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153B1 -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153B1
KR101693153B1 KR1020160100590A KR20160100590A KR101693153B1 KR 101693153 B1 KR101693153 B1 KR 101693153B1 KR 1020160100590 A KR1020160100590 A KR 1020160100590A KR 20160100590 A KR20160100590 A KR 20160100590A KR 101693153 B1 KR101693153 B1 KR 101693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ater
nonwoven fabric
polyolefin
porous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피아
Priority to KR102016010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수 보강재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의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 그리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 보강재는 각 구성 성분 간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상기 방수 보강재 상부에 도포하는 방수 도막재에 포함된 유기 용제가 방수 보강재를 투과 또는 용해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상기 방수 도막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착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방수 도막재와 상기 방수 보강재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수층의 방수 성능 및 강도가 향상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WATER-PROOF REINFORCEMENT MEMBER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 성분 간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로 구분된다.
시트 방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방수 시트가 겹쳐지는 이음부위를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열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시트 방수의 품질이 결정되어진다. 즉 시트에 과도한 열이 가해지는 경우 시트의 변형 및 손상이 발생되고, 열이 약하게 가해지는 경우 융착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방수 시트의 접착력이 약해지며 종국에는 이음부위에서 박리가 생기거나 들뜨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되어 건축물의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방수 시트의 열융착 작업을 위해 가스통, 가스관 및 토치램프 등과 같은 부수적인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열융착 작업의 특성상 화재 발생에 대한 위험성과 작업자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과 더불어 작업 능률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3) 방수 시트와 콘크리트 바탕면 사이의 접착 문제 발생시 방수 시트가 바탕면에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하여 방수 시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바탕면에 균열(Crack)이 발생하여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방수 시트 전체를 제거하고 누수 부위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다.
4) 방수 시트의 재료는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수축 또는 팽창하는 정도가 달라 계절의 영향을 받으며 복잡한 건축물의 경우 시공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방수 시트의 이음부위의 경우 두께 차에 따른 단차가 발생하여 건축물 누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도막 방수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도막 방수재의 경우 방수 도막의 형성이 일회성으로 마무리되는 것이 아니라, 1차 도포한 도막재가 경화된 후 그 위에 다시 수차례에 걸쳐 방수 도막재 도포를 반복하여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방수 공사 시간이 길고 최종 도막의 두께가 얇을 경우(일반적으로 3mm 이하) 바탕면 균열(Crack)이 발생하여 누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도막 방수재의 경우 바탕면의 특성, 예를 들어 바닥이 고르지 않고 요철이 있는 경우 액상 형태인 도막 방수재가 오목부에는 두껍게 도포되고 볼록부에는 도막 방수재가 흘러 내려 얇게 도포되게 되며 또한 경사진 바탕면에서는 액상의 도막 방수재가 흘러 내려 경사층의 윗부분은 방수층이 얇고 아랫부분은 두껍게 형성되어 균일한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3) 콘크리트 바탕면에 존재하는 수분으로 인하여 액상의 도막 방수재가 경화되기 전에 방수층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하절기에는 이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방수 성능 및 방수 도막의 강도가 향상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수층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구성 성분 간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방수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수 보강재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방수 보강재 상부에 도포하는 방수 도막재에 포함된 유기 용제가 방수 보강재를 투과 또는 용해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상기 방수 도막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착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방수 도막재와 상기 방수 보강재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수층의 방수 성능 및 강도가 향상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의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 그리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300 g/m2이고, 인장강도는 2 내지 40 N/mm2이고, 인열강도는 2 내지 40 N/mm이고, 신장율은 20 내지 300 %인 것인 방수 보강재를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한 후, 이를 고화시켜 연속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균일하게 집적시킨 스펀본드(spunbond)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은 상용성(Compatibility)을 고려하여 선택한 폴리올레핀 수지이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0 내지 10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10 내지 5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 시공을 시행하고자 하는 바탕면에 방수 보강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 보강재 위에 방수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수 보강재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의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 및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300 g/m2이고, 인장강도는 2 내지 40 N/mm2이고, 인열강도는 2 내지 40 N/mm이고, 신장율은 20 내지 300 %인 것인 방수 보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수 보강재는 각 구성 성분 간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상기 방수 보강재 상부에 도포하는 방수 도막재에 포함된 유기 용제가 방수 보강재를 투과 또는 용해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상기 방수 도막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접착강도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켜 상기 방수 도막재와 상기 방수 보강재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방수층의 방수 성능 및 강도가 향상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방수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합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대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하는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보강재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의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 그리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방수 보강재는 상기 시트 방수와 도막 방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다공성 부직포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다공성 섬유 집합체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나하나의 섬유가 결속되어 있으므로 방수 도막재를 함침 또는 적층시켜 상부에 도포하는 액상의 방수 도막재가 상기 다공성 부직포에 쉽게 침투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기공(pore)들이 상기 도막 방수재를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support)함으로써, 상기 방수 보강재와 그 상부에 도포되는 방수 도막재와의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상기 방수 보강재와 상기 방수 도막재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부직포를 단독으로 도막 방수재에 적용하는 경우 휘발성 유기 용제가 새어나가 바탕면의 방수 성능을 도리어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바탕면과의 결합력이 감소되어 누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에, 상기 방수 보강재는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된 폴리올레핀 필름을 포함한다. 즉,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일체화된 것이다.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을 상기 다공성 부직포에 라미네이팅을 통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상기 방수 보강재 구성 요소간의 접합력을 개선하여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상기 방수 보강재의 치수 안정성과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상기 방수 보강재 상부에 도포하는 방수 도막재에 포함된 유기 용제가 상기 방수 보강재를 투과 또는 용해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방수층의 방수 성능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가 웹 형태로 집적되어 다공성을 가지는 섬유 집합체 시트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계 고분자 수지일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상기 폴리올레핀 고분자 수지를 스펀본드(Spunbond) 또는 멜트블로운(Meltblown) 등의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300 g/m2이고, 인장강도는 2 내지 40 N/mm2이고, 인열강도는 2 내지 40 N/mm이고, 신장율은 20 내지 300 %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은 20 내지 200 g/m2이고, 인장강도는 5 내지 30 N/mm2이고, 인열강도는 5 내지 30 N/mm이고, 신장율은 50 내지 200 %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장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방수 보강재의 함침성, 방수 도막의 강도, 방수 성능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이 10 g/m2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부직포가 너무 얇고 엉성하여 상기 방수 도막재 함침이 어려울 수 있고 300 g/m2를 초과하면 상기 방수 보강재의 원가만 상승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고, 인장강도가 2 N/mm2 미만이면 상기 방수 보강재의 강성이 너무 약해져 방수 도막재 형성시 지지(support) 능력이 약화되어 방수 보강재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40 N/mm2를 초과하면 상기 도막 방수재가 상기 방수 보강재에 함침이 어렵게 되어 상기 도막 방수재와 상기 방수 보강재가 분리되어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인열강도가 2 N/mm 미만이면 상기 도막 방수재 시공시 노면에 작은 이물질에도 상기 방수 보강재가 찢어질 수 있고, 40 N/mm를 초과하면 상기 방수 보강재 제조 원가가 상승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신장율이 20 % 미만이면 상기 방수 보강재 신장률의 저하로 시공 공사시 상기 방수 보강재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고 300 %를 초과하면 상기 방수 보강재의 신장률이 과도하여 상기 도막 방수재 시공시 상기 도막 방수재의 표면의 균일도 저하되며 형태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이 10 내지 300 g/m2이고, 인장강도가 2 내지 40 N/mm2이고, 인열강도가 2 내지 40 N/mm이고, 신장율이 20 내지 300 %인 다공성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한 후, 이를 고화시켜 연속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균일하게 집적시킨 스펀본드(spunbond) 공정에 의하여 장섬유 다공성 부직포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온이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온도일 수 있고, 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상기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라미네이팅되어 일체화된다. 즉,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일체화된 것이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이 상기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일체화됨에 따라,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일 표면에 위치하는 섬유 집합체의 일부는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 열융착되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팅은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고분자 수지의 용융온도(Tm)를 고려하여 선정된 온도 하에서 진행되며, 상기 용융온도(Tm) 보다 10 내지 30 ℃ 만큼 낮은 온도에서 라미네이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용융온도(Tm) 보다 10 내지 20 ℃ 만큼 낮은 온도에서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이 서로 다른 폴리올레핀일 경우, 상기 라미네이팅 온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폴리올레핀 고분자 수지는 이들 중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가지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온도와 상기 폴리올레핀 고분자 수지의 용융온도(Tm)의 차이가 10 ℃ 미만인 경우 상기 라미네이팅 가공시 상기 다공성 부직포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열화(Thermal Degradation)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제품 자체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라미네이팅 온도와 상기 폴리올레핀 고분자 수지의 용융온도(Tm)의 차이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 사이의 열접착(Thermal Bonding)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이 분리되어 완성된 방수 보강재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일 수 있고,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은 상호간의 상용성(Compatibility)를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고, 여기서 상용성이란 상기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하여 열접착이 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은 서로 동일한 재질의 폴리올레핀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이 상용성(Compatibility)을 보유한 경우 상기 라미네이팅에 의하여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접합 강도가 더욱 향상되어, 상기 방수 보강재의 역학적 물성 및 물리적 강도와 치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및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0 내지 10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20 내지 6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10 g/10min 미만인 경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방사 공정시 고분자 수지의 열적 거동이 감소되어 수지 흐름성이 감소됨으로써 웹 형성시 목표 평량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표면의 균일도가 감소되어 도막 방수재의 함침성이 감소되고 방수 성능의 저하될 수 있고, 100 g/10min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방사 공정시 고분자 수지의 열적 거동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수지 흐름성이 증가됨으로써 웹 형성시 목표 평량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표면의 균일도가 감소되어 도막 방수재의 함침성이 감소되고 방수 성능의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에틸렌인 경우, 상기 폴리에틸렌은 10 내지 5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20 내지 4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용융지수가 10 g/10min 미만인 경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방사 공정시 고분자 수지의 열적 거동이 감소되어 수지 흐름성이 감소됨으로써 웹 형성시 목표 평량 이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표면의 균일도가 감소되어 도막 방수재의 함침성이 감소되고 방수 성능의 저하될 수 있고, 50 g/10min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방사 공정시 고분자 수지의 열적 거동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수지 흐름성이 증가됨으로써 웹 형성시 목표 평량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 표면의 균일도가 감소되어 도막 방수재의 함침성이 감소되고 방수 성능의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은 방수 시공을 시행하고자 하는 바탕면에 방수 보강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 보강재 위에 방수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방수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바탕면(110)에 방수 보강재(120)를 접착시킨다.
상기 바탕면(110)은 상기 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한 시공면으로서, 예를 들어 콘크리트,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 등의 표면일 수 있으며, 학교, 오피스빌딩, 체육시설과 같은 건물의 옥상 및 측벽 등일 수 있다.
상기 방수 보강재(120)를 상기 바탕면(110)에 접착시키기 전에 상기 바탕면(110)을 청결하게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수 보강재(120)를 상기 바탕면(110)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탕면(110) 표면에 프라이머층(141), 접착층(142) 및 이 둘 모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층을 먼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41)과 접착층(142)은 상기 바탕면(110) 표면에 프라이머 도료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도료는 방수 공사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프라이머 도료 또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141)과 접착층(142)은 상기 바탕면(110) 표면을 전체적으로 도포하여 상기 바탕면(110)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141)과 접착층(142)은 상기 바탕면(110)의 표면과 상기 방수층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바탕면(110)에 접착되는 상기 방수 보강재(120)는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의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122), 및 상기 다공성 부직포(122) 아래에 라미네이팅되어 일체화된 폴리올레핀 필름(121)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방수 보강재(120) 위에 방수 도막재(130)를 도포한다.
상기 방수 도막재(130)는 도막 방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수 도막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도막재, 우레탄계 도막재, 에폭시계 도막재 및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보강재(120)의 상기 다공성 부직포(122)는 다공성 섬유 집합체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하나하나의 섬유가 결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방수 도막재(130)를 함침 또는 적층시켜 상부에 도포하는 액상의 방수 도막재(130)가 상기 다공성 부직포(122)에 쉽게 침투될 수 있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122)의 기공(pore)들이 상기 도막 방수재(130)를 구조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support)함으로써, 상기 방수 보강재(120)와 그 상부에 도포되는 방수 도막재(130)와의 접착력을 극대화시켜 상기 방수 보강재(120)와 상기 방수 도막재(130)의 층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보강재(120)의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121)은 상기 방수 보강재(120) 상부에 도포하는 상기 방수 도막재(130)에 포함된 유기 용제가 상기 방수 보강재(130)를 투과 또는 용해시키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방수층의 방수 성능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 시공 방법에서 상기 바탕면(110)에 상기 방수 보강재(120)를 접착시킨 후, 상기 방수 보강재(120) 위에 상기 방수 도막재(130)를 도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방수 보강재(120) 위에 상기 방수 도막재(130)를 도포한 후, 상기 방수 도막재(130)가 도포된 상기 방수 보강재(120)를 상기 바탕면(110)에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10: 바탕면
120: 방수 보강재
121: 폴리올레핀 필름 122: 다공성 부직포
130: 방수 도막재
141: 프라이머층 142: 접착층

Claims (5)

  1. 방수도막재가 함침되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장섬유 집합체인 다공성 부직포, 그리고
    상기 방수도막재에 포함된 유기 용제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성 부직포 아래에 폴리올레핀 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된 폴리올레핀 필름층 포함하며,
    상기 라미네이팅시 폴리올레핀 필름의 열화를 방지하고 상기 다공성 부직포와 열접착되도록, 폴리올레핀 필름의 용융온도보다 10 ~ 30 ℃ 이하인 온도에서 실시되며,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평량은 10 내지 300 g/m2이고, 인장강도는 2 내지 40 N/mm2이고, 인열강도는 2 내지 40 N/mm이고, 신장율은 20 내지 300 %인 것인 방수 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필라멘트 형태로 방사한 후, 이를 고화시켜 연속 이동하는 네트 컨베이어 상에 균일하게 집적시킨 스펀본드(spunbond)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장섬유 다공성 부직포인 것인 방수 보강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직포의 장섬유가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과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의 폴리올레핀은 상용성을 보유한 폴리올레핀 수지이며,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것인 방수 보강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0 내지 10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10 내지 50 g/10min의 용융지수를 갖는 것인 방수 보강재.
  5. 방수 시공을 시행하고자 하는 바탕면에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수 보강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 보강재 위에 방수 도막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방법
KR1020160100590A 2016-08-08 2016-08-08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693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590A KR101693153B1 (ko) 2016-08-08 2016-08-08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590A KR101693153B1 (ko) 2016-08-08 2016-08-08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153B1 true KR101693153B1 (ko) 2017-01-17

Family

ID=5799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590A KR101693153B1 (ko) 2016-08-08 2016-08-08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142A (zh) * 2017-09-30 2018-03-30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防腐防渗层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422A (ja) * 1996-11-11 1998-05-26 Du Pont Kk 防水構造シート材
KR20120028434A (ko) * 2010-09-15 2012-03-23 정미숙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422A (ja) * 1996-11-11 1998-05-26 Du Pont Kk 防水構造シート材
KR20120028434A (ko) * 2010-09-15 2012-03-23 정미숙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142A (zh) * 2017-09-30 2018-03-30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防腐防渗层及其制作方法
CN107859142B (zh) * 2017-09-30 2024-03-08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防腐防渗层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144C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US6764733B1 (en) Hot bitumen compatible EPDM roofing sheet
CN106715111B (zh) 密封膜上的阻挡层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KR101773079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응력감소 및 통기성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59476B1 (ko) 매트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US20180371759A1 (en) Breathable composite moisture barrier roofing underlayment
KR101693153B1 (ko) 방수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JP6050144B2 (ja) 床版用防水部材、床版防水構造、及び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0648177B1 (ko)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구조
KR101680117B1 (ko) 친환경 복합 방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 구조체
EP0757139A1 (en) Moisture-permeable composite sheet for water-proofing concrete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JP2012026150A (ja) 塗膜防水シート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JP2007223046A (ja)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KR101618555B1 (ko) 수밀성 방수시트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2286256B1 (ko)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JP2009243247A (ja) 防水シート材
KR20010090026A (ko) 폴리에스터 개량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6465581B2 (ja) 透湿防水性養生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