앙부에 편평부(310)가 형성되고, 양단부에 경사부(320)가 형성되되, 상부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하부에 복수 개의 돌기(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장치(800)는
    방수대상면(10)에 고정되는 플레이트(810)와,
    상기 플레이트(810)의 고정공(811)에 나사 고정되는 탈기관(820)과,
    상기 탈기관(820)에 끼워져 상기 플레이트(8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버(830)과,
    상기 탈기관(8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공기 또는 습기를 개폐하는 밸브(8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13. 제1항 내지 제9항, 제11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에 있어서,
    방수대상면(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프라이머(100)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와
    상기 프라이머(100)의 상부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되, 방수시트(400)가 겹치지는 연결부(402)에 제1도막방수재(200)를 도포하는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와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연결부(402)가 겹치도록 설치하는 방수시트 설치단계(S40);와
    상기 방수시트(400)의 겹쳐지는 연결부(402)와 관통구(412)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 제2도막방수재(500)를 함침 도포하는 2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50);와
    상기 제2도막방수재(500)와 방수시트(400)의 상부에 제3도막방수재(600)를 함침 도포하는 3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60); 및
    상기 제3도막방수재(600)의 상부에 자외선차단제(700)를 도포하는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1차도막방수재 도포단계(S20) 이후, 상기 제1도막방수재(20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공기연결통로(300)를 배치하는 공기연결통로 배치단계(S30);와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전 상기 방수대상면(10)에 탈기장치(800)의 플레이트(810)를 고정하는 고정단계(S80)와,
    상기 방수시트 설치단계(S40) 이후 상기 플레이트(810)의 고정공(811)을 방수시트(400) 상부로 노출시킨 후, 탈기관(820)을 나사 조립하는 탈기관 조립단계(S81)와,
    상기 자외선차단제 코팅단계(S70) 이후, 상기 탈기장치(800)의 커버(830) 및 밸브(840)을 조립하는 탈기장치 조립단계(S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0210145074A 2021-10-28 2021-10-28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42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74A KR102424341B1 (ko) 2021-10-28 2021-10-28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74A KR102424341B1 (ko) 2021-10-28 2021-10-28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341B1 true KR102424341B1 (ko) 2022-07-27

Family

ID=8270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74A KR102424341B1 (ko) 2021-10-28 2021-10-28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662B1 (ko) * 2022-08-29 2023-03-27 주식회사 우리엘소프트 고분자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86B1 (ko) * 2009-01-08 2009-10-08 송정환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84734B1 (ko) * 2010-01-21 2010-10-01 임일형 구멍뚫린 톱니형태의 재활용 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방법
KR101586035B1 (ko) 2014-12-01 2016-01-15 김종필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73079B1 (ko) * 2017-06-05 2017-09-12 (주)한은이앤씨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286B1 (ko) * 2009-01-08 2009-10-08 송정환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84734B1 (ko) * 2010-01-21 2010-10-01 임일형 구멍뚫린 톱니형태의 재활용 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방법
KR101586035B1 (ko) 2014-12-01 2016-01-15 김종필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73079B1 (ko) * 2017-06-05 2017-09-12 (주)한은이앤씨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662B1 (ko) * 2022-08-29 2023-03-27 주식회사 우리엘소프트 고분자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1920913A1 (en) A lining assembly, a lining tube, a composite lining assembly and a solidified lining tube
KR102424341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1003735B1 (ko) 이중 단열방수 구조
JP200225670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KR100984734B1 (ko) 구멍뚫린 톱니형태의 재활용 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방법
JP6860972B2 (ja) 導水フィルム付きコンクリート剥落防止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7914B2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1353267B1 (ko)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0650374B1 (ko) 노출형시트 방수구조 및 공법
KR20020055567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시트 및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100638990B1 (ko) 시트방수 구조 및 방수공법
JP2008069269A (ja) 接着剤含浸基材を用いた部材接合工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接合用部材と、部材接合構造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05779A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KR10227378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 보수용 누수방지구조 및 누수방지방법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