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125B1 -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125B1
KR101702125B1 KR1020160109748A KR20160109748A KR101702125B1 KR 101702125 B1 KR101702125 B1 KR 101702125B1 KR 1020160109748 A KR1020160109748 A KR 1020160109748A KR 20160109748 A KR20160109748 A KR 20160109748A KR 101702125 B1 KR101702125 B1 KR 10170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oisture
waterproof sheet
permeabl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연
Original Assignee
유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피씨(주) filed Critical 유피씨(주)
Priority to KR102016010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125B1/ko
Priority to PCT/KR2017/009445 priority patent/WO20180440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HEAT REFLECT,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SHEET DOSE NOT USE FIX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하부층 및 알루미늄코팅층이 형성된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는 열반사, 투습, 방수력이 뛰어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열반사, 투습, 방수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지붕에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 시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의 취급성과 작업수행력을 개선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관한 것이다.
방수시트재는 목조주택에 있어서 방음, 단열 및 방수성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빗물 등을 차단하는 외벽재 또는 지붕재로서 투습, 방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밀폐성이 좋고 옥내에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하여야 하며, 또한 내균성이나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여야 한다.
목조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구조에는 일반적으로 마룻대와 상반사이에서 여러개의 서까래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교차된 상태에서 지지가 됨과 동시에 서까래 위에 OSB 구조용 합판 등을 깔아서 산자판을 구성한다. 지붕방수시트는 기와 틈이나 균열로 인하여 스며드는 빗물이 지붕 안으로 새는 것을 완전히 방수 하는 2차 방수재로서 상기의 상판인 OSB합판에 설치하는 마지막 방수시트재임으로 완벽한 방수가 요구된다. 또한, 지붕의 직사광선에 따른 태양열의 복사열을 반사시켜 열차단효과 또는 집안의 복사열을 반사시켜 단열효과를 가져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방수시트재는 지붕에 사용하는 OSB합판에 부착시키기 위해 주로 햄머, 타카, 스테플러 및 못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는데 스테플러의 침이나 못 등은 방수시트재에 바늘구멍이나 못구멍 등의 틈새가 생겨 방수효과를 현저히 떨어트린다.
종래의 경우, 위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이 제시, 사용되고 있었다. 먼저,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는 고무계의 개량된 아스팔트 방수시트재가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 제품 역시 기존방법과 동일하게 고정부재를 사용해야하는 한계를 드러냈으며, 40~50 ℃정도로 높은 온도가 유지되는 여름철의 지붕에는 제품이 롤링된 상태에서 접착력이 살아나 롤 중에 겹겹이 붙어버려 한겹씩 띄어내면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제품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부분적으로 뜯긴 상태로 OSB합판에 붙여야 하는 문제점들이 도출되었으며, 방수효과가 저하되고, 방수시트를 시공 후 구겨진 상태나 겹쳐진 곳, 뜯겨서 핀홀이 발생한 부분을 수정하기 위한 재시공 시 제품을 띄어내기 어렵고, 제품이 손상되어 모두 재시공 해야 하는 2중으로 비용이 들어가는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되어 시장에서 외면 당해 왔다.
또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방수시트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OSB합판과 방수시트재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60~70°로 경사진 지붕에 설치된 OSB합판의 전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쉽지 않고, 전면 도포된 접착제 끈적임 때문에 경사진 지붕 위의 이동이 불편하여 시공 시 어려움이 있었다. 행여 방수시트를 잘못 설치하게 되면 재시공이 불가능하여 종래의 방법보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졌다. 또한, 상기 제품은 방수기능에만 목적을 가졌을 뿐, 투습 또는 열반사기능에 대해서는 기능이 떨어져 수분에 결로현상 제어가 불가능하고, 여름철의 태양 복사열에 의한 에너지관리에도 대책이 없었다.
또한, 방수시트재의 한면에 접착제를 전면 도포하면서 박리지 또는 이형지를 삽입하여 롤상태로 감아서 보관하였다가, 필요시에 방수시트재로 사용 할 때 박리지 또는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사용하는 제품이 소개되었다. 이는 지붕에서 작업할 때 박리지 또는 이형지를 벗겨가면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벗겨진 박리지 또는 이형지는 작업자 발밑 앞에서 쌓여져 작업에 방해되고, 특히, 박리지 또는 이형지에는 매우 미끄러운 실리콘이형제가 전면에 코팅되어 잘못 밟을 경우,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특히, 박리지는 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 이중 부담이 되어 시장의 외면을 받아왔다.
또한, 종래의 제품 중에서 방수시트를 OSB합판에 고정시킨 후에 못주변의 틈새를 막기 위해 고정시킨 부분에 방수시트를 겹쳐서 시공하는 제품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체적인 소요량보다 실제 사용량이 많게 되어 비경제적인면이 지적되어왔다.
이외에 종래의 방법인 방수시트재를 아스팔트, 고무 등으로 침적시켜 방수성을 향상시킨 타르계 방수시트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르계 방수시트는 타르의 침적으로 인하여 두께가 2~5㎜가 됨으로 롤제품의 중량도 무겁기 때문에 혼자서 다루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지붕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취급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타르계의 개량 아스팔트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제품 역시 방수기능에만 목표를 하고 열반사 및 투습기능에는 효과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틈새에 따른 방수효과 저하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하부층 및 알루미늄코팅층이 형성된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는 열반사, 투습, 방수력이 뛰어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알루미늄코팅층이 형성된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복사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보온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시공 시 작업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인 시공을 할 수 있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서,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분말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점착면과 이형면은 각각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양면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길이 1 m당 일면에 n개의 점착면을 포함하며, 타면에 n개의 이형면을 포함하고,
제 i점착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제 i+j이형면과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n은 3 내지 2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i는 1≤i≤(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1
)을 만족하는 정수이며, 상기 L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m 단위의 길이를 의미하고 1 내지 50에서 선택되는 유리수이며, 상기 j는 2 내지 4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3≤i+j≤(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2
)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상기 점착면 간의 이격거리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표면요철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단 또는 양단의 두께가 투습방수시트 중앙부의 두께의 40 내지 6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이형면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 사이에 프라이머제가 도포된 프라이머처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평균입경 1 내지 20㎛일 수 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측에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 양태에 따라 이형면에 부착 될 점착면을 기점으로 형성되는 곡률반경이 r일 때, 점착면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의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3
위치에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또는 직물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섬유 및 레이온계 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를 스펀본드, 열융착, 바이컴퍼넌트,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건식적층 및 케미칼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요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초산비닐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아세탈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비닐계, 페놀-크로로프렌, 에폭시화 니트릴 고무계, 녹말, 아교, 라텍스, 송진 및 셀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층, 하부층 및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각각 산화방지제 0.05 내지 1중량부, 자외선안정제가 0.1 내지 10 중량부 및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이 1 내지 10 중량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A)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알루미늄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D) 상기 상부층에 핫멜트 어플리케이터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하부층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그라비어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하부층에 프라이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무압동롤러 및 상기 그라비어동판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은 가로 5 내지 100 ㎜, 깊이 30 내지 300 ㎛로 음각된 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동판 또는 고무압동롤러 상부에 스틸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고무압동롤러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a) 상기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측 말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상기 지붕용 기재에 전부 부착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형성된 양면테이프로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햄머, 타카, 스테플러 및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지붕이나 벽체에 부착할 수 있어 고정부재 사용에 따른 바늘구멍 및 침구멍과 같은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높은 수밀성을 가져 더욱 우수한 투습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알루미늄 코팅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층을 포함하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복사열을 차단함과 동시에 보온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형지와 같은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고, 부분적인 복수의 점착면과 이형면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고, 롤링 보관 시 점착면과 이형면의 결합이 가능한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 시공 시 작업자들의 시공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제품이 가벼워서 취급성이 좋아 작업의 효율성 향상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라비어코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OSB합판에 설치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OSB합판에 설치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 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점착면이 상부층에 형성되면 이와 똑같은 위치의 하부층에 이형면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열반사통기성필름”또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 또는 알루미늄코팅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과 동일한 필름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서,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분말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부터 순서대로 첫 번째 층은 부직포 또는 직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층(200), 두 번째 층은 제 1 접착층(300), 세 번째 층은 통기성필름으로 구성된 열반사통기성필름층(400)이며, 네 번째 층은 제 2 접착층(500), 다섯 번째 층은 상기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하부층(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인 상부층(200) 상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100)이 형성되고,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인 하부층(600) 상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700)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700)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100)과 이형면(700)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200)에 점착면(100)이 형성되고, 하부층(600)에 이형면(700)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부층(200)에 이형면(700)이 형성되고, 하부층(600)에 점착면(100)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이 얻고자 하는 목적 내에서 자유롭게 가감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라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인 상부층(200) 상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100)이 형성되고,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인 하부층(600) 상에 프라이머제로 프라이머처리면(800)이 형성되고, 프라이머처리면(800) 상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700)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700)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100)과 이형면(700)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양면에 각각 점착면과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완제품으로 롤상태로 감아 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이형지 또는 박리지 없이도 열반사투습방수시트 간에 달라붙거나 찢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를 사용함에 따른 스테플러의 침이나 못 등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바늘구멍이나 못구멍 등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수밀성을 보여 투습방수효과가 우수하고, 복사열 차단으로 단열 및 보온효과 또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고정부재 없이도 지붕에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 및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은 부직포 또는 직물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진 것으로,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은 서로 동일한 재질 또는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 또는 직물은 통기성, 방수성을 갖는 것이 좋다.
상기 부직포 또는 직물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섬유 및 레이온계 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를 스펀본드, 열융착, 바이컴퍼넌트,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건식적층 및 케미칼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물의 경우는 쳔연섬유, 합성섬유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부직포의 경우는 폴리에틸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에스터스펀본드부직포, 폴리에스터스펀본드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가 결합된 바이컴포넌트부직포, 폴리에스터스펀본드부직포와 폴리에틸렌스펀본드부직포가 결합된 바이컴포넌트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와 폴리에틸렌스펀본드부직포가 결합된 바이컴포넌트부직포, 써멀본드부직포, 레이온계 부직포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직포 또는 직물은 내구성 및 경량화를 위하여 평량 35 내지 100 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층은 요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초산비닐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아세탈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비닐계, 페놀-크로로프렌, 에폭시화 니트릴 고무계, 녹말, 아교, 라텍스, 송진 및 셀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및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고무 또는 폴리아마이드계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핫멜트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분경화형인 1액형 또는 2액형의 에스터타입의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상부층 및 하부층과 열반사통기성필름층간의 접착이 용이하고, 통기성을 가져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투습성, 통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도가 200 내지 3,000 cps/25℃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접착층은 충분한 접착력 및 통기성을 위하여 평량 50 내지 100 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층은 상부층 및 하부층과 열반사통기성필름층 간의 접착을 위한 것으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부 구성 등을 교체가 원할할 수 있도록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의 양면에 형성된 제 1접착층 및 제 2접착층은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열반통기성필름층의 통기성필름은 투습, 방수, 방풍성을 갖는 유기계 필름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의 통기성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올레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을 한 공중합체 및 폴리부텐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필름을 형성하는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190 ℃에서 2.16 ㎏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지수(MI)가 1 내지 30 g/10min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통기성을 유지하는 용도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필름은 연신된 통기성필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원판 시트를 성형하게 되고,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션 성형, T-다이에 의한 압출 성형 및 공압출다층필름압출 성형 등을 적절히 채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원판 시트는 1.2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배로 1축 연신하는 것이 충분한 통기성을 얻고, 연신 중 파단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필름은 쉽게 찢어지지 않고, 투습, 방수능력 및 통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량 10 내지 100 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습도가 3,000 내지 20,000 g/㎡·24hr인 더 바람직하게는 투습도가 6,000 내지 12,000 g/㎡·24hr인 통기성필름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하다.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분말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코팅층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높은 열반사율과 낮은 열방사율로 인하여 외부의 태양열복사열을 반사시켜 지붕이나 외벽에 열축적을 방지함으로써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절감시켜주고, 결로현상 등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고, 실내의 열이 외부로 나가는 것 또한 차단하거나 반사시켜 보온 및 단열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통기성필름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외부의 복사열을 차단하고, 내부의 열 또한 반사하여 단열 및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따라 알루미늄코팅층이 통기성필름의 일면에 형성될 경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이형면이 형성되는 타면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외부의 강한 태양복사열을 반사시키고, 열을 차단하여 에너지관리에 보다 효율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보온효과를 증진시키고, 우수한 통기성 및 열반사율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하여 그리비어코터를 통하여 코팅 또는 증착하여 알루미늄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열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평량 1 내지 80 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g/㎡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코팅층은 알루미늄분말과 용매를 포함하는 알루미늄용액을 도포 또는 코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알루미늄분말 및 용매 등으로 구성된 알루미늄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알루미늄분말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톨루엔,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헥산, 벤젠, 크실렌, 부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알루미늄용액 전체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용액 전체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통기성필름에 코팅 시 통기성필름 표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는 32 내지 50dyne로 처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8 dyne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평균입경 1 내지 2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평균입경을 가질 경우 코팅 후 알루미늄분말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투습도 및 열 반사율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휘도를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부층 및 하부층이 형성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투습, 방수성, 경량성 및 통기성을 위하여 전체 평량 50 내지 300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점착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면에 점착면이 전면으로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점착면으로 부분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는 전면에 도포되는 것보다 높은 투습도를 유지 할 수 있고, 경제적이며, 시공 시 전면을 뜯어 재시공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면을 형성함으로써 지붕재 또는 벽체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고정하는 햄머, 타카, 스테플러 및 못 등의 고정 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고정부재 사용으로 발생하는 틈새에 따른 누수를 방지하여 더욱 우수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핫멜트형 점착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러버계 등에서 선택되는 핫멜트 점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등의 폴리올레핀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점착제는 주로 봄에 시작하여 늦가을까지 이어지는 주택공사 시, 0 내지 5°C에서도 초기접착력이 좋고, 파단점 접착력이 발휘되며, 가격경쟁력이 크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점착면의 두께는 10 내지 300 ㎛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께로 도포될 경우 충분한 점착력을 발휘하여 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부층에 이형제의 코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상기 이형면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 사이에 프라이머제가 도포된 프라이머처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프라이머제는 폴리비닐알콜계(PVA) 또는 비닐아크릴계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제는 그라비어코터를 사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처리면은 평량 1 내지 10g/m²,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g/㎡,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g/㎡ 일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형제는 왁스계 또는 실리콘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왁스계 이형제는 파라핀 왁스 및 그 유도체, 몬탄 왁스 및 그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그 유도체, 피셔트롭쉬 왁스 및 그 유도체, 폴리올레핀 왁스 및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유도체란, 산화물, 비닐 모노머와의 중합체, 그래프트 변성물을 포함한다. 이 밖에, 알코올, 지방산, 식물계 왁스, 동물계 왁스, 광물계 왁스, 에스테르 왁스, 산아미드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이형제로는, 부가 반응형 실리콘, 축합 반응형 실리콘, 에너지선 경화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무관능의 폴리디메틸실록산, 페닐 변성 실리콘, 실리콘 레진, 실리카,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이형제로 용제형, 무용제형, 에멀션형 및 자외선경화형 등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이형제는 코팅한 후에 드라이어챔버를 통과시면서 가열하여 실리콘이형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형제는 점착제로부터 점착영향을 받지 않는 실리콘이형제일 수 있다.
상기 이형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이형면의 두께는 10 내지 300 ㎛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두께로 도포될 경우 이형면과 점착면 사이에서 균일한 이형 성능을 얻기 쉽고, 또, 롤상으로 권취하였을 때에 접촉하는 점착면 간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양면에 각각 점착면과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점착면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틈새, 구멍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롤링하여 보관할 때 점착면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점착면에 의해 열반사투습방수시트가 달라붙거나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롤상태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풀어서 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박리지 또는 이형지를 사용하지 않아 쓰레기가 발생하여 작업자의 작업공간에 방해가 없어 좋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점착면과 이형면은 각각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양면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길이 1 m당 일면에 n개의 점착면을 포함하며, 타면에 n개의 이형면을 포함하고,
제 i점착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제 i+j이형면과 결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면,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하여 보관 시에 제 i점착면은 타면의 제 i+j이형면과 결합하여 점착면을 보호하고,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사용 시 롤을 원활히 풀어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n은 3 내지 2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i는 1≤i≤(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4
)을 만족하는 정수이며, 상기 L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m 단위의 길이를 의미하고 1 내지 50에서 선택되는 유리수이며, 상기 j는 2 내지 4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3≤i+j≤(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5
)을 만족한다.)
상기 점착면은 길이 1 m당 3 내지 20개의 점착면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점착면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수로 점착면이 형성되면 시공 시 비바람, 폭풍우와 같은 기상악조건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면은 일 양태에 따라 제품이 일측에서 롤링되는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라인형태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면의 라인 폭은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형면은 일 양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하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에 점착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예를 들어 점착면보다 1 내지 3 ㎝ 넓은 라인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이형면이 점착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 롤링 시 점착면이 이형면과 겹합되었을 때, 점착면을 이형면이 모두 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프라이머처리면은 일 양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예를 들어 점착면보다 1 내지 3 ㎝ 넓은 라인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처리면이 이형면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면, 이형제 형성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면은 일 양태에 따라 제품이 일측에서 롤링되는 길이방향으로 라인형태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형면은 서로 대응하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면과 이형면은 라인형태, 끊어진 라인형태, 도트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내구성 및 지붕용 기재와의 충분한 점착을 위하여 라인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상기 점착면 간의 이격거리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점착면 간의 이격거리가 상이할 경우에도 간격이 반복되는 형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 1점착면과 제 2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20㎝이고, 제 2점착면과 제 3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30㎝로 순차적으로 20, 30, 20, 30㎝…로 반복되면, 제 1점착면이 롤링 시 제 3이형면과 부착하여 이후의 점착면과 이형면이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일예로, 제 1점착면과 제 2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20㎝이고, 제 2점착면과 제 3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30㎝, 제 3점착면과 제 4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40㎝로 순차적으로 20, 30, 40, 20, 30, 40㎝…으로 반복되면, 제 1점착면이 롤링 시 제 4이형면과 부착하여 이후의 점착면과 이형면이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일예로, 제 1점착면과 제 2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20㎝이고, 제 2점착면과 제 3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30㎝, 제 3점착면과 제 4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40㎝, 제 4점착면과 제 5점착면 사이의 간격이 10㎝로 순차적으로 20, 30, 40, 10, 20, 30㎝…로 반복되면, 제 1점착면이 롤링 시 제 5이형면과 부착하여 이후의 점착면과 이형면이 연속적으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이 형성되지 않으면,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연결 시공 시에 이형면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 바로 점착면이 점착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표면요철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표면요철구조를 가질 경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연결 시공 시에 점착면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더욱 단단하게 점착되어 비바람, 폭풍우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포함하지 않는 타면에 표면요철구조를 가질 경우 더욱 넓은 접촉면적을 가져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단 또는 양단의 두께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중앙부 두께의 40 내지 60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단 또는 양단의 두께가 상기와 같을 경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연결 시공 시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 간의 이음부분의 굴곡이 형성되지 않게 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고, 방수시트 위에 시공되는 재료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가 균일한 기재로서 제공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를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양단에 이음매부위에 부착하여 점착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나 길이부족에 따른 이음매의 틈새로 인한 누수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높은 수밀성으로 투습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측에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 양태에 따라 이형면에 부착 될 점착면을 기점으로 형성되는 곡률반경이 r일 때, 점착면으로부터 타측방향으로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의
Figure 112016083591412-pat00006
위치에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점착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하여 보관 시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어 점착면과 이형면이 결합하여 점착면을 보호하고,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사용 시 롤을 원활히 풀어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습방수시트의 상기 상부층, 하부층 및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각각 일 양태에 따라 산화방지제 0.05 내지 1중량부, 자외선안정제가 0.1 내지 10 중량부 및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이 1 내지 10 중량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및 광촉매를 포함하면 태양빛, 공기, 비, 바람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보호하여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내의 내열성을 증대시키고, 기계적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상부층, 하부층 및 통기성필름층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05 내지 1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1차, 2차 산화방지제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페놀계로서 황함유페놀, 비스페놀, 폴리페놀 등과 방향족아민계, 포스페이트계, 유황에스테르계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Tris(nonyl phenyl)phosphat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목조주택의 공사기간 중에 태양빛에 노출되는 기간이 6 내지 8개월로 장기간으로, 내구성 향상 및 충분한 물성유지를 위하여 상기 각각의 상부층, 하부층 및 열반사통기성필름층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안정제 0.1 내지 10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안정제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벤조페놀계, 벤조트리아졸계, 실리실레이트계, 시아노아크릴계, 사닐라이드계, hindered amine(HALS)계, 금속착염계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Ti02, HALS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내의 오염물질과 세균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상부층, 하부층 및 열반사통기성필름층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산화티타늄 1 내지 10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아나타제와 루타일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나타제가 내후성과 은폐력 그리고 백색휘도가 좋아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목적에 적합한 이산화티타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통기성을 위하여 무기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휨강도, 탄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기성필름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충전제 50 내지 4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충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클레이 활석, 탈크, 황산바륨,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의 평균입경은 투습도, 통기성 및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하여 0.5 내지 30 ㎛,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5.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A)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알루미늄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D) 상기 상부층에 핫멜트 어플리케이터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하부층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일 양태에 따라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그라비어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하부층에 프라이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은
A)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알루미늄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D) 상기 상부층에 핫멜트 어플리케이터로 점착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그라비어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하부층에 프라이머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F) 상기 하부층에 도포된 프라미머제 상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용융 혼련한 후 압출기 호퍼에 투입하여 압출가공에 의한 통상의 필름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준하여 원판 시트를 성형하게 되고, 원형 다이에 의한 인플레이션 성형, T-다이에 의한 압출 성형 및 공압출성형 등으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법에 의거 성형된 원판 시트는 1.2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배로 1축 연신하는 것이 충분한 통기성을 얻고, 연신 중 파단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필름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통기성 필름에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알루미늄분말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용액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코터의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용액탱크에 담긴 알루미늄용액을 통기성필름에 일면 또는 양면에 전이시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은 열반사로 인하여 외부의 태양열복사열을 반사시켜 지붕이나 외벽에 열축적을 방지함으로써 여름철 냉방에너지를 절감시켜주고, 결로현상 등을 방지하여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겨울철에는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고, 실내의 열이 외부로 나가는 것 또한 차단하거나 반사시켜 보온 및 단열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알루미늄용액 전체 함량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용액 전체 함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통기성필름에 코팅 시 통기성필름 표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는 32 내지 50dyne로 처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 dyne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에 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코터의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용액탱크에 담긴 접착제를 통기성필름에 일면 또는 양면에 전이시켜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필름에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의 상부층과 하부층을 합지하여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층과 하부층은 드라이-라미네이션 장치에서 공급되어지며, 상부층과 하부층 모두 부착한 후에 20 내지 80℃에서 열풍 또는 가열에 의해 용매를 증발, 건조시키고, 100 내지 200℃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한 후, 가압하여 완전히 접착시킨다. 그 후에 일정한 길이로 감아놓은 상태에서 약 48 내지 96시간 동안 40℃ 이상의 온도와 50% 이상의 습도가 유지되는 숙성실에서 숙성을 하여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상부층에 점착면을 형성하기 전에 상부층 표면과 점착제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는 32 내지 50dyne로 처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8 dyne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부층에 이형면을 형성하기 전에 하부층 표면과 이형제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는 32 내지 50dyne로 처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8 내지 42 dyne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부층에 이형제를 코팅 후 건조챔버장치, 또는 UV Curing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라 상기 하부층에 상기 프라이머제를 코팅한 후에 프라이머처리면 상에 이형제를 코팅 후 건조챔버장치, 또는 UV Curing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된 하부층 상에 상기 프라이머제를 코팅한 후에 프라이머처리면 상에 이형제를 코팅 후 건조챔버장치, 또는 UV Curing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일 양태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압동롤러(20) 상부에 스틸롤러(10)를 회전시켜 상기 고무압동롤러(20)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접착제를 전이시킬 때 접착도포 폭이 넓을수록, 접착제 전이된 양이 달라짐에 따라 좌우측, 및 중앙측 부위의 접착력 불균일 현상이 야기되는데, 이러한 문제는 그라비어동판(30)의 부식된 홈을 눌러주는 고무압동롤러(20)를 통하여 전폭을 고르게 눌러줄 수 있다. 그러나 고무압동롤러(20)의 에어샤프트가 좌,우측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가운데 부분이 미세하게 뜨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그라비어동판(30)과 고무압동롤러(20)를 갖는 그라비어코터장치의 구조에서 그라비어동판(30)과 고무압동롤러에 크롬도금된 보조 스틸롤러(10)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접착제가 보다 전폭에 걸쳐서 고르게 도포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그라비어동판 및 고무압동롤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일 양태에 따라 가로 5 내지 100 ㎜, 깊이 30 내지 300 ㎛로 음각된 홈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라비어동판에 원하는 양의 접착제가 전이되면 회전하는 그라비어동판과 그라비어동판 상에 위치하는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상기 상부층 및 하부층이 형성된 열반사통기성필름을 통과시킨다. 이때 그라비어동판 및 고무압동롤러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에는 상기 점착면, 이형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음각의 홈이 파여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고무압동롤러로 압착하게 되면 요철이 형성되는 부분은 고무압동롤러의 압력에 의해 점착제 또는 이형제가 전이되지 않은 상태로 통과하게 된다. 반면에 홈이 형성되는 부분은 점착제 또는 이형제가 상부층 또는 하부층에 전이되어 복수의 점착면 또는 이형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음각의 홈은 상기 그라비어동판 또는 고무압동롤러에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각된 홈은 레어저 조각 또는 훼리오조각으로 조각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a) 상기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측 말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상기 지붕용 기재에 전부 부착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에 따라 상기 a)단계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형성된 양면테이프(900)로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양면테이프(900)를 부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양면테이프(900)를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양단에 이음매부위에 부착하여 점착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나 길이부족에 따른 이음매의 틈새로 인한 누수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 높은 수밀성으로 투습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시공 시 말단의 양면테이프(900)로 고정한 후 손쉽게 롤링된 또는 평면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지붕용 기재에 부착하여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 지붕용 기재는 지붕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할 수 있는 기재역할을 해주는 것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목조주택의 OSB합판(1000)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하는 것으로 지붕용 기재는 OSB합판(1000)일 수 있다.
상기한 바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사용하면, 열반사성, 투습성, 방수성이 우수하고, 시공 시에 작업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물성측정방법]
1) 투습도 측정방법(WVTR);ASTM E 96, (38±1)℃,(90±2)%, CaCl법:g/㎡/h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험체는 양변에서 전폭의 1/10 T씩 양끝에서 1 m 이상 떨어진 곳과 양끝에서 50 ㎝이상, 변이 있는 것은 10 ㎝이상 떨어진 곳에서 원형의 시험편 3 편을 채취하여 온도 37.8 ± 2 ℃, 습도 90 ± 5 %RH 조건의 항온항습장치에 넣고 2시간 후 시험체를 꺼내 무게 A1(㎎)측정하고, 다시 항온항습장치에 넣고 2 시간 후에 시험체를 꺼내어 무게 A2(㎎) 측정하여 투습도를 측정하였다.
2)반사율 측정방법
UV-Vis-NIR 스펙트럼 측정 장치(Shimadzu, Solidspec-3700)를 이용하여 250 내지 2500nm 범위의 1nm 구간 폭으로 광학 스펙트럼을 측정한 후, 결과 값을 KS L 2514 기준에 의거하여 반사율을 계산하였다.
3) 방사율 측정방법
원적외선 분광 측정장치인 FT-IR (Frontier, Perkin Elmer사)를 이용하여 원적외선 반사율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KS 2514 규격에 맞게 원적외선 평균 반사율을 산출한 후, 100%-(원적외선 평균반사율)의 수식으로 방사율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H7700, LG화학 社) 100중량부에 자외선안정제(Chimassorb 944, HALS계, BASF사) 0.6 중량부와 산화방지제(Irganox®B225 ,BASF사)0.5중량부를 혼합한 필라멘트 섬유를 방사하여 평량이 60 g/㎡로 되도록 연속 이동하는 벨트 상에 다층 웹으로 적층하여 열접착 시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케미칼, HANWHA LDPE 955, 밀도:0.913g/㎤)1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폴리미래, XP9400, 용융지수3.7g/10min, 밀도:0.919g/㎤)20중량부, 메탈로센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폴리미래, XP9500, 용융지수3.7g/10min, 밀도0.935g/㎤)20중량부, 그리고 탄산칼슘(야바시라임코리아, YK-1C, 평균입경1.7㎛)50중량부 100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안정제(Chimassorb 944, HALS계, BASF사) 0.6 중량부와 산화방지제(이가녹스225, BASF사)0.5중량부, 그리고 광촉매효능을 위하여 이산화티타늄(Dupont社, TiO2, Rutile계)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용융하였다.
필름압출기에서 T-다이 압출한 후, 연신온도 70℃에서 2.5배로 1축 연신하여 평량 30 g/㎡인 통기성필름을 형성하였다.
상기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그라비어 롤 코팅 방법으로 알루미늄분말(HKK Solution,co-nano-20,)을 용매인 미성화학, AL300에 분산시킨 용액을 도포하여 열반사통기성필름(평량:32 g/㎡)을 형성하였다.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의 양면에 그라비어 롤 코팅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접착제(삼호화성, SPU-7835)를 도포하여 상기 제조된 부직포를 열반사통기성필름의 양면에 적층 합지하여 열반사투습방수시트(평량:162g/㎡)을 형성하였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핫멜트점착제(APAO계, Henkel사, 테크노멜트 DM5441 )로 핫멜트 어플리케이터로 복수의 점착면을 형성하였다. 이에 서로 대응하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에 음각이 형성된 그라비어동판 또는 고무압동롤러를 갖는 그라비어코터 장치로 그라비어 롤 코팅 방법으로 점착면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프라이머제인 폴리비닐알콜(PVA, 워솔社,W4500)을 코팅하고 그 위에 실리콘이형제로 이형면을 형성하여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작하였으며, 전체 평량은 192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5,000 g/㎡·24hrs, 반사율 78.5%, 방사율 3.04%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체 평량은 190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5,100 g/㎡·24hrs, 반사율 78.6%, 방사율 3.01%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형성하지 않은 부분을 격자무늬를 갖는 프레스를 통하여 요철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체 평량은 189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4,900 g/㎡·24hrs, 반사율 77.9%, 방사율 3.06%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단 또는 양단의 두께를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중앙부의 두께의 40 %로 라미네이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체 평량은 185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5,050 g/㎡·24hrs, 반사율 79.1%, 방사율 2.99%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이형면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체 평량은 170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4,800 g/㎡·24hrs, 반사율 76.5%, 방사율 3.44%였다. 하지만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보관 시 이형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열반사투습방수시트간의 접착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에서 점착면을 전면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전체 평량은 171 g/㎡이었다. 그 결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ASTM E 96, 염화칼슘법에 의거한 투습도가 4,860 g/㎡·24hrs, 반사율 77.1%, 방사율 3.24%였다. 하지만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보관 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이형면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간의 접착에 따른 손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율, 투습, 방수성이 우수하고, 낮은 방사율을 가지며, 부피 및 두께가 작고 가벼워서 작업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복수의 점착면이 형성되고, 타면에 이형제가 도포된 복수의 이형면이 형성되며, 상기 이형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점착면과 이형면이 서로 대응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것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사용함으로써 못이나 침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지붕이나 벽체에 부착할 수 있고, 고정부재에 따른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높은 수밀성을 가져 더욱 우수한 투습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형지와 같은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고, 점착면과 이형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 시공 시 작업자들의 시공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제품이 가벼워서 취급성이 좋아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실시예 3의 경우 표면의 요철로 인하여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연결 시공 시 접촉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단단하게 시공되는 장점이 있었다. 실시예 4의 경우 두께의 차이에 따라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연결 시공 시 이음부분의 굴곡이 발생하지 않아 균일하게 시공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점착면 200 : 상부층 300 : 제 1접착층 
400:열반사통기성필름층 500 : 제 2접착층 600 : 하부층
700 : 이형제면 800 : 프라이머처리면 900 : 양면테이프
1000 : OSB합판
10 : 스틸롤러 20 : 고무압동롤러 30 : 그라비어동판
40 : 용액탱크 50 : 각반롤러 60 : 열반사 투습방수시트
A1 내지 A6 : 점착면코팅라인 R1 내지 R6 : 이형제코팅라인
P1 내지 P6 : 프라이머처리라인

Claims (20)

  1. 부직포 또는 직물로 이루어진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상부층과 동일 또는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로서,
    상기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통기성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분말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코팅층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길이 1 m당 일면에 n개의 점착면을 포함하며, 타면에 n개의 이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면과 이형면은 각각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양면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 i점착면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제 i+j이형면과 결합하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상기 n은 3 내지 2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i는 1≤i≤(
    Figure 112016119178323-pat00016
    )을 만족하는 정수이며, 상기 L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m 단위의 길이를 의미하고, 1 내지 50에서 선택되는 유리수이며, 상기 j는 2 내지 4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3≤i+j≤(
    Figure 112016119178323-pat00017
    )을 만족한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면 간의 이격거리는 동일 또는 상이한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이형면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표면요철구조를 갖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상부층,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층을 포함하는 열반사통기성필름층, 하부층 순으로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일단 또는 양단의 두께가 상기 적층된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정중앙의 두께의 40 내지 60 %인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면과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사이에 프라이머제가 도포된 프라이머처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분말은 평균입경 1 내지 20㎛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한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또는 직물은 천연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섬유 및 레이온계 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섬유를 스펀본드, 열융착, 바이컴퍼넌트, 스펀레이스, 멜트블로운, 건식적층 및 케미칼본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요소계, 멜라민계, 페놀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레졸시놀계, 초산비닐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염화비닐계,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아세탈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틸렌계, 부타디엔고무계, 니트릴고무계, 부틸고무계, 실리콘고무계, 클로로프렌고무계, 비닐계, 페놀-크로로프렌, 에폭시화 니트릴 고무계, 녹말, 아교, 라텍스, 송진 및 셀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성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 하부층 및 열반사통기성필름층은 각각 산화방지제 0.05 내지 1중량부, 자외선안정제가 0.1 내지 10 중량부 및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이 1 내지 10 중량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되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15. A)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알루미늄용액을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알루미늄용액이 코팅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통기성필름에 상부층과 하부층을 접착하는 단계;
    D) 상기 상부층에 핫멜트 어플리케이터로 1 m당 n개의 점착면이 형성되도록 점착제를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가로 5 내지 100 ㎜, 깊이 30 내지 300 ㎛로 음각된 홈을 갖는 그라비어 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점착면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1 m당 n개의 이형면이 형성되도록 하부층에 이형제를 도포하여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에 형성된 제 i점착면을 열반사투습방수시트 타면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롤링 시 제 i+j이형면과 결합하도록 롤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제조방법.
    (상기 n은 3 내지 20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상기 i는 1≤i≤(
    Figure 112016119178323-pat00018
    )을 만족하는 정수이며, 상기 L은 열반사투습방수시트의 m 단위의 길이를 의미하고, 1 내지 50에서 선택되는 유리수이며, 상기 j는 2 내지 4에서 선택되는 정수이고, 3≤i+j≤(
    Figure 112016119178323-pat00019
    )을 만족한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그라비어동판과 고무압동롤러 사이로 하부층이 형성된 통기성필름을 통과시켜 하부층에 프라이머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비어동판 또는 고무압동롤러 상부에 스틸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고무압동롤러를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제조방법.
  18. 삭제
  19.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시공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a) 제 1항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지붕용 기재 상에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일측 말단을 고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열반사투습방수시트를 상기 지붕용 기재에 전부 부착하는 단계;
    를 거쳐서 시공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시공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열반사투습방수시트는 일면의 양단에 형성된 양면테이프로 고정하는 것인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20160109748A 2016-08-29 2016-08-29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KR10170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48A KR101702125B1 (ko) 2016-08-29 2016-08-29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PCT/KR2017/009445 WO2018044049A1 (ko) 2016-08-29 2017-08-29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748A KR101702125B1 (ko) 2016-08-29 2016-08-29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125B1 true KR101702125B1 (ko) 2017-02-02

Family

ID=5815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748A KR101702125B1 (ko) 2016-08-29 2016-08-29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02125B1 (ko)
WO (1) WO201804404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49A1 (ko) * 2016-08-29 2018-03-08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WO2018044050A1 (ko) * 2016-08-29 2018-03-08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N111417521A (zh) * 2017-11-02 2020-07-14 3M创新有限公司 用于辊表面的共挤出带状物背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4592B (zh) * 2019-10-25 2021-04-11 大陸商北京集創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散熱元件及半導體封裝件
CN111005575A (zh) * 2019-12-23 2020-04-14 深圳市卓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粘防水卷材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506A (ja) * 2003-08-19 2005-03-10 Yagi Mokuzai Sangyo Kk 輻射熱反射機能付き透湿防水シート
KR100860750B1 (ko) * 2008-04-23 2008-09-29 (주) 에프앤티코리아 방수층 보호재 제조방법 및 장치
JP4634787B2 (ja) * 2004-12-13 2011-02-16 株式会社鈴鋼製作所 防水シート
KR20150111595A (ko) * 2014-03-26 2015-10-06 황창연 수밀성 방수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977B1 (ko) * 2008-01-16 2010-04-29 송정환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02125B1 (ko) * 2016-08-29 2017-02-02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506A (ja) * 2003-08-19 2005-03-10 Yagi Mokuzai Sangyo Kk 輻射熱反射機能付き透湿防水シート
JP4634787B2 (ja) * 2004-12-13 2011-02-16 株式会社鈴鋼製作所 防水シート
KR100860750B1 (ko) * 2008-04-23 2008-09-29 (주) 에프앤티코리아 방수층 보호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50111595A (ko) * 2014-03-26 2015-10-06 황창연 수밀성 방수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49A1 (ko) * 2016-08-29 2018-03-08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WO2018044050A1 (ko) * 2016-08-29 2018-03-08 유피씨(주)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CN111417521A (zh) * 2017-11-02 2020-07-14 3M创新有限公司 用于辊表面的共挤出带状物背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49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125B1 (ko)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열반사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US7786028B2 (en) Nonwoven polymeric fiber mat composites and method
US20080248257A1 (en) Highly reflective and highly emissive film laminate
KR101702124B1 (ko)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투습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시공방법
US20170306628A1 (en) Cover Laminate or Cover Layer System
US20040009319A1 (en) Highly reflective and highly emissive modified bituminous roofing membranes and shingles
US7977259B2 (en) Roofing underlay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100134800A (ko) 접착 테이프
MX2008002466A (es) Sistema de cubierta resistente a incendios.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US20040127120A1 (en) High strength polymeric composite laminate for use as a roofing underlayment
JP5934096B2 (ja) 屋根下地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A2982177C (en) Building multilayer underlayments, related building assemblies and methods
JP5326496B2 (ja) 遮熱性防水シート
EP3368270B1 (en) Self-adhering underlayment sheets to form waterproofing joints, related building assemblies and uses
US20230265660A1 (en) Roofing Systems With Improved Wind Performance of Roofing Tiles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reof
JP6411760B2 (ja) 建築下地用防水シート
US20130255851A1 (en) Material for coating waterpproofing surfaces and method of coating waterproofing surfaces
US20150133015A1 (en) Coating material
CN107075318B (zh) 用于对uv敏感的压敏粘合剂的半透明隔离薄膜
JP2004003225A (ja) 建材用透湿防水粘着テープ
US11549037B2 (en) Double pass process of making a self adhering roofing membrane with improved adhesion at lower installation temperature
US11913233B2 (en) Adhering single ply membrane to a roof deck with a hot melt 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pplied to a release liner or transfer film
US20240182753A1 (en) Membranes with water-activated binding elements
JP2002220900A (ja) 屋根下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