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194B1 -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194B1
KR101434194B1 KR1020130081350A KR20130081350A KR101434194B1 KR 101434194 B1 KR101434194 B1 KR 101434194B1 KR 1020130081350 A KR1020130081350 A KR 1020130081350A KR 20130081350 A KR20130081350 A KR 20130081350A KR 101434194 B1 KR101434194 B1 KR 10143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re
tex
adhesive
building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주) 선안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안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 선안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3008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해 건축구조물의 방수와 습도조절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건축구조물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 정리단계;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를 부착하는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인 고어텍스 섬유의 절단면 사이의 건축구조물 표면에 부틸 테이프를 부착하고, 부착된 부틸 테이프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의 절단면인 이음부를 부착시킨 뒤 가압하고, 다시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 외부에 부틸 테이프를 부착한 후 가압하는 절단면 밀폐단계; 및 내부에 가열장치가 구비된 가압용 롤러로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에 부착된 부틸 테이프를 용융시키면서 가압하는 용융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으로 실현 가능하며, 기존의 방수공법이 방수면을 기준으로 수분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방수면을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해 구성하므로 액체상태의 수분의 이동은 차단하고 기체상태의 수분의 이동은 허용하므로 벽체가 기존보다 더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WATERPROOFING USING GORETEX}
본 발명은 통기성 소재인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해 외부에서 건축구조물로 침입하는 액체상태인 우수와 지하수 등은 통과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건축구조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는 통과하게 하여 건축구조물의 방수와 습도조절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장기적으로 건축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에는 외부의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를 시공한다. 특히, 건축구조물 중 지하의 외부에는 상시 존재하는 지하수나 우수 등에 의해 지하수면이 상승하였을 경우를 고려하여 방수면을 기준으로 수분이 이동되는 것이 완전 차단되는 방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1234723호를 들 수 있다.
건축구조물의 지상부분에 시공되는 방수도 기본적으로 지하부분과 동일하게 수분의 이동이 완전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0-1203012호를 들 수 있다.
이처럼, 지금까지의 방수의 개념은 방수면을 기준으로 수분의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러나 방수면에 의해 수분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 외부의 지하수나 우수 등이 건축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는 있으나, 건축구조물 내부의 수분이나 습기 또한 건축구조물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건축구조물의 내부에서 생활 중 발생되는 수증기나 동절기에 외부와 접하는 벽에 응축되는 수분은 다시 건축물의 대기중으로 증발한 뒤 건축구조물에 구비되는 환기창이나 출입문으로 대류에 의해 배출되는 것 이외에는 배출될 수 있는 곳이 모두 차단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구조물의 벽체와 바닥 및 천장 등으로 흡수되거나 응축되는 수분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벽체와 바닥 및 천장 등에 장기간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건축구조물에 장기간 존재하는 수분은 건축구조물이 목재인 경우에는 곰팡이를 유발하여 구조물이 부식되게 하는 문제가 있고, 건축구조물이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콘크리트를 중성화시켜 구조물의 강도를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내부로 우수와 지하수 등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건축구조물의 벽체나 바닥 및 천장 등의 내부면으로 흡수된 수분이 건축구조물의 벽체와 천장 등의 외부면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축구조물이 최대한 건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건축구조물에 수분이 최소한으로 존재하도록 하여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로 인해 건축구조물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 정리단계;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접착제가 도포된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를 부착하는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인 고어텍스 섬유의 절단면 사이의 건축구조물 표면에 부틸 테이프를 부착하고, 부착된 부틸 테이프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의 절단면인 이음부를 부착시킨 뒤 가압하고, 다시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 외부에 부틸 테이프를 부착한 후 가압하는 절단면 밀폐단계; 및 내부에 가열장치가 구비된 가압용 롤러로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에 부착된 부틸 테이프를 용융시키면서 가압하는 용융 가압단계;를 포함하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는 폭이 2 내지 3㎝인 선형이고, 이웃하는 접착제의 선형과는 5 내지 10㎝ 이격되게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으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부틸 테이프는 폭 5 내지 10㎝이고, 두께는 2 내지 5㎜인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으로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은 기존의 방수공법이 방수면을 기준으로 수분의 이동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는 것과는 달리, 방수면을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해 구성하므로 액체상태의 수분의 이동은 차단하고 기체상태의 수분의 이동은 허용하므로 벽체가 기존보다 더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벽체가 기존보다 더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건축구조물이 우기에는 대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실내가 눅눅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맑은 날씨에는 흡수된 수분을 건축구조물의 외부의 대기로 배출하므로 건축구조물의 내부에 수분이 최소한으로 존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건축구조물의 내부환경이 쾌적해지는 효과와 건축구조물이 내부에 충진되는 수분으로 인해 부식되거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측면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에 의해 건축물의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임.
도 4는 도 3의 접착제 위에 고어텍스 섬유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임.
도 5는 도 4의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 내부에 부틸 테이프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임.
도 6은 도 5의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 외부에 부틸 테이프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 예시도임.
도 7은 도 6의 부틸 테이프를 용융 가압하는데 사용되는 가압용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8은 도 7의 가압용 롤러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임.
본 발명은 고어텍스 섬유와 접착제 및 부틸을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고어텍스는 뒤퐁사에서 개발된 엷은 막으로서, 열이나 약품에 강한 테프론계(系) 수지(樹脂)를 늘려서 가열하여 무수한 작은 구멍이 존재하도록 만든 것이다.
고어텍스의 성질은 표면에 1만분의 2mm의 작은 구멍이 무수히 존재하는 것으로서, 액체는 입자의 크기와 표면장력에 의해 고어텍스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1,000만분의 4mm 정도의 크기인 수증기는 고어텍스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는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는 고어텍스를 섬유에 붙인 것이 고어텍스 섬유이고, 고어텍스 섬유는 운동복 등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틸은 기존의 방수공법에서 고방수성 접착제로 사용되는 고무질계 재료로써, 검은색에 변형률이 높은 소재이다.
부틸은 자체적으로도 방수재료로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주로 건축물의 지하와 같은 공간과 지붕과 같은 공간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완전히 차단시키기 위해 전체면에 도포시키는 형식으로 사용한다.
또한, 부틸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테이프로 제작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이 경우에는 판이나 시트 형태의 방수소재를 건축구조물에 밀착시키거나 고정시키는 접착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써, 고어텍스 섬유가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견고히 부착되게 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무관하고, 부틸 테이프도 이에 포함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이하, 방수공법이라 함)은 표면 정리단계(S10), 접착제 도포단계(S20),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S30), 절단면 밀폐단계(S40) 및 용융 가압단계(S50)로 구성된다.
이중 표면 정리단계(S10)는 건축구조물(C)의 외부면을 정리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표면의 먼지나 돌기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돌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은 고어텍스 섬유의 표면을 파괴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을 이용한 청소가 실시된 경우에는 건축물의 표면이 완전히 건조된 후 다음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정리단계(S10)가 완료된 뒤에는 고어텍스 섬유(20)를 설치하기 위한 접착제(10)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가 진행된다. 이때, 접착제(10)를 도포하는 간격은 접착제(10)의 폭을 2 내지 3 ㎝가 되도록 선형으로 도포하되, 접착제(10)의 선형과 선형 간의 이웃하는 간격은 5 내지 10㎝ 이격되게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10)를 2 내지 3㎝의 선형으로 도포하는 것은 건축구조물(C)과 고어텍스 섬유(20)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폭이고, 접착제(10)의 선형 사이의 간격을 5 내지 10㎝로 유지하는 것은 고어텍스 섬유(20)의 통기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건축구조물(C)의 표면에서 고어텍스 섬유(20)에 주름이 발생되거나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 표면이 파괴되더라도 방수가 최소한으로 파괴되도록 하여 건축구조물(C)의 방수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착제(10)를 도포하여야만 고어텍스 섬유(20)가 안정적으로 건축구조물(C)의 표면에 부착되고 고어텍스 섬유(20)의 통기성 구간도 전체 면적에 50% 이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접착제 도포단계(S20)가 완료된 뒤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건축구조물의 외부에 고어텍스 섬유(20)를 부착시키는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S30)를 진행한다. 고어텍스 섬유(20)는 150 내지 200㎝의 폭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롤 형태로 감겨 유통되는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고어텍스 섬유(20)는 입체적인 건축구조물(C)의 형상에 맞게 절단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는 절단면(21)이 서로 맞닿는 맞대기 이음 또는 절단면(21)이 1 내지 2㎝ 겹쳐지는 겹치기 이음으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겹치기 이음의 경우에는 상부의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이 하부의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 상부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음부(22)에는 접착제(10)가 도포되지는 않아야 한다.
고어텍스 섬유(2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어텍스 섬유의 이음부(22)를 들어 이음부(22) 하부의 건축구조물(C)에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를 따라 끊어지지 않도록 연속해서 부틸 테이프(30)를 부착한다.
이후 건축구조물(C)의 상부에 도포된 부틸 테이프(30)의 상부로 고어텍스 섬유(20)가 덮여지게 하고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를 가압한다.
다음으로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 외부에 이음부(22)를 덮을 수 있는 부틸 테이프(30)를 다시 끊어지지 않도록 연속되게 부착하여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부틸 테이프(30)가 부착되도록 절단면 밀폐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부틸 테이프(30)는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한 부틸 테이프(30)는 폭은 5 내지 10㎝이고 두께는 2 내지 5㎜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들이 맞닿는 이음부(22)의 내부와 외부에 부틸 테이프(30)를 끊어지지 않도록 도포한 뒤 이를 가압하는 것으로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융 가압단계(S50)를 실시하며, 용융 가압단계(S50)는 내부에 가열장치(135)가 구비된 가압용 롤러(100)를 이용해 부틸 테이프(30)를 용융시키면서 가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가압용 롤러(100)는 손잡이(110)와 브라켓(120) 및 브라켓(120)에 베어링(131)으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롤(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롤(13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케이블(140)로 공급되는 전력으로 작동되는 가열장치(135)가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가압용 롤러(100)는 작업자가 손잡이(110)를 잡고 천천히 부틸 테이프(30)의 상부를 가압하며 이동시키면 브라켓(120)과 베어링(131)에 의해 고정된 롤(130)은 회전되고 롤(130) 내부의 가열장치(135)는 발열하여 롤(130)을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부틸 테이프(30)는 롤(13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용융됨과 동시에 롤(130)의 압력에 의해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 주변에 펼쳐지면서 절단면(20)의 주변에 밀착되어 방수성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이 완료된 뒤에는 고어텍스 섬유(2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장재를 덮어 마감하여 건축구조물(C)을 완성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은 건축구조물(C)의 지상부분과 지하부분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건축구조물(C)이 설치된 지면의 지하 중 상시 습한 상태의 지하면(A)의 하부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우수에 의해 일시적으로 습한 상태이다 다시 날이 맑아지면 반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는 지하면(B)의 경우에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우수에 의해서만 습한 상태가 되는 구간에서는 고어텍스 섬유(20)를 통해 벽체를 통해 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이 시공되는 경우에는 해당구간을 통해 환기의 성능과 동일한 제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S10: 표면 정리단계 S20: 접착제 도포단계
S30: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 S40: 절단면 밀폐단계
S50: 용융 압착단계 C: 건축구조물
10: 접착제 20: 고어텍스 섬유
21: 절단면 22: 이음부
30: 부틸 테이프 100: 가압용 롤러

Claims (3)

  1. 삭제
  2. 건축구조물(C)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표면 정리단계(S10);
    건축구조물(C)의 표면에 접착제(10)를 도포하되, 접착제(10)는 폭이 2 내지 3㎝인 선형이고, 이웃하는 접착제(10)의 선형과는 5 내지 10㎝ 이격되게 건축구조물(C)의 표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
    접착제(10)가 도포된 건축구조물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20)를 부착하는 고어텍스 섬유 설치단계(S30);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인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 사이의 건축구조물(C) 표면에 부틸 테이프(30)를 부착하고, 부착된 부틸 테이프(30)의 표면에 고어텍스 섬유(20)의 절단면(21)인 이음부(22)를 부착시킨 뒤 가압하고, 다시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 외부에 부틸 테이프(30)를 부착한 후 가압하는 절단면 밀폐단계(S40); 및
    내부에 가열장치(135)가 구비된 가압용 롤러(100)로 고어텍스 섬유(20)의 이음부(22)에 부착된 부틸 테이프(30)를 용융시키면서 가압하는 용융 가압단계(S50);를 포함하는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3. 삭제
KR1020130081350A 2013-07-11 2013-07-11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KR10143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350A KR101434194B1 (ko) 2013-07-11 2013-07-11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350A KR101434194B1 (ko) 2013-07-11 2013-07-11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194B1 true KR101434194B1 (ko) 2014-08-27

Family

ID=5175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350A KR101434194B1 (ko) 2013-07-11 2013-07-11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990B1 (ko) * 2014-10-02 2015-08-20 합자회사 가온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KR20160143398A (ko) 2015-06-05 2016-12-14 합자회사 가온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36430C (en) 2000-03-28 2006-08-01 Tamko Roofing Products, Inc. Waterproofing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00105211A (ko) * 2009-03-20 2010-09-29 정영수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001769B1 (ko) 2008-06-09 2010-12-15 김기태 결로 방지 효과를 가지는 지하 구조물의 마감 공법
KR20110083037A (ko) * 2010-01-13 2011-07-20 한국과학기술원 방투습성 섬유를 이용한 기포제거 기능의 콘크리트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36430C (en) 2000-03-28 2006-08-01 Tamko Roofing Products, Inc. Waterproofing membran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001769B1 (ko) 2008-06-09 2010-12-15 김기태 결로 방지 효과를 가지는 지하 구조물의 마감 공법
KR20100105211A (ko) * 2009-03-20 2010-09-29 정영수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110083037A (ko) * 2010-01-13 2011-07-20 한국과학기술원 방투습성 섬유를 이용한 기포제거 기능의 콘크리트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990B1 (ko) * 2014-10-02 2015-08-20 합자회사 가온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KR20160143398A (ko) 2015-06-05 2016-12-14 합자회사 가온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CA2751206A1 (en) Self-adhered, vapor permeable air barrier membrane
KR101434194B1 (ko)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공법
US20130243991A1 (en) Intermediate composite panel for roofing and walls
KR101710604B1 (ko)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110079578A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49479B1 (ko) 구멍 뚫린 시트 상부에 고 점착형 방수 씰을 도포하여 부분 절연시킨 노출형 아스팔트 복합 방수공법
CA2236271A1 (en) An insulation system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insulation system on a pipe or a container ("insulation system")
KR101618555B1 (ko) 수밀성 방수시트
KR102238477B1 (ko) Tpo 복합 방수시트 및 이의 조립구조
KR20180024491A (ko) 부직포에 겔 형태의 도막재가 함침된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EA022536B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слоя здания путем нанесения пароизоляционной пленки, пар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ленка и здание с ней
US20100205896A1 (en) Method of adhering epdm membranes to non-porous substrates
CA2988554A1 (en) Insulation ti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4046410B2 (ja) 建造物屋上の防水改修方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JP2005336823A (ja) 外断熱壁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CN207568014U (zh) 用于幕墙窗洞的防水装置
KR100979184B1 (ko) 열선융착과 폐우레탄 칩을 이용하여 휘발성유기화합물 발생을 억제하는 친환경적인 건식형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JP2000129867A (ja) 突起付き防水シートとその防水工法
CN220644672U (zh) 建筑物外墙的排气保温结构层
AU705583B1 (en) Impregnated foam materials
KR20160143398A (ko) 고어텍스 섬유를 이용한 슬래브용 방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