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044B1 -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044B1
KR102099044B1 KR1020190099274A KR20190099274A KR102099044B1 KR 102099044 B1 KR102099044 B1 KR 102099044B1 KR 1020190099274 A KR1020190099274 A KR 1020190099274A KR 20190099274 A KR20190099274 A KR 20190099274A KR 102099044 B1 KR102099044 B1 KR 10209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layer
waterproof
attach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Priority to KR102019009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조인트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복합시트의 이음부위의 연결이 용이해 건물의 시공면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 테두리를 따라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시트의 타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를 이용해 건물의 시공면에 방수공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using complex sheet}
본 발명은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의 방수 시공시 복수의 복합시트를 연속적으로 연결시 이음부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방수 시공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방수 공사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에서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었을 경우,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물 내부로 침투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각종 방수 재료를 사용하여 내벽 및 바닥 등의 구조물에 방수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 건물의 방수 재료로는 아스팔트나 콜타르 피치 등의 재료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아스팔트 또는 콜타르 피치를 건축물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분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거나, 아스팔트 또는 콜타르를 함침한 종이, 펠트, 천 등으로 시공면을 덮고 그 위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으로 보호공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아스팔트 또는 콜타르 피치를 건축물 표면에 직접 도포 또는 분사하는 방법은 시공이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 방수층이 파괴되어 방수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아스팔트 또는 콜타르를 함침한 종이 등으로 시공면을 덮고 그 위에 보호공사를 수행하는 경우 물이 새면 결함부분의 발견과 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등록특허 제10-1353267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의 복합 방수 구조는 하부의 콘크리트 슬라브층 상부에 도포된 폴리우레탄이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의 하부의 양측단 사이에 형성된 부분 절연부에 스며들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착 및 수밀벽층과; 슬라브층 상부에 도포된 폴리우레탄이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의 양측단에 형성된 부분 절연부 및 이웃하는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와의 맞대음 이음부에 스며들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조인트부; 상기 폴리우레탄이 스며들어 접착 및 수밀벽층과 조인트부를 형성하여 하부 슬라브층과 구획화되어 다중 수밀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부의 양측단 및 양측단 사이에 형성된 부분 절연부와, 상부에 돌출 하니컴 코어부가 형성된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와; 상기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의 상부에 부착되어 폴리우레탄의 용제에 의해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가 녹지 않도록 보호하는 PET 필름층과; 상기 조인트부의 상면 및 맞대음하여 이웃하는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간의 일부 영역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표면이 실리콘으로 코팅되어 상부와 하부에 도포되는 폴리우레탄간을 분리시키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및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간에 전면 도포된 폴리우레탄 방수층;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복합 방수 구조는 방수 시공시 하니컴 PVC 시트의 이음부의 분리를 위해 별도로 조인트부와 절연부재를 더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는 하니컴 PVC 시트의 이음부는 물론 조인트부와 절연부재의 설치시 위치 조정 작업 역시 까다롭고 전체적으로 여전히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 등록특허 제10-1353267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의 복합시트를 사용하여 방수 공사시 복합시트간의 이음 연결이 간단해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시트간의 이음 연결시 별도의 조인트부재를 사용하지 않아 작업성이 우수하고 이음부위의 연결시 위치 조정이 편리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수가 필요한 건물의 시공면에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 테두리를 따라 끼움돌부가 형성되고 타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되는 끼움홈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복합시트를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의 시공면에 인접한 복합시트간에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벤트홀(venthole) 기능을 하는 벤트부재를 접착제를 이용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시공면에 복합시트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복합시트를 상기 시공면에 도포된 프라이머층의 표면에 부착하되 먼저 부착된 복합시트의 상부기재층의 끼움홈부에 인접한 복합시트의 끼움돌부를 삽입한 형태의 이음부위를 가열하여 열융착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연속적으로 부착된 복합시트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벤트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19083311909-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시공면에 상기 복합시트의 테두리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벤트부재의 내부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형상유지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복합시트는 하부기재층과, 상기 하부기재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기재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시트의 끼움돌부는 상기 하부 및 상부기재층 사이의 방수층의 일단부가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합시트의 끼움홈부는 상기 방수층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기재층의 타단부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끼움홈부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기재층의 타단부는 서로 달라붙거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부기재층의 타단부 하면에는 이형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시공시 사용하는 복합시트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끼움돌부와 끼움홈부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복합시트를 연속적으로 시공시 인접한 복합시트의 끼움돌부를 먼저설치한 복합시트의 끼움홈부에 끼워 조립함으로서 복합시트간의 이음 연결이 간단하고 견고해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 시공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고 방수 공사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시트를 별도의 조인트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음부위의 연결을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어 방수 시공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복합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복합시트의 이형지 제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복합시트의 연결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복합시트의 벤트부재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되는 복합시트의 벤트부재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은 복합시트(1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건물(1)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가 필요한 시공면(10)의 레이턴스(LAITANCE), 먼지,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표면처리 단계(S1), 건물(1)의 시공면(10)에 인접한 복합시트(100)간에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는 벤트부재(200)를 부착하는 단계(S2), 상기 시공면(10)에 복합시트(100) 부착을 위한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S3), 방수기능을 하는 복합시트를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단계(S4), 복합시트(10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여 상도층(30)을 형성하는 단계(S5)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을 위해 사용하는 복합시트(100)와 벤트부재(200)를 먼저 설명하고, 이후 본 발명의 방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시공에 사용하는 복합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100)는, 하부기재층(110)과, 상기 하부기재층(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120)과, 상기 방수층(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기재층(1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기재층(110)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가 필요한 건물(1)의 시공면(10)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부기재층(110)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로 이루어지며, 시공면(10)에 도포되는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과의 접착력을 고려하여 두께는 0.8 ~ 1.3mm인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1mm 두께의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터(polyester)는 섬유를 잡아당겼을 때의 강도가 나일론 다음으로 강하며 물에 젖었을 때의 강도도 변함이 없으며, 특히 구김 회복도는 양모와 같을 정도이며 물에 젖었을 때의 회복도는 더욱 높고, 흡습성이 약한 데다가 신축성이 거의 없고 건조도가 매우 높아, 셔츠의 소재로 적합하며, 단섬유로서 양모와 흡사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양모나 기타 실과 혼방되어서 신사복 정장 소재 등의 신분야 개척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필름은 보통 이축연신되어 강도가 높아지며 복합필름의 기재나 진공증착필름, 금은사 등에 사용되며, 비닐 단위체(예컨대 스티렌,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용해한 저점도의 액체이지만 과산화물을 첨가하여 열 경화성 수지를 얻는다. 강화 플라스틱, 도료, 주형용 수지 등의 용도가 있다.
그리고 폴리에스터 직물의 경우 찢어짐과 펑크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어 방수층(120)의 찢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이때 상기 하부기재층(110)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로 이루어지되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프라이머층(20)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니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거나 부직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수층(120)은 물기가 하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수층(120)은 열이 가해지면 용융되어 접착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핫멜트 계열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를 결합한 화학 신소재로 투명하고 접착성과 유연성이 우수해 신발 밑창, 코팅용, 접착제, 태양전지용 시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120)은 예를 들어 두께는 0.2 ~ 0.5mm의 필름을 사용함인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3mm 두께의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재층(130)은 상기 하부기재층(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 예로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0.1 ~ 0.5mm인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3mm 두께의 것을 사용한다. 물론 상기 상부기재층(130)은 상측에 상도층(30)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polyurea)와의 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니컴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거나 부직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복합시트(100)는, 건물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가 필요한 시공면(10)에 부착시 별도의 조인트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연결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복합시트(10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복합시트(100)의 일단 테두리를 따라 끼움돌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복합시트(100)의 타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끼움돌부(102)에 대응되는 끼움홈부(104)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는 상기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 사이의 방수층(120)의 일단부가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합시트(100)의 끼움홈부(104)는 상기 방수층(120)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의 타단부가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합시트(10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돌부(102)는 타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홈부(10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끼움돌부(102)의 돌출된 길이는 40 ~ 60mm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50mm를 형성하고, 끼움홈부(102)의 깊이는 40 ~ 60mm 범위내에서 바람직하게는 50mm를 형성한다.
이때 끼움홈부(104)를 형성하는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의 타단부는 서로 달라붙거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 하면에는 이형지(132)를 더 부착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일측 복합시트(100)의 끼움홈부(104)에 인접한 다른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를 삽입한 후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를 들어 올려 이형지(132)를 분리한 후 상기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를 상기 인접한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 상면에 밀착시킨 후 가열판(예를 들어 다리미)으로 가열하여 인접한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와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의 열융착을 유도한다.
한편, 이러한 복합시트(100)의 테두리 구체적으로는 이음부위 하부에는 인접한 복합시트(100') 하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벤트홀(venthole) 기능을 하는 벤트부재(20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이러한 벤트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 필름 재질로 이루어지며 단면은 "
Figure 112019083311909-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며, 탄성을 갖는 쫄대를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러한 벤트부재(200)는 양측의 접힘부가 탄성을 가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벤트부재(200)의 벤트홀(venthole) 내부에는 부직포와 같이 공기흐름이 원활하며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상유지체(210)를 구비하여 벤트홀(venthole)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해줌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벤트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 특히 수 벨트로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복합시트(100)를 시공하기 전에 상기 벤트부재(200)를 건물(1)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가 필요한 시공면(10)에 접착제(12)를 이용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먼저 부착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S1) 표면처리 공정
우선 건물(1)의 옥상이나 지하실 등의 방수가 필요한 시공면(10)의 레이턴스(LAITANCE), 먼지,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상기 시공면의 바탕처리는 블라스팅(BLASTING), 치핑(CHIPPING), 다이아몬드 휠 그라인딩(DIAMOND WHEEL GRINDING) 등을 통해 면처리함으로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S2) 벤트부재 부착단계
상기 단계(S1)를 수행하여 표면처리된 상기 시공면(10)에 접착제(12)를 이용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벤트부재(200)를 부착한다. 이 경우 후공정을 통해 부착되는 복수의 복합시트(100)의 테두리가 이음부위가 되므로 그 위치를 고려하여 복합시트(100)의 테두리에 직각방향으로 벤트부재(200)인 "
Figure 112019083311909-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부착하거나 수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한다.
이 경우 벤트부재(200)를 사용하는 경우 벤트홀(venthole) 내부에는 부직포와 같이 공기흐름이 원활하며 탄성이 있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상유지체(210)를 더 삽입함이 바람직하다.
(S3)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단계(S2)를 수행한 후 표면처리된 상기 시공면(10)에 복합시트(100) 부착을 위한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한다. 이는 복합시트(100)를 콘크리트 시공면(10)에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아스팔트프라이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벤트부재(200)를 제외한 시공면(10)에만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하거나, 시공면(10)과 벤트부재(200)의 표면 모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함도 가능하다.
(S4) 복합시트 부착단계
상기 단계(S3)를 수행한 후 복합시트(100)를 시공면(1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20)의 표면에 부착한다.
이때 사각 형상의 복합시트(100)의 테두리가 벤트부재(200)와는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부착한다. 한편,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복합시트(100)를 부착하기 위해 먼저 부착된 복합시트(100)의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를 들어올려 끼움홈부(104)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인접한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를 먼저 부착된 복합시트(100)의 끼움홈부(104)에 삽입한 후 들어올린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의 이형지(132)를 제거한 후 상기 인접한 다른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에 밀착시킨다.
이후 가열판(예를 들어 다리미)으로 이음부위를 가열하여 인접한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를 용융시켜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사이에 열융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전체적으로 복합시트(100)를 시공면(10)에 부착한다.
(S5) 상도층 형성단계
상기 공정(S4)를 통해 복합시트(100)를 연속적으로 부착한 후 복합시트(10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여 상도층(30)을 형성한다. 상기 상도층(30) 형성시 우레탄 방수제 또는 폴리우레아 수지와 경화제는 다양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 : 1로 혼합하여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0.3 ~ 0.7㎜ 두께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도층(30)은 0.5㎜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polyurea)는 말단에 1급 아민을 갖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아민 말단 레진 혼합물의 화학반응으로 형성된 탄성체로서, 레진 혼합물에 폴리올 및 촉매가 함유될 경우 하이브리드 타입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폴리우레아는 무촉매의 초속경화형이다. 스프레이 후 3 ~ 5초 내의 겔타임을 가지므로 경사면과 수직면에서도 흘러내림 없이 스프레이할 수 있으며 지촉건조 시간이 30초 이내이다. 시공하는 동안에 물과 온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기후변화, 습기, 열, 냉기 등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시공 가능 온도 : -40℃ ~ +135℃). 아울러 폴리우레아는 2액형의 100% 고형분으로 용제 또는 희석제 사용 없이 1:1 부피비로 스프레이 시공을 할 수 있다. 폴리우레아는 인장강도, 신율, 내마모성, 접착력 등을 포함한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며, 177℃까지의 온도에서도 높은 열안정성을 보여 준다(주로 방향족 폴리우레아 수지). 스프레이공법, Pour공법, RIM(Reaction Injection Mould) 공법 등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도층(30)은 시공면(10)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물기에 노출되는 건물의 노출면에는 상도층을 형성하며, 비노출면에는 상도층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수행한 후에는 상도층(30)을 자연 경화시킴으로서 방수 시공이 완성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 표면처리 단계 S2: 벤트부재 부착단계
S3: 프라이머 도포단계 S4: 복합시트 부착단계
S5: 상도층 형성단계 1: 건물
10: 시공면 100: 복합시트
102: 끼움돌부 104: 끼움홈부
110: 하부기재층 120: 방수층
130: 상부기재층 132: 이형지

Claims (4)

  1. 방수가 필요한 건물(1)의 시공면(10)에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 테두리를 따라 끼움돌부(102)가 형성되고 타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끼움돌부(102)에 대응되는 끼움홈부(104)가 형성되는 복수의 복합시트(100)를 인접하게 연속적으로 부착하는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건물(1)의 시공면(10)에 인접한 복합시트(100)간에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벤트홀(venthole) 기능을 하는 벤트부재(200)를 접착제(12)를 이용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시공면(10)에 복합시트(100) 부착을 위한 접착제 기능을 수행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복합시트(100)를 상기 시공면(10)에 도포된 프라이머층(20)의 표면에 부착하되 먼저 부착된 복합시트(100)의 상부기재층(130)의 끼움홈부(104)에 인접한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를 삽입한 형태의 이음부위를 가열하여 열융착하는 제3단계;
    상기 벤트부재(200)는 단면이 "
    Figure 112019130746038-pat00011
    "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1)의 시공면(10)에 상기 복합시트(100)의 테두리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벤트부재(200)의 내부에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형상유지체(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에, 상기 연속적으로 부착된 복합시트(10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수지를 도포하여 상도층(30)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100)는 하부기재층(110)과, 상기 하부기재층(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방수층(120)과, 상기 방수층(1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부기재층(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합시트(100)의 끼움돌부(102)는 상기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 사이의 방수층(120)의 일단부가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합시트(100)의 끼움홈부(104)는 상기 방수층(120)의 하부 및 상부에 형성된 하부 및 상부기재층(110,130)의 타단부가 연장 돌출되며;
    상기 끼움홈부(104)를 형성하는 상기 상부기재층(110,130)의 타단부는 서로 달라붙거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상부기재층(130)의 타단부 하면에는 이형지(132)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0190099274A 2019-08-14 2019-08-14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09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74A KR102099044B1 (ko) 2019-08-14 2019-08-14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274A KR102099044B1 (ko) 2019-08-14 2019-08-14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44B1 true KR102099044B1 (ko) 2020-04-08

Family

ID=7027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274A KR102099044B1 (ko) 2019-08-14 2019-08-14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32B1 (ko) * 2006-01-25 2007-04-24 (주)제이스코리아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232871B1 (ko) * 2010-04-05 2013-02-13 (주)아해 결합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및 방수/방근 시공 방법
KR101353267B1 (ko) 2013-08-26 2014-01-23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1361174B1 (ko) * 2012-01-06 2014-02-10 합동에너지 주식회사 방수 또는 단열을 위한 적층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32B1 (ko) * 2006-01-25 2007-04-24 (주)제이스코리아 구조 개선된 옥상방수구조 및 그 시공법
KR101232871B1 (ko) * 2010-04-05 2013-02-13 (주)아해 결합용 부재를 포함하는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및 방수/방근 시공 방법
KR101361174B1 (ko) * 2012-01-06 2014-02-10 합동에너지 주식회사 방수 또는 단열을 위한 적층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101353267B1 (ko) 2013-08-26 2014-01-23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6047C (en) Non-cellular adhesive for composite roof structure
US4469731A (en) Composite insulating article for making prefabricated coverings
US6460304B1 (en) Waterproof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1926735B1 (ko)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0648177B1 (ko)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복합방수구조
KR102099044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US4732635A (en) Method of making spliceable sheet material
JP2015206224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8555B1 (ko) 수밀성 방수시트
KR102245461B1 (ko)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EP0156536B1 (en) Spliceable sheet material and transfer tape for use in making same
JPS61176754A (ja) 複合防水工法
GB2138357A (en) Improvements in adhesive sheets
KR101072343B1 (ko)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
KR20130030965A (ko)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절연공법
GB2105614A (en) Waterproofing material
KR101043839B1 (ko)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방법
JP5764418B2 (ja) 塗膜防水工法、該工法を使用して形成された塗膜防水全層及び該工法に使用される防水下層構造体
JPH0978775A (ja) 建築物の塗膜防水施工用下地被覆材および該下地被覆材を使用した建築物の複合防水施工法
KR100622210B1 (ko) 미끄럼 방지용 지붕 방수시트
KR100680313B1 (ko)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KR100934731B1 (ko) 자착식 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자착식 방수시트 및 자착식방수시트 시공방법
KR200405537Y1 (ko) 마가 시트 방수재
GB2122133A (en) Improved waterproof sheet
CN217811224U (zh) 一种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