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106B1 -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106B1
KR102094106B1 KR1020190092552A KR20190092552A KR102094106B1 KR 102094106 B1 KR102094106 B1 KR 102094106B1 KR 1020190092552 A KR1020190092552 A KR 1020190092552A KR 20190092552 A KR20190092552 A KR 20190092552A KR 102094106 B1 KR102094106 B1 KR 102094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able
layer
sheet
waterproofing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중
Original Assignee
김소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중 filed Critical 김소중
Priority to KR102019009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공준비단계;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을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기초시멘트층을 형성시키는 기초시멘트층형상단계; 상기 기초시멘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부착하는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 및 상기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시멘트 방수제 또는 무기질 방수제를 포함하는 통기성 도막 방수제를 도포하여 통기성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은, 건축물의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배치하여 공기는 이동시키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함으로써, 결로현상에 의해 시공면이나 방수층에 부식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잔존 수분에 의한 방수층 들뜸 및 방수층의 박리 하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Combined waterproofing method with property of air permeability}
본 발명은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배치하여 공기는 이동시키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마감통기성방수층을 형성하여, 삼중으로 방수기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결로현상, 방수층 들뜸 및 박수층 박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와 같은 무기질 재료의 하지에는 균열로 인한 누수 및 결로 현상이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은 건물의 내구성을 약화시켜 건물의 노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하자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법이 종래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등이 있다.
상기한 방수공법 중 시트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표면에 방수시트들을 배치하고, 방수시트들의 상부에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시켜 수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방수공법은 건축물의 시공면에 인서트되는 방수시트가 공기가 통과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날씨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특히 겨울철에 방수시트의 표면 또는 하부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잔존하는 물기에 의해 시공면이나 방수층에 부식이 발생되고 방수층 들뜸, 방수층 박리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332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배치하여 공기는 이동시키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마감콘크리트층을 형성하여, 삼중으로 방수기능을 발휘하게 됨으로써 방수 기능 뿐만 아니라 방수층 들뜸, 방수층 박리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공준비단계;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을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기초시멘트층을 형성시키는 기초시멘트층형상단계;
상기 기초시멘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부착하는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 및
상기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시멘트 방수제 또는 무기질 방수제를 포함하는 통기성 도막 방수제를 도포하여 통기성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시블시트는 미세통기공들이 형성된 비닐시트와, 상기 비닐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망상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시블시트는 상기 비닐시트와 상기 망상시트를 상호 가열융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멘트층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시멘트페이스트에는 방수액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멘트층과 마감통기성방수층의 사이에는 상기 브레시블 시트가 상기 기초시멘트층의 상부 및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의 하부에 각각 함침되어 복합 다층구조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은 건축물의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배치하여 공기는 이동시키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 하고,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마감통기성방수층을 형성하여, 삼중으로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잔존 수분에 의한 방수층 들뜸, 방수층 박리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마감콘크리트층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이 시공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마감콘크리트층의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브레시블시트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이 시공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합 방수공법라 명명함)는 브레시블시트(20)와 이용하여 건축물(100)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방수공법은 시공준비단계(S1)와 기초시멘트층형성단계(S2)와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S3)와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공준비단계(S1)는 상기 건축물(100)의 시공면(200)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축물(100)의 바닥이나 벽면등과 같은 시공면(200)에 에어를 분사하거나 물을 분사하여 상기 시공면(200)에 달라붙은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기초시멘트층형성단계(S2)는 상기 건축물(100)의 시공면(200)을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경화시켜 상기 시공면(200)에 기초시멘트층(1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S3)는 상기 기초시멘트층(10)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2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브레시블시트(20)는 미세통기공(211)들이 형성된 비닐시트(21)와, 상기 비닐시트(21)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망상시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시블시트(20)는 상기 시멘트페이스트가 도포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초시멘트층(10)의 상부에 함침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하부가 도포된 시멘트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기초시멘트층(10)의 상부에 인서트되어 상기 기초시멘트층(10)이 경화된 후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르게는 경화된 상기 기초시멘트층(10)의 상부에 배치하거나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기초시멘트층(10)을 형성한 후 경화하는 과정에서 기초시멘트층(10)에 브레시블시트(20)를 배치한 후 기초시멘트층(10)으로 가압하여 일부가 기초시멘트층(10)에 인서트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망상시트(22)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재를 직조하여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비닐시트(21)의 일면(상면 또는 저면) 또는 양면에 프레스에 의해 가열융착되어 고정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재로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육각형상, 사각형상 등의 망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닐시트(21)와 상기 망상시트(22)는 테두리나 일부분을 접착하여 상호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망상시트(22)는 망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기초시멘트층(10)과 마감통기성방수층(30)에 인서트(함침)되므로 경화된 후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비닐시트(21)에는 미세통기공(211)이 형성되는 공기는 관통하여 이동하게 되고 물은 표면장력에 의해 관통할 수 없어, 공기는 관통되고 물은 차단되어, 공기의 순환으로 인해 겨울철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잔존 수분을 탈기시키므로 수분에 의한 방수층 들뜸, 방수층 박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세통기공(211)은 표면장력에 의해 물이 관통하지 못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비닐시트(21)의 내부에는 상기 미세통기공(211)들을 연결하도록 미세연결공을 더 형성하여, 미세통기공(211)들로 이동되는 공기가 다른 미세통기공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미세통기공(211)의 단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혀있는 경우 미세연결공을 통해 다른 미세통기공(211)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시트(21)의 상면에는 미세통기공(211)들을 상부를 연결하며 연통되게 상부연결홈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미세통기공들을 하부를 연결하며 연통되게 하부연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연결홈과 상기 하부연결홈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면서 미세통기공(211)들에 전달되어, 공기가 균일하게 미세통기공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닐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등의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S4)는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상부에 시멘트 방수제, 무기질 방수제, 기타 통기성 방수제를 도포하여 마감통기성방수층(3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시멘트 방수제, 무기질 방수제, 기타 통기성 방수제는 기존에 사용되던 것들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멘트 방수제의 경우는 시멘트와 방수액을 포함하는 시멘트페이스트를 상기 브레시블시트(20)에 도포하여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상부가 상기 시멘트 방수제의 하부에 인서트(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이 경화 후 상기 브레시블시트(20)가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레시블시트(20)의 상부에는 지지핀들의 하부가 용접되는 금속망을 더 배치한 후 시멘트 방수제, 무기질 방수제, 기타 통기성 방수제를 도포하여 마감통기성방수층(30)을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금속망과 지지핀에 의해 마감통기성방수층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초시멘트층(10)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을 형성시키는 시멘트페이스트에는 방수액이 혼합되어, 상기 시멘트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기초시멘트층(10)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의 방수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시멘트페이스트 70중량%에 방수액 3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비율은 현장상황이나 날씨 및 시멘트페이스트에 모래나 골재가 혼합되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기초시멘트층(10)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을 형성시키는 상기 시멘트페이스트는 시멘트와 물 및 방수액을 혼합하여 형성시켜, 도포된 상기 시멘트페이스트가 속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초시멘트층(10)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3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멘트와 물은 약 60:4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시멘트와 상기 물의 혼합비율은 현장 상황이나 날씨 및 시멘트페이스트에 모래나 골재가 혼합되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은, 건축물의 시공면에 순차적으로 방수기능을 갖는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배치하여 공기는 이동시키면서 수밀이 유지되도록함으로써, 결로현상에 의해 시공면이나 방수층에 부식이나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잔존 수분에 의한 방수층 들뜸 및 방수층의 박리 하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기초시멘트층 20 : 브레시블시트
21 : 비닐시트 211 : 미세통기공
22 : 망상시트 30 : 마감시멘트층
100 : 건축물 200 : 시공면
S1 : 시공준비단계 S2 : 기초시멘트층형상단계
S3 :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 S4 :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

Claims (5)

  1. 건축물에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시공하는 방수공법으로서,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에 달라붙은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공준비단계;
    상기 건축물의 시공면을 시멘트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기초시멘트층을 형성시키는 기초시멘트층형상단계;
    상기 기초시멘트층의 상부를 덮으면서 브레시블시트를 부착하는 브레시블시트부착단계; 및
    상기 브레시블시트의 상부에, 시멘트 방수제 또는 무기질 방수제를 포함하는 통기성 도막 방수제를 도포하여 통기성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마감통기성방수층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브레시블시트는 미세통기공들이 형성된 비닐시트와, 상기 비닐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망상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망상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중에서 선택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재를 망상 형상으로 직조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며, 상기 망상시트는 상기 기초시멘트층 및 마감통기성방수층에 인서트되어 경화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닐시트의 내부에는 상기 미세통기공들을 연결하도록 미세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미세통기공들로 이동되는 공기가 다른 미세통기공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미세통기공의 단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 상기 미세연결공을 통해 다른 미세통기공으로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비닐시트의 상면에는 상기 미세통기공들을 상부로 연결하여 연통되게 상부연결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미세통기공들을 하부로 연결하여 연통되게 하부연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연결홈과 하부연결홈을 통해 공기가 이동하면서 미세통기공들에 전달되어 균일하게 미세통기공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브레시블시트의 상부는 지지핀들의 하부가 용접되는 금속망을 더 배치한 후 시멘트 방수제, 무기질 방수 및 통기성 방수제를 도포하여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금속망과 지지핀에 의해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의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균열 발생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시블시트는 상기 비닐시트와 상기 망상시트를 상호 가열융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멘트층과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을 형성시키는 시멘트페이스트에는 방수액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시멘트층과 마감통기성방수층의 사이에는 상기 브레시블 시트가 상기 기초시멘트층의 상부 및 상기 마감통기성방수층의 하부에 각각 함침되어 복합 다층구조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KR1020190092552A 2019-07-30 2019-07-30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KR102094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52A KR102094106B1 (ko) 2019-07-30 2019-07-30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52A KR102094106B1 (ko) 2019-07-30 2019-07-30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06B1 true KR102094106B1 (ko) 2020-03-26

Family

ID=6995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52A KR102094106B1 (ko) 2019-07-30 2019-07-30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936A (ko)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통기성 방수재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753A (ja) * 1983-10-18 1985-05-18 菱華産業株式会社 建造物の防水シ−ト及び建造物の防水工法
KR101283325B1 (ko) 2012-10-08 2013-07-09 (주)칠칠공사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KR101880455B1 (ko) * 2018-03-05 2018-07-20 엄점동 분사식 엠보싱 방수층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8753A (ja) * 1983-10-18 1985-05-18 菱華産業株式会社 建造物の防水シ−ト及び建造物の防水工法
KR101283325B1 (ko) 2012-10-08 2013-07-09 (주)칠칠공사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KR101880455B1 (ko) * 2018-03-05 2018-07-20 엄점동 분사식 엠보싱 방수층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936A (ko) 2022-03-28 2023-10-06 주식회사 우림테크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코팅된 메조포러스 실리카를 함유한 친환경 통기성 방수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102B1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1471302B1 (ko)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1006884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KR100716222B1 (ko) 도막-시트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작방법
KR102075868B1 (ko) 통기성을 갖는 방수 시트 및 시트간 연결부재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853656B1 (ko) 건축 구조물의 균열보수와 방수를 위한 복합방수 구조 및 공법
JP4169773B2 (ja) 防水仕上げ構造と防水仕上げ方法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2424341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시공방법
KR102145228B1 (ko) 우레탄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101853650B1 (ko) 건축 구조물의 단열, 방음 및 방수를 위한 보강 구조 및 공법
US20170291389A1 (en) Laminate Surface Covering Suited for Marine Environments
KR20200085419A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1753604B1 (ko)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160012794A (ko)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557941B1 (ko) 건축물의 옥상 방수 시공방법
JP2005171730A (ja) 床版舗装の防水構造
KR100916179B1 (ko) 개량된 도막방수공법
KR102485196B1 (ko) 방근성능을 포함한 복합 방수 구조
KR101558458B1 (ko) 방수테이프를 이용한 옥상방수공법
KR102458693B1 (ko) Sbr 기반의 방수 시공 방법
KR100360335B1 (ko) 건축 자재로서 공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된패널
KR102560179B1 (ko) 엘라스톤 보강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복합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