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779A -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 Google Patents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779A
KR20190105779A KR1020180026293A KR20180026293A KR20190105779A KR 20190105779 A KR20190105779 A KR 20190105779A KR 1020180026293 A KR1020180026293 A KR 1020180026293A KR 20180026293 A KR20180026293 A KR 20180026293A KR 20190105779 A KR20190105779 A KR 20190105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heet
waterproofing
coat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686B1 (ko
Inventor
장영기
Original Assignee
장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기 filed Critical 장영기
Priority to KR102018002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68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는, 건물의 노출 옥상의 콘크리트 바닥(10) 위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 프라이머층(1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층(30), 제1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층(30)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방수층(40), 및 시트방수층(40) 상부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방수층(40)은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상부층(41), 및 상부층(41)의 하부에 형성되며 부직포 이외의 섬유 재질로 구성되는 하부층(42)으로 구성된다. 하부층(42)은 제1도막방수재층(30)과 대면하는 저면에는 복수위 가로벽(43)과 복수의 세로벽(44)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며, 가로벽(43)과 세로벽(44)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가로벽(43)과 세로벽(44) 사이에는 홈부(45)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시트방수층(40)에 기체를 투과시킬 수 있어 시트방수층 하부에 도포되는 유기용제가 시트 안쪽에 갇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시트방수층이 용해되거나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제1도막방수재층(3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40)의 격자 사이사이 홈부(45)로 침투하여 층간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어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Complex waterproof structure applied to the exposed roof}
본 발명은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 옥상, 지하바닥 등의 노출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복합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에 대한 방수공법으로서 종래 알려진 것으로는 아스팔트 방수, 시멘트 액체 방수, 도막방수, 시트방수 등이 있다.
이 중 도막방수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바닥층에 밀착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도막을 통해 방수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충격 저항성 및 마모 저항성은 우수하지만 외부 진동에 대한 흡수성이 미약하고 들뜸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시트방수는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및 고무화 아스팔트 등을 주 원료로 하여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연결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으로, 방수시트들 간의 이음부가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시트 방수재의 자기접착만으로 프라이머가 도포된 하부와 접착되었기 때문에, 콘크리트면과 방수층 간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여 차후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7378호와 같은 시트방수와 도막방수의 단점을 개선한 복합방수공법이 개발되었다.
복합방수공법은 시트방수재와 도막방수재를 이용해 2개층 이상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시트방수재와 도막방수재 단독으로 시공되는 단일 방수공법과 비교 인장강도, 신장률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 향상, 방수성능 향상으로 장기적 방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시트 방수재로 적용되는 PVC 시트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와 결합될 경우 도막방수재에 혼입되어 있는 유기용제(톨루엔, 크실렌 등) 등에 의해 시트가 주름지는 wave 현상이나 수축현상, 또는 녹아내리는 용해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도포할 경우 방수재 경화과정에서 혼입되어 있는 유기용제가 휘발되어 공기 중으로 날아가게 되는데, 복합방수공법으로 적용 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가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PVC 시트를 시공하게 되므로, 유기용제가 완전히 날아가지 않고 시트 안쪽에 갇히게 된다. 이에 따라 PVC 시트는 장기간 유기용제에 노출되게 되며 wave 현상이나 수축 현상이 발생되어 재료적으로 층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용해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시트 방수재로 PVC 시트 대신에 섬유시트의 일종인 부직포 시트를 적용한 예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도포하고 그 위에 부직포 시트를 포설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가 제대로 침투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화될 수 있고, 추후 누수 문제시 부직포 시트를 따라 누수가 전이되는 등 누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가 제대로 침투되지 못한 상태에서 경화되기 때문에 시트층과 도막층간의 접착 불량 등 박리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7378호(2011.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노출 구조물인 콘크리트 바닥에 대한 방수성을 증대하는 동시에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시트방수층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는, 건물의 노출 옥상의 콘크리트 바닥(10) 위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1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층(30); 상기 제1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층(30)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방수층(40); 및 상기 시트방수층(40) 상부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방수층(40)은,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상부층(41); 및 상기 상부층(41)의 하부에 형성되며 부직포 이외의 섬유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막방수재층(30)과 대면하는 저면에는 복수위 가로벽(43)과 복수의 세로벽(44)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가로벽(43)과 세로벽(44)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가로벽(43)과 세로벽(44) 사이에는 홈부(45)가 형성되는 하부층(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상기 하부층(42)에는 일정 크기의 통기공(42a)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공(42a)은 지름이 4~8mm 범위의 원형이거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4~8mm 범위의 정사각형 또는 마름모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층(42)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0.3~0.4m 범위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방수층이 부직포 재질의 상부층과 격자구조를 갖는 하부층으로 구성됨으로써, 시트방수층에 기체를 투과시킬 수 있어 시트방수층 하부에 도포되는 유기용제가 시트 안쪽에 갇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 시트방수층이 용해되거나 주름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의 격자 사이사이 홈부로 침투하여 층간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어 층간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방수층의 하부층에 통기공을 관통되게 형성함으로써, 시트방수층 상부에 도포되는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 전체로 침투 및 통과가 용이하여 층간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트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트방수층의 사시도와 하부층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하부층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는 건물의 노출 옥상의 콘크리트 바닥(10) 위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 프라이머층(20) 위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층(30), 제1도막방수재층(30) 위에 설치되는 시트방수층(40), 시트방수층(40) 위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출 옥상은 건축물의 지붕, 옥상, 지하바닥 등의 노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프라이머층(20)은 액체의 형태로 콘크리트 바닥(10)의 상면에 도포되며, 콘크리트 바닥(10)에 제1도막방수재층(30)이 밀착되는 것을 돕는 접착층 역할을 한다.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되기 전에 콘크리트 바닥(10)에 형성될 수 있는 이물질 및 요철을 제거하여 평탄성을 최대한 확보하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막방수재층(30)은 콘크리트 바닥(10)의 상면에 도포된 프라이머(20) 상부에 액체의 형태로 도포된다.
제1도막방수재층(30)은 방수용 재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약 1.0mm 내외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도막방수재층(3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는 액체 상태의 방수재를 그대로 바르는 유제형 도막방수, 방수재를 휘발성 용제에 녹여 액체 상태로 만든 다음 콘크리트 바탕에 바르는 용제형 도막방수, 에폭시수지를 발라 방수층을 만드는 에폭시 도막방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의 것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도막방수재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성분의 도막방수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특정 성분의 도막방수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방수층(40)은 제1도막방수재층(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형태의 섬유재이다.
시트방수층(40)은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상부층(41)과 상부층(41)의 하부에 부착 또는 합지되는 섬유 재질로 구성된 하부층(42)을 포함한다.
상부층(41)은 부직포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g/㎡ 이상의 면밀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란 '짜여지지 않은 천', '방적, 제직, 편조에 의하지 않고 섬유집합체 또는 필름을 물리적, 화학적 수단에 의하거나 기계적 혹은 적당한 수분이나 열로서 섬유 상호간을 결합시킨 것', '웹(Web) 상 또는 시트(Sheet) 상의 섬유집합체를 베이스로 하여 이것을 접착제로 결합시키거나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 간 접착을 강하게 한 것'으로, 직물과 같이 실을 이용하여 제직, 제편하지 않고, 섬유를 적당히 배열하여 접착제나 섬유자체의 융착력이나 섬유들의 엉킴을 이용하여 직접 직물과 같은 형태로 제조하는 것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부층(41)을 형성하는 부직포로 무겁고 두꺼운 소재를 활용하여, 제2도막방수재층(50) 도포 시 부직포의 섬유 사이사이로 도막방수재가 과하게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최소한의 도막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도막방수재층(50)의 도포된 두께가 불량한 경우 두꺼운 부직포를 이용한 상부층(41)으로 인해, 본 발명의 복합방수구조의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시공 과정시 하자 문제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층(42)은 상부층(41)의 하부에 부착 또는 합지 되며, 부직포 이외의 섬유 재질로 구성된다. 상부층(41)의 부직포 재질은 보통 여과성이 크고 미세한 다공 구조를 갖는데, 하부층(42)에 적용되는 섬유 재질은 부직포보다 여과성이 더 적고 다공 구조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종래와 같이 시트방수층으로 일반 부직포만을 사용할 경우 제1도막방수재층(30)이 시트방수층에 제대로 침투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화되어 시트방수층과 제1도막방수재층(30) 간의 접착 불량으로 인한 박리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트방수층(40)을 부직포 재질의 상부층(41)과 부직포 이외의 섬유 재질의 하부층(42)으로 구분하고, 하부층(42)은 제1도막방수재층(30)과 대면하는 저면이 복수의 가로벽(43)과 복수의 세로벽(44)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격자 구조를 가지며, 가로벽(43)과 세로벽(44)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가로벽(43)과 세로벽(44) 사이에는 홈부(45)가 형성된다. 격자의 형상은 정사각형 또는 마름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막방수재층(30) 위에 시트방수층(40)을 부착하면, 제1도막방수재층(3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하부층(41)의 가로벽(43)과 세로벽(44) 사이의 움푹 들어간 홈부(45)로 침투하여 경화되기 때문에, 시트방수층(40)이 들뜬 상태에서 경화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1도막방수재층(30)과 시트방수층(40) 간의 강한 부착력을 가지고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어, 층간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층(42)의 단위 격자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2mm 내외의 길이인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층(42)의 격자를 구성하는 가로벽(43)과 세로벽(44)의 돌출 높이는 0.2 mm 내외이며, 그 폭은 0.1m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층(42)에는 일정한 크기의 복수 개의 통기공(42a)이 일정 간격으로 하부층(4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시트방수층(40)의 하부층(42)에 통기공(42a)을 형성함으로써, 시트방수층(40)과 그 위아래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 및 제1도막방수재층(30)간의 결합력을 더욱 더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제2도막방수재층(5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부직포 재질의 상부층(41)을 거치면서 하부층(42)의 통기공(42a)을 통해 시트방수층(40)을 통과하여 일부가 제1도막방수재층(50)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층들간의 결합력(접착력)이 더 강화될 수 있게 된다.
통기공(42a)은 지름이 4~8mm 범위의 원형이거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4~8㎜로 범위의 정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공(42)의 크기(직경 또는 가로,세로 길이)가 4mm 미만일 경우, 시트방수층(40) 위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하부에 있는 시트방수층(40)으로 침투하기 용이하지 않아 제2도막방수재층(50)과 시트방수층(40)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통기공(42a)의 크기가 8mm를 초과할 경우, 제2도막방수재층(5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40)으로 과도하게 침투되어, 최소한의 도막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도막방수재의 낭비가 커질 수 있다.
한편, 통기공(42a)은 하부층(42)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0.3~0.4m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공(42a) 간의 간격이 0.3m 미만일 경우, 하부층(42)에 형성된 통기공(42a)의 개수가 과다해지게 되어, 전술한 제2도막방수재층(5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하부 방향으로 과도하게 침투해 최소한의 도막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도막방수재의 낭비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시트방수층(40)은 보통 제조공장에서 제조되어 롤(roll) 형태로 보관 및 운반되고 공사현장에서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되는데, 통기공(42a)의 개수가 너무 많게 되면 보관 시에 롤 형태로 감긴 시트방수층(40)을 세울 수 있는 지지력이 약해져, 시트방수층(40)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통기공(42a) 간의 간격이 0.4m를 초과할 경우, 하부층(42)에 형성된 통기공(42a)의 개수가 적어지게 되어 제2도막방수재층(5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가 하부 방향으로 침투하기 용이하지 않아 제2도막방수재층(50)과 시트방수층(40)의 일체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제2도막방수재층(50)은 시트방수층(40)의 상부에 액체의 형태로 도포된다.
제2도막방수재층(50)은 방수용 재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약 2.0mm 내외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도막방수재층(5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는 액체 상태의 방수재를 그대로 바르는 유제형 도막방수, 방수재를 휘발성 용제에 녹여 액체 상태로 만든 다음 콘크리트 바탕에 바르는 용제형 도막방수, 에폭시수지를 발라 방수층을 만드는 에폭시 도막방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의 것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도막방수재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성분의 도막방수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특정 성분의 도막방수재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건물의 노출 옥상의 콘크리트 바닥(10) 위에 프라이머층(20)을 도포하고 그 위에 제1도막방수재층(30)을 구성하는 도막방수재를 도포한 후 그 위에 시트방수층(40)을 설치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방수층(40)의 상부층(41)을 이루는 부직포와 하부층(42)을 이루는 섬유 재질의 시트는 기본적으로 여과성 및 통기성이 있어, 제1도막방수재층(30)의 도포 후 즉시 시트방수층(40)을 포설해도 도막방수재의 유기용제 기체가 시트방수층(40)의 내부에 갇히지 않고 시트방수층(4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시트방수층(40)의 시트가 유기용제에 의해 용해되거나 wave 현상이나 수축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막재가 하부층(42)의 격자구조 내의 홈부(45)에 수용되어 경화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들뜬 상태에서 경화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도막층과 시트층과의 강한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층간 박리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시트방수층(40)의 상면에는 제2도막방수재층(5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가 도포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방수층(40)의 하부층(42)에는 통기공(42a)이 형성되어 있어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40) 전체로 침투 및 통과가 용이하여 층간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진다. 즉, 제2도막방수재층(50)을 이루는 도막방수재가 시트방수층(40)의 부직포 재질의 상부층(41) 및 하부층(42)의 통기공(42a)을 통해 섬유 사이사이로 침투 및 일부가 통과하여, 시트방수층(40)의 하부에 존재하는 제1도막방수재층(30)과 맞닿게 되고, 복합방수구조를 이루는 재료가 일체화되어 재료적인 층분리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콘크리트 바닥 20 : 프라이머층
30 : 제1도막방수재층 40 : 시트방수층
41 : 상부층 42 : 하부층
42a : 통기공 43. 가로벽
44. 세로벽 45. 홈부
50 : 제2도막방수재층

Claims (3)

  1. 건물의 노출 옥상의 콘크리트 바닥(10) 위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10)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도막방수재층(30);
    상기 제1도막방수재층(30)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방수층(40); 및
    상기 시트방수층(40) 상부에 도포되는 제2도막방수재층(50);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방수층(40)은,
    부직포 재질로 구성된 상부층(41); 및
    상기 상부층(41)의 하부에 형성되며 부직포 재질 이외의 섬유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도막방수재층(30)과 대면하는 저면에는 복수위 가로벽(43)과 복수의 세로벽(44)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격자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가로벽(43)과 세로벽(44)은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가로벽(43)과 세로벽(44) 사이에는 홈부(45)가 형성되는 하부층(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42)에는 일정 크기의 통기공(42a)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42a)은 지름이 4~8mm 범위의 원형이거나,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4~8mm 범위의 정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하부층(42)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0.3~0.4m 범위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0180026293A 2018-03-06 2018-03-06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03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93A KR102038686B1 (ko) 2018-03-06 2018-03-06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93A KR102038686B1 (ko) 2018-03-06 2018-03-06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79A true KR20190105779A (ko) 2019-09-18
KR102038686B1 KR102038686B1 (ko) 2019-10-30

Family

ID=6807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293A KR102038686B1 (ko) 2018-03-06 2018-03-06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6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381B1 (ko) * 2021-06-11 2022-07-06 김정주 복합식 교면 방수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23B1 (ko) * 2022-07-27 2023-06-13 김영철 접합성 및 시공정확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501B1 (ko) * 2007-05-15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Tpo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공법
KR100886158B1 (ko) * 2008-04-01 2009-02-27 주식회사 여미마이엔씨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1057378B1 (ko) 2011-04-20 2011-08-18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무계 아스팔트 도막재와 엠보싱 pvc복합시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방수층 구조 및 그 방수 공법
KR20150105044A (ko) * 2014-03-07 2015-09-16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501B1 (ko) * 2007-05-15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Tpo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공법
KR100886158B1 (ko) * 2008-04-01 2009-02-27 주식회사 여미마이엔씨 가스 홀을 갖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방수공법
KR101057378B1 (ko) 2011-04-20 2011-08-18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고무계 아스팔트 도막재와 엠보싱 pvc복합시트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방수층 구조 및 그 방수 공법
KR20150105044A (ko) * 2014-03-07 2015-09-16 에이치디에스산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381B1 (ko) * 2021-06-11 2022-07-06 김정주 복합식 교면 방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686B1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7629B2 (en) Insulated reinforced foam sheathing, reinforced elastomeric vapor permeable air barrier foam pane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6745531B1 (en) Pressure equalized compartment for exterior insulation and finish system
KR100363436B1 (ko)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US20170368792A1 (en) Backing layer of a thermal insulation panel for building having increased adhesion properties to an insulating layer
US8536077B2 (en) Flooring underlayment membrane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19653A (ko) 섬유보강메쉬층을 포함하는 우레탄 도막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US20050066620A1 (en) Building product using an insulation board
US10267033B2 (en) Universal barrier system panels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410842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 외부용 방수시트
KR100659476B1 (ko) 매트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US7807011B2 (en) Multilayer laminate system and method used within building structures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JP4673012B2 (ja)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JP3779685B2 (ja)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KR101684629B1 (ko) 벽체용 방수층 이중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KR101907913B1 (ko) 옥상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1693153B1 (ko)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598358B1 (ko)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EP2826620B1 (en) An under tile multilayer sheet for waterproofing a roof of a building, wherein said roof includes a metal roof covering.
KR101907915B1 (ko) 건축 구조물의 옥상 보강 구조 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