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04B1 -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04B1
KR101753604B1 KR1020150115822A KR20150115822A KR101753604B1 KR 101753604 B1 KR101753604 B1 KR 101753604B1 KR 1020150115822 A KR1020150115822 A KR 1020150115822A KR 20150115822 A KR20150115822 A KR 20150115822A KR 101753604 B1 KR101753604 B1 KR 10175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organic mixed
layer
inorganic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456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펜테크 filed Critical (주)펜테크
Priority to KR102015011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프라이머층 상부에 무기성혼합1액을 도포하는 무기성혼합1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1액층의 표면에 섬유시트를 적층하는 섬유시트적층단계와; 섬유시트의 상부에, 무기성혼합2액을 도포하여, 섬유시트의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층을 형성하는 무기성혼합2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2액층의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을 다시 도포하는 무기성혼합2액 재도포단계와; 상기 재도포단계의 완료 후 무기성혼합2액층 상부에 상도를 도포하는 상도층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은, 도막자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밀폐성이 뛰어난 무기성 혼합액을 중도층으로 사용하므로, 섬유시트의 연접부위에 보강시트나 일체화시트 등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구성이 단순하며, 시공이 완료된 후의 방수층의 표면을 평활하게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중도층을 이루는 혼합액에 나이콘화이버와 규사가 포함되어 중도층의 물리적 강도와 인장력이 뛰어나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자발생 확률이 매우 낮고, 중도층의 표면이 거칠어 중도층 대한 섬유시트의 결합력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Hybrid waterproofing method using mineral substance}
본 발명은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옥상의 방수를 위해 행해지는 여러 가지 방수공법 중, 도막방수공법은 액상의 방수제를 옥상 바닥에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방수도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시공방법이다. 이는 방수제를 액상상태로 도포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한 부분의 시공에 알맞고 이음매 없는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방수제의 층간 접착력은 물론 옥상 바닥인 모르타르층과의 밀착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수제는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제를 바닥면에 도포하여 수분 또는 용제가 증발되고 남은 피막을 이용하는 도막방수제로서, 에폭시 계열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막방수제는 신장율이 우수하여 균열이 예상되는 곳에 주로 사용된다.
다양한 종류의 도막방수제 중, 에멀션형 도막방수제는 수지 에멀션제를 바닥면에 여러 차례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종류의 것이다. 이는 굳을 때 자체 수축에 의한 균열은 적으나 재질이 연약하여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시공이 어렵다.
용제형 도막방수제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휘발성 용제에 녹여 만든 고무도료를 바닥에 다수 회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드는 방수제로서 휘발성 용제를 사용하는 만큼 인화성이 강하여 부주의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도막방수제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부착면에 일체화 시킬 수 있으나, 구조체에 크랙이 발생할 경우 신장율이 작아 크랙 부위는 방수가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가령 옥상 바닥의 방수공사를 위한 공법으로서 위에 언급한 도막방수 이외에 방수시트를 이용한 여러가지 공법이 소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방수능력이 있는 일정폭의 방수시트를 폭방향으로 연접시켜 방수면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으로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16924호(섬유시트와 보강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가 소개된 바 있다. 상기 방수공법은, 슬라브위에 프라이머와 방수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섬유시트를 배치한 후 섬유시트 위에 합침제와 보강시트와 일체화시트와 방수제를 차례로 적층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보강시트는 상호 연접한 섬유시트의 연결부위를 따라 접착되어 섬유시트의 경계부위를 밀폐하는 띠형 부재이고, 일체화시트는 보강시트를 커버하며 섬유시트에 접합하는 부재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방수공법은, 평평한 섬유시트의 상부에 일정두께 및 각자의 폭을 갖는 보강시트와 일체화시트를 적층하기 때문에 완공된 방수층의 면이 평활하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테면 섬유시트가 이어지는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워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일체화시트의 위에 방수제를 두껍게 덧바르더라도 없어지지 않는다.
또한, 섬유시트와 보강시트와 일체화시트의 재질은 갖지만 물리적 넓이가 상이하므로, 기온변화에 따른 팽창율이나 수축율이 각기 달라, 섬유시트로부터 보강시트와 일체화시트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섬유시트로부터 보강시트와 일체화시트가 박리되면 방수층의 기능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도막자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밀폐성이 뛰어난 무기성 혼합액을 중도층으로 사용하므로, 섬유시트의 연접부위에 보강시트나 일체화시트 등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구성이 단순하며, 시공이 완료된 후의 방수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는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도층을 이루는 혼합액에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와 규사가 포함되어 중도층의 물리적 강도와 인장력이 뛰어나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자발생 확률이 매우 낮고, 중도층의 표면이 거칠어 중도층 대한 섬유시트의 결합력이 뛰어난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은, 방수처리할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방수시공에 적합하도록 준비하는 바닥면전처리단계와; 전처리가 완료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부에, 무기성방수제와 화학단섬유와 규사를 혼합하여 제작한 무기성혼합1액을 도포하여 무기성혼합1액층을 형성하는 무기성혼합1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1액층의 표면에, 일정폭의 섬유시트를 펼쳐 적층함으로써 섬유시트의 저면에 상기 무기성혼합1액이 스며들게 하고, 상기 섬유시트는, 이웃하는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섬유시트의 두께면이 맞대어 지도록 배치하는 섬유시트적층단계와; 상기 섬유시트의 적층이 완료된 후 섬유시트의 상부에, 무기성방수제와 화학단섬유와 규사로 이루어지는 무기성혼합2액을 도포하여, 섬유시트의 상면에 무기성혼합2액이 스며들게 함과 동시에, 상기 섬유시트의 두께면 사이에도 무기성혼합2액을 침투시켜, 섬유시트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무기성혼합2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2액층의 경화 후, 무기성혼합2액층의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을 다시 도포하는 무기성혼합2액 재도포단계와; 상기 재도포단계의 완료 후 무기성혼합2액층 상부에 무기성혼합2액층을 보호하기 위한 상도를 도포하는 상도층형성단계와; 상기 상도층형성단계를 통해 적층된 상도층 표면에, 차열성분과 단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차열성 안료를 추가 도포하는 차열안료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단섬유는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이고, 상기 무기성혼합1액은, 무기성방수재 18L당,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 15g 내지 20g, 규사 45kg 내지 50kg을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학단섬유는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이고, 상기 무기성혼합2액은, 무기성방수재 18L당,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 15g 내지 20g, 규사 45kg 내지 50kg을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규사의 입도는 100메시 내지 15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은, 도막자체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고 밀폐성이 뛰어난 무기성 혼합액을 중도층으로 사용하므로, 섬유시트의 연접부위에 보강시트나 일체화시트 등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구성이 단순하며, 시공이 완료된 후의 방수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도층을 이루는 혼합액에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와 규사가 포함되어 중도층의 물리적 강도와 인장력이 뛰어나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자발생 확률이 매우 낮고, 중도층의 표면이 거칠어 중도층 대한 섬유시트의 결합력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방수공법을 통해 시공된 무기질 복합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방수공법을 통해 시공된 무기질 복합방수층(11)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은, 바닥면전처리단계(101)와, 프라이머도포단계(103), 무기성혼합1액도포단계(105), 섬유시트도포단계(107), 무기성혼합2액도포단계(109), 무기성혼합2액 재도포단계(110), 상도층형성단계(111), 차열안료도포단계(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닥면전처리단계(101)는, 방수작업을 시행할 바닥면 가령 옥상의 바닥슬라브(도 2의 13)나 주차장의 바닥면의 표면을 청소하고 방해물 등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를테면, 바닥면상의 모래나 흙 등을 완전히 제거하고, 방수시공에 지장을 주는 여러 지장물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인 것이다. 또한, 바닥면상에 들떠 있는 도막층이 있다면 해당 도막층을 완전히 오려내어 제거해야 한다.
바닥면에 대한 전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바닥면상에 시공될 방수층이 바닥면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공사를 다시 해야 할 수 도 있다.
이어지는 프라이머도포단계(103)는, 표면처리가 완료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프라이머층(15)을 적층하는 고정이다. 상기 프라이머층(15)은 바닥슬라브(13)의 바닥면에 접착한 상태로 바닥면에 대해 복합방수층(11)을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통기성을 갖는 아크릴계를 사용함이 좋다.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103)를 통해 프라이머층(15)의 형성이 완료되었다면 무기성혼합1액 도포단계(105)를 수행한다. 상기 무기성혼합1액 도포단계(105)는 프라이머층(15)의 상부에 무기성혼합1액을 도포하여 일정두께의 무기성혼합1액층(17)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상기 무기성혼합1액은, 무기성방수제(33)에 나이콘화이버(29)과 규사(31)를 소정 비율로 투입하여 구성한 혼합액이다.
상기 무기성방수제(33) 자체로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임의의 무기성 도막 방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성 도막 방수제는, 희석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는 희석제가 물인 방수제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접착력이 뛰어나며 통기성과 탄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나이콘화이버(29)는 Nylon6을 원료로 제조한 친수성 고성능 나일론계 섬유보강제이다. 이는 뭉치지 않고 퍼짐성이 뛰어난 합성 단섬유로서, 압축, 인장, 비틀림, 휨 등의 외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좋고 그에 의한 균열방지능력을 갖는다.
이는, 무기성방수제(33)에 투입된 상태로 무기성방수제(33)의 내부에서 3차원 입체구조로 분포되어, 균열억제는 물론 충격저항성은 물론 마모저항성, 알칼리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등 다양한 성능을 발휘한다.
결국, 무기성방수제(33)는, 나이콘화이버(29)의 작용에 의해, 균열이 억제됨은 물론, 충격이나 하중피로에 의한 파손이나 조직 약화가 방지되며, 반복되는 동결과 융해에 의한 손상을 거의 입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규사(31)는 일반적인 모래로서 특히 그 입도는 100메시(mesh) 내지 150메시이다. 규사(31)의 입도를 상기한 사이즈 범위내로 적용하여야, 무기성혼합1액층(17)과 후술할 무기성혼합2액층(21,23)의 표면이 꺼끌꺼끌해져, 표면적이 증가하고 다른 적층체와의 결합력이 양호해진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규사와 물리 화학적인 성질이 유사한 다른 종류의 재료를 상기 메시 사이즈로 만들어 적용할 수 도 있다. 황토나 세라믹 등을 100메시 내지 150메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를 100 메시 내지 150 메시로 분쇄하여 혼합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무기성혼합1액의 혼합비는, 무기성방수제(33) 18L당, 나이콘화이버(29) 15g, 규사(31) 45kg이다.
나이콘화이버(29)의 투입량을 상기 범위량보다 적게 사용하면 나이콘화이버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지나치게 많이 사용할 경우 나이콘화이버의 성능대비 전체 시공비가 올라간다.
규사(31)의 경우에도, 정해진 범위량보다 투입량이 많아지면 시공비가 올라가고 무기성혼합1액층의 탄성이 저하한다.
이어지는 섬유시트적층단계(107)는, 무기성혼합1액층(17)의 표면에 섬유시트(19a)를 깔아 섬유시트층(19)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섬유시트(19a)는 롤 형태로 감겨있던 부직포로서 무기성혼합1액층(17)의 표면에 펼쳐 세팅한다. 특히 상기 섬유시트(19a)는 일정폭을 가지는데, 이웃하는 섬유시트(19a)의 폭방향 단부를 겹치지 않는다. 즉, 섬유시트(19a)의 폭방향 두께면(19b)이 상호 마주하도록 맞댄다.
필요에 따라 상기 두께면(19b)의 사이에 무기성혼합2액을 침투시켜 섬유시트(19a) 간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도 있다.
상기 섬유시트적층단계(107)가 완료된 후 무기성혼합2액도포단계(109)를 진행한다. 무기성혼합2액도포단계(109)는 섬유시트층(19)의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을 도포하여 무기성혼합2액층(21)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무기성혼합2액은, 무기성방수제(33)에 나이콘화이버(29)와 규사(31)를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액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일부가 섬유시트(19a)의 상부에 얼마간 스며든다.
상기 무기성혼합2액은, 위에 언급한 무기성혼합1액과 다른 혼합비를 갖는다. 즉, 무기성방수제(33) 18L당, 나이콘화이버 15g, 규사 45kg을 투입하여 혼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섬유시트층(19)은 아래 윗면이 무기성혼합1액층(17)과 무기성혼합2액층(21)으로 완전히 커버되어 있고, 상기 섬유시트층(19)의 저면에도 무기성혼합1액이 얼마간 흡수되어 있다. 상기 무기성혼합1액과 무기성혼합2액이 섬유시트(19a)의 저면과 상면에 스며들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기성혼합1액과 무기성혼합2액이 섬유시트(19a)의 중심부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이는 무기성혼합1액과 무기성혼합2액의 물성에 기인한 것이다.
여하튼 섬유시트층(19)의 중앙부는 혼합액이 침투하지 않아 빈 상태가 되어 통기성이 확보된다. 빈 상태라 함은 섬유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조직 이외의 다른 물질이 없다는 의미이다. 상기와 같이 통기성을 가지므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지는 무기성혼합2액 재도포단계(110)는, 무기성혼합2액층(21)이 경화된 후, 그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을 다시 한 번 도포하여 무기성혼합2액층(2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무기성혼합2액층(21,23)은 동일한 혼합비를 갖는 혼합액이다.
상기 무기성혼합2액층(23)의 적층 및 경화가 완료되었다면, 그 위에 상도를 도포하여 상도층(25)을 형성하는 상도층형성단계(111)를 수행한다. 상기 상도층(25)은 무기성혼합2액층(23)의 상부에 코팅된 코팅층으로서 무기성혼합2액층(23)을 보호한다.
상기 상도층(25)의 적층이 완료된 후 차열안료도포단계(113)를 이어간다. 상기 차열안료도포단계(113)는 상도층(25)의 표면에 차열안료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차열안료는 차열성분과 단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페인트로서 태양열을 반사 및 방사하여 복합방수층(11)의 내부로 열이 축적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열안료층(27)의 역할에 의해 복합방수층(11)의 수명이 대폭 연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복합방수층 13:바닥슬라브
15:프라이머층 17:무기성혼합1액층
19:섬유시트층 19a:섬유시트
19b:두께면 21,23:무기성혼합2액층
25:상도층 27:차열안료층
29:나이콘화이버 31:규사
33:무기성방수제

Claims (5)

  1. 방수처리할 바닥면을 전처리하여 방수시공에 적합하도록 준비하는 바닥면전처리단계와;
    전처리가 완료된 바닥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도포단계를 통해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부에, 무기성방수제와 화학단섬유와 규사를 혼합하여 제작한 무기성혼합1액을 도포하여 무기성혼합1액층을 형성하는 무기성혼합1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1액층의 표면에, 일정폭의 섬유시트를 펼쳐 적층함으로써 섬유시트의 저면에 상기 무기성혼합1액이 스며들게 하고, 상기 섬유시트는, 이웃하는 섬유시트의 폭방향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섬유시트의 두께면이 맞대어 지도록 배치하는 섬유시트적층단계와;
    상기 섬유시트의 적층이 완료된 후 섬유시트의 상부에, 무기성방수제와 화학단섬유와 규사로 이루어지는 무기성혼합2액을 도포하여, 섬유시트의 상면에 무기성혼합2액이 스며들게 함과 동시에, 상기 섬유시트의 두께면 사이에도 무기성혼합2액을 침투시켜, 섬유시트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무기성혼합2액 도포단계와;
    상기 무기성혼합2액층의 경화 후, 무기성혼합2액층의 표면에 무기성혼합2액을 다시 도포하는 무기성혼합2액 재도포단계와;
    상기 재도포단계의 완료 후 무기성혼합2액층 상부에 무기성혼합2액층을 보호하기 위한 상도를 도포하는 상도층형성단계와;
    상기 상도층형성단계를 통해 적층된 상도층 표면에, 차열성분과 단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차열성 안료를 추가 도포하는 차열안료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단섬유는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이고,
    상기 무기성혼합1액은,
    무기성방수재 18L당,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 15g 내지 20g, 규사 45kg 내지 50kg을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단섬유는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이고,
    상기 무기성혼합2액은,
    무기성방수재 18L당, 나일론계 친수성 합성 단섬유 15g 내지 20g, 규사 45kg 내지 50kg을 혼합하여 구성된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의 입도는 100메시 내지 15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20150115822A 2015-08-18 2015-08-18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175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22A KR101753604B1 (ko) 2015-08-18 2015-08-18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22A KR101753604B1 (ko) 2015-08-18 2015-08-18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56A KR20170021456A (ko) 2017-02-28
KR101753604B1 true KR101753604B1 (ko) 2017-07-05

Family

ID=5854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22A KR101753604B1 (ko) 2015-08-18 2015-08-18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273B1 (ko) * 2017-06-19 2020-01-31 하진 탄성을 가지는 방수막 시공방법
KR101973036B1 (ko) * 2018-10-26 2019-04-26 (주)동아방수 수분 추출형 침투식 도막 방수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1407602B1 (ko) * 2013-09-06 2014-06-16 주식회사 티지 통기성을 갖는 방수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57B1 (ko) * 2009-04-17 2009-07-20 (주) 인택산업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1407602B1 (ko) * 2013-09-06 2014-06-16 주식회사 티지 통기성을 갖는 방수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456A (ko)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CA2850385C (en) Improved peelable coating
KR102131031B1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214810B1 (ko)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JP6346312B2 (ja) 防水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防水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JP2004027718A5 (ko)
KR1014912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KR102114449B1 (ko)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방수보강방법
KR1006884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크랙 보수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753604B1 (ko) 무기질 복합 방수공법
KR102178147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US20160177480A1 (en) Building Material wi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4169773B2 (ja) 防水仕上げ構造と防水仕上げ方法
KR101719486B1 (ko) 방수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482747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루핑시트
KR1023572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조인트 방수 봉함재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179858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에 일체 시공되는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JP572770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表面の強化コーティング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強化コーティング構造、並びに強化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955282B1 (ko)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JPH02200949A (ja) ポリオレフイン系合成樹脂よりなる割繊維織布又は孔あきシート若しくはフイルムを芯地とし、上下両面を不織布で被覆した強化防水シートを用いる塗膜脱気及び通水防水工法
KR102034513B1 (ko) 에어포켓 발생이 최소화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