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178B1 -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 Google Patents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178B1
KR102165178B1 KR1020190032783A KR20190032783A KR102165178B1 KR 102165178 B1 KR102165178 B1 KR 102165178B1 KR 1020190032783 A KR1020190032783 A KR 1020190032783A KR 20190032783 A KR20190032783 A KR 20190032783A KR 102165178 B1 KR102165178 B1 KR 10216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angle
construction
bent
waterproof panel
low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393A (ko
Inventor
이소연
이윤수
Original Assignee
이소연
이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연, 이윤수 filed Critical 이소연
Priority to KR102019003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1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1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04C2/3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with a metal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 또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해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외측면을 따라 설치하는 스틸앵글의 구조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강한 결합이 제공되고 스틸앵글에 의해 결합이 용이한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의 사방향에 하측 돌출부(12)가 돌출되고, 상기 하측 돌출부(12)의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는 건축용 방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사방향에 형성한 하측 돌출부(12)를 따라 스틸앵글(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틸앵글(20)은 바닥판(21)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4 절곡부(25)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Waterproof panel for construction using composite material and steel angle}
본 발명은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게는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 또는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해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으로 제공이 가능하며, 외측면을 따라 설치하는 스틸앵글의 구조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도록 강한 결합이 제공되고 스틸앵글에 의해 결합이 용이한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에서 옥상의 방수시공은 방수분말과 몰탈을 혼합하여 건물바닥에 미장으로 시공하거나, 건물바닥에 피치층을 구성하고 몰탈로 미장하여 방수하거나 또는 방수도료를 건물바닥에 도포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방수시공법이 알려져 있고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시공법은 건물바닥과 방수층이 상호 결합된 상태여서 콘크리트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이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에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또한, 시공이 완료된 건물을 누수로 인해 보수할 때에는 건물 바닥과 방수층간의 신장율의 변화가 심하여 효과적인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방수층과 건물바닥층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는 폐단이 있어왔다.
즉, 건물 옥상의 바닥에 일정규격의 시트 또는 부직포를 종과 횡으로 일정간격의 신축공간이 유지되도록 접착제 등을 이용 건물 바닥과 접착 고정하고, 신축공간에는 쿳션재를 위치시켜서 시트 또는 부직포를 종과 횡으로 구획하고 그 윗면에 방수층을 구성하여 시공되는데 이와 같이 시공하게 되면 시트 또는 부직포와 쿳션재는 방수층과 건물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계절변화와 온도 변화 및 습도에 따라 신장율이 변화되더라도 신장율이 다르게 되어 터지거나 누수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9751호서와 같이, 건축물 옥상의 콘크리트 표면에 일정한 규격의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격자형상으로 설치하고, 그 연결 부분을 우레탄 접착층으로 서로 맞물리게 하고, 재차 십자형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상기 우레탄 시스템 보드의 연결부분에 설치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에 대한 대응력을 증대하고, 설치된 우레탄 시스템 보드 사이를 통풍형으로 시공하여, 전체적인 바탕면이 서로 통풍되어 습기로 인한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우레탄 시스템 보드를 이용한 옥상 방수구조와 공법이 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옥상 방수처리를 하기 위해서 또는 콘크리트 표면 균열에 대한 대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우레탄 코팅 방식을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악천후와 햇빛 등에 의해 우레탄이 변질되면서 코팅층이 마모, 손상, 파괴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옥상 방수가 완벽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코자 지지틀에 의해서 옥상바닥의 상부에 이격되어 경사지게 칼라강판으로 형성된 지붕이 설치되고, 상기 지붕의 측면 끝단에는 물받이가 형성되며, 옥상의 난간벽체를 감싸고 지붕과 연결되는 벽면패널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칼라강판을 이용한 지붕개량 및 방수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다수개의 세로목과 가로목이 직교하면서 가운데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좌,우격자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격자틀이 끝단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가운데에서부터 측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다수개의 세움목이 교차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세움목을 서로 연결하는 버팀목이 형성되고, 상기 지붕은 좌,우격자틀의 상단에 각각 올려지고, 가운데에는 중앙덮개가 형성되며, 지붕의 끝단에 형성되는 물받이의 상단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패널의 상단을 막는 연결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옥상바닥에는 단열재가 형성되는데, 단열재는 세움목이 옥상바닥에 고정되도록 그 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칼라 강판을 이용한 지붕개량 및 방수방법이 공개실용신안 20-2015-0004331호로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칼라강판을 설치하기 위해서 수많은 세로목, 가로목, 세움목들로 이루어진 지지틀을 세워야 하는 구조여서 바닥으로부터 칼라강판이 상당한 높이에 형성되므로 옥상 바닥이 높아지는 단점과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 목재로 지지틀을 형성하는 것이어서 쉬 썩게되고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을 갖는다.
특히, 일반적인 방수패널은 외부에서의 충격으로 쉽게 변형되어 외관을 해치를 결점이 있으며,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해 성형한 방수패널은 코너의 날개 부분에 구멍을 형성한 후 충격을 가해 금속 못 등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충격으로 코너의 날개 부분이 파손되는 결점으로 인해 설치가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882689호(2018. 07. 23.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0936934호(2010. 01. 07.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303196호(2013. 08. 28.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8-0092707호(2018. 08. 20.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 성형방법과 유리섬유 칩 또는 FRP 분쇄물과 수지(Resin) 및 규사 또는 일반모래,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복합구조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성형한 건축용 방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다양한 디자인과 칼라, 무늬를 형성하여 지붕용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다양한 복합구조 재료로 이루어진 건축용 방수패널의 선단을 따라 다양하게 절곡한 절곡부로 이루어진 스틸앵글이 복합구조 재료와 일체형으로 한번에 성형되어 틈새로 빗물 등이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의 사방향에 하측 돌출부가 돌출되고, 상기 하측 돌출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건축용 방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사방향에 형성한 하측 돌출부를 따라 스틸앵글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틸앵글은 바닥판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이 형성되는 바닥판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3, 4 절곡부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4 절곡부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 성형방법과 유리섬유 칩 또는 FRP 분쇄물과 수지(Resin) 및 규사 또는 일반모래,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복합구조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사출 성형한 건축용 방수패널을 통해 건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하므로 다양한 디자인과 칼라,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붕용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다양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복합구조 재료로 이루어진 건축용 방수패널의 선단을 따라 다양하게 절곡한 절곡부로 이루어진 스틸앵글이 복합구조 재료와 일체형으로 한번에 성형되어 방수패널의 설치 후 하측 돌출부와 스틸앵글의 절곡구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빗물과 수분 등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하며, 바닥판을 통하여 벽면이나 바닥 등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정사각형과 직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11)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11)의 선단을 따라서 스틸앵글(20)이 사방향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건축용 방수패널(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건축용 방수패널(10)은 스틸앵글(20)을 사면에 공급한 후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과 유리섬유 칩 또는 FRP 분쇄물과 수지(Resin) 및 규사 또는 일반모래,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복합구조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사출 성형하는 것이며, 옥상과 지붕의 방수용과 내, 외벽의 마감 및 장식용 패널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틸앵글(2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용 핀 구멍(27)은 볼트와 스크류 중 어느 하나로 바닥 및 구조물 등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스틸앵글(20)은 양쪽 선단에 모따기를 형성하여 사면에서 연속해서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건축용 방수패널(10)은 선단의 사방향을 따라서 스틸앵글(20)을 공급해 몸체(11)의 하측 돌출부(12)와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며, 상기 스틸앵글(20)은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핀 등을 사용해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와 같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에서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4 절곡부(25)의 선단을 절곡한 폭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는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는 복합구조 재료 등으로 일체형의 하측 돌출부(12)로 성형되어 틈 사이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틸앵글(20)은 금속재질의 평판을 절곡해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1
"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3∼8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는 하측 돌출부(12)를 제외한 내부의 나머지가 공간부(13)를 형성하는 빈 공간이 되도록 하며, 내부의 선단을 따라 내부 모따기(15)가 형성되어 일정한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은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스틸앵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건축용 방수패널(10)은 선단의 사방향을 따라서 스틸앵글(20)을 공급해 몸체(11)의 하측 돌출부(12)와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며, 상기 스틸앵글(20)은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절곡부(22, 23)와 같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의 폭과 높이를 갖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2 절곡부(23)의 선단에서 제1 절곡부(22)의 절곡된 폭 보다 더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2
"와 같은 형태로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제1, 2 절곡부(22, 23)의 절곡 폭과 높이는 하측 돌출부(12)의 높이와 폭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용 방수패널은, 비엠씨(BMC;Bulk Molding Compound) 성형방법과 유리섬유 칩 또는 FRP 분쇄물과 수지(Resin) 및 규사 또는 일반모래,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혼합하여 얻어진 복합구조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사출 성형한 건축용 방수패널(10)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건축용 방수패널(10)을 성형하기 위해 스틸앵글(20)을 먼저 공급한 상태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건축용 방수패널(10)은 옥상의 방수용 패널로 제공하거나 건축면의 외벽과 내부 마감 및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체를 금속재질로 성형하는 것에 비해 저렴하면서 건축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건축용 방수패널(10)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칼라를 제공하므로 다양한 칼라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금형을 이용하므로 원하는 디자인과 무늬 및 형상 등 다양한 성형범위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건축용 발수패널(10)에 대한 시공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용 방수패널(10)을 옥상 바닥 및 건축물의 외벽에 대고 외측에서 핀과 스크류 또는 볼트를 사용해 바닥판(21)의 고정용 핀 구멍(27)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건축용 방수패널(10)을 순차적으로 고정해 나가는 것이며, 바닥판(21)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설치하거나 바닥판(21)이 겹쳐 고정용 핀 구멍(27)이 일치되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핀과 스크류 또는 볼트를 사용해 고정용 핀 구멍(27)을 관통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21)을 통하여 스틸앵글(20)과 건축용 방수패널(10)을 고정한 후에는 바닥판(21)의 상측에 실리콘을 공급함으로써 스틸앵글(20)의 사이가 마감되어 방수패널(10)의 설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건축용 방수패널(10)을 성형할 때 스틸앵글(20)을 공급한 상태에서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한 것이므로 스틸앵글(20)의 바닥판(21)에서 돌출되는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와 제4 절곡부(25)의 안쪽에서 절곡되는 절곡돌기(26)가 하측 돌출부(12)와 일체형이 되도록 성형되어 절곡돌기(26)와 스틸앵글(20)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고 이로 인하여 빗물과 수분 등이 스며들지 못하게 되며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스틸앵글(20)을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로 절곡하여 비교적 긴 길이에서 하측 돌출부(12)와 접척되며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바닥판(21)이 돌출되어 고정용 핀 구멍(27)에서 핀 등으로 바닥 또는 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핀 등을 고정할 때 발생하는 충격으로 바닥판(21)이 쉽게 손상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틸앵글(20)은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를 통하여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3
"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1)에 제1, 2 절곡부(22, 23)을 형성하는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4
"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스틸앵글(20)은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앵글(20)의 1, 2, 3, 4 절곡부(22, 23, 24, 25)는 절곡개수와 절곡 높이 및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면에서 모따기 형태로 성형한 후에는 용접 등으로 연결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용 방수패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판을 절곡하여 성형한 스틸앵글의 바닥판을 통하여 바닥에 핀 등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바닥판에서 돌출되며 제1, 2, 3, 4 절곡부가 절곡 돌출되어 하측 돌출부에서 복합구조 재료를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된 후 틈새가 형성되지 않아 빗물 등의 수분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견고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건축용 방수패널 11 : 몸체
12 : 하측 돌출부 13 : 공간부
14 : 외부 모따기 15 : 내부 모따기
20 : 스틸앵글 21 : 뱌닥판
22 : 제1 굴곡부 23 : 제2 절곡부
24 : 제3 절곡부 25 : 제4 절곡부
26 : 절곡돌기 27 : 고정용 핀 구멍

Claims (6)

  1.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의 사방향에 하측 돌출부(12)가 돌출되고, 상기 하측 돌출부(12)의 내부에 공간부(13)가 형성되는 건축용 방수패널에 있어서,
    상기 몸체(11)의 사방향에 형성한 하측 돌출부(12)를 따라 스틸앵글(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스틸앵글(20)은 바닥판(21)의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4 절곡부(25)의 선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앵글(20)은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와 같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에서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갖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4 절곡부(25)의 선단을 절곡한 폭 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앵글(20)은 금속재질의 평판을 절곡해 성형하며, 3∼8mm의 두께를 갖도록 하고,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는 외측면이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는 복합구조 재료로 일체형의 하측 돌출부(12)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앵글(20)은 일정한 간격에 고정용 핀 구멍(27)이 형성되는 바닥판(21)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 상측으로 제1, 2 절곡부(22, 23)와 같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ㄹ"형이 되도록 일정한 높이의 폭과 높이를 갖도록 절곡한 후 상기 제2 절곡부(23)의 선단에서 제1 절곡부(22)의 절곡된 폭 보다 더 돌출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절곡돌기(26)를 형성해 하측 돌출부(12)에서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앵글(20)은 제1, 2, 3, 4 절곡부(22, 23, 24, 25)를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5
    "형으로 형성하여 하측 돌출부(12)의 외측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앵글(20)은 제 1, 2 절곡부(22, 23)를 "
    Figure 112019029615344-pat00006
    "형으로 형성하여 하측 돌출부(12)의 외측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1020190032783A 2019-03-22 2019-03-22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10216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83A KR102165178B1 (ko) 2019-03-22 2019-03-22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783A KR102165178B1 (ko) 2019-03-22 2019-03-22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93A KR20200112393A (ko) 2020-10-05
KR102165178B1 true KR102165178B1 (ko) 2020-10-13

Family

ID=7280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783A KR102165178B1 (ko) 2019-03-22 2019-03-22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27U (ko) 2021-03-22 2022-09-29 황재도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20240000566U (ko) 2022-09-23 2024-04-01 황재도 건축용 강화유리 방수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75Y1 (ko) 2004-09-06 2004-11-18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복합 샌드위치 패널
KR101197461B1 (ko) 2012-02-03 2012-11-09 이청재 목재패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628A (ko) * 1988-10-28 1990-05-08 전석재 조립식 단열패널의 시공방법
KR970015971A (ko) * 1997-01-07 1997-04-28 기승철 건축용 단열패널
KR20080071847A (ko) * 2007-01-31 2008-08-05 주식회사기린산업 건축용 패널
KR200451710Y1 (ko) * 2008-06-10 2011-01-05 신영우 복합 박스형 패널 방수
KR100936934B1 (ko) 2009-07-01 2010-01-14 남정무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3196B1 (ko) 2012-01-09 2013-09-04 주신기업(주) 건축물 지붕 및 외벽용 마감재
KR101882689B1 (ko) 2016-07-01 2018-07-27 주식회사 세움특수건설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20180064912A (ko) * 2016-12-06 2018-06-15 박호진 조립식 방수패널
KR101939244B1 (ko) 2017-02-10 2019-01-16 이연주 옥상 방수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75Y1 (ko) 2004-09-06 2004-11-18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복합 샌드위치 패널
KR101197461B1 (ko) 2012-02-03 2012-11-09 이청재 목재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327U (ko) 2021-03-22 2022-09-29 황재도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20240000566U (ko) 2022-09-23 2024-04-01 황재도 건축용 강화유리 방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93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18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nted and water control siding, vented and water control sheathing and vented and water control trim-board
CA3035061C (en) System and method for a vented and water control siding, vented and water control sheathing and vented and water control trim-board
KR101059319B1 (ko) 건축용 불연 외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US11391048B2 (en) Panelized lath and drainage plane system for building exteriors
KR102165178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EP2255045B1 (en) Aluminium facade cladding with brick or ceramic appearance
KR102063260B1 (ko)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US20080196336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wall system
US20080196354A1 (en) Fiber Reinforced Concrete Exterior Wall System
KR102019309B1 (ko) 복합구조재료를 이용한 건축용 단열방수패널
KR101569242B1 (ko) 단열재 부착용 보조패널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US20050055926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use with poured concrete or light concrete
CN215977816U (zh) 一体式外墙保温系统
US11927014B2 (en) Bituminous tile with sealing engagement devices delimiting positioning areas of the anchoring nails
JPH03110243A (ja) 瓦葺屋根の施工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断熱材付きの組立桟木パネル
JPH0512402Y2 (ko)
JP2003343042A (ja) 瓦葺き屋根の棟施工構造
JP2005200934A (ja) 防火耐水性ベランダの構築方法
JP2007217918A (ja) 外壁構造、外壁パネルおよび外壁の施工方法
JPH0455559A (ja) 化粧パネルのタイル施工方法
IL165876A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for use with poured concrete or light concrete and method
JP2005120721A (ja) 屋外構築物の壁面構造
JPH03260249A (ja) 屋根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