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94A -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94A
KR20160012794A KR1020140094993A KR20140094993A KR20160012794A KR 20160012794 A KR20160012794 A KR 20160012794A KR 1020140094993 A KR1020140094993 A KR 1020140094993A KR 20140094993 A KR20140094993 A KR 20140094993A KR 20160012794 A KR20160012794 A KR 20160012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ll
concrete
composite
polymer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미
정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미, 정태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미
Priority to KR102014009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794A/ko
Publication of KR2016001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를 복합단열 마감재와 콘크리트의 일체형으로 시공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의 경량화와 방수성 및 단열성을 강화할 수 있게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는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와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는 복합마감층과 단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마감층은 벽체의 외벽체나 내벽체 또는 내외벽체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복합마감층은 상기 단열층 위에 폴리머 디스퍼젼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접착성을 부여하는 폴리머디스퍼젼층,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 위에 방수 기능을 하는 혼합액과 침지하여 제작된 시트를 적층하는 제1적층층, 상기 제1적층층 위에 상기 혼합액을 필요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 처리한 제2적층층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Finishing materials integrate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를 복합단열 마감재와 콘크리트의 일체형으로 시공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의 경량화와 방수성 및 단열성을 강화할 수 있게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축 공사 시, 벽체 형성의 여러 가지 기술들의 적용을 살펴보면, 벽체의 내벽 측 시공 시, 상기 벽체 기본골격을 형성시키고 단열 마감재를 붙이고 그 위에 석고보드 등을 부착하여 마감하는 경우이거나 벽체 사이에 단열재를 투입하고 벽체의 내벽 면을 시멘트 몰탈 마감하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벽체 형성 시공의 경우 콘크리트 골격 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서, 단열재를 골격 구조물 사이에 충진시킨 콘크리트 벽체의 형성 후에 석고보드 등의 마감재로 마감하는 경우와 벽돌 블록 등으로 벽체를 쌓고 시멘트 몰탈액으로 마감 처리하는 습식법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를 종합하여 보면 기존공법은 여러 단계를 거치는 형태로 비용이 증가하고 석고보드 마감재로 마감하는 경우 기계적강도의 한계성이 있고 습기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시멘트 몰탈액의 마감 공법은 공사기간의 증가와 인건비의 증가로 전체 공사비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단열재만을 벽의 내부에 시공하거나 골격에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는 방식은 단열재 사이가 완벽히 채워지지 않아 단열성이 저하됨은 물론 결로 및 누수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제작된 단열성을 가진 복합단열 부재와 같은 제품을 미리 제조하여 건축 공사의 벽체 시공 시, 일괄적으로 콘크리트와 부착 형성하게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진다.
그러므로 상기 복합단열 부재와 같은 제품을 미리 제조해야 하는데 종래의 마감재와 같은 것을 부착하려고 하면 접착성이나 방수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으며, 단열판위에 적층하는 방법이 좋으나 너무 두꺼우면 경제성과 시공성이 떨어지고, 엷으면 부스러지거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정한 단열성을 가진 단열판 위에 소정 두께의 층을 적층하는데 이 층을 구성하는 물질이 시멘트 몰탈 단독사용의 경우 건조 후 부스러지거나 깨어지기 쉬운 결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B1 제10-0854488(2008.08.20.)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합단열 마감재가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로 부착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의 표면에 필요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타일, 석재 및 벽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마감을 함으로써, 공사가 간단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벽체 경량화와 단열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판 접착층을 시멘트 몰탈과 폴리머 디스퍼젼과 단섬유로 구성하여 단열판과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며, 특히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의 내측에 시멘트 몰탈 폴리머 디스퍼젼 혼합액과 침지시킨 다공성섬유 시트를 위치시킴으로써 부스러지거나 깨어지는 것에 강력한 저항력을 가지기 위한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의 표면을 매끈히 처리하여 표면성을 좋게 하고 전체적으로는 불연성 및 난연성 층을 가지게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복합마감층과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복합단열 마감재와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복합마감층은 상기 벽체의 외벽체나 내벽체 또는 내외벽체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복합마감층은 상기 단열층 위에 폴리머 디스퍼젼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접착성을 부여하는 폴리머디스퍼젼층,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 위에 방수 기능을 하는 혼합액과 침지하여 제작된 시트를 적층하는 제1적층층, 상기 제1적층층 위에 상기 혼합액을 필요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 처리한 제2적층층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감재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합마감층과 단열층으로 형성된 복합단열 마감재를 준비하는 마감재 준비단계;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를 거푸집의 내측 면에 설치하고 조립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에서 조립된 거푸집을 설치 후 콘크리트 레미콘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를 거친 벽체는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일체로 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마감층에 필요 도료를 도포하거나 그대로 노출 또는 벽지, 타일 및 석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마감을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 경량화와 단열성을 강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복합단열 마감재를 콘크리트 시공 시 일체형으로 시공함으로써, 공사 현장에서의 벽체 내부의 마감 공법을 없애어 공사비의 막대한 절감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단열 마감재를 통하여 방수성, 불연성 및 단열성이 한층 상승되고 표면의 우수한 매끈성으로 인하여 실내 측 내벽에서는 벽지를 사용하지 않고 도료 처리 마감이 가능해질 수 있고, 실외 측 외벽에서도 도료 처리 마감이나 타일의 부착뿐만 아니라 그대로 노출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화장실이나 목욕실과 같은 물 사용 장소에는 완전한 해결책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단열 마감재는 시멘트 몰탈 폴리머 디스퍼젼 혼합액과 침지시킨 다공성섬유 시트를 사용하여 충분한 강도와 필요의 탄성이 존재하여 공사중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의 내 외벽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재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의 내 외벽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10)는 복합마감층(110)과 단열층(120)으로 구성되어진 복합단열 마감재(100)와 타설된 콘크리트(200)가 상기 벽체(10)의 내벽체나 외벽체 또는 내외벽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벽체(10)가 복합단열 마감재(100)와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진다는 것은, 상기 벽체(10)의 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 레미콘 타설을 위하여 일측과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해 지지하는 가설 구조물인 거푸집을 사용하는데, 이때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거푸집 내측에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를 미리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하여 시공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건조 후 일측과 타측의 거푸집을 제거할 시,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의 상기 단열층(120)이 상기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200)와 견고히 부착되는 일체형 벽체(10)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의 상기 복합마감층(110)은 벽체(10)의 외벽체나 내벽체 또는 내외벽체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층(120)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200)와 부착되어 벽체(10)를 형성한다.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의 상기 단열층(120)은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과 같은 일반적인 단열부재를 사용하는 단열판이다.
또한, 상기 복합마감층(110)은 상기 단열층(120) 위에 폴리머 디스퍼젼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접착성을 부여하는 폴리머디스퍼젼층(111),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111) 위에 방수 기능을 하는 혼합액과 침지하여 제작된 시트를 적층하는 제1적층층(112)과 상기 제1적층층(112) 위에 상기 혼합액을 필요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 처리한 제2적층층(113)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111)은 상기 복합마감층(110)과 상기 단열층(120)의 접착을 위해 폴리머 디스퍼젼(Polymer Dispersion)을 도포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폴리머 디스퍼젼은 고무유액(Rubber latex), 아크릴 디스퍼젼(Acrylic Dispersion)계, 비닐아세테이드 에멀젼(Vinyl acetate emulsion)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계 또는 변성 에폭시(Epoxy)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111)은 시멘트가 혼합된 시멘트 혼입 폴리머디스퍼젼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적층층(112)은 방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111) 위에 방수 시트(Sheet)를 사용하여 적층하는 층으로서, 상기 시트는 상기 폴리머 디스퍼전에 추가하여 단섬유 및 시멘트 몰탈액(Cement mortar)으로 구성되는 혼합액에 침지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혼합액의 조성은 상기 폴리머 디스퍼전 1~50 wt%, 상기 단섬유 0.01~5 wt%와 나머지 잔여 비율로 상기 시멘트 몰탈액 wt%의 무게 비율로서 혼합하여 만들어 진다.
또한, 상기 시트는 다공성 섬유로서 부직포, 유리섬유매트(Glass fiber mat), 다공성섬유 방직포 또는 합성수지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데, 난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리섬유매트를 사용하는 것과 저가의 가격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공성섬유 방직포 또는 합성수지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적층층(113)은 상기 제1적층층(112) 위에 상기 혼합액을 임의의 필요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 처리하여 벽체(10)의 내벽체 또는 외벽체의 표면이 되는 층으로서, 상기 제2적층층(113)의 표면에 필요 도료를 도포하여 마감하거나, 벽지, 석재 및 타일 부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벽체(10) 마감을 할 수 있다. 특히 외벽체의 경우 방수성 및 매끈성으로 인하여 그대로 노출도 가능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 경량화와 단열성이 강화되는 벽체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혼합액의 상기 폴리머 디스퍼젼의 변성 에폭시계는 충격에 대한 강도를 고조시키고, 상기 비닐아세테이드 에멀젼계는 두께를 최소로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단열 마감재(100)의 기존 기계적 품질을 유지하고 유연성을 최대화하도록 상기 폴리머 디스퍼젼 함유량을 1~50 wt% 까지 확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열 마감재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단열 마감재(100)와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마감재 준비단계(S100), 거푸집 설치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 및 거푸집 제거단계(S400)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재 준비단계(S100)는 복합마감층(110)과 단열층(120)으로 형성된 복합단열 마감재(1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S200)는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를 거푸집의 내측 면에 설치하고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는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S200)에서 조립된 거푸집을 설치 후 콘크리트 레미콘을 타설하는 단계이다.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S40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에서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건조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그러므로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S400)를 거친 벽체(10)는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100)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200)와 일체로 부착하여 형성되어지고, 상기 복합마감층(110)의 표면에 필요 도료를 도포하거나 벽지 마감 및 타일 부착 등을 곧바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합마감층(110)을 그대로 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시공 방법으로 인하여 건축공사의 단열과 마감 미장을 하는 벽체의 시공에 있어서 건축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 경량화와 우수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벽체 100 : 복합단열 마감재
110 : 복합마감층 120 : 단열층
111 : 폴리머디스퍼젼층 112 : 제1적층층
113 : 제2적층층 200 : 타설된 콘크리트

Claims (6)

  1. 콘크리트 구조로 구축되는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복합마감층과 단열층으로 이루어진 복합단열 마감재,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와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복합마감층은 벽체의 외벽체 또는 내벽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부착되어 벽체를 형성하며,
    상기 복합마감층은 상기 단열층 위에 폴리머 디스퍼젼을 스프레이 도포하여 접착성을 부여하는 폴리머디스퍼젼층,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 위에 방수 기능을 하는 혼합액과 침지하여 제작된 시트를 적층하는 제1적층층,
    상기 제1적층층 위에 상기 혼합액을 필요 두께로 일정하게 도포 처리한 제2적층층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디스퍼젼은 고무유액, 아크릴 디스퍼젼계, 비닐아세테이드 에멀젼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또는 변성 에폭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디스퍼젼층은 시멘트 혼입 폴리머디스퍼젼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폴리머 디스퍼전, 단섬유 및 시멘트 몰탈액으로 구성되며, 상기 혼합액의 조성 비율은 상기 폴리머 디스퍼전 1~50 wt%, 상기 단섬유 0.01~5 wt%와 잔여 비율로 상기 시멘트 몰탈액 wt%를 혼합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부직포, 유리섬유매트, 다공성섬유 방직포 또는 합성수지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마감재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합마감층과 단열층으로 형성된 복합단열 마감재를 준비하는 마감재 준비단계;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를 거푸집의 내측 면에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에서 조립된 거푸집을 설치 후 콘크리트 레미콘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조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를 거친 벽체는 상기 복합단열 마감재가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일체로 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합마감층에 필요 도료를 도포하거나 벽지, 타일 및 석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마감을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벽체 경량화와 단열성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일체형 벽체 시공 방법.
KR1020140094993A 2014-07-25 2014-07-25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60012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93A KR20160012794A (ko) 2014-07-25 2014-07-25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93A KR20160012794A (ko) 2014-07-25 2014-07-25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94A true KR20160012794A (ko) 2016-02-03

Family

ID=5535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93A KR20160012794A (ko) 2014-07-25 2014-07-25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7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27B1 (ko) 2016-03-14 2016-08-0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106013659A (zh) * 2016-07-01 2016-10-12 江苏亚泰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墙面软包结构的施工工艺
CN109235698A (zh) * 2018-11-14 2019-01-18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复合外墙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88B1 (ko) 2008-05-20 2008-08-26 (주)비온디 건축물용 단열,차열 구조체 시공방법 및 그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488B1 (ko) 2008-05-20 2008-08-26 (주)비온디 건축물용 단열,차열 구조체 시공방법 및 그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27B1 (ko) 2016-03-14 2016-08-08 에스와이시 주식회사 석재가 일체로 형성된 건축 및 토목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CN106013659A (zh) * 2016-07-01 2016-10-12 江苏亚泰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墙面软包结构的施工工艺
CN109235698A (zh) * 2018-11-14 2019-01-18 华东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复合外墙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9033A1 (ja) 化粧石板付パネル
US20170066186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omposite construction element
US20160083954A1 (en) Composite cast-in-situ oute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U245114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узора на здании на месте нахождения
US20180051469A1 (en) Flexible cladding wrap, system and methods
KR20160012794A (ko)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CN208088560U (zh) 一种现场发泡聚氨酯外墙外保温系统
KR100509702B1 (ko) 난연성 복합 단열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RU2685213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с внешней мембраной
CN203429960U (zh) 一种水泥基饰面片材
JP5797482B2 (ja) 積層体
CN205776889U (zh) 一种新型的墙体保温装置
CN100398763C (zh) 外墙保温装饰板及其制造方法
KR20170142250A (ko) 콘크리트벽체와 복합단열 마감재를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벽체 시공 방법
US2013022791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textured tile flooring product
JP2006206369A (ja) 内装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4106B1 (ko) 통기성을 갖는 복합 방수공법
US4216042A (en) Method of making a preformed bathing vessel
CN101982634A (zh) 植入纤维网的模板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
JP2009127257A (ja) 外壁素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GB2514851A (en) Render and plaster roll
JP2006291561A (ja) サイディングボード面へのコンクリート打ち放し仕上げ方法
KR102241304B1 (ko) 표면 마감재를 가지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CN205467604U (zh) 移动房防火保温材料
JPH0373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