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88B1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0988B1 KR101780988B1 KR1020170043058A KR20170043058A KR101780988B1 KR 101780988 B1 KR101780988 B1 KR 101780988B1 KR 1020170043058 A KR1020170043058 A KR 1020170043058A KR 20170043058 A KR20170043058 A KR 20170043058A KR 101780988 B1 KR101780988 B1 KR 1017809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water
- waterproofing
- support member
- nonwoven fabr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방수층에 친환경 성분을 용이하게 포함함과 아울러,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며, 방수효과 및 부착효과를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건물 벽체(2)의 표면을 정리하고, 벽체(2)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150∼290 메쉬로 가공된 견운모 분말 65∼75중량%와, 숯 분말 25∼35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접착층(25)의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하여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기능성분말층(20)이 함침되도록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도막방수층(3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41)와, 상기 탄성패드(4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45)로 구성된 보강시트층(4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보강시트층(40)의 표면에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물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S5); 상기 중도방수층(50)의 표면에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마감방수층(6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41)와 부직포(45) 사이에 간격유지패드(48)를 부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층에 친환경 성분을 용이하게 포함함과 아울러,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며, 방수효과 및 부착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방수란 건물에 빗물이 새는 것을 막고, 스며든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의미한다. 건물의 방수는 넓은 뜻으로는 건물의 지붕면 및 바깥 벽면 전체에 대한 방수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붕 끝부분(처마), 골, 파라펫(Parapet or 난간벽)이 서 있는 곳과 천장, 벽의 문이나 창 주변 등 비가 새기 쉬운 부분의 처리를 가리킨다.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고속도로, 고속철도, 고층 빌딩, 국제공항, 지하철, 초대형 운동경기장 등과 같이 대규모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워진 많은 구조물이 그 진가를 발휘하기 전에 균열 및 누수의 문제로 보수/보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보강은 초기 시공비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면서도, 완전한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재 누수로 인한 반복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부분 중에서 특히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다양한 면(벽, 지붕) 등에는 특수한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옥상 등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가장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 있기 때문에, 현재 다양한 방수재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방수구조는 한정되어 있다. 또한, 방수재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방수/단열을 위한 벽의 상태 및 외부환경요건에 따라서도 방수재의 성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시공면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재가 시공면에 부착되어 재료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나쁜 영향을 끼치며, 시공 후 기화되는 수증기 압력에 의해서 방수재 및 벽 사이에 에어포켓이 생겨 방수층의 찢김 또는 파단 등을 야기할 수가 있다.
이렇게 방수공사 후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 방수재료에 의한 원인, 시공자의 숙련도에 의한 원인 및 설계불량에 의한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단, 벽 구조의 원인으로 구조체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건축시 바탕이 되는 콘크리트벽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않아 수분이 남게 되고, 남게 된 수분이 수증기로 상태 전환되어 방수층을 국부적으로 부풀게 하고, 피로된 부분을 파손시킬 수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률을 크게 하여, 균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방수공사의 하자는 방수재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방수층이 균열 저항성에 약하거나, 부풀림이나 피로에 대해 약한 재료의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성재료는 방수층의 단열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내구성이나 내후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수공사에서 하자는 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도막 방수를 하는 경우 재료간의 배합비를 정확하게 지키지 않거나, 충분한 경화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 부실한 방수공사가 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들은 방수공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나, 시공품질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부족으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높으며, 현실적으로 방수공사의 낮은 단가로 인해 고품질 장비, 기능 인력의 확보 등이 어렵기 때문에 방수공사에서 부실시공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방수공사 설계 단계에서도, 방수해야 할 부위의 필요한 환경 요건을 고려하지 않거나, 재료에 대한 물성관리의 소홀, 조인트 및 드레인 위치 등과 같이 상세한 설계를 생략한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구조는 주로 낱장의 방수시트 간에 겹쳐지는 이음부들에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상호 용착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수효과를 보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각 방수시트들간의 연결부분인 이음부들을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용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음부들이 균일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2중 또는 3중의 방수, 단열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각 층간의 연결부위가 모두 동일위치에 존재하여,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물기가 연결부위를 타고 직접 방수/단열층 및 상기 방수/단열층을 하기 위한 바탕면인 콘크리트벽 등에도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수시트 간의 불편한 접합구조로 인해 표면을 일직선상으로 맞추기 힘들었으며, 방수구조에서 다른 기능성을 부여하는 구성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방수층에 친환경 성분을 용이하게 포함함과 아울러,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며, 방수효과 및 부착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2)의 표면을 정리하고, 벽체(2)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150∼290 메쉬로 가공된 견운모 분말 65∼75중량%와, 숯 분말 25∼35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접착층(25)의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하여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기능성분말층(20)이 함침되도록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도막방수층(3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41)와, 상기 탄성패드(4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45)로 구성된 보강시트층(4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보강시트층(40)의 표면에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물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S5); 상기 중도방수층(50)의 표면에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마감방수층(6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41)와 부직포(45) 사이에 간격유지패드(48)를 부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부직포(45)는 탄성패드(4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폭(w)방향으로 1/3∼1/2 돌출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드(48)는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 사이의 폭(w)방향 중심측에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패드(41)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단부측의 일측에는 외측확장된 돌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밀착되는 타측에는 상기 돌부(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측확장된 홈부(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45)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양 단부 외측에 홈부(46)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47)를 만든 후, 상기 부착공간부(47)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체를 충진하여 접착층(52)을 형성한 다음,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이 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에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45)의 외측 표면에 다수의 홈부(59)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홈부(59)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2)는 어느 벽면(1)에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 다수개 고정설치되며 벽면(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로수가 이동되는 이동공간부(93)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태로 된 지지부재(92)에 대응되는 세로폭으로 외측에 구비되어 상,하 고정피스(94)에 의해 이격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실내마감패널(90)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마감패널(90)의 상,하 고정피스(94)가 위치된 상,하단부에 각각 단턱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실내마감패널(90) 사이에 형성된 세로폭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부재(80)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80)는 상기 세로폭 사이로 헤드부(81)가 진입후 걸림되고, 상기 헤드부(81)의 후방측에 형성된 몸체(83)의 상,하로 연장된 날개부(85)가 실내마감패널(90)의 단턱홈(91)에 안착 고정되면서 상기 날개부(85) 및 실내마감패널(90)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상,하로 인접 설치된 지지부재(92)의 사이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9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수평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측이 함몰된 만곡부(97b)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97b)의 중심측에 통공(97a)이 형성되어, 결로수가 상기 통공(97a)으로 이동되어 통공(97a)을 통해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92)의 하측 수평면(98)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부(98)가 형성되어 지지부재(92)의 내측에 형성된 결로수가 경사부(98)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막방수층(3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33∼48중량%, 규사 8∼13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2∼5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도방수층(50)은 시멘트 41∼54중량%,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13∼27중량%, 규사 5∼9중량%, 물 24∼3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방수층(6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41∼52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8∼5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층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견운모 분말, 숯 분말의 혼합분말을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함으로써 도포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착작업이 용이하고, 보강시트층을 구성하는 탄성패드, 간격유지패드, 부직포를 계단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부직포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양 단부 외측에 홈부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를 만든 후, 그 부착공간부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뿐 아니라, 부직포의 표면에 다수 홈부를 형성하여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함으로써 방수효과 및 상호간의 부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에 의한 적층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라이머층 상에 기능성분말을 뿌려 부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탄성패드 변형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부직포 변형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의 변형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의 변형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에 의한 적층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프라이머층 상에 기능성분말을 뿌려 부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실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탄성패드 변형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시트층의 부직포 변형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의 변형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재의 변형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수층에 친환경 성분을 용이하게 포함함과 아울러,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며, 방수효과 및 부착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면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와,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와, 도막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와, 보강시트층(40)을 형성하는 단계(S4)와,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S5)와, 마감방수층(6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S1∼S6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 S1 단계
: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해 벽체(2)의 표면을 정리하고, 상기 벽체(2)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한다.
상기 프라이머(primer)는 벽체 표면을 부식이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후의 도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벽체 표면에 최초로 도장하는 것이고, 상기 벽체(2)는 도 2에서와 같이 수직벽체이거나, 또는 바닥체 일 수도 있다.
- S2 단계
: 상기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성분을 포함시키기 위해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한다.
상기 기능성분말층(20)은 견운모 또는 숯이 사용되며, 이를 프라이머층(10) 상에 형성하기 위해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150∼290 메쉬로 가공된 견운모 분말 및 숯 분말을 혼합한 후 상기 접착층(25)의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하여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한다.
상기 견운모는 세리사이트(sericite)라고 하는데, 정화기능에 의해 냄새와 곰팡이 및 이끼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주로 도자기나 내화벽돌의 혼입재로 쓰이며, 또한 도료, 전기절연체, 활마재, 화장용품 등 용도가 다양하다. 그리고 숯은 냄새제거, 습기제거, 공기정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견운모 및 숯을 150∼290 메쉬로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상기 접착층(25)의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하며, 이때, 상기 기능들의 효율적인 발휘를 위해 견운모 분말 65∼75중량%와, 숯 분말 25∼35중량%를 혼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 S3 단계
: 상기 S2단계에서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기능성분말이 프라이머층(10) 상에 돌출된 상태이므로, 이를 함침하도록 도막방수층(30)을 형성한다.
상기 도막방수층(30)은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제로 형성되며, 이때,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33∼48중량%, 규사 8∼13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2∼5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각 성분들의 물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합으로 한정한 것이다.
- S4 단계
: 상기 도막방수층(30)의 표면에는 방수층 전체의 보강을 위해 보강시트층(40)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시트층(40)은 도막방수층(3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41)와, 상기 탄성패드(4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45)로 구성되는 것을 일실시예로 구현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탄성패드(41)와 부직포(45) 사이에 간격유지패드(48)를 부착 구비하도록 하고, 이때, 상기 부직포(45)는 탄성패드(4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폭(w)방향으로 1/3∼1/2 돌출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드(48)는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 사이의 폭(w)방향 중심측에 부착되도록 구성하여 인접한 보강시트층(40) 상호간에 밀착면적을 넓게 확보함으로써 보강시트층(40)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패드(48)는 도면 상 수직방향으로의 보강시트층(4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과, 보강시트층(40)의 외측면을 수직 일직선상에 일치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간격유지패드(48)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되어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적절히 선택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한 보강시트층(40)의 밀착력과 아울러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보강시트층(40)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탄성패드(41)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단부측의 일측에는 외측확장된 돌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밀착되는 타측에는 상기 돌부(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측확장된 홈부(43)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돌부(42) 및 홈부(43)의 형상은 그 모양과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강시트층(40)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직포(45)의 경우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부직포(45)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양 단부 외측에 홈부(46)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47)를 만든 후, 상기 부착공간부(47)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체를 충진하여 접착층(52)을 형성한 다음,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이 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에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인접한 부직포(45) 간의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후공정으로 코팅될 중도방수층(50) 과의 밀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중도방수층(50) 과의 밀착력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부직포(45)의 외측 표면에 다수의 홈부(59)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홈부(59)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하여 구성할 수 있다.
- S5 단계
: 상기 보강시트층(40)의 표면에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한다. 상기 중도방수층(50)은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물이 혼합된 혼합조성물로 이루어져 도포되며, 이때, 중도방수층(50)은 시멘트 41∼54중량%,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13∼27중량%, 규사 5∼9중량%, 물 24∼3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각 성분들의 물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합으로 한정한 것이다.
- S6 단계
: 상기 중도방수층(50)의 표면에 마감방수층(60)을 형성한다. 상기 마감방수층(6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방수제이며, 이때, 마감방수층(6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41∼52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8∼5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각 성분들의 물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합으로 한정한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서 건물 벽체는 언급된 바와 같이 수직벽체이거나, 바닥체 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어느 벽면(1)에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 다수개 고정설치되며 벽면(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로수가 이동되는 이동공간부(93)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태로 된 지지부재(92)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벽체(2)는 상기 지지부재(92)에 대응되는 세로폭으로 외측에 구비되어 상,하 고정피스(94)에 의해 이격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실내마감패널(9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마감패널(90)은 수직 방향으로 적층 설치되어지는데, 이때 상호간의 결합 및 마찰부측의 밀폐성을 위해 상기 실내마감패널(90)의 상,하 고정피스(94)가 위치된 상,하단부에 각각 단턱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실내마감패널(90) 사이에 형성된 세로폭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부재(80)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80)는 상기 세로폭 사이로 헤드부(81)가 진입후 걸림되고, 상기 헤드부(81)의 후방측에 형성된 몸체(83)의 상,하로 연장된 날개부(85)가 실내마감패널(90)의 단턱홈(91)에 안착 고정되면서 상기 날개부(85) 및 실내마감패널(90)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벽면(1)에 고정 설치된 지지부재(92) 에는 결로수가 유입되는데, 상기 결로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상,하로 인접 설치된 지지부재(92)의 사이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97a)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통공(97a)으로의 결로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수평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측이 함몰된 만곡부(97b)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97b)의 중심측에 통공(97a)이 형성되어, 결로수가 상기 통공(97a)으로 이동되어 통공(97a)을 통해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92)의 하측 수평면(98)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부(98)가 형성되어 지지부재(92)의 내측에 형성된 결로수가 경사부(98)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에 의하면, 방수층 내에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견운모 분말, 숯 분말의 혼합분말을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함으로써 도포 등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착작업이 용이하고, 보강시트층을 구성하는 탄성패드, 간격유지패드, 부직포를 계단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보강시트층 상호간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부직포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양 단부 외측에 홈부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를 만든 후, 그 부착공간부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하여 접착층을 형성할 뿐 아니라, 부직포의 표면에 다수 홈부를 형성하여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함으로써 방수효과 및 상호간의 부착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벽체 10 : 프라이머층
20 : 기능성분말층 30 : 도막방수층
40 : 보강시트층 41 : 탄성패드
45 : 부직포 50 : 중도방수층
60 : 마감방수층
20 : 기능성분말층 30 : 도막방수층
40 : 보강시트층 41 : 탄성패드
45 : 부직포 50 : 중도방수층
60 : 마감방수층
Claims (12)
- 벽체(2)의 표면을 정리하고, 벽체(2)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프라이머층(10)의 표면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150∼290 메쉬로 가공된 견운모 분말 65∼75중량%와, 숯 분말 25∼35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접착층(25)의 표면에 뿌려 부착되게 하여 기능성분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기능성분말층(20)이 함침되도록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30)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도막방수층(30)의 표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41)와, 상기 탄성패드(41)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45)로 구성된 보강시트층(40)을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보강시트층(40)의 표면에 시멘트,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규사, 물이 혼합된 혼합조성물을 도포하여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는 단계(S5); 상기 중도방수층(50)의 표면에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의 혼합조성물로 된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마감방수층(60)을 형성하는 단계(S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패드(41)와 부직포(45) 사이에 간격유지패드(48)를 부착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45)는 탄성패드(4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폭(w)방향으로 1/3∼1/2 돌출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간격유지패드(48)는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탄성패드(41) 및 부직포(45) 사이의 폭(w)방향 중심측에 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41)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단부측의 일측에는 외측확장된 돌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에 밀착되는 타측에는 상기 돌부(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측확장된 홈부(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45)의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양 단부 외측에 홈부(46)를 형성하여 부착공간부(47)를 만든 후, 상기 부착공간부(47)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체를 충진하여 접착층(52)을 형성한 다음,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이 되게 하고, 상기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양 부직포(45)의 표면과 접착층(52)의 표면에 중도방수층(50)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의 방수공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45)의 외측 표면에 다수의 홈부(59)를 형성한 다음, 상기 홈부(59)에 도막제가 포함된 접착제를 충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벽체의 방수공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2)는 어느 벽면(1)에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어 수평방향 다수개 고정설치되며 벽면(1)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로수가 이동되는 이동공간부(93)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태로 된 지지부재(92)에 대응되는 세로폭으로 외측에 구비되어 상,하 고정피스(94)에 의해 이격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되는 실내마감패널(90)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마감패널(90)의 상,하 고정피스(94)가 위치된 상,하단부에 각각 단턱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실내마감패널(90) 사이에 형성된 세로폭 사이로 삽입되는 연결부재(80)를 구성하되, 상기 연결부재(80)는 상기 세로폭 사이로 헤드부(81)가 진입후 걸림되고, 상기 헤드부(81)의 후방측에 형성된 몸체(83)의 상,하로 연장된 날개부(85)가 실내마감패널(90)의 단턱홈(91)에 안착 고정되면서 상기 날개부(85) 및 실내마감패널(90)의 표면이 수직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상,하로 인접 설치된 지지부재(92)의 사이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97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2)의 상측 수평면(97)은 수평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측이 함몰된 만곡부(97b)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97b)의 중심측에 통공(97a)이 형성되어, 결로수가 상기 통공(97a)으로 이동되어 통공(97a)을 통해 지지부재(92)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92)의 하측 수평면(98)은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부(98)가 형성되어 지지부재(92)의 내측에 형성된 결로수가 경사부(98)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건물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제3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층(3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33∼48중량%, 규사 8∼13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2∼56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도방수층(50)은 시멘트 41∼54중량%,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13∼27중량%, 규사 5∼9중량%, 물 24∼35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감방수층(60)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41∼52중량%, 수용성 에틸렌비닐아세트산 기상공중합체 48∼59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058A KR101780988B1 (ko) | 2017-04-03 | 2017-04-03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3058A KR101780988B1 (ko) | 2017-04-03 | 2017-04-03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0988B1 true KR101780988B1 (ko) | 2017-09-25 |
Family
ID=60035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3058A KR101780988B1 (ko) | 2017-04-03 | 2017-04-03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098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6038B1 (ko) * | 2020-06-15 | 2020-10-15 | 김동규 | 바닥 방수시공방법 |
KR20210099372A (ko) * | 2020-02-04 | 2021-08-12 | 김용수 | 건축용 플렉시블 시멘트 시트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224B1 (ko) * | 2005-09-05 | 2006-11-23 | 김권택 | 일액형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
KR100899843B1 (ko) * | 2008-11-19 | 2009-05-27 | 백지현 | 친환경 내진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KR101253028B1 (ko) * | 2012-09-10 | 2013-04-16 | 오배행 |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
-
2017
- 2017-04-03 KR KR1020170043058A patent/KR1017809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224B1 (ko) * | 2005-09-05 | 2006-11-23 | 김권택 | 일액형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시공방법 |
KR100899843B1 (ko) * | 2008-11-19 | 2009-05-27 | 백지현 | 친환경 내진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
KR101253028B1 (ko) * | 2012-09-10 | 2013-04-16 | 오배행 |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시트복합 방수공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9372A (ko) * | 2020-02-04 | 2021-08-12 | 김용수 | 건축용 플렉시블 시멘트 시트 |
KR102326619B1 (ko) * | 2020-02-04 | 2021-11-16 | 김용수 | 건축용 플렉시블 시멘트 시트 |
KR102166038B1 (ko) * | 2020-06-15 | 2020-10-15 | 김동규 | 바닥 방수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6887B1 (ko) |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 |
KR20010097140A (ko) |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 |
CN103615068B (zh) | 钢框绝热外墙板 | |
CN104631857A (zh) | 活动房屋 | |
CN107642180A (zh) | 一种预制外墙 | |
KR102261398B1 (ko) |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 |
KR101780988B1 (ko) | 친환경 성분을 포함한 건물 벽체의 방수공법 | |
CN106401083A (zh) | 一种屋面工程系统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491280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 |
KR101561077B1 (ko) |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복합방수공법 | |
KR200405387Y1 (ko) |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 |
KR102165178B1 (ko) |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 |
KR100330989B1 (ko) |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 |
CN206737161U (zh) | 房屋外墙复合保温材料的安装结构 | |
KR101410105B1 (ko) | 요철이 형성된 지붕 판넬용 차열복합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 |
US20150315796A1 (en) | Modular Insulated Facade | |
CN206418808U (zh) | 一种应用于寒冷地区集装箱建筑内保温装饰一体化模块 | |
JP2010101128A (ja) | スレート屋根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 |
KR20070084809A (ko) |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 |
CN111088858B (zh) | 一种可循环使用的预制山墙及其连接构造 | |
KR20130096935A (ko) |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 |
JP2017210807A (ja) |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110127763A (ko) | 엑스매트를 이용한 단열방수구조 | |
CN107366375B (zh) | 一种预制外墙 | |
CN205742663U (zh) | 一种构件式明框玻璃幕墙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