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555B1 - 수밀성 방수시트 - Google Patents

수밀성 방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555B1
KR101618555B1 KR1020140035080A KR20140035080A KR101618555B1 KR 101618555 B1 KR101618555 B1 KR 101618555B1 KR 1020140035080 A KR1020140035080 A KR 1020140035080A KR 20140035080 A KR20140035080 A KR 20140035080A KR 101618555 B1 KR101618555 B1 KR 10161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aterproof sheet
porous film
laye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595A (ko
Inventor
황창연
Original Assignee
황창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연 filed Critical 황창연
Priority to KR102014003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5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밀성 방수시트는 지붕 공사 시 합판 등의 지지판 위에 설치할 때 못, 공업용 스테이플러, 해머타카 등의 고정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 부재가 위치하는 곳에 고정부와 덮개부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만들어 고정 부재로 인한 틈새를 막을 수 있어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다공성필름을 사용하여 종래 사용되었던 방수시트보다 훨씬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수밀성을 갖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밀성 방수시트{Watertightness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부직포와 다공성필름을 다층으로 적층한 수밀성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가옥 및 목조주택 등의 건축물 벽체와 지붕재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시트재로서 벽체의 단열재와 지붕 밑의 지지판인 USB합판 위에 시공함으로서 빗물이나 눈, 얼음 등이 외벽으로부터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능력과 결로방지력, 곰팡이 서식방지, 외풍 방지 등의 목적을 갖는 수밀성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수시트재는 목조주택에 있어서 방음, 단열 및 방수성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빗물 등을 차단하는 외벽재 또는 지붕재로서 투습, 방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밀폐성이 좋고 옥내에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여야 하며, 또한 내균성이나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기와의 틈새 사이와 균열 등으로부터 빗물, 눈, 기타 습기 등이 주택 내로 누수 하는 것을 방지하는 마지막 단계의 방수재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자재의 확실한 방수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경우, 방수시트재는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이 제시, 사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지붕에 사용하는 OSB합판에 방수시트를 부착시키기 위해 주로 못 또는 해머타카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는데 상기 고정 부재의 틈새로 물이 베어드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방수시트로 마감된 지붕을 밟고 걸어다니게 되면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해 못으로 고정한 부분이 찢어지거나 못 주변으로 틈새가 생기게 되어 방수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방수시트를 고정하기 위해 합판과 방수시트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9522는 상부에 견직물 또는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중심기재에 폴리에틸렌 가교발포제, 하부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접착하고, 시공부와 접착제로 부분접착한 뒤 부직포 하부에 접착하지 않은 부분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간을 둔 방수시트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방법인 못 등의 고정 부재로 고정시키는 방법과 비교하면 작업의 효율성,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발명의 경우 공기순환용 펌프를 따로 두어야 하며, 시간에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화될 경우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방수시트가 시공부와 떨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종래 방법인 고정 부재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방수시트재를 아스팔트, 고무 등으로 침적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킨 타르계 방수시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4517에는 부직포를 중간 보강층으로 하여 그 위아래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수지로 접착층을 구성하고 접착층의 상하에 고무아스팔트 시트를 접착하고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층과 고무아스팔트 시트 사이에 접착성 다층 적층필름을 배치한 발명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르계 방수시트는 타르의 침적으로 인해 혼자서는 다루기 힘들 정도로 무게가 많이 나가며, 지붕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취급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품 중에서 방수시트를 OSB합판에 못으로 고정시킨 후에 못 주변의 틈새를 막기 위해 고정시킨 부분에 방수시트를 겹쳐 사용하는 제품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인 예상소요량보다 실제사용량이 많아지게 되어 비경제적인 면이 지적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9522(2005년 10월 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04517(2009년 06월 25일)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와 다공성필름을 다층으로 적층하고, 못 등의 고정 부재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면서 방수시트재가 가지고 있는 우수한 수밀성과 투습성, 방수성을 보장하여, 방수시트 시공의 효율성과 작업자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수밀성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직포와 다공성필름을 다층으로 적층한 수밀성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제 1 접착층, 다공성 필름층, 제 2 접착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을 포함하는 방수시트이며, 상기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 또는 중앙부에 고정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부를 갖는 수밀성 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 욕조에 담겨진 접착제를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에 전이하는 단계;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와 그라비아-몰드 위에 위치하는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다공성필름을 통과시키는 단계;
고무압동롤러로 상기 다공성필름을 압착하여 다공성필름에 접착층과 비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다공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의 기본적인 구성은 5층으로서 [도면 1]과 같이 위로부터 순서대로 첫 번째 층은 부직포 또는 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층, 두 번째 층은 제 1 접착층, 세 번째 층은 다공성 필름으로 구성된 층이며, 네 번째 층은 제 2 접착층, 다섯 번째 층은 상기 상부층과 동일 또는 다른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하부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상기 상부층과 다공성 필름층을 제 1 접착층으로 부착하지 않은 체결부를 하나 이상 갖을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와 OSB합판 등을 결합하기 위해 고정부재를 박는 자리로서 덮개부와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목적 내에서 자유롭게 가감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먼저 상기 상부층은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투습, 방수성을 갖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직물의 경우 천연섬유, 합성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부직포의 경우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및 레이온계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스펀본드, 열융착, 바이컴퍼넌트,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건식적층 및 케미칼본드 등을 이용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층은 상기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소재의 직물이나 부직포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투습, 방수성을 갖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수밀성 방수시트의 투습,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공성 필름층을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다공성필름은 본 발명이 갖고자 하는 투습, 통기성, 방수성을 갖는 유기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성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층, 하부층과 다공성 필름층을 부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접착층을 둘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층은 동일 또는 상이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나 시트를 접착할 수 있는 접착제라면 본 발명이 갖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의 종류는 주로 유기접착제로 열경화성, 열가소성, 고무계, 혼합계, 천연 접착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실온경화, 열경화, 핫멜트형, 감압형, 재습형 등 경화방법에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제로는 요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로는 초산 비닐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아세탈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접착제로는 주로 스티렌계로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혼합접착제로는 비닐계, 페놀-크로로프렌, 에폭시화 니트릴 고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접착제로는 녹말, 아교, 라텍스, 송진, 셀락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고무 또는 폴리아미드계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핫 멜트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분경화형의 1 액형 또는 2 액형의 에스터타입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층과 다공성 필름 사이에 고정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부층과 다공성 필름층을 제 1 접착층으로 부착하지 않음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와 OSB합판 등과 부착할 때 못이나 해머타카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자리이며, 상기 상부층과 다공성 필름층이 부착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하부층과 제 2 접착층 및 다공성 필름층이 결합된 부분이 고정부가 된다. 상기 덮개부는 고정부에 고정 부재를 고정한 후 고정부를 덮어 고정부를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막아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부분, 즉 상기 상부층 중 상기 다공성 필름층과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덮개부를 이루게 된다. 이 경우 수밀성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으로 가장자리 또는 중앙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부를 도입할 수 있으며, 각각의 체결부는 방수시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방수시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10 내지 200mm의 폭을 갖는 고정부와 덮개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이란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가 생산되는 방향으로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시트에서 긴 변의 방향을 말한다.
상기 체결부가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의 중앙부에 형성될 경우, 설치 시 상기 고정부재가 용이하게 수밀성 방수시트와 OSB합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층을 칼 등의 절단용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덮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층 표면에 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및 스티렌계 등의 미끄럼 방지제 중 하나 이상을 도포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제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가 보통 지붕에 사용되며,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층 표면에 사용되는 미끄럼 방지제는 점도에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끄럼 방지제를 표면에 처리하였을 때 미끄럼 저항계수(Coefficient of Slip Resistance Barefeet, CSRB)가 0.7 이상인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CSRB가 0.7 내지 2.0 이상인 것이 좋다. 다만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 미끄럼 방지제의 점착성이 높아지게 되어 작업자의 발에 방수시트가 붙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방수시트가 찢겨지기 쉬우므로 적절하게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다. 상기 미끄럼 방지제는 상기 상부층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를 도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투습, 방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 표면에 발수처리를 할 수 있다. 발수가공은 물리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섬유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을 도포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름, 파라핀 및 알루미늄 화합물을 상부층이나 하부층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상부층의 경우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 방지제의 도포 전에 상기 소수성 화합물을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화학적인 방법으로는 발수제와 섬유를 화학결합 시키거나, 발수제로 이루어진 막을 이용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리딘계, 실리콘 수지계, 불소계 화합물을 공유결합, 에테르결합, 축합중합 등의 화학결합하거나 상기 수지 간에 막을 형성하여 발수가공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수제는 섬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성이 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상부층, 하부층 및 다공성 필름층에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 등의 플라스틱 안정제를 도입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1차, 2차 산화방지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놀계로서 황 함유 페놀, 비스페놀, 폴리페놀 등과 방향족 아민계, 포스파이트계, 유황 에스테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phenyl)phosphite)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각각의 상부층, 하부층 및 다공성 필름층 100 중량부에 대해 0.05 내지 1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 흡수제, 소광제(quenchers)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살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옥사닐라이드계, hindered amine(HALS)계, 금속착염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iO2, HALS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각각의 상부층, 하부층 및 다공성 필름층 100 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 도 9을 통해 수밀성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소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장치는 접착제(620)를 담고 있는 접착제 욕조(610), 일부분이 접착제에 담가지도록 접착제 욕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라비아-몰드(630), 그라비아-몰드에 남아있는 여분의 접착제를 긁어내는 닥터블레이드(660), 상기 접착제가 다공성 필름에 전이되도록 그라비아-몰드를 눌러주는 역할을 하고, 요철을 갖고 있어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에 체결부를 형성하도록 다공성 필름의 일부분에 접착제가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압동롤러(640)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 상기 접착제가 다공성 필름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고무압동롤러를 눌러주는 스틸롤러(6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접착제 욕조(610)에 담겨진 접착제(620)를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630)에 전이한다. 그라비아-몰드는 회전축 방향 일부분이 접착제가 담겨있는 접착제 욕조에 잠겨있고, 그라비아-몰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접착제가 그라비아-몰드 전체로 적절히 전이되게 된다. 상기 그라비아-몰드의 표면에는 음각의 선이 홈을 이루고 있어 상기 홈의 무늬모양, 깊이를 조절하여 도포할 접착제의 양과 도포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접착제가 전이된 그라비아-몰드가 회전하면 닥터블레이드(660)가 그라비아-몰드 상부에 위치해 있어 표면에 전이된 접착제를 제거하여 접착제가 그라비아-몰드의 홈에만 남겨지도록 한다.
그라비아-몰드에 원하는 양의 접착제가 전이되면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와 그라비아-몰드 위에 위치하는 고무압동롤러(640) 사이로 상기 다공성필름을 통과시킨다. 이때 고무압동롤러에는 상기 고정부와 덮개부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생성하기 위하여 음각의 홈(641)이 파여 있을 수 있다. 상기 홈은 고무압동롤러에 가로 10 내지 200mm, 깊이 2 내지 10mm로 음각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렇게 고무압동롤러로 압착하게 되면 요철(642)이 형성되는 부분은 고무압동롤러의 압력에 의해 접착제가 다공성필름으로 전이되지만, 홈이 형성되는 부분은 접착제가 전이되지 않는 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음각의 홈은 상기 고무압동롤러에 1개 이상 있을 수 있으며, 롤러의 가장자리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렇게 접착제가 전이된 다공성필름에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선택하여 접착하거나 상기 접착제 전이단계를 반복하여 다공성필름의 양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층이나 하부층을 먼저 접착할 경우 고무압동롤러에 음각의 홈이 있는 경우 상부층이 접착되며, 상기 홈이 없는 경우 하부층이 접착된다. 상부층이나 하부층 중 어느 한 부분이 접착되면 다시 상기의 접착제 도포단계를 반복하여 나머지 부분을 부착한다. 다른 방법으로 접착제를 다공성 필름의 양면에 도포할 경우, 다공성필름의 한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뒤 상기 전이 단계를 반복하여 반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제가 전이된 다공성필름에 동시에 양쪽으로 공급하여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합지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접착제 전이과정에서 다공성필름에 접착제가 보다 고르게 전이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압동롤러 상부에 크롬도금을 한 스틸롤러(65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틸롤러는 상기 고무압동롤러를 보다 강하게 압착함으로서 상기 다공성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다공성필름의 전체 면 중에 고무압동롤러의 요철 또는 고무압동롤러 전체에 의해 압력을 받은 부분에 상기 접착제가 보다 고르게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은 드라이-라미네이션 장치에서 공급되어지며, 상부층과 하부층 모두 부착한 후에 20 내지 80℃에서 열풍 또는 가열에 의해 용제를 증발, 건조시키고, 100 내지 20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가압하여 완전히 접착시킨다. 그 후에 일정한 길이로 감아놓은 상태에서 약 48 내지 96시간 동안 40℃ 이상의 온도와 50% 이상의 습도가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숙성을 하여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단계에서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층 표면에 상기 미끄럼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방법은 상기 전이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도 좋고 직접 도포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수밀성 방수시트는 합판 등의 지지판 상에 설치한 후에 상기 방수시트의 덮개부에 해당하는 상층부를 접어서 열어놓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 위에 못, 공업용 스테이플러, 해머타카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접어놓은 덮개부를 다시 덮어 상기 고정 부재로 인한 틈새를 막을 수 있어 수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다공성필름을 사용하여 종래 사용되었던 방수시트보다 훨씬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수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의 일반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를 OSB합판에 고정시킨 상태를 단면으로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의 고정부와 덮개부를 두 개 설치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와 중앙에 고정부와 덮개부를 설치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의 고정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에 추가 시트가 접착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추가 시트가 접착된 수밀성 방수시트를 OSB합판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성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과정 중 접착제 전이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는 총 5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층(110)과 하부층(120)은 부직포를 사용하며, 다공성 필름층(130)은 투습, 통기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하였다. 다공성 필름층과 상기 상부층, 하부층은 수분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여 제 1 접착층(142) 및 2접착층(143)을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층과 다공성 폴리올레핀 필름층 사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부(113)가 존재하며 OSB합판에 부착할 때 고정 부재를 박는 위치를 나타낸다. 접착되지 않은 상부층은 덮개부로서 고정부를 덮어 습기가 수밀성 방수시트와 고정부재 사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밀성 방수시트가 설치된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는 길이방향(A)으로 좌우측의 가장자리에 폭 10 내지 200mm의 덮개부와 고정부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갖는다. 덮개부(112)는 표시선(111)을 기준으로 상부층 쪽으로 꺾은 다음 노출된 고정부(113)에 못이나 공업용 스테이플러 등의 고정부재(150)를 이용하여 OSB합판에 고정시킨다.
도 2에서 고정 부재가 OSB합판에 고정된 모습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못이나 공업용 스테이플러 등의 고정 부재는 상기 도 2의 고정부에 드러난 다공성폴리올레핀 필름 위에 박아 OSB합판(500)과 고정하였다. 이후 상기 덮개부를 고정부 쪽으로 다시 덮어 고정 부재가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체결부를 두 개 이상 도입한 경우
도면 4 내지 5는 체결부를 두 개 이상 도입한 경우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먼저 도 4는 길이방향의 가장자리 양 측에 상기 고정부(113)를 형성하여 OSB합판과의 결합성을 높인 것이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각각 50 내지 200mm의 폭을 가지며, 고정 부재를 도입하는 방법은 도 2, 3에서 소개한 방법과 동일하다.
도 5는 체결부를 길이방향의 가장자리 양 측에 도입하고 동시에 길이방향 중앙부에 같은 방법으로 체결부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중앙의 고정부(113)는 상기 상부층으로 인해 덮여있으므로 고정 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층(111)을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중앙부에 위치한 체결부는 절단선(114)를 만든 다음 절단선을 따라서 상부층을 절단하여 고정부를 만들어 준 후 가장자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 부재를 이용하여 OSB합판에 고정시켰다. 이때 중앙부에 빗물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단선 쪽은 용마루와 가까운 방향으로, 표시선은 처마와 가까운 방향이 되도록 설치하였다.
체결부를 봉인하는 경우
도 6에 체결부를 추가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봉인한 것을 단면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상기 제시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OSB합판에 수밀성 방수시트를 고정한 후, 고정부에 접착제(141)을 도포하여 고정부를 봉인했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을 이루고 있는 접착제와 동일 또는 상이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를 가접합하여 수밀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수밀성 방수시트에 추가 시트를 부착한 경우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수밀성 방수시트의 상부에 추가 시트(160)를 더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먼저 도 7은 추가 시트(160)가 부착된 수밀성 방수시트의 단면을 나타낸다. 추가 시트는 상기 상부층, 하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투습, 방수성을 갖는 소재라면 직물 또는 부직포 등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가 시트는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의 상부층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부착되며, 상기 상부층에 도포되는 접착제는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을 이루고 있는 접착제와 동일 또는 상이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포방법은 본 발명에서 소개하고 있는 방법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제시한 추가 시트가 부착된 수밀성 방수시트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추가 시트를 부착할 때 임의로 고정 부재(150)를 설치할 부분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고정 부재가 설치될 부분은 상기 수밀성 방수시트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 부분을 고정부(113)로 하여 이 부분에 고정 부재를 박아서 OSB합판과 고정한다. 그 뒤 마찬가지로 접착되지 않은 추가 시트를 덮개부(112)로 하여 고정 부재 위에 덮어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추가 시트를 고정하기 위해 본문에서 소개하고 있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100 : 수밀성 방수시트 110 : 상부시트
111 : 표시선 112 : 덮개부
113 : 고정부 120 : 하부시트
130 : 다공성필름 140 : 접착층
141 : 고정부 접착제 142 : 제 1 접착층
143 : 제 2 접착층 150 : 고정 부재(못)
160 : 추가 시트 200 : 서까래
300 : 지붕 400 : 지지대(지붕아래)
500 : OSB합판 600 : 접착제 전이 장치
610 : 접착제 620 : 접착제 욕조
630 : 그라비아-몰드 640 : 고무압동롤러
641 : 홈, 요철 650 : 스틸롤러
660 : 닥터블레이드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접착제 욕조에 담겨진 접착제를 표면에 홈이 형성된,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에 전이하는 단계;
    회전하는 그라비아-몰드와 그라비아-몰드 위에 위치하며, 가로 10 내지 200mm, 깊이 2 내지 10mm로 음각된 홈을 갖는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다공성필름을 통과시키는 단계;
    고무압동롤러로 상기 다공성필름을 압착하여 다공성필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다공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방법으로, 상기 방수시트는 가장자리 또는 중앙부에 고정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덮개부를 덮음으로써 접착되는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압동롤러 상부에 스틸롤을 회전시켜 상기 고무압동롤러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 표면에 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및 스티렌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미끄럼 방지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밀성 방수시트 제조방법.
KR1020140035080A 2014-03-26 2014-03-26 수밀성 방수시트 KR10161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80A KR101618555B1 (ko) 2014-03-26 2014-03-26 수밀성 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080A KR101618555B1 (ko) 2014-03-26 2014-03-26 수밀성 방수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95A KR20150111595A (ko) 2015-10-06
KR101618555B1 true KR101618555B1 (ko) 2016-05-09

Family

ID=5434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080A KR101618555B1 (ko) 2014-03-26 2014-03-26 수밀성 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742B1 (ko) 2021-01-11 2021-08-04 (주)지닉스 방수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방수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125B1 (ko) * 2016-08-29 2017-02-02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KR101702124B1 (ko) * 2016-08-29 2017-02-02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882A (ja) 2000-03-31 2001-10-10 Nagoya Seiren:Kk 屋根下地材
JP2006328879A (ja) 2005-05-30 2006-12-07 Suminoe Textile Co Ltd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882A (ja) 2000-03-31 2001-10-10 Nagoya Seiren:Kk 屋根下地材
JP2006328879A (ja) 2005-05-30 2006-12-07 Suminoe Textile Co Ltd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742B1 (ko) 2021-01-11 2021-08-04 (주)지닉스 방수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방수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595A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144C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US20060243388A1 (en) Under roof peel and stick tile underlayment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101618555B1 (ko) 수밀성 방수시트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US6869661B1 (en) Flexible radiant barrier
KR102238477B1 (ko) Tpo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조립구조
US20180371759A1 (en) Breathable composite moisture barrier roofing underlayment
KR101702124B1 (ko)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JP2015206224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63792B2 (en) Composite roofing overlay containing paint waste
KR101173410B1 (ko) 복합방수공법 및 그에 의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구조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101434194B1 (ko)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GB2138357A (en) Improvements in adhesive sheets
JPS61176754A (ja) 複合防水工法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KR102245461B1 (ko)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EP2404749B1 (en) Panel structure that is impermeable to gases, particularly for the insulation of buildings
CA2598886C (en) Self-adhering waterproofing membrane
KR101043839B1 (ko)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방법
KR102099044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464981B1 (ko) 아파트 옥상 방수를 위한 메쉬 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도막 일체형 방수공법
US93346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shingles to a 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