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810B1 -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4810B1 KR101214810B1 KR1020120044322A KR20120044322A KR101214810B1 KR 101214810 B1 KR101214810 B1 KR 101214810B1 KR 1020120044322 A KR1020120044322 A KR 1020120044322A KR 20120044322 A KR20120044322 A KR 20120044322A KR 101214810 B1 KR101214810 B1 KR 1012148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proof
- sheet
- weight
- parts
- waterproof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20002799 BoPET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CEGOLXSVJUTHNZ-UHFFFAOYSA-K aluminium tristearate Chemical compound [Al+3].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EGOLXSVJUTHNZ-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59 dolom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514 dolo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734 process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VHOQXEIFYTTXJU-UHFFFAOYSA-N 2-methylbuta-1,3-diene;2-methylprop-1-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 VHOQXEIFYTTXJ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63655 Aluminum stear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FACXGONDLDSNOE-UHFFFAOYSA-N 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C=CC1=CC=CC=C1 FACXGONDLDSNO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QVWYOYUZDUNRW-UHFFFAOYSA-N 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2C=1NC1=CC=CC=C1 XQVWYOYUZDUNR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VXKDTVBVPMPAL-UHFFFAOYSA-N 1,2,2-trimethylquinoli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N(C)C2=C1 NVXKDTVBVPMPA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DMBHHRLKUKUOEG-UHFFFAOYSA-N Diphenylamine Chemical class C=1C=CC=CC=1NC1=CC=CC=C1 DMBHHRLKUKUOEG-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396 Polyurea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GBSISYHAICWAH-UHFFFAOYSA-N cyanoguanidine Chemical compound NC(N)=NC#N QGBSISYHAICWA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KHPCPRHQVVSZAH-HUOMCSJISA-N Rosin Natural products O(C/C=C/c1ccccc1)[C@H]1[C@H](O)[C@@H](O)[C@@H](O)[C@@H](CO)O1 KHPCPRHQVVSZAH-HUOMCSJISA-N 0.000 claims 4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claims 2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1387 rubberized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3 gard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613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한 번의 시공으로 방수시공과 방근시공을 끝낼 수 있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데, 상기 일체형 시트는, PET 필름; 상기 PET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 부직포; 상부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3~5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데, 상기 일체형 시트는, PET 필름; 상기 PET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 부직포; 상부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3~5중량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한 번의 시공으로 방수시공과 방근시공을 끝낼 수 있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 생태계 및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녹화 또는 실내정원을 조성하는 사업을 많이 하고 있는데, 이들 옥상녹화 및 실내정원은 토양 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관계로 권장되고 있음은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는 의무적으로 옥상녹화시설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옥상녹화시설을 설치하는데 자금도 지원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옥상녹화의 많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식물의 뿌리가 성장하면서 건축물을 파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파손으로 건축물의 방수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옥상 또는 실내에 심은 식물의 뿌리가 방근시트를 뚫고 들어가서 그 하부에 있는 방수층까지 파손시켜 방수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거듭한 끝에 특허등록 제872127호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특허를 받았는데,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방근시트를 부착하여 시공하는데, 방근시트(1)는 PET필름(1b)과, PET필름 하부에 부착시킨 부직포(1c)와, 부직포 하부에 함침시킨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1d)와,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의 하부에 부착시킨 박리지(1e) 및 PET필름의 상부에는 보강코팅층(1a)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방근시트(1)는 단부가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접착시킨 다음 접합부의 상부에 PET테이프(2)를 부착시켜서 시공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실제 시공을 하다보니 상기 방수?방근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방근시트 상부가 PET 필름으로 되어 있어서 매끈매끈하기 때문에 방근층을 형성할 때 방근시트가 겹치는 접합부의 상부에 PET 테이프를 부착시켜 시공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PET 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방근시트의 접합부에서 들뜸이나 박리현상이 일어나 나무 뿌리가 접합부 사이로 침투하여 방근층이 훼손되어 방근은 물론 방수에도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접착제로 PET 필름과 부직포를 접착시킨 후 부직포에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함침시켜서 방근시트를 성형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직포가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고무화 아스팔트의 성분 중에 있는 유성(油性)물질(즉, 오일 성분)의 영향으로 접착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PET 필름과 부직포가 박리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개발을 거듭한 끝에 특허등록 제924114호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을 특허받았는데, 이는 방수시트로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상부에 방근시트로 방근층을 형성하는 시공법이어서, 별도의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사용하므로 자재비가 많이 들어갈 뿐만 아니라 두 번의 시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비와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공상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이 서로 다른 방수시트와 방근(防根)시트를 하나의 시트로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시트가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동시에 갖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모두 구비한 일체형 시트를 사용하여 시공함으로써 방수공사와 방근공사를 한 번의 시공으로 끝낼 수 있어서 공사비와 자재비 절감은 물론 공사기간도 훨씬 단축할 수 있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데, 상기 일체형 시트는, PET 필름; 상기 PET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열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 부직포; 상부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3~5중량부로 구성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PET 필름의 양면에는 코로나방전 처리를 하며, 부직포를 PET 필름에 접착시킬 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열경화성수지인데, 폴리우레탄계수지에 금속카바이드를 배합한 것 또는 에폭시수지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구비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접착시켜 방수?방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가 접합하는 부분에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접착시킨 다음 그 위에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도포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하며, 상기 접합부를 형성한 후에, 방수?방근층을 형성한 전체 면의 상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합부는 보강재로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그 위에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도포하는데, 이때 보강재로 사용하는 부직포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이며 장섬유와 단섬유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방수?방근공법은 방수시트나 도막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한 다음, 그 상부에 방근시트나 방근성을 갖는 재료를 도포하여 방근층을 형성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기능이 서로 다른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하나의 시트로 일체형으로 형성했기 때문에 하나의 시트가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동시에 갖게 되므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시공과 방근시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공사기간도 훨씬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수층 위에 방근층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의 접합부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방수시트와 방근시트를 하나의 시트로 형성하여 방수와 방근기능을 동시에 갖게 했다는 점과, 자착식 콤파운드에 함유된 오일성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접착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접착제로 PET 필름과 부직포를 접착시킴으로써 시트를 구성하는 층이 분리되지 않도록 층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켰다는 점과, 시트의 접합부를 개선하여 시공후 시간이 지나더라도 접착력이 유지되어 접합부가 들뜨거나 박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현저하게 강화시켰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13)과, 상기 PET 필름(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접착제(12, 14)에 의해 접착된 부직포(11, 15)와, 상부가 상기 PET 필름(13)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15)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16) 및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16)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1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16)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특수첨가제 3~5중량부로 구성된 것인데, '고점착', '연질'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콘크리트 바탕면에 안정적으로 고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탕면에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콤파운드의 우수한 신장력으로 인해 시트가 파단되지 않고 방수?방근층을 유지되게 된다.
접착부여제(전분)는 고구마, 옥수수 등의 식물성 접착제로 피착면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흡유제(화산재)는 배합 성분 중 프로세스 오일이 표면으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충전재(돌로마이트)는 콤파운드 표면을 강화하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며, 스테아린산 알미늄은 응집력 강화 및 열안정제 기능을 한다.
시트의 산화 및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는 PA(phenyl-α-naphthylamine), DCD(Substituted diphenylamine) 및 RD(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또한 특수첨가제는 고점착 접착력 강화와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검로진을 사용한다.
접착제(12, 14)는 PET 필름(13)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부직포(11, 15)가 PET 필름(1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접착시키기 위한 것인데, 시간이 지나더라도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성분 중에 있는 유성(油性)물질(즉, 오일 성분)의 영향으로 접착제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아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로 열경화성수지를 사용하는데,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수지에 금속카바이드를 배합한 것 또는 에폭시수지계를 사용한다.
PET 필름(13)과 부직포(11, 15)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PET 필름(13) 양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여 기재(PET 필름)의 표면을 개질시키는데, PET 필름(13)의 양면에 코로나방전 처리를 하면 스크래치(scratch) 등이 형성되어 접착면적을 넓혀 주기 때문에 접착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은,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구비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접착시켜 방수?방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가 접합하는 부분에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접착시킨 다음 그 위에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도포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시공한다.
옥상녹화의 경우 방수?방근시공이 마지막이 아니라 그 상부에 조경을 위한 추가공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조경공사를 위해 방수?방근층 위로 작업자가 보행을 하고 성토(盛土)할 흙이나 조경석 등의 중량물이 운반 및 적재되는 과정에서 방수?방근시트가 훼손될 수도 있어서, 상기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도포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고 난 다음, 방수?방근층을 형성한 전체 면의 상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는데, 이때 합성수지는 폴리우레아수지, 우레탄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옥상에 노출공법으로 방수?방근층을 형성하고 난 다음 방수?방근층 전체 면의 상부에 합성수지를 도포해 두면, 옥상 방수?방근시공 공사가 끝난 후 상당기간(몇 개월 내지 몇 년)이 경과한 후에 옥상에 조경공사를 할 경우가 있더라도 별도의 방근시공을 하지 않고 곧바로 옥상녹화를 위한 조경공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를 콘크리트층에 접착시킬 때는 시트를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켜서 접착시킬 수도 있고(도 3의 ⒜ 참조), 단부(端部)가 일정 폭만큼 겹쳐지도록 접착시킬 수도 있다(도 3의 ⒝ 참조).
접합부(2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트(10)를 이격시킨 경우 이격된 시트 사이에 합성수지계 도막제로 채운 다음, 그 위에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부착하고,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 위에 액상의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충전하여 접합부(20)를 형성하는데, 접합부(20)의 두께는 0.5~3㎜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시킨 액상의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는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 내부까지 충전되면서 시트와 일체가 된 접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시트(10)를 겹치도록 접착시킨 경우에는, 시트와 시트의 겹쳐지는 부위에는 합성수지계 도막제를 사용하지 않고 겹쳐지도록 시트를 깔 수도 있고 합성수지계 도막제를 사용하여 시트와 시트는 접착시킬 수도 있다. 합성수지계 도막제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를 겹쳐서 깐 경우에는 접합부(20)를 형성할 부위에 합성수지계 도막제를 로울러나 헤라와 같은 도구에 묻혀 시트의 상부에 바른 다음 그 위에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부착하고,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 위에 액상의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충전하여 접합부(20)를 형성한다. 또, 시트 사이에 합성수지계 도막제를 바르고 시트를 깐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접합부(20)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시트는 폭이 1m이기 때문에 1m마다 접합부가 생기게 되는데, 방수시공이나 방근시공을 한 후에 누수 등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 주로 시트와 시트의 접합부이므로 방수?방근시공에서 시공의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것이 접합부 처리라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큰 특징 중의 하나도 접합부의 수밀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만일 접합부위가 일정 이상의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면 방수와 방근에 관련된 물성. 즉 내투수성, 내균열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내구성 등이 부족하게 되어 방수?방근 성능을 발현 또는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접합부(20)를 형성할 때는 시트의 접합 부위에 보강재로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접착시키는데, 이때 사용하는 부직포는 제조시 기계적으로 웨브를 결합시켜 니들펀칭한 두께 조정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분산형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부직포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이며 장섬유와 단섬유를 50%씩 혼합하여 밀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분산형 부직포에 액상의 고경질우레탄이나 FRP를 함침시키면 소정의 두께 확보는 물론이고 강도와 부착성이 확보되어 아주 수밀한 접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접합부는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로 보강하면서 고분자를 갖는 액상의 고경질우레탄이나 FRP를 충전한 것이어서, 접합부가 접합부 이외의 부분보다 강도가 높으며 수밀하게 형성되면서 접착력과 수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것이기 때문에 방수?방근시트끼리의 접합부에서 들뜸이나 박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식물 뿌리가 접합부 사이로 침투하는 일이 없으므로 방근은 물론 방수에도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방수?방근시공에서 중요한 포인트 중의 하나는 구조물의 수직부 처리이다. 즉 수직부가 수밀하게 처리되지 못하면 방수?방근시트와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로 수직부 단부(端部) 처리를 할 때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수직부의 소정 높이까지 부착하고 시트의 단부에 보강테이프를 부착한 후 그 상부에 합성수지계 도막제로 실링하여 마감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시트 상부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어서 도막제가 시트에도 잘 스며들어 시트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을 손쉬우면서도 수밀하게 합성수지계 도막제로 접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시트 11, 15 : 부직포
12, 14 : 접착제 13 : PET 필름
16 :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17 : 이형지
20 : 접합부
12, 14 : 접착제 13 : PET 필름
16 :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17 : 이형지
20 : 접합부
Claims (15)
-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구비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상기 PET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열경화성수지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 부직포;
상부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검로진 3~5중량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는 PA(phenyl-α-naphthylamine)와 DCD(Substituted diphenylamine) 및 RD(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T 필름의 양면에는 코로나방전 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폴리우레탄계수지에 금속카바이드를 배합한 것 또는 에폭시수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방수기능과 방근기능을 구비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접착시켜 방수?방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가 접합하는 부분에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를 접착시킨 다음 그 위에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를 충전하여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며, 상기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는,
PET 필름;
상기 PET 필름의 상부와 하부에 열경화성수지 접착제에 의해 각각 접착된 부직포;
상부가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에 함침된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의 하부에 부착시킨 이형지;
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점착 연질형 자착식 콤파운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5~60중량부;
스틸렌 부타디엔 스틸렌 10~20중량부;
부틸고무 5~10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0~20중량부;
접착부여제(전분) 1~5중량부;
흡유제(화산재) 1~5중량부;
충전재(돌로마이트) 5~15중량부;
스테아린산 알미늄 3~5중량부;
내산화 및 내균열 노화방지제 3~5중량부;
검로진 3~5중량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를 형성한 후에, 방수?방근층을 형성한 전체 면의 상부에 합성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폴리우레아수지, 우레탄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강화섬유 또는 부직포에 도포한 고경질우레탄 또는 FRP의 두께는 0.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접착시킬 때, 시트의 단부(端部)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접착시킬 때, 시트의 단부(端部)가 서로 겹쳐지도록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시트가 겹쳐지는 부분은, 시트 사이에 합성수지계 도막제로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형성시 보강재로 들어가는 부직포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이며, 장섬유와 단섬유를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322A KR101214810B1 (ko) | 2012-04-27 | 2012-04-27 |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44322A KR101214810B1 (ko) | 2012-04-27 | 2012-04-27 |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4810B1 true KR101214810B1 (ko) | 2012-12-24 |
Family
ID=4790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4322A KR101214810B1 (ko) | 2012-04-27 | 2012-04-27 |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810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879B1 (ko) * | 2013-04-19 | 2014-08-26 | 주식회사 부일건화 | 천공된 조인트 방근보강재를 사용하여 3중층 구조로 접합부 접착력을 향상시킨 복합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1463721B1 (ko) | 2014-04-11 | 2014-11-24 |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 방수성과 방근성 및 접착성을 갖춘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532734B1 (ko) * | 2013-08-02 | 2015-07-02 |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방수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
KR101541324B1 (ko) | 2015-05-08 | 2015-08-03 | 강충모 | 방수용 씰 도막재와 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
KR101602656B1 (ko) * | 2015-07-29 | 2016-03-15 | 주식회사 제니스코리아 | 단열 및 차열성능이 보완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775438B1 (ko) | 2017-06-22 | 2017-09-19 | 강충모 | 방수시트와 발포폼을 사용한 구조물의 방수·방수층 보호·단열구조 |
KR101812175B1 (ko) | 2015-10-28 | 2017-12-27 | 주식회사 성도 |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
KR20190110012A (ko) * | 2018-03-19 | 2019-09-27 | (주)세움특수건설 |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
KR102040813B1 (ko) | 2019-07-31 | 2019-11-06 | 이상윤 | Pet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를 사용한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127B1 (ko) * | 2008-04-24 | 2008-12-05 | 주식회사 부일건화 |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0924114B1 (ko) * | 2009-04-17 | 2009-10-29 | 주식회사 부일건화 |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1019550B1 (ko) | 2010-03-12 | 2011-03-08 | 오재갑 | 저온용융 개질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04-27 KR KR1020120044322A patent/KR1012148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2127B1 (ko) * | 2008-04-24 | 2008-12-05 | 주식회사 부일건화 |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0924114B1 (ko) * | 2009-04-17 | 2009-10-29 | 주식회사 부일건화 |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1019550B1 (ko) | 2010-03-12 | 2011-03-08 | 오재갑 | 저온용융 개질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3879B1 (ko) * | 2013-04-19 | 2014-08-26 | 주식회사 부일건화 | 천공된 조인트 방근보강재를 사용하여 3중층 구조로 접합부 접착력을 향상시킨 복합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KR101532734B1 (ko) * | 2013-08-02 | 2015-07-02 |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 부직포 시트를 포함하는 방수층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법 |
KR101463721B1 (ko) | 2014-04-11 | 2014-11-24 |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 방수성과 방근성 및 접착성을 갖춘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541324B1 (ko) | 2015-05-08 | 2015-08-03 | 강충모 | 방수용 씰 도막재와 테이프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
KR101602656B1 (ko) * | 2015-07-29 | 2016-03-15 | 주식회사 제니스코리아 | 단열 및 차열성능이 보완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KR101812175B1 (ko) | 2015-10-28 | 2017-12-27 | 주식회사 성도 |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
KR101775438B1 (ko) | 2017-06-22 | 2017-09-19 | 강충모 | 방수시트와 발포폼을 사용한 구조물의 방수·방수층 보호·단열구조 |
KR20190110012A (ko) * | 2018-03-19 | 2019-09-27 | (주)세움특수건설 |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
KR102051495B1 (ko) * | 2018-03-19 | 2019-12-04 | (주)세움특수건설 |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
KR102040813B1 (ko) | 2019-07-31 | 2019-11-06 | 이상윤 | Pet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복합방수시트를 사용한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4810B1 (ko) | 방수?방근 일체형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
US8104245B2 (en) | Method for waterproofing a structural surface | |
KR100872127B1 (ko) | 방근시트와 이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
KR100924114B1 (ko) |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
US20040172908A1 (en) | Cap sheet, roofing installation, and method | |
TW200523438A (en) |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 |
KR101173181B1 (ko) |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 |
KR101881318B1 (ko) | 내항균성이 우수한 pet계 수지조성물, 이 pet계 수지조성물이 코팅된 방수/방근 시트, 이 방수/방근 시트를 이용한 방수/방근 공법 | |
KR20180109361A (ko) |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CN102031834B (zh) | 一种复合防水系统及其施工工艺 | |
KR101027655B1 (ko) | 옥상 및 인공지반 녹화를 위한 방근층을 겸비한 고무아스팔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812175B1 (ko) | 방수 및 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 방근 공법 | |
KR20120138496A (ko) | 복합형 방수방근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시공 방법 | |
KR101433879B1 (ko) | 천공된 조인트 방근보강재를 사용하여 3중층 구조로 접합부 접착력을 향상시킨 복합 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 |
JP2015206224A (ja) |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14749B1 (ko) | 방수기능을 겸비한 방수층 보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170025054A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도막 | |
KR101039239B1 (ko) |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 |
JP5764418B2 (ja) |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 |
CN201962810U (zh) | 一种复合防水系统 | |
JP5618487B2 (ja) | 外断熱防水構造 | |
WO1999040271A1 (en) | Easy-to-apply roofing underlayment | |
KR101054616B1 (ko) | 초속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 |
KR20110127763A (ko) | 엑스매트를 이용한 단열방수구조 | |
CA2598886C (en) |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