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327U - 건축용 스틸 방수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스틸 방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327U
KR20220002327U KR2020210000884U KR20210000884U KR20220002327U KR 20220002327 U KR20220002327 U KR 20220002327U KR 2020210000884 U KR2020210000884 U KR 2020210000884U KR 20210000884 U KR20210000884 U KR 20210000884U KR 20220002327 U KR20220002327 U KR 202200023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gasket
panel
presen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342Y1 (ko
Inventor
황재도
Original Assignee
황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도 filed Critical 황재도
Priority to KR202021000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34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3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3Compressable seals of hollow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스틸 방수판에 관한 것으로, 각 둘레에 이음부가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이음부의 중첩된 부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내부에 단열재가 결합되고,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이음부가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적층된 이음부 사이에 가스켓이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 보호는 물론, 우수가 건물 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까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스틸 방수판{STEEL WATERPROOF PLATE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스틸 방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단열 및 방수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건축용 스틸 방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에서 옥상의 방수시공은 방수분말과 몰탈을 혼합하여 건물바닥에 미장으로 시공하거나, 건물바닥에 피치층을 구성하고 몰탈로 미장하여 방수하거나 또는 방수도료를 건물바닥에 도포시키는 등 여러 가지의 방수시공법이 알려져 있고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시공법은 건물바닥과 방수층이 상호 결합된 상태여서 콘크리트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이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에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수도료의 경우 건물 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06326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2165178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781378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88268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건물의 옥상 및 외벽으로부터 우수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단열까지 가능한 방수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은, 각 둘레에 이음부가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이음부의 중첩된 부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는 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상방에는 상방에 위치한 상기 이음부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될 수 있도록 원 형상의 헤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와 실리콘에 의해 고정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패널들 사이에는 상기 이음부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에 상기 패널의 상단 높이까지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각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스틸 방수판에 따르면, 내부에 단열재가 결합되고,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이음부가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적층된 이음부 사이에 가스켓이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 보호는 물론, 우수가 건물 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까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건축용 스틸 방수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은 방수는 물론 단열 성능까지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100)은 프레임부(110), 단열재(120), 가스켓(130) 및 실리콘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둘레에 이음부(114)가 형성된 복수의 패널(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패널(111)의 하면에는 건축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폼과 실리콘이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111)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건물물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패널(111)은 스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널(111)의 각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격벽(113)에 의해 내부공간(112)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13)의 하단에는 상기 패널(111)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받침판(16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패널(111)의 이음부(114)는 상기 패널(111)의 모서리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외측으로 밴딩된다.
이때, 상기 패널(111)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114)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114)에는 외측으로 밴딩된 부분이 파형 형상을 가지도록 파형편(1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11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공(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6)은 상기 패널(111)이 서로 인접됨에 따라 상기 이음부(114)가 중첩 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결합공(116)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결합공(116)에는 별도의 고정핀(150)이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패널(111)을 고정시킨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116)은 상기 파형편(115) 중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가스켓(130)의 헤드편(131)이 고정핀(15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패널(111)의 각 측면들 사이에는 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이음부(114)로 인해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120)는 상기 프레임부(110)의 패널(111) 중 상기 격벽(113)에 의해 형성된 각 내부공간(1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120)는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단열재(120)는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130)은 서로 중첩된 상기 이음부(114)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원형 상의 헤드편(1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헤드편(131)의 하방에 일체로 연결되는 받침편(1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편(131)의 내부에는 공기층(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편(131)은 상기 이음부(114)에 의해 가압 시 상기 공기층(132)에 의해 상기 이음부(114)의 파형편(115)과 대응되도록 가변되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편(131)은 상기 파형편(115)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편(131)은 상방에 위치한 상기 파형편(115)의 오목한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핀(150)이 상기 헤드편(131)을 피해 상기 가스켓(13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스켓(130)은 상기 이음부(114)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음부(114)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가스켓(130)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층(140)은 상기 이격공간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이격공간에 상기 패널(111)의 상단 높이까지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리콘층(140)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이 기밀하게 밀폐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의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스틸 방수판(200)은 프레임부(210), 단열재(220), 가스켓(230) 및 실리콘층(24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210)는 건축물의 옥상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둘레에 이음부(214)가 형성된 복수의 패널(2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 패널(211)의 하면에는 건축물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폼과 실리콘이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211)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건물물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패널(211)은 스틸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널(211)의 각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격벽(213)에 의해 내부공간(212)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13)의 하단에는 상기 패널(211)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받침판(260)이 결합된다.
상기 받침판(260)의 상단에는 상기 격벽(213)이 결합되도록 안착공(261)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건축물의 외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3 마찰편(26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261)의 중앙에는 상기 격벽(213)을 고정시키기 위해 도포된 실리콘이 상기 격벽(213) 결합 시 상기 격벽(213)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편(26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편(262)은 상기 안착공(261)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원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213)이 상기 안착공(261)에 삽입 시 상기 격벽(213)과 상기 돌기편(262)의 꼭지가 밀착됨에 따라 상기 격벽(213)과 안착공(261) 사이에 이격부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도포된 실리콘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패널(211)의 이음부(214)는 상기 패널(211)의 모서리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외측으로 밴딩된다.
이때, 상기 패널(211)은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214)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214)에는 외측으로 밴딩된 부분이 파형 형상을 가지도록 파형편(2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음부(214)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결합공(2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216)은 상기 패널(211)이 서로 인접됨에 따라 상기 이음부(214)가 중첩 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결합공(216)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결합공(216)에는 별도의 고정핀(250)이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패널(211)을 고정시킨다.
나아가, 상기 결합공(216)은 상기 파형편(215) 중 오목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될 가스켓(230)의 헤드편(231)이 고정핀(250)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패널(211)의 각 측면들 사이에는 각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이음부(214)로 인해 이격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220)는 상기 프레임부(210)의 패널(211) 중 상기 격벽(213)에 의해 형성된 각 내부공간(21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열재(220)는 단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단열재(220)는 스티로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230)은 서로 중첩된 상기 이음부(214)의 사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원형 상의 헤드편(23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헤드편(231)의 하방에 일체로 연결되는 받침편(2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편(231)의 내부에는 공기층(2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편(231)은 상기 파형편(215)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편(231)은 상방에 위치한 상기 파형편(215)의 오목한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고정핀(250)이 상기 헤드편(231)을 피해 상기 가스켓(230)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가스켓(230)은 상기 이음부(214) 사이를 기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음부(214)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가스켓(230)은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스켓(230)의 상하면 중 상기 결합공(216)과 마주보는 위치에 돌출편(234)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편(234)은 인접한 상기 결합공(216)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핀(250)에 의해 가압 및 관통되어 상기 결합공(216) 및 상기 결합공(216)의 주변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편(234)을 통해 상기 결합공(216) 및 상기 결합공(216)의 주변을 기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실리콘층(240)은 상기 이격공간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이격공간에 상기 패널(211)의 상단 높이까지 도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리콘층(240)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이 기밀하게 밀폐된다.
나아가, 상기 패널(211)의 이음부(214)에는 상기 패널(21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상기 실리콘층(240)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마찰편(2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250)에는 헤드 부분에 상기 실리콘층(240)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마찰편(25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마찰편(251)은 상기 고정핀(250)의 헤드에 등간격으로 각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다시 상방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상기 제1 마찰편(217)이나 상기 제2 마찰편(251)의 표면에는 마찰을 위한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스틸 방수판에 따르면, 내부에 단열재가 결합되고,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이음부가 적층되도록 배치되고, 적층된 이음부 사이에 가스켓이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관 보호는 물론, 우수가 건물 내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까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방수판 110: 프레임부
111: 패널 112: 내부공간
113: 격벽 114: 이음부
115: 파형편 116: 결합공
120: 단열재 130: 가스켓
131: 헤드편 132: 공기층
133: 받침편 140: 실리콘층
150: 고정핀 160: 받침판

Claims (4)

  1. 각 둘레에 이음부가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나란히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이음부의 중첩된 부분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된 가스켓;을 포함하는 건축용 스틸 방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파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상방에는 상방에 위치한 상기 이음부의 오목한 부분에 대응될 수 있도록 원 형상의 헤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방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인접하는 상기 이음부와 실리콘에 의해 고정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패널들 사이에는 상기 이음부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에 상기 패널의 상단 높이까지 실리콘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방수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하면에는 등간격으로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각 내부공간에 단열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2020210000884U 2021-03-22 2021-03-22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200497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84U KR200497342Y1 (ko) 2021-03-22 2021-03-22 건축용 스틸 방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884U KR200497342Y1 (ko) 2021-03-22 2021-03-22 건축용 스틸 방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327U true KR20220002327U (ko) 2022-09-29
KR200497342Y1 KR200497342Y1 (ko) 2023-10-12

Family

ID=8344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884U KR200497342Y1 (ko) 2021-03-22 2021-03-22 건축용 스틸 방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3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22B1 (ko) * 2022-11-07 2023-11-09 (주)에코라인 마감용 패널 연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47B1 (ko) * 2010-11-30 2013-01-21 (주)에이스지앤월드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KR101781378B1 (ko) 2017-05-16 2017-09-25 여환욱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KR101882689B1 (ko) 2016-07-01 2018-07-27 주식회사 세움특수건설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20190096916A (ko) * 2018-02-07 2019-08-20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063260B1 (ko) 2019-04-24 2020-01-07 이소연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102165178B1 (ko) 2019-03-22 2020-10-13 이소연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47B1 (ko) * 2010-11-30 2013-01-21 (주)에이스지앤월드 건축패널들의 조립구조
KR101882689B1 (ko) 2016-07-01 2018-07-27 주식회사 세움특수건설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101781378B1 (ko) 2017-05-16 2017-09-25 여환욱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KR20190096916A (ko) * 2018-02-07 2019-08-20 주식회사 광스틸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165178B1 (ko) 2019-03-22 2020-10-13 이소연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KR102063260B1 (ko) 2019-04-24 2020-01-07 이소연 복합구조재료와 스틸앵글을 이용한 건축용 방수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22B1 (ko) * 2022-11-07 2023-11-09 (주)에코라인 마감용 패널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342Y1 (ko) 2023-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8198C (en) Closure and seal for prefabricated building panels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US8001738B2 (en) Airloop window wall system
KR101882689B1 (ko)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20220002327U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JP5189326B2 (ja) 外断熱用複合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目地構造
JP3585747B2 (ja) 建築物の外壁における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具及び外壁構造
JP7350260B2 (ja) 断熱防水屋根構造体およびこの施工方法
EP3677734A2 (en) Terrace skylight
KR200224314Y1 (ko)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JP3135621U (ja) 建築物の外壁構造および通気層形成用下地材
KR20080005414U (ko) 조립식 단열 패널
JPS585775Y2 (ja) 面戸
JP4931463B2 (ja) 型枠兼用外断熱パネル
JP5044097B2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JP3686346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TW202033875A (zh) 防水窗結構
JP6393605B2 (ja) 目地構造
JP3729671B2 (ja) 枠組壁工法建築物の天井部断熱構造
JP2000038813A (ja) 屋上の樋部の防水構造
KR102240652B1 (ko) 방수 타일
CN208280344U (zh) 一种新型围护墙体结构
JP5184254B2 (ja) 屋根パネル
KR102015653B1 (ko) 스틸 방수 패널의 결합구조
KR200211592Y1 (ko) 건축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