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2290B1 -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 Google Patents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2290B1
KR101222290B1 KR1020050088730A KR20050088730A KR101222290B1 KR 101222290 B1 KR101222290 B1 KR 101222290B1 KR 1020050088730 A KR1020050088730 A KR 1020050088730A KR 20050088730 A KR20050088730 A KR 20050088730A KR 101222290 B1 KR101222290 B1 KR 101222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waterproof layer
roof
suppor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255A (ko
Inventor
김철두
유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8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22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하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방수층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는: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고, 불투명한 재질로 되어 일사를 차단할 수 있는 일사차단재와; 상단은 상기 일사차단재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단은 옥상의 방수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일사차단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sunlight-isolator structure for insulating roof and protecting waterproof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가 방수층 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의 구조에서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수층 2 : 슬라브
3 : 공기층 4 : 밀림방지재
10 : 일사차단재 20 : 지지대
21 : 상부 지지판 22 : 하부 지지판
23 : 상부 연결부 23a : 나사홈
24 : 하부 연결부 24a : 나사돌기
본 발명은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하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방수층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의 지붕, 바닥,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수분과 접할 수 있는 부위에는 수분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표면에 불투수성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 공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종래부터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아스팔트 방수공법, 시트 방수공법, 도막 방수공법 등이 있다.
이 중, 아스팔트 방수공법은 사용 역사가 가장 길고, 사용실적이 많으며, 공사경험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공법이다. 그러나, 시공현장에서 가열·용융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역한 취기가 발생되며, 화기를 취급함으로써 화재위험이 있고,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에서는 온도차이로 인해 방수재 도막의 자체 균열이 발생하여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시트 방수공법은 합성고무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1.0~3.0㎜의 두께와 100~200㎝의 폭을 갖는 시트상으로 제조하여 시공현장에서 방수면에 접착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기계적 강도가 크고, 상온시공이 가능하며, 기후 및 오존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부위의 방수시공이 어렵고, 시트 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꾀할 수 없어 누수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분 보수가 어렵고 접착제 중의 용제의 휘발 또는 시멘트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증발에 따른 수증기압에 의해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수층의 부풀음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낮과 밤,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어 도막이 파손되고, 그 결과 방수성능을 상실하게 된다. 또한, 시트 방수층 상부에 보호층을 설치해야 하므로, 방수층의 전체적인 중량이 증가하여 지붕의 하중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개발된 도막방수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아크릴방수, 클로로프렌방수, 우레탄방수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작업현장에서 아크릴, 클로로프렌, 우레탄 등을 액상으로 도포한 후, 화학반응 또는 용제의 휘발에 따라 방수도막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방수재를 액상으로 도포하기 때문에 복잡한 부위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음매 없는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방수재 층간 및 방수면과의 접착력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면의 굴곡으로 인해 도막두께가 불균일해지며, 또한, 구조체 표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돌출 부위는 도막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다. 또한, 바닥면에 전면 밀착하는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콘크리트 수분증발로 인해 시트 방수공법에서와 같은 부풀음이 발생되어 방수성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특히 시트 방수공법과 도막방수공법에서 발생하는 부풀음 현상은 콘크리트 모체의 수분 외에 표면콘크리트의 핀 홀 또는 몰탈부의 박리 등에 의해 밀봉된 공기층의 팽창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옥상의 단열 방수를 위한 시공 공법으로는 콘크리트 표면에 우레탄 폼을 형성시킨 다음 방수 페인트를 도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공구조에서는 태양광선의 열량에 장기간 영향을 받게 되면 우레탄 폼이 수축내지는 변형되며, 상도 마감된 방수 페인트가 1~2년 정도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우레탄 표면에서 박리되어 방수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우레탄 폼을 이용한 시공공법은 상도마감 페인트를 주기적으로 도포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사람통행이 있는 발코니나 옥상 슬라브 등의 경보행용으로는 손상이 쉽게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옥상 슬래브나 지붕 구조물의 경우 그 표면온도가 하절기에는 60~80℃로 동절기에는 -10℃ 이하로 팽창 수축이 해마다 반복되는 동결융해작용에 의해 0.3mm 이상의 크랙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시멘트 구조물 자체의 잿물 방수층 자체가 파괴되어 경과년수 5년경부터는 구조체 곳곳에 1mm이상의 우수성 크랙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구조체가 파이거나 이끼류 등이 서식하게 되며, 골재 속에 염분이 함유되어 있는 바다모래를 사용함으로 인해 파라펫과 슬랩의 익스펜션(건축) 조인트 부위에서 백화현상들이 발생하게 되어 건물구조체의 균열과 파손을 가져오게 되는 등 건물의 수명과 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경과년수가 지남에 따라 물이 구조체 표면의 염분을 녹이게 되며 물이 증발한 다음 염분만 남게 되어 발생되는 상기한 백화현상 발생시, 이를 그대로 두고 단지 우레탄계의 도막 방수재나 무기질 방수자재 등 방수용 수지를 표면에 도포하는 경우에 이것들로 둘러싸인 염분이 구조체의 균열과 파손을 가져오게 되어 방수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방수층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일사차단재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옥상의 단열 및 옥상의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로서: 투영면이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고, 불투명한 재질로 되어 일사를 차단할 수 있는 일사차단재와; 상단은 상기 일사차단재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단은 옥상의 방수층 상에 위치되어, 상기 일사차단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여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사차단재는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일사차단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판 형상의 상부 지지판과; 상기 지지대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옥상의 방수층 상에 위치되는 판 형상의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연결부가 상기 하부 연결부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립될 수 있어, 일사차단재의 설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상기 상부 연결부의 내측 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의 외측 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 돌출된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나사 원리에 의하여 일사차단재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폴리 플로필렌 등의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방수층 사이에 밀림방지재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사차단재가 방수층 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옥상의 슬라브(2)에 방수공사를 통하여 방수층(1)을 형성한 후, 이 방수층(1)을 보호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1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일사차단재(10)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건물 옥상의 전체 및 보호되는 공간을 채우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는 크게 일사차단재(10)와 지지대(20)로 구성된다.
일사차단재(10)는 도 1과 같이 윗면과 아랫면이 정사각형인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이며, 크기는 가로 및 세로가 약 50cm, 두께가 약 1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사차단재(10)는 일사를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한 재질이며, 강도와 내구성 및 내후성이 충분한 폴리 플로필렌 등의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의 구조에서 지지대(2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지지대(20)는 상부 지지판(21), 하부 지지판(22), 상부 연결부(23) 및 하부 연결부(24)로 구성된다.
지지대(20)는 폴리 플로필렌 등의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지지판(21)은 지지대(20)의 최상단에 위치한 판 형상의 구성으로, 도 2와 같이 일사차단재(10)의 하단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판(22) 역시 상부 지지판(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지지대(20)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옥상의 슬라브(2) 위에 형성된 방수층(1) 상에 위치된다.
상부 연결부(23) 및 하부 연결부(24)는 각각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상부 지지판(21) 및 하부 지지판(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연결부(24)는 상부 연결부(23)보다 지름이 다소 적게 구성되어, 상부 연결부(23)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부 연결부(23)의 내측 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의 나사홈(23a)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부(24)의 외측 면에는 소정 높이 돌출된 나사돌기(24a)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홈(23a)과 나사돌기(24a)는 서로 대응하는 크기 및 간격으로 구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부 연결부(23)와 하부 연결부(2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 연결부(24)가 상부 연결부(23)에 삽입될 때, 나사돌기(24a)가 나사홈(23a)에 맞물려 들어가면서, 나사 원리에 의하여 상부 연결부(23)가 하부 연결부(24)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일사차단재(10)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일사차단재(10)를 옥상의 슬라브(2) 위에 설치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일사차단재(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수개의 일사차단재(10)가 평평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옥상의 슬라브(2) 위에 방수공사를 하여 방수층(2)을 형성한 뒤에, 본 발명에 따르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방수층(1) 위에 지지대(20)를 설치한 후, 지지대(20)의 위에 일사차단재(10)를 설치한다. 또는 지지대(20)와 일사차단재(10)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후, 옥상의 방수층(1) 위에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수층(1)과 하부 지지판(22)의 사이에는 밀림방지재(4)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일사차단재(10)는 불투명 재질로서 일사 차단 기능을 가지므로, 방수층(1) 위에 설치할 경우에 방수층(1)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일사차단재(10)와 방수층(1) 사이에 공기층(3)이 형성된다. 이 공기층(3)에 의하여 외부 열의 흡수와 내부 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여러 층의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벽체와 같은 건물의 한 부위를 통한 열의 전달은 여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여러 재료로 구성된 구조체를 통한 열전달을 모든 요인들을 혼합한 하나의 값으로 나타낸 것을 열관류율(heat transmission rate)이라고 한다. 단위는 W/㎡℃(Kcal/㎡ h ℃)로 표면적이 1㎡인 구조체를 사이에 두고 온도차가 1℃일 때, 구조체를 통한 열관류율을 와트로 측정한 것이다. 열관류율이 낮을수록 단열성능은 좋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10)를 설치한 옥상의 방수층(1) 및 슬라브(2)의 열관류율을 측정한 실험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공기온도 (°C) 비 고 1회 2회 3회 평균
일사차단재(10) 상단 19.66 19.70 19.70 19.69
슬라브(2) 하단 0.32 0.32 0.35 0.33
온도차 19.37 19.38 19.35 19.36
열량(W) 총공급열량 57.23 57.27 57.18 57.23
교정열량 14.07 14.07 14.07 14.07
시험체 통과열량 43.16 43.20 43.11 43.16
시험체 양표면
열전달 저항
(m2K/W)
표면 열전달 저항 0.134 0.134 0.133 0.134
보정값 0.030 0.030 0.031 0.030
열관류 저항(m2K/W) 0.48 0.48 0.48 0.48
열관류율(W/m2K) 2.09 2.09 2.09 2.09
종래에 슬라브(2) 위에 방수층(1)만을 설치했을 때, 슬라브(2) 및 방수층(1)의 열관류율은 약 4.22 W/m2K 라고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10)를 설치한 경우에는 열관류율이 약 2.09 W/m2K 로, 열관류율이 약 50%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옥상층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켜 에너지 소비율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의 규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일사차단재(10)를 유닛 단위로 다수개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유닛 단위로 일사차단재(10)를 설치함으로써, 옥상의 방수층(1)의 누수 부분을 확인하고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고, 일사차단재(10)를 유닛 단위로 설치, 철거 및 이동시키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또한 일사차단재(10)와 지지대(20)를 유닛 단위로 옥상에 설치할 경우, 옥상의 방수층(1) 위에 다수개의 일사차단재(10)로 새로운 공간이 구성되어, 건물 옥상의 방수층(1)을 보호함과 동시에 옥상 층을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옥상에 설치하는 방수층(1)의 보수 주기는 평균적으로 5.7년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는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를 설치할 경우에는 보수 주기가 약 10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는 방수층의 열화를 방지함으로써 방수층의 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열손실을 방지하며, 방수층의 보수공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옥상 층을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옥상의 단열 및 옥상의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로서:
    윗면과 아랫면이 정사각형인 직육면체 형상이며, 불투명한 재질로 되어 일사를 차단할 수 있는 일사차단재와;
    상단은 상기 일사차단재의 하단에 설치되고, 하단은 옥상의 방수층 상에 위치하여, 상기 일사차단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차단재는 폴리 플로필렌과 같은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일사차단재의 하단에 부착 고정되는 판 형상의 상부 지지판과;
    상기 지지대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옥상의 방수층 상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 연결부와;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 연결부가 상기 하부 연결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부 및 하부 연결부는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상기 상부 연결부의 내측 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의 외측 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나사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폴리 플로필렌과 같은 복합수지, 섬유 보강 시멘트 판 또는 인조석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방수층 사이에 밀림방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단재의 구조.
KR1020050088730A 2005-09-23 2005-09-23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KR10122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30A KR101222290B1 (ko) 2005-09-23 2005-09-23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730A KR101222290B1 (ko) 2005-09-23 2005-09-23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255A KR20070034255A (ko) 2007-03-28
KR101222290B1 true KR101222290B1 (ko) 2013-01-16

Family

ID=4929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730A KR101222290B1 (ko) 2005-09-23 2005-09-23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22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701Y1 (ko) 2002-03-12 2002-06-07 박정권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8-22 엄주복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100363436B1 (ko) 2000-04-20 2002-12-02 오상근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200352233Y1 (ko) 2004-03-18 2004-06-04 박정권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436B1 (ko) 2000-04-20 2002-12-02 오상근 옥상 방수용 플라스틱 패널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8-22 엄주복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200277701Y1 (ko) 2002-03-12 2002-06-07 박정권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KR200352233Y1 (ko) 2004-03-18 2004-06-04 박정권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255A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3238T3 (es) Estructura de muro y elemento de construccion correspondiente.
ES2561453T3 (es) Construcción de fachada para el aislamiento térmico y revestimiento de paredes externas de edificios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construcción de fachada de este tipo
CN103122663B (zh) 独立围护体及其制造和安装方法
WO2012148292A2 (en) An improved roof tile
US3862527A (en) Roof construction
CN110080473B (zh) 一种平屋面防水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80099508A (ko) 보온 단열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용 거푸집
US6769216B2 (en) Process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surface and slit of construction surface
KR102119029B1 (ko) 에어 메쉬 시트에 차열 도막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트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1888404B1 (ko) 축열 전달 방지형 파라펫 구조체
KR101222290B1 (ko)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KR102141416B1 (ko)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1222875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도막 시공 방법
KR100718006B1 (ko) 단열재를 이용한 3차원 입체 지붕재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ES2640625T3 (es) Lámina de fibrocemento corrugada y aislada, y método para su producción
BR112020014261B1 (pt) Elemento de cobertura para pisos suspensos, e sistema de piso suspenso
KR102508079B1 (ko) 복합방수시공방법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1466644B1 (ko)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KR101963938B1 (ko)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CN214995310U (zh) 保温防水屋面
JP2006336428A (ja) 屋上防水層の保護構造
JP5351374B2 (ja) 建築物の外装仕上げ構造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