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314Y1 -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314Y1
KR200224314Y1 KR2020000029101U KR20000029101U KR200224314Y1 KR 200224314 Y1 KR200224314 Y1 KR 200224314Y1 KR 2020000029101 U KR2020000029101 U KR 2020000029101U KR 20000029101 U KR20000029101 U KR 20000029101U KR 200224314 Y1 KR200224314 Y1 KR 200224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ilding
groove
waterproof member
oute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의호
허관석
이운승
Original Assignee
조의호
주식회사뉴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의호, 주식회사뉴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조의호
Priority to KR2020000029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314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패널끼리 이웃하여 각각 연접한 싱태에서 그 연접부의 요홈에 실리콘 코킹대신 삽입가능한 방수 고무부재를 삽입한 무코킹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패널에 단열성과 방음성을 부여키 위하여 패널의 중앙 내부에 발포되어 형성된 중간단열재와; 그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외부강판의 타단이 포개져 형성된 요홈의 기저부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발포된 상기 중간단열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부재가 그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양측 단부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과 이웃하는 외부강판의 연접부에 형성된 요홈의 내측에 끼워져 그 요홈 기저부에 체결된 나사로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패널과 패널의 연접부 요홈 기저부에 나사를 체결하고 실리콘 등의 별도의 코킹작업 없이 고무재질로된 방수부재를 삽입 밀착시킴에 의해 코킹재가 녹아 건물의 외관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짧은 공기로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양단 절곡부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됨에 의해 그 내부의 중간단열재와 방수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견실하게 지지해주게 된다.

Description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NO GASKET CONSTRUCTIONAL PANEL}
본 고안은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건축물의 외측 벽면에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우레탄 폼의 단열부재를 끼워결합하므로써 내구성 및 단열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패널과 패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별도의 충진재를 코킹(Caulking)하지 않고도 방수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대략 'H' 형의 강철빔을 사용하여 먼저 건물의 골격을 구축한 다음에 건물의 각층에 해당되는 부분에 슬라브를 타설함과 동시에 옹벽을 타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공된 건축물의 외관은 미적으로 아름답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후조건에 의하여 내구성, 단열성 및 방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에 따라 근래에는 건축물의 외측 벽면에 대리석이나 자연석 또는 인조석을 이용하여 가공한 패널을 부착시공하여 건물의 품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비 또는 바람의 자연환경으로부터 건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도 단열 및 방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측 벽면에 여러가지 종류의 외장 패널을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벽면 외측에 별도의 옹벽을 타설한 다음에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석재등의 외장 패널을 몰타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공된 형태의 외장 패널을 건물의 벽면 외측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각 외장 패널을 일일이 벽면 외측에 부착시켜야 되기 때문에 그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공기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외장 패널이 대리석이나 자연석 또는 인조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시간이 경과되면 그 부착력이 저하되어 쉽게 이탈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내구성이 좋은 금속재의 외장 패널을 개발하여 건물의 벽면 외측에 장착하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패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건축물에 적용되는 외부장식용 패널(1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의 장방형의 함체로 이루어진다.
또, 그 내측단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브래킷(12)이 일정 간격으로 절곡형성되고, 각 브래킷(12)의 중심부에는 나사체결공(1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외부장식용 패널(10)을 건축물의 벽면(16) 외측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6)의 외측에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지지프레임에 패널(10)상의 각 브래킷(12)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브래킷(12)상의 나사체결공(14)을 통하여 나사(20)를 끼워 조이면 건물의 벽면(16) 외측에 패널(10)이 장착된다.
이와 같이 외장패널이 장착된 상태에서 각 외장 패널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충전재를 코킹하여 방수성을 꾀한다.
그러나, 시공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 상기 각 외장패널사이의 공간부에 코킹된 충진재위에 먼지 등의 오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오물들은 충진재의 화학성분과 혼합되어 비가 내리게 되면 그대로 외장패널의 바깥면을 따라 흘러 내리다가 굳어 버리게 되면서 건물의 외관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패널끼리 이웃하여 각각 연접한 싱태에서 그 연접부의 요홈에 실리콘 코킹대신 삽입가능한 방수 고무부재를 삽입한 무코킹 건축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패널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패널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의 방수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무코팅건축용외장패널, 32:외부강판,
34, 34':절곡부, 36:요홈,
38:중간단열재, 40, 40':방수부재,
42:중공, 44:지지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에 단열성과 방음성을 부여키 위하여 패널의 중앙 내부에 발포되어 형성된 중간단열재와; 그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외부강판의 타단이 포개져 형성된 요홈의 기저부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발포된 상기 중간단열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부재가 그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양측 단부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과 이웃하는 외부강판의 연접부에 형성된 요홈의 내측에 끼워져 그 요홈 기저부에 체결된 나사로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부재는 그 내부에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의 내부로의 용이한 삽입과 외부충격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며, 그 저면의 나사 밀착부위에는 나사 두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요홈의 내측면과 연접되는 면에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의 측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벽면(16)에 본 고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이 나사(20)로 체결되게 되는 바,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은 패널에 단열성과 방음성을 부여키 위하여 패널의 중앙 내부에 우레탄 폼(Urethan Foam) 또는 폴리 에칠렌 폼(Poly Ethylene)으로 이루어진 중간단열재(38)가 발포된다.
또한,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은 상기 중간단열재(38)의 일측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중간단열재(38)에 지지응력을 부여하는 외부강판(32)이 구비되는 바, 상기 중간단열재(38)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강판(32)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한편, 상기 외부강판(32)은 그 양단이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34)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절곡부(34)는 상기 외부강판(32)과 이웃하여 연접된 외부강판의 절곡부(34')가 덧대어지고 상기 절곡부(34')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벽면(16) 방향으로 나사(20)가 체결된다. 그 'Z'자 형상의 절곡부(34)는 상기 중간단열재(38)를 내장하는 홈의 형상이 내광외협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중간단열재(38)가 쉽게 상기 외부강판(32)과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강판(32)의 절곡부(34)와 이웃하는 외부강판의 절곡부(34')가 덧대어짐으로 인해 상협하광형태의 요홈(36)이 형성되는 바, 그 요홈(36)의 기저부에 체결된 상기 나사(20)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부재(40)가 그 요홈(36)에 삽입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의 고무삽입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방수부재(4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중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36)의 내부로 삽입될 때 그 중공(42)의 부피만큼 찌부러들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42)의 탄성으로 인해 방수부재(40)가 상기 요홈(36)의 내부로 삽입된 후에는 요홈(36)의 내측면에 견실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그 방수부재(40)는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의 외부로부터 발생한 외부응력에 대하여 상기 중공(42)이 완충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나사(20) 두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방수부재(40)가 상기 요홈(36)의 저면에 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부재(40)는 그 저면의 나사 밀착부위에 삽입홈(43)이 형성된다.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삽입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4b에는 상기 중공(42)이 그 내부에 형성되며, 그 양측면에 다수의 지지돌기(44)가 형성된 방수부재(40')가 제공되는 바, 상기 방수부재(40')의 지지돌기(44)는 상기 요홈(36)의 내측면에 견실하게 밀착되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요홈(36)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돌기(44)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방수부재(40')가 그 요홈(36)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나사(20) 두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방수부재(40')가 상기 요홈(36)의 저면에 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수부재(40')는 그 저면의 나사 밀착부위에 삽입홈(43)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은 그 양단이 'Z'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내부홈에 상기 중간단열재(38)를 발포시켜 단열성 및 방음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의 양단 절곡부(34)는 'Z'자 형상으로 절곡됨으로 인해 그 내부에 발포된 상기 중간단열재(38)가 그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은 그 양단의 절곡부(34)가 이웃하는 외장패널의 절곡부(34')와 서로 포개지게 되고, 그로인해 상기 절곡부(34, 34')에는 요홈(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홈(36)의 기저부에는 나사(20)가 상기 벽면(16)에 체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요홈(36)의 기저부에 체결된 나사(20)로 습기 또는 물기가 스며들어 그 나사(20)를 부식시키고 건물의 외관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요홈(36)의 내부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방수부재(40)를 삽입한다.
한편, 상기 방수부재(40)는 그 내부에 다수의 중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36)에 삽입될 때 그 중공(42)의 부피만큼 찌부러지면서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상기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3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게 되며, 상기 요홈(36)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그 형상이 다시 원상으로 복원되어 상기 요홈(36)의 내부 양측면에 견실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로는 그 내부에 중공(42)이 형성되고, 그 양측면에 다수개의 지지돌기(44)가 형성된 방수부재(40')가 제공되는 바, 상기 방수부재(40')의 지지돌기(44)에 의해 상기 방수부재(40')는 상기 요홈(36)의 내부 양측면에 보다 견실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방수부재(40, 40')는 그 저면의 나사 밀착부위에 삽입홈(4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나사(20) 두부의 형상에 따라 상기 요홈(36)의 저면에 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패널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코킹 건축용 패널에 의하면 패널과 패널의 연접부 요홈 기저부에 나사를 체결하고 실리콘 등의 별도의 코킹작업 없이 고무재질로된 방수부재를 삽입 밀착시킴에 의해 코킹재가 녹아 건물의 외관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짧은 공기로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패널의 양단 절곡부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됨에 의해 그 내부의 중간단열재와 방수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견실하게 지지해주게 된다.

Claims (3)

  1. 패널에 단열성과 방음성을 부여키 위하여 패널의 중앙 내부에 발포되어 형성된 중간단열재와;
    그 일단과 이웃하는 다른 외부강판의 타단이 포개져 형성된 요홈의 기저부에 대하여 나사 결합되고, 그 중앙 소정부에 발포된 상기 중간단열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방수부재가 그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양측 단부가 'Z'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과 이웃하는 외부강판의 연접부에 형성된 요홈의 내측에 끼워져 그 요홈 기저부에 체결된 나사로 이물질 및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벽체 외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건축물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그 내부에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의 내부로의 용이한 삽입과 외부충격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며, 그 저면의 나사 밀착부위에는 나사 두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요홈의 내측면과 연접되는 면에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KR2020000029101U 2000-10-19 2000-10-19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KR200224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01U KR200224314Y1 (ko) 2000-10-19 2000-10-19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01U KR200224314Y1 (ko) 2000-10-19 2000-10-19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314Y1 true KR200224314Y1 (ko) 2001-05-15

Family

ID=7305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01U KR200224314Y1 (ko) 2000-10-19 2000-10-19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3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947B1 (ko) 2007-01-05 2007-08-27 김회정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 보수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101086061B1 (ko) 2003-11-12 2011-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킹시공이 불필요한 카세트식 외장패널 및 그 고정구조
KR101725781B1 (ko) * 2015-10-12 2017-04-11 한태원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돔 하우스
KR20210131013A (ko) * 2020-04-23 2021-11-02 (주)엔비텍이앤씨 단열재 일체형 복합패널 및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061B1 (ko) 2003-11-12 2011-11-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킹시공이 불필요한 카세트식 외장패널 및 그 고정구조
KR100751947B1 (ko) 2007-01-05 2007-08-27 김회정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 보수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101725781B1 (ko) * 2015-10-12 2017-04-11 한태원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돔 하우스
KR20210131013A (ko) * 2020-04-23 2021-11-02 (주)엔비텍이앤씨 단열재 일체형 복합패널 및 시공방법
KR102374218B1 (ko) * 2020-04-23 2022-03-15 (주)엔비텍이앤씨 단열재 일체형 복합패널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754B1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KR101939284B1 (ko) 오픈형 조인트 구조를 갖는 외장패널조립체
KR100685183B1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JP4490340B2 (ja) 断熱壁
KR101450628B1 (ko) 단열 커튼월 창호 시스템
KR200224314Y1 (ko)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KR102064454B1 (ko) 건물 벽면의 드라이비트 시공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97342Y1 (ko) 건축용 스틸 방수판
KR102173879B1 (ko) 조립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외장패널 조립체
KR102277966B1 (ko) 가스켓이 생략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JP4969898B2 (ja) 建物用換気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102015433B1 (ko) 커튼월
JP2013011148A (ja) 横連窓pcカーテンウォール
KR200211592Y1 (ko) 건축용 패널
KR102620774B1 (ko)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JP4021297B2 (ja) 止水構造
JP3807693B2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及びその連結構造
JP4520911B2 (ja) 断熱材の接続構造
KR102428858B1 (ko) 프레임 일체형 단열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 방법
KR102501274B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RU2323306C2 (ru) Крепежная скоба для стен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изоляционная 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200322177Y1 (ko) 벽면 마감재
KR102520870B1 (ko) 수평하지틀 생략이 가능한 무용접 방식의 오픈조인트패널 조립체
KR102293621B1 (ko) 무용접 단열하지 시스템
JP4139271B2 (ja) サッシ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